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성리학에 나타난 마음이론의 유아교육적 의미 연구 -사서집주(四書集註)를 중심으로-

        샌양재 ( Yang Jai Shin ) 한국유아교육학회 2013 유아교육연구 Vol.33 No.6

        본 연구는 우리의 교육적 전통으로서 성리학을 교육이론의 관점에서 분석하여 현대 유아교육에 주는 의미를 알아보았다. 교육이론으로서 성리학은 마음의 함양을 위한 교육의 필연성과 당위성을 마음 이론을 통해서 보여주고 있다. 마음은 중층구조로서, 경험 표현이전(未發) ``형이상의 마음``은 주객구분 이전의 절대선(善)의 ``본성(性)``을 담고 있으면서 ``형이하의 마음``에 의해 주객구분의 경험적 표현(已發)을 주재한다. 마음은 정의(情意)적 작용(四端, 七情)과 인식 작용(格物, 致知)을 하면서, 개인이 느끼고, 생각하고, 행동하는 모든 경험의 논리적 원인으로서 경험적 표현을 관장한다. 이때 마음이 궁극적 기준인 ``본성(性)``에 일치하는 경험적 표현을 하기 위해서는 교육에 의한 마음의 함양이 전제 되어야 한다. 마음 함양의 교육 목적은 ``중화(中和)``의 이상적 마음으로서, 이것은 주객구분이전의 마음 상태, 즉 자타가 구별되지 않는 합일된 상태이고 절대 선한 상태이다. 이러한 교육목적은 ``도(道)``, ``경(敬)``, ``성(誠)``을 내용으로 한 교육에 의해서 추구된다. 이는 현재 유아교육에 존재론적, 인식론적, 가치론적 전제에 대한 반성과 방향, 그리고 유아교육과정에 대해 의미 있는 제안을 하고 있다. This study strives to interpret Neo-Confucianism theory of mind in the light of current educational theory to find implications for early childhood education. Neo-Confucianism as educational theory justifies the necessity and inevitability of education to cultivate the mind according to its theory of the mind. The mind a twofold structure, in which the upper layer consists of human nature as the highest good before the division of subject and object and the lower layer controls the empirical manifestations occurring under the division of subject and object. The mind, as the controller of affective and knowing processes, regulates the manifestation of experiences. Thus cultivation of the mind should be presupposed in order to realize the ultimate states of human nature. The aim of education is the harmonious mind, which is in the highest good, undifferentiated as the self and the other; rather, brought together into oneness by rightness, piety, and sincerity. Neo-Confucianism theory of mind has many implications for framing the metaphysical, epistemological, and ethical assumptions of Korean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curriculum in a global education ecosystem paradigm which includes social ecology and stresses sustainability through harmon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