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예비교사들의 장애통합 경험의 의미

        봉진영,이수영 사단법인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2016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Vol.6 No.12

        본 연구는 교사 양성 교육과정 안에서 장애 통합교육이 어떠한 의미를 가지는지 알아보고자 하는 목적에서 이루어졌다. 본 연구를 위하여 K시에 K대학 1학년 학생들을 대상으로 2016년 3월~ 5월까지 유아 미술교육시간에 주 1회 한시간씩 총 6회의 통합교육을 실시하였다. 통합교육 실시 직후 활동에 대한 평가와 논의하는 시간을 가졌고 통합교육을 실시하며 느낀점과 어려운 점에 대해 나누고 다음 활동계획을 조정하는 시간을 가졌다. 또한 매 활동 직후 교사들이 반성적 저널을 작성하였으며 토의 내용과 반성적 저널 수합한 것을 기초로 전사하고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장애통합교육은 유아 예비교사들에게 변화와 성장의 시간으로써 첫째 편견의 틀깨고 나오기-우리는 친구, 통합교사로서의 고민의 시간- 나 들여다 보기, 성장의 깨달음 - 실천적 지식 형성하기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는 유아 예비교사 양성과정에서 장애 통합교육을 시행하는 데에 대한 긍정적 제안과 예비교사들에게 장애 통합교육을 시행할때 고려할 점에 대한 기초자료를 제공할 것이다. This Study is purposed to explore the meaning of Preservice Childhood Teacher’s Integrated Educational Experience of Disability. For this study, The Integrated Education has been performed to Preservice Childhood Teachers, junior students, in childhood art class in K university, K city from March to May, six times, during which each integrated education required them to discuss and evaluate activities and also share their feelings and difficulty to adjust next activities to be better off, and the experimental group filled up reflective journals, which was grounded with their discussion to the analysis of this study. This study shows three stages of new perception created to preservice childhood teachers, First Stage, breaking prejudice – we are friend, Second stage, having meditated as childhood teacher- looking inside myself, Third stage, Enlightening myself- taking action willingly. This comprehensive study is likely to propose basic ground or consideration necessary to implement the integrated educational experience of disability by preservice childhood teachers on their regular curriculum.

      • KCI등재

        일반논문 : 식민지,오리엔탈리즘,포스트모던 -주변부에서 보는 제국의 교차-

        진영 한림대학교 일본학연구소 2012 翰林日本學 Vol.0 No.21

        자기를 냉철하게 정의하고자 하는 의식이 없는 국민에게 글로벌화시대를 살아나갈 저력은 없다. 이러한 이해가 바른 것이라면 정치 뿐 아니라 경제적으로도 국제사회에서 고립하고 국내적으로는 막다른 골목에서 고뇌하는 오늘날의 타이완 사회의 모습은 필연적 이라 할 수 있을 듯 하다. 특히 중국이 금속도로 강해지며 세계사적 복권을 노리고 있는 조류 속에서는 더욱 현저하다. 대만은 스스로에 대한 자각과 상대에 대한 인식을 갖지 못한 채 근대화를 받아 들여야만 했다. 이는 대만이 100년 이상이나 ``다중적식민지화``에 의한 근대화 과정을 거쳤다는 역사적 진로에서 그 이유를 찾을 수 있다. 대만은 오래 전부터 중국의 영향권아래에 있었으며, 1895년 청일전쟁에 의해 일본제국의 최초의 식민지가 되었다가, 1949년 중국내전에 패한 국민당이 대만으로 망명하게 되고 부터는 미국에, 그리고 오늘날에는 다시 중국을 통해 세계와 이어지려고 하고 있다. 미크로 역사에서 보자면 대만은 동(대륙적·내향적·정치적)과 (해양적·개방적·경제적)역사의 2대 조류의 교차점에 위치하며 끊임없이 양쪽에 의해 이끌림을 당하고 있었다. 다시 말하자면 동도 서도 아니라는 딜레마 속에 대만은 속해 있었던 것이다.

      • KCI등재

        유아의 실외놀이 참여전략에 대한 탐구

        봉진영 ( Jin Young Bong ),권경숙 ( Kyung Sook Kwon ) 한국어린이문학교육학회 2014 어린이문학교육연구 Vol.15 No.1

        본 연구는 유아의 놀이참여 전략을 알아보기 위한 목적으로 실외 모래놀이 영역에서의 유아들의 행동을 관찰하여 놀이맥락 속에서 유아들이 사용하는 놀이참여를 위한 전략적 행동들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25회의 참여 관찰을 통해 유아의 모래놀이를 관찰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유아들은 친구들의 놀이에 가입하기 위하여 배회하며 관찰하기, 관심 표현을 통한 동조적 메시지 전달하기, 적절한 도움주기, 놀이참여에 대한 허락구하기 및 또래의 의도에 따라 전략 수정하기 등의 방법을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유아들은 자신의 놀이에 또래 유아가 참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직접적으로 놀이 제안하거나 역할을 부여하고 때로는 도움을 요청하였으며 상황의 극대화를 통한 또래의 주의끌기 등의 전략을 사용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observe children`s behaviors in order to check children`s play-participation-strategies in an outdoor sand play area. This study is to observe not only how peer participation appears outside, but also children`s strategic behaviors for joining together with other children through the play. For this study, children`s sand play was observed many times, totaling 25 observations. First, the results show that 1) children walk around and observe in order to join other children`s play, 2) children deliver syntonic messages through expressing their interest in the play, 3) children help the play by giving suggestions and knowledge, 4) children get permission to join the play, and 5) children revise strategies according to their peers` intentions. Second, the results show children`s various behaviors in order for peers to participate in their play: children directly offer other children to join their play, give them a role, ask for help, or use strategies to obtain peer attention through maximizing the situation.

      • KCI등재후보

        예랑유치원에서 이루어지는 도서대여 프로그램에 관한 사례연구

        봉진영(Bong, Jin Young),배지희(Bae, Ji-Hi) 한국유아교육·보육복지학회 2010 유아교육·보육복지연구 Vol.14 No.2

        본 연구의 목적은 유치원의 도서대여 활동의 실시방법과 유아와 부모의 참여를 활성화시키기 위한 기관의 노력 도서대여에 대한 학부모 인식을 알아봄으로써 유아교육현장에서 효과적인 도서대여 방법에 대한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교사 3명을 대상으로 유치원에서 이루어지는 도서대여 활동에 대하여 심충면담을 실시하고 학부모 15 명에게 질문지를 보내 단변을 받았으며 이후 학부모 2명과 심층면담을 하였다 또한 도서대여의 실제에 대한 이해륜 위해 5 회 참여관찰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연구 대상 유지원에서는 사서활동, 매일 동화 읽어주기. 생일 책 선물하기‘ 인근 도서관과 연계한 도서대여 활동 가정과 연계한 독후활동을 실시하고 있었다 연구대상 유지원에서는 도서대여 프로그램에 대한 유아와 부모의 적극적 참여를 돕기 위해 정기적으로 책 구입하기. 동화나라 안내와 교육 실시하기. 다양한 문학활동 전개허가 칭찬과 격려하기. 교사의 펀지와 잭 선물 제공하기. 부모에 대한 격려와 지지. 공감하기 등의 노력을 하고 있었다‘ 이러한 도서대여 활동에 대해 부모들은 긍정적으로 평가 하고 있었으며 유아들이 다양한 책을 접하고 가족과 함께 책을 읽으며 의미있는 시간을 보낼 수 있는 점에 대해 만족스러워하였다. 또한 부보들은 유아들이 도서대여 활동에 동기를 가지고 능동적으로 참여할 수 있도록 유아의 활동에 대한 교사들의 계속적 관심과 지원 및 유아와의 대화를 요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examined the processes involved in the book-lending program at Yerang Kindergarten, efforts made by the teachers to increase the effectiveness of the program, and perceptions of the parents. In-depth interviews with 3 teachers and 2 parents at Yerang Kindergarten were carried out and questionnaires were collected from 15 parents. In addition, 5 participant observations were made to understand the contexts of book-lending program at Yerang Kindergarten.The results of the study indicated that the book-lending program at Yerang Kindergarten, which has been provided to the children and parents in collaboration with a neighboring library, involves various literacy activities. Teachers read books to children everyday, provide a book to a child as a birthday gift, and encourage parents to read books to their children and write stories together at home. In order to increase the effectiveness of the program, the teachers regularly purchase new books for children, provide orientation sessions for parents about the book-lending program, engage children in various literacy activities in the class. compliment children's efforts in literacy activities, and support parents to participate in literacy activities at home with their children. Surveys and interviews with the parents at Yerang Kindergarten revealed that parents recognize the positive effects of the book-lending program and are satisfied with the program in that it facilitates quality time with their children. The parents expected teachers' consistent supports to sustain children's interests in the literacy activities implemented through the book-lending program.

      • KCI등재후보

        부모교육지도사의 다문화가정 방문지도 경험의 의미 탐색

        봉진영(Bong, jinyoung),권경숙(Kwon, kyungsook) 성신여자대학교 교육문제연구소 2013 교육연구 Vol.56 No.-

        본 연구는 다문화가정 방문지도사 중 부모교육지도사들이 다문화가정을 방문하여 서비스를 실천하면서 겪는 경험의 의미가 무엇인지를 탐색하고자 하는 목적에서 이루어졌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위해 다문화가정 방문교육 서비스를 실천하고 있는 부모교육지도사들과 면담을 실시하여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이를 통해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부모교육지도사들은 다문화가정방문 경험에서 희망을 여는 노력과 실천으로 기쁨과 보람을 느끼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들은 다문화가정의 결혼이주민 여성들이 자신감을 가지고 자신의 삶에 대한 변화를 위해 노력하려는 의지를 보일 때나 희망을 주는 존재로서 느껴질 때 부모교육지도사로서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보여졌다. 둘째, 부모교육지도사들은 다문화가정의 결혼이주민 여성이 가족 구성원 및 친구, 세상과 교류하고 소통할 수 있는 통로가 되어줄 뿐 만 아니라 답답함을 토로하고 이해해 줄 수 있는 공감의 대상으로서 존재하고자 함을 알 수 있었다. 다문화가정의 가족구성원과 결혼이주여성 간의 중재 역할을 통해 불통의 간격을 좁히고 서로를 이해할 수 있는 소통의 통로가 됨으로써 결혼이주여성들이 한국 사회에서 자신감 있게 적응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부모교육지도사들의 역할은 결혼이주여성들의 신속한 적응에 도움이 되는 일이라 생각된다. 셋째, 다문화가정 부모교육지도사들은 방문지도 경험을 통해서 다문화가정과 결혼이주여성에 대한 인식이 긍정적으로 변화되었다는 점에서 의미를 찾고있음을 알 수 있었다. 즉, 부모교육지도사들은 결혼이주여성들은 어렵고 힘들고 약한 존재로 그들을 도와야 한다는 마음에서 출발하였지만 방문지도를 하면서 우리도 누군가에게는 다문화가족으로 인식될 수 있으며 일방적으로 가르쳐야 하는 존재가 아니라 우리가 배워야 하는 존재로 결혼이주여성을 인식해야 한다는 생각을 가지게 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what meanings parent education trainers, among visit instructors for multicultural families, impart on their experiences from providing services during home visits to multicultural families. To this end, parent education trainers who are practicing multicultural family visiting training were interviewed for data collection. Findings drawn from the collected data were as follows. First, it was found that parent education trainers feel happy and proud about their effort and practice in providing hope to their clients through their home visiting experiences to multicultural families. Parent education trainers find their role meaningful when they feel they are giving hope to their clients or when married immigrant women in multicultural families show the will to make efforts to change their lives with confidence. Second, it was found that parent education trainers want to serve as channels for married immigrant women in multicultural families to help them interact and communicate with their family members, friends and the world, and also be empathetic and understanding listeners to whom their clients can reveal their frustrations. Parent education trainers believe that their role of helping married immigrant women confidently adapt to the Korean society through playing the part of mediators between married immigrant women and their family members and becoming a communication channel that reduces communication gap and fosters understanding among the members in multicultural families is beneficial for their clients' quick adaptation. Third, it was found that parent education trainers for multicultural families find it meaningful that their perceptions about multicultural families and married immigrant women positively changed through their home visiting experiences. In other words, parent education trainers began their practice with the approach that they should help married immigrant women who are difficult, hard to deal with, and weak, However, through home visiting, they were able to realize that they themselves could be seen as multicultural families by others and that they should change the way they think about married immigrant women; from people that must be unilaterally taught to people from whom we should learn.

      • KCI등재

        결혼이주여성의 자녀 언어 지도 경험에 관한 고찰

        유향선,봉진영,윤재희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2011 유아교육학논집 Vol.15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look into the experience of an international marriage immigrant women in guiding her children in two languages. More specifically, this study examined the language a marriage migrant mother instruct intensively, the reason and way she teaches a specific language, and the conflict with which the mother is confronted while teaching two languages to her children. For this purpose, this study conducted an interview in Korean for 60 minutes with four marriage immigrant women from Mongolia, China, Japan, and Thailand twice a week respectively. The practice of these four participants in guiding their children in two languages was classified as the mixed-use of Korean and Mongolian, expansion into Chinese from Korean, exclusive use of Japanese, and balanced use of Korean and Thai. The participants explained the reason for their guiding two languages from an appropriate aspect and practical aspect. Regardless of the basis for guiding two languages, these participants were experiencing diverse conflicts while guiding their children in two languages. This study indicated that such a conflict was closely linked to the mothers' anxiety about their own Korean skills, negative perspectives around them, and Korean-centered educational institutions, etc. However, the findings also revealed the active roles the participants take play in overcoming the conflicts they are facing them. 본 연구의 목적은 결혼이주여성이 자녀에게 두 가지 언어를 지도하는(했던) 경험을 조사하는데 있다. 구체적으로 본 연구는 결혼이주여성 어머니가 자녀에게 집중적으로 지도하는 언어, 특정한 언어를 지도하는 이유와 방식, 두 언어를 지도하며 직면하는 갈등에 대해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유아기 자녀를 둔 몽골, 중국, 일본, 태국 출신의 결혼이주여성 네 사람을 각각 두 차례씩 60분가량 한국어로 면담을 진행했다. 네 명의 이주여성이 자녀에게 두 가지 언어를 지도하는 경험은 한국어와 몽골어의 혼재, 한국어에서 중국어로 확장, 배타적 일본어 사용, 한국어와 태국어의 균형으로 표현할 수 있다. 이들은 자녀에게 두 가지 언어를 지도하는 이유를 당위적 측면과 실용적 측면에서 설명했다. 두 가지 언어를 지도하는 근거나 지속 여부와 관계없이 연구참여자들은 자녀에게 두 가지 언어를 지도하며 다양한 갈등을 경험하고 있었다. 이런 갈등은 어머니 본인의 한국어 능력에 대한 불안과 주변의 부정적 시선, 한국어 중심의 교육기관 등과 연관되어 있었다. 그러나 어머니들은 자신이 직면한 갈등을 극복하며 자녀의 언어발달에 적극적인 역할을 수행했다. 본 연구의 결과는 결혼이주여성이 자녀에게 언어를 지도하는 경험을 보다 심층적으로 이해할 수 있는 계기를 제공하여 결혼이주여성 자녀를 위한 언어교육에 대한 논의를 확장시키는데 공헌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유아의 문제행동 지도에 대한 종일반 교사들의 인식 및 어려움

        배지희,봉진영,조미영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2010 유아교육학논집 Vol.14 No.2

        This study examined full-day kindergarten teachers' experiences of young children's behavior problems, their perceptions of factors that lead to such behavior problems, and the difficulties they encounter in the process of guiding children's behavior problems.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6 teachers of full-day kindergartens. The results of the study indicated that disobedience of class rules, aggressive behavior, inappropriate behavior to attract teacher's attention, and failure to follow teacher's guidance were behavioral problems most often experienced in the full-day kindergarten classrooms. Teachers perceived that inappropriate parenting attitude, children's strong desire for love, fatigue experienced by children who stay in kindergarten all day long, and inadequate physical environment of full-day classroom were major causes of children's behavioral problems. Full-day kindergarten teachers encountered various difficulties in the process of guiding children's behavioral problems. They felt discouraged when children did not show respect for teachers of full-day classes. The teachers also mentioned that fluctuating enrollment in full-day classes and mixed-age grouping exacerbate their difficulties. Lack of time to collaborate with other teachers and lack of parental support were additional difficulties experienced by teachers of full-day kindergarten. 본 연구의 목적은 종일반 교사들이 경험하는 유아의 문제행동 양상은 어떠하고, 종일반 유아들의 문제행동 발생 원인을 교사들은 무엇이라고 생각하고 있으며, 문제행동을 지도하면서 경험하는 종일반 교사들의 어려움과 이에 대한 개선 방안이 무엇인지에 대해서 교사들의 이야기를 통해 분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유치원 종일반 교사 6명을 대상으로 심층면접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종일반 교사들이 경험하는 종일반 유아의 문제행동은 질서와 규칙을 지키지 않는 행동, 과격한 행동, 교사의 관심을 끌기위해 보이는 부적절한 행동, 교사의 지도를 따르지 않는 행동으로 나타났다. 둘째, 종일반 교사들은 부모의 생활방식과 양육태도, 성인에게 사랑받고 싶은 욕구, 긴 일과로 인한 피로감과 의욕 상실, 종일반에 적합하지 않은 물리적 공간을 종일반 유아들의 문제행동 발생의 주요 원인이라고 인식하고 있었다. 셋째, 문제행동 지도와 관련하여 종일반 교사가 경험하는 어려움은 종일반에 대한 유아들의 소속감 부재, 원아 수의 잦은 변동 및 혼합연령 구성으로 인한 어려움, 담임교사들과의 원활한 협조체계의 부족, 문제행동 지도를 위한 부모와의 협력체제 구성의 어려움과 연계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예비 유아교사의 과학교수지식과 창의적 인성이 과학교수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이수영,봉진영 사단법인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2016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Vol.6 No.1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vide a basic material for pre-service teachers of young children to conduct science education by exploring the level of creative personality, knowledge for science teaching and science teaching efficacy of students majoring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the relationship among their creative personality, knowledge for science teaching and science teaching efficacy. Thus, this study established research questions as follows; "What's the level of creative personality, knowledge for science teaching and science teaching efficacy of pre-service teachers of young children?" and "Do knowledge for science teaching and creative personality of pre-service teachers of young children have effect on their science teaching efficacy?" For this purpose, this study conducted a questionnaire survey on 148 students majoring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in 4-year universities located in Gyeonggi-province. As the result of the study, there was high level of correlation among creative personality, knowledge for science teaching and science teaching efficacy of pre-service teachers of young children. 본 연구는 예비 유아교사들의 과학교수지식과 창의적 인성, 과학교수효능감이 어떠한지 살펴보고, 과학 교수지식, 창의적 인성과 과학교수 효능감과의 관계를 알아봄으로써 예비유아교사를 위한 유아과학교육의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경기 지역의 4년제 대학 유아교육과에 재학 중인 148명을 대상으로 설문연구를 진행하였다. 연구결과 예비유아교사들의 창의적 인성과 과학교수지식, 과학교수효능감은 서로 높은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창의적 인성과 과학교수지식이 과학교수효능감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유아예비교사들의 다양하고 깊이 있는 과학관련 지식의 습득은 과학교육 시행에 대한 불안감을 감소시켜줌으로써 과학에 대한 긍정적 태도를 증진시키고 과학교수 효능감을 높이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교사양성교육과정에서 과학교수지식의 신장을 위한 이론과 실습을 연계할 수 있는 체계적 실험실습 프로그램이 다양하게 개발되고 효과적으로 적용됨으로써 학생들의 과학교수 효능감을 높일 수 있도록 하여야 할 것이다.

      • KCI등재

        그림책에 나타난 상상친구의 외적 특성

        박현경,봉진영 한국콘텐츠학회 2020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20 No.2

        This research is to study about the extrinsic characteristics of imaginary friends in the picture books which are published in Korea and its publishing trend. At first, the pioneering country which is publishing picture books telling about the imaginary friend belongs to the western countries, and some part of them are printed in Japan and Korea among east asia, and its story is most likely fiction, since 2000, the picture books about the imaginary friends have been steadily published. Secondly, its extrinsic characteristics among them are the gender, name of the main character and his/her imaginary friends, and whether the imaginary friend present themselves, their physical types, and the numbers of imaginary friends in the picture books. The percentage of gender between man and woman who is more likely to have the imaginary friends in the picture books are higher to girls than boys, and their imaginary friends are to be called by the intimate or unique name rather than the its general name and/or the name reflected by it appearance, and the imaginary friend are only visible to the main character, and its type are widely ranged from animal, human, and others in frequent order, and the main character tend to have only one imgainary friend rather than to have multiple ones. 본 연구는 국내에서 출판된 그림책 중 상상친구를 주제로 한 총 30권의 그림책을 대상으로 상상친구 그림책의 출판 경향과 상상친구의 외적인 특성에 대해 연구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상상친구 그림책의 원전 출판 국가는 서구권의 나라가 대부분이었으며, 동양권에서는 한국과 일본에서 일부만 출판되었다. 분석된 책의 다수가 픽션 그림책이었으며, 상상친구와 관련된 책이 2000년 이후로 꾸준히 출판되고 있었다. 둘째, 그림책에서 나타난 상상친구의 외적 특성은 주인공 및 상상친구의 성별, 주인공과 상상친구의 이름, 상상친구의 현시 여부, 상상친구의 유형, 상상친구의 수로 분석하여 결과를 나타내었다. 그림책에 나타난 상상친구를 가진 주인공은 여성의 비중이 남성보다 높았으며, 주인공의 이름과 함께 상상친구의 이름을 구체적으로 제시하고 있는 경우가 많았다. 분석된 그림책에서 상상친구가 주인공에게는 구체적 형태로 나타나고 있으나 주인공외 타인에게 보이지 않는 경우가 대부분이었다. 상상친구의 유형은 동물, 사람, 기타 순으로 나타났으며 주인공이 1명의 상상친구를 가진 경우가 많았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