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일승법계도(一乘法界圖)』의 텍스트 문제

        사토아츠시 ( Sato Atsuhi ) 한국사상사학회 2015 韓國思想史學 Vol.0 No.49

        의상(625-702)이 중국 화엄종 제2조인 지엄(602-668) 문하에서 수학하던 시기에 찬술한 『일승법계도』는 한국불교의 문헌이지만 아직도 해결해야 할 문제가 남아 있다. 그것은 텍스트 문제이다. 현재 다이쇼(大正) 대장경에 수록된 『화엄일승법계도』 텍스트는 선본(善本)으로 보기 어렵다. 그보다는 『법계도기총수록』에 수록된 텍스트(총수록본)가 선본이다. 따라서 『법계도』 텍스트는 총수록본을 중심으로 연구할 필요가 있다. 다만 그총수록본도 완벽하지는 않다. 따라서 그보다 오래된 사본 차원으로 거슬러 올라가서 텍스트 문제를 고찰할 필요가 있다. 이 글에서는 현존하는 『법계도』의 사본과 간본 10종을 수집하고 각기 텍스트의 특징을 검토하는 한편 그 계통 문제에 대해서도 고찰하였다. 필자의 목표는 상세한 법계도의 교감본을 작성하는 것에 있는데 이번 발표는 그 일부분이다. 검토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수집된 현존하는 사본 및 간본은 ①총수록수록본, ②삼문직지소인본(三門直指所引本), ③방산석경본(房山石경本), ④교토대학소장본, ⑤류코쿠대학(龍谷大學)소장본, ⑥오타니대학(大谷大學)소장본, ⑦조라쿠인(常樂院)구장본, ⑧가나자와문고(金澤文庫)본A ⑨가나자와문고본B, ⑩가나자와문고본C 등 10종이다. 둘째, 사본 및 간본들의 주된 차이점에 대해서는 다음 두 가지 점을 살펴보았다. 하나는 『법계도』의 제목과 미제(尾題)의 문제인데, 텍스트에 따라서 제목이 다르고 나아가 마지막 부분에도 제목이 있는 것을 정리하였다. 다른 하나는 서문과 도인(圖印) 부분의 어구(語句)의 차이이다. 이 부분의 어구의 차이는 텍스트들의 주요한 차이점으로 나타나고 있다. “Il Seung Beopgye-do”(“Beopgye-do”) was written by Silla Huayen monk Uisang in 668. He learned a Huayen doctrine by Chiyen the 2nd patriot of Huayen school. He came back to Silla and taught it to his disciples. Many commentaries were made in Silla and Koryo dynasty. And in Chosun dynasty, it was made few commentaries too. In later, the part of poem in “Beopgye-do” was called “Beop Seong Gye”, it is recite in Buddhist ceremony even now. As it, “Beopgye-do” is important literature in Korean Buddhism. But the “Beopgye-do” has an unsolved problem. It is the text problem. Generally, the text of “Beopgye-do” we can see is that included in Taisho Tripitaka. But it is not good text. The better one is the text quoted in “Beopgye do ki Chon su rok”(“Chon su rok”) that commentary of “Beopgye-do”. So when we research the “Beopgye-do” text, we need to research “Chon su rok” version. In 1997 Prof. Kim Ji-gyeon published recension text on the basis of the “Chon su rok” text. However that “Chon su rok” text also is not perfect. So we have to research until manuscript level. I collected the 10 kinds of text printed and manuscript. And I research a characteristic and a relationship of texts. My final target is a making recension text. And this paper is process of it. This paper has two parts. The 1st is introduction of texts the following. 1) quoted text in “Chon su rok,” 2) quoted text in “Sam mun jik chi”(these two are preserved in Korea), 3) Pang shan stone sutra text(it is preserved in China), 4) Kyoto Univ. text, 5) Ryukoku Univ. text, 6) Otani Univ. text, 7) Jorakuin temple text, 8) Kanazawa bunko text A, 9) Kanazawa bunko text B, 10) Kanazawa bunko text C(these are preserved in Japan). The 2nd is pointing out differences between the texts on two points. One is the main and last title. The title of “Beopgye-do” has various titles by texts. The other is difference of words in preface and poem. It also well represent the differences among tex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