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영국에서의 명예훼손과 징벌적 손해배상

        봉영준 한국법정책학회 2023 법과 정책연구 Vol.23 No.4

        영국(잉글랜드와 웨일즈)은 2009년 “검시관 및 사법법”(Coroners and Justice Act)을 제정하여 명예훼손죄를 폐지하였고, 2013년 명예훼손법(Defamation Act)을 개정함으로써 언론의 자유를 보다 더 보호하는 방향으로 법률을 개정하였다. 또한 개정법은 원고가 자신이 “심각한 피해”(serious harm)를 입었거나 입을 가능성이 있다는 요건을 추가하여 원고가 자신이 심각한 피해를 입었음을 증명하게 하여 명예훼손의 성립을 이전보다 더 어렵게 하였다. 반면에 2013년 “범죄 및 법원법”(Crime and Courts Act)을 제정하여 명예훼손의 경우 징벌적 손해배상과 가중적 손해배상이 인정될 수 있는 규정을 두었다. 물론 영국에서는 보통법 시대에서부터 명예훼손에 대해서도 징벌적 손해배상을 인정하여 왔다(스코틀랜드는 징벌적 손해배상제도를 인정하지 않는다). 그리고 오래된 판례를 근거로 교과서, 영국법률위원회, 주석가들은 명예훼손은 징벌적 손해배상의 중요한 청구원인이라고 하고 있다. 그러나 최근 한 연구에서 영국에서의 징벌적 손해배상에 관하여 최초로 실증적 연구를 하였는데, 2000년부터 2015년까지 16년 동안 1심판결을 기준으로 명예훼손(및 개인정보 침해) 소송에서 8건의 징벌적 손해배상청구가 검색되었고, 단 한 건도 징벌적 손해배상이 인정되지 않았다. 이와 같은 이론과 현실의 차이는 과거에 많은 징벌적 손해배상액의 판결이 있었던 것을 언론의 홍보 등을 통해 징벌적 손해배상의 판결이 자주 있고 또한 많은 액수의 배상이 있을 것이라는 인식의 오류에 기인하는 것 같다. 또한 영국 법원은 가해자를 처벌하는 징벌적 손해배상의 방법보다는 피해자의 가중된 감정 손상에 대해 전보적 배상으로서 간헐적으로 가중적 손해배상을 인정하는 방법을 취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영국의 실무적인 상황과 우리나라 대법원에서 2017년 「불법행위 유형별 적정한 위자료 산정방안」을 통하여 명예훼손에 대한 위자료 산정기준을 5천만 원에서 2억 원까지 가중할 수 있도록 하였고, 초과가중도 가능하도록 한 점을 참작하여 「언론중재 및 피해구제 등에 관한 법률」에 피해자의 손해액의 5배를 넘지 않는 범위에서 손해배상액을 인정할지 여부에 대해 참고가 되었으면 한다. In England and Wales, by revising the Defamation Act in 2013, the act was revised to further protect the freedom of speech. The revised act added a requirement that the plaintiff suffered or was likely to suffer “serious harm”, making it more difficult to establish defamation by allowing the plaintiff to prove that he suffered serious damage. Meanwhile, since the era of common law, the U.K. has also recognized punitive damages for defamation. However, in recent years, empirical study has shown that it is not easy to find cases in which punitive damages are actually recognized. This seems to be due to the fact that when the damage of victim’s emotions increased, the aggravated damages is being compensated for the increased emotional damage of the victim. Such cases of defamation in the U.K. can also be a policy reference to whether to introduce a five-fold compensation system for malicious false or manipulated reports in Korea recently. Anyway, it seems necessary to improve the fact that the amount of compensation for defamation is too low in Korea.

      • KCI등재

        허위·조작보도에 대한 징벌적 손해배상

        봉영준 한양법학회 2023 漢陽法學 Vol.34 No.3

        In the U.S.A, punitive damages are awarded in the case of malicious tort by the defendant for defamation. However, if the plaintiff is a public figure, not only malice but also at least “actual malice” is required to claim damages, whether compensatory or punitive. On the other hand, if the plaintiff is a private person, a claim for compensatory damages can be claimed if the defendant's malice or negligence is proved, and punitive damages can be claimed if there is malice or “actual malice.” On the other hand, a plaintiff who is a private person can claim compensatory damages if he/she proves the defendant’s malice or negligence, and can claim punitive damages if he/she proves the defendant’s malice or “actual malice.” In other words, even in the United States, which can be said to be the heaven of the press, punitive damages are recognized in cases of malicious defamation. In addition, punitive damages are recognized even if the plaintiff is a public figure, a public figure, or the matter is a public concern. In Korea, the amendment bill to the 「Act On Press Arbitration And Remedies For Damage Caused By Press Reports」 intends to introduce a five-times compensation system for actual damages in cases of defamation due to false or manipulated reports with clear “malice or gross negligence.” Many papers and news outlets oppose the introduction of the 5-times compensation system, saying that introducing the 5-fold compensation system violates the principle of excessive prohibition. However, I do not think that the introduction of punitive damages is contrary to the principle of excessive prohibition. Rather, it is wrong to stipulate that there is no liability for punitive damages even if false or manipulated reports are made with clear "malice or gross negligence" for public figures or public matters within a certain range. It goes against the concept of justice to insist on the freedom of speech even when the press, which has lost self-control, commits repeated and malicious defamatory acts. Although there are currently several relief systems for defamatory media reports, there is a need to strengthen civil penalties for malicious false and fabricated reports and to prevent such wrongful acts. Therefore, just as the punitive damages system has already been introduced in 20 Acts, the 「Act On Press Arbitration And Remedies For Damage Caused By Press Reports」 should also introduce it.

      • KCI등재

        원치 않은 임신에 대한 아이의 부

        봉영준 대한의료법학회 2011 의료법학 Vol.12 No.2

        “Wrongful conception” is a medical malpractice claim in which the plaintiff is the parent of a normal, healthy infant whose conception was unplanned and unwanted. Medical malpractice in wrongful conception can be the result of a failure to provide informed consent to a patient, failure to properly perform a surgery, or a physician's negligent handling of a patient's problems. In the concrete, wrongful conception cases fall into two categories; those involving pre-conception negligence, such as a failed contraceptive, sterilization or failing of the controlling of embryo-number on the IVF, and those involving post-conception negligence, such as a failure to diagnose a pregnancy or to perform an abortion procedure. In addition, Medical malpractice can be the result of a failure to provide informed consent to a patient. When bad results occur by medical malpractice or failure to provide informed consent to a patient, the range of recovery of damages is decided by a traditional civil liability law. However the calculation of damages for wrongful conception is not easy because the high value of life is included in that case. So many courts opinions in foreign country and Seoul High Court decision in 1996 allow damages for the pregnancy, birthing process and sterilization costs, but refuses to allow damages for child rearing expenses. As to the range of recovery of damages for wrongful conception, one approach says that to allow damages in a suit such as this would mean that the physician would have to pay for the fun, joy and affection which plaintiff will have in the rearing and educating of the plaintiff's baby. To allow such damages would be against the dignity of the baby based on article 10 of the Constitution. However another approach says that damages are recoverable for all expenses related to child birth as well as for child rearing costs. Because the damages that the parents should bear a burden to the tort damage done is not a baby itself but child rearing costs. In other words, although the baby is healthy or not, economic burden of the parents can not be disregard. And denial of compensation for costs of child rearing may invalidate the role of liability law, grant the physician with a exemption certificate of liability. As a result, the medical field of procreation can be easily isolated from a liability of reparation. Therefore, on the liability law like the other medical malpractice action, parents who became pregnant or gave a birth by physician, wrongfully performed sterilization operation, etc. should be compensated for all damages relevant to unplanned and unwanted conception or birth as well as costs of child rearing.

      • KCI등재

        의료계약상 채무불이행과 위자료

        봉영준 대한의료법학회 2013 의료법학 Vol.14 No.2

        In connection to the civil liability of the medical malpractice, plaintiff and courts are solving the medical disputes with theory of the liability based on tort law. because contract law does not enact the right of claim of solatium and a plaintiff’s lawyer and courts hesitate to use contract law. Medical treatment of doctor is main debt in medical contract and its incomplete performance gives rise to the violations of human’s life, body and health. Consequently a breach of medical contract leads to violations of personal rights. These violations spring from liability of contract as well as tort and damages from them are recognized based on medical contract law. A duty of explanation of doctor is a independent and appendant debt to the treatment debt. However its breach provokes violations of human’s life, body and health as well as a right self-determination. Therefore consolation money claim should be recognized. In case of the violation of patient’s life, body and health, patient’s family also can demand consolation money due to the violation of their’s own mental pain. However in case of the violation of only patient’s self-determination without informed concent, they can not demand it by reason of the violation of patient’s self-determination. But by reason of the violation of patient’s life, body and health that were recognized by proximate causal relation between violation of duty of explanation and abd execution, they can do.

      • KCI등재

        모자보건법상 낙태가능결정기간 도입과 부양비 배상 - 우리나라 판례를 중심으로 -

        봉영준 ( Young-jun Bong ) 한국법정책학회 2019 법과 정책연구 Vol.19 No.4

        의료과오로 인하여 건강한 아이가 출생하여 부모가 지출하게 될 부양비에 대하여 ‘손해성’을 부정하였던 원치 않은 임신 소송인 1996년 서울고등법원 판결을 제외하고, 우리나라 대법원은 원치 않은 임신 소송에서는 물론 원치 않은 출산 소송에서 ‘부양비의 손해성’에 대하여 지금까지 그 입장을 밝힌 바 없었다. 또한 부모가 지출하게 될 부양비에 대하여 손해라고 인정하는 것이 아이의 인간의 존엄성을 침해한다고 언급한 적도 없었다. 원치 않은 출산 소송에서 부양비의 손해성에 대하여 법원이 그 입장을 밝히지 않고 있는 것은 원고의 청구가 없었기도 하지만, 다운증후군, 소두증 및 구개열 파열, 윌리암스증후군은 모자보건법 제14조의 낙태적응요건에 해당하지 않기 때문에 임산부의 낙태권을 인정할수 없고 또한 낙태권의 침해가 없다는 이유이었다. 그러나 2019년 4월 간통죄에 대하여 헌법재판소는 헌법불합치 결정을 하였는데, 이 결정이유에서 모자보건법 제14조의 낙태적응요건에서 낙태결정가능기간의 도입을 언급하면서 모자보건법의 개정이 예정된 상황이 발생하였다. 이처럼 모자보건법이 개정되어 낙태결정가능기간이 도입된다면 1973년 낙태결정가능기간을 인정한 미국연방대법원의 Roe v. Wade 판결과 동일한 상황이 이제는 우리나라에서 발생한 것이다. 따라서 우리나라 대법원은 원치 않은 임신 소송과 원치 않은 출산 소송에서 원치 않은 임신·출산의 경우에 낙태권을 인정하여야 하고 ‘부양비의 손해성’ 여부에 대해 적극적인 입장을 표명하여야 할 것이다. 또한 미국의 일부 주, 호주의 일부 주, 프랑스 등의 외국과 같이 원치 않은 아이에 관한 손해배상에 대한 입법적 해결정책도 논의가 필요한 시점이 되었다. Except for the 96Na10449 decision, the decision of the Seoul High Court in 1996, no court decision has still examined and mentioned that the physician who committed a medical malpractice should be responsible for the child support expenses on the ‘wrongful conception case’ and ‘wrongful birth case’ in Korea. In addition, no court has mentioned that the approval of damages for the child support expenses violates the child’s human dignity. The court did not recognize the abortion right of the pregnant woman and found that the defendant did not infringe on the right to abortion, not revealing its position on the loss of support, because plaintiff did not request the loss of support and Down’s syndrome, microcephaly and cleft palate, and Williams syndrome do not fall under the legal abortion requirement under article 14 of the Mother and Child Health Act. However, in March 2019, with the decision of unconstitution on the abortion rule in the Criminal Act, the Constitutional Court issued and mentioned an amendment to the Mother and Child Health Act by referring to the abortion requirement in Article 14 of the Mother and Child Health Act. Therefore if the abortion determination period is introduced in the Mother and Child Health Act, new situation will arise on the field of ‘Unwanted Child Case’ like the era of the Roe v. Wade case in U.S.A. The Supreme Court will have to admit abortion rights in the wrongful conception case and the wrongful birth case and have an active stance on the loss of support.

      • KCI등재

        경구피임약 포장결함에 의한 제약회사의 손해배상책임

        봉영준 ( Young Jun Bong ) 한양대학교 법학연구소 2015 법학논총 Vol.32 No.2

        최근 경구피임약의 배열순서가 잘못된 경우와 정해진 활성제의 숫자가 잘못 들어가는 경우가 발생하여 이를 복용한 여성들이 원치 않은 임신을 하게 된 사례가 발생하였다. 이와 같이원치 않은 임신에 관하여 과거 국내·국외에서 논의되어 왔던 의사-환자 사이의 원치 않은 아이 논쟁이 검토되어 질 수 있는데, 경구피임약 포장에 있어서 잘못이 있다면 제조물의 표시상의 결함에 해당하여 제약회사의 제조물책임이 문제된다. 특히 제조물책임법 제3조 제1항의 제조물의 결함으로 신체손해에 해당하는 것과 관련하여 원치 않은 임신으로 정상아나 장애아를 임신·출산하는 것 그 자체가 여성의 신체 상해가 될 수 있는가가 문제된다. 비교법적으로 이를 신체상해에 해당한다고 보는 입장과 신체상해에 해당하지 않는 입장이 나뉘고 있는데, 원치 않은 임신은 여성의 생리적 기능을 훼손할 뿐만 아니라, 임신 자체가 아름답고 여성으로서 겪어야 할 자연적인 것이라고 할 수 없으므로 신체상해성을 인정하여야 할 것이다. 또한 제약회사의 경구피임약 포장결함에 의하여 정상아 또는 장애아를 출산한 경우 그 결함과 아이의 부양비의 손해 발생과의 인과관계가 문제되는데, 경구피임약의 제조회사도 제품 결함에 의한 소비자의 임신을 야기하여 통상 부양비의 손해가 발생하였다면 그것이 원고에게 직접적이고 근원적으로 야기된 손해라고 볼 수 있다. 그리고 제약회사의 경구피임약 결함으로 소비자의 장애아 임신·출산이 있는 경우는 언제라도 제품 결함이 있는 경우 제약회사는 장애아 의 임신을 야기할 수 있다는 것을 충분히 예견할 수 있었을 것이고, 소비자가 경구피임약을 복용한 것은 소비자가 장애아의 양육을 위하여 필요한 추가비용만을 회피하려고 하는 것이 아니며, 장애아가 있는 자녀 자체를 출산하지 않으려고 복용한 것이므로 추가양육비에 대하여도 제약회사는 책임을 부담하여야 할 것이다. 결국 경구피임약 포장결함에 의한 제약회사의 부양비 손해배상책임은 의사의 의료행위상 과오에 의한 원치 않은 임신·출산과 차이가 없다고 볼 것이다. Even in the case of unwanted pregnancy to defects of oral contraceptives, as well as litigation by medical malpractice, Court should admit the compensation of the child rearing expenses. Pregnancy itself is not a natural step although a woman want it or not. Because p unwanted pregnancy gives changes and pain to the body of woman and causes interference to the body integrity. Therefore it is possible to claim for the mental and property damages and relatives, for example her husband, can claim mental damages on the basis of Arthicle 752 of the Civil Code. In addition plaintiff can claim accident compensation to the insurance company. Pharmaceutical company should pay for the child rearing expenses in case wrongful conception and wrongful birth caused by defects of birth control pill. As for the cause and effect relationship between fault and damages, pharmaceutical company’s liability in packaging defects of birth control pill is same like the liability of doctor that fails to operate properly sterlization, diagnosis of pregnancy, diagnose hereditary problems, and abortion. In case chlild rearing expenses for wrongful conception and wrongful birth is admitted, I think the compensation should be based on the table of the child rearing expenses calculation by Seoul Family Court.

      • KCI등재

        일반연구논문 ; 저작권법상 법정손해배상의 법적 성질

        봉영준 ( Young Jun Bong ) 한국법정책학회 2014 법과 정책연구 Vol.14 No.4

        미국 저작권법의 법정손해배상은 처음에는 과도한 손해배상을 제한하거나, 실손해의 증명이 곤란한 경우를 위해서 인정된 제도였다. 그러나 1909년 개정 저작권법 이후로 많은 법원에서 법정손해배상의 기능을 예방 및 처벌이라고 판시하여 왔었다. 또한 1976년 개정 저작권법에서의 변화, Bern 협약에 따른 개정 및 디지털 도난 방지법에 따른 법정손해배상액의 증가는 명백히 징벌적인 성격으로 보는데 중요한 계기가 되었다.한미 FTA의 이행으로서 우리나라에 저작권법에 새롭게 도입된 법정손해배상은 ‘영리 목적의 고의’의 규정, 실손해의 증명이 가능함에도 당사자의 법정손해배상의 선택권 인정, 미국 실무에서의 징벌적 손해배상의 성격, 한미 FTA 규정상 예방기능의 규정을 근거로 징벌적 손해배상의 성격으로 해석할 수 있다. 반면에 하한 규정을 도입하지 않은 점, 미국과 우리나라에서 실손해 증명이 곤란해서 법정손해배상을 인정하였다는 입법 이유는 전보적 손해배상의 성격으로 해석할 수 있는 근거가 된다.전보적 손해배상체계를 취하고 있는 우리나라 현실에서 법정손해배상이 이질적인 성격을 갖고 있다고 하여 배척하지 말고, 변화된 제도의 도입에 따라 외국재판 등의 승인, 법원에서의 법정손해배상액의 결정 요소 등 그 운용 방법을 정책적으로 고려하여야 할 것이다. Looking at the history of U.S.A. Copyright Act, Statutory damages were to the minimum compensation to copyright holders because of the difficulty of estimating actual damage and were to limit the excessive damages by multiplying copied work and simple arithmetical calculation together. However from the 1976 Copyright Act, the court has considered the preventive and punitive function in no uncertain terms and statutory damages in art. 504(c) were away from the actual damages or compensatory damage by differently providing willfully and innocent infringement. It is clear that statutory damages in Korean Copyright Act, introduced form U.S.A., have punitive elements which are the provision of “intention for the aim of profit”, permission of it in spite of the proof of actual damages or profit, the position of case law, and the provision of prevention in KOR-U.S.A. FTA art. 18.10(6). However because there are compensative damages characters, based on no adoption of the lower limit, historically compensative damages characters, I can not affirm that statutory damages are punitive. We should not regard statutory damages, newly introduced in korean law system, as a different in kind and exclude it owing to the danger to use for interests of the United States. We have to well use it, considering the purpose of introduction and legal character of it.

      • KCI등재

        법정손해배상의 법적 성질

        봉영준(Bong Young Jun) 한국재산법학회 2016 재산법연구 Vol.33 No.2

        최근 우리나라에 (협의의)법정손해배상과 3배 배상규정이 도입 및 신설되었다. (협의의)법정손해배상의 용어를 사용하고 있는 것은 저작권법, 상표법, 정보통신망법, 신용보호법, 개인정보보호법 5개이며, 3배 배상을 규정하고 있는 것은 하도급법, 정보통신망법, 신용보호법, 개인정보보호법 4개이다. (광의의)법정손해배상이란 손해액을 법률의 규정으로 정한 것을 말하는데, 협의의 법정손해배상에 배액배상액을 포함하는 것을 말한다. (광의의)법정손해배상에는 배상액의 상한과 하한을 규정하는 방식과 침해물마다 1,000만원과 같이 특정법정배상의 방식, 그리고 실손해의 2배, 3배, 4배와 같은 법정배액배상의 방식이 있다. 이 중에서 3배 배상의 규정은 실손해의 3배까지 배상액을 인정하는 것이므로 그 법적 성질은 징벌적 성격이다. 반면에 상한규정을 두고 있는 5개의 법률 규정(협의의 법정손해배상규정)은 그 실손해의 입증곤란을 이유로 하고 과도한 배상액을 제한하기 위하여 규정된 것이므로 그 법적 성질은 전보적 손해배상이다. 다만 저작권법상 상한규정은 미국저작권법이 징벌적 성질로 보고 있다는 점, 영리를 목적으로 고의’의 경우 배상액의 증액을 인정하고 있다는 점, 실손해의 입증이 가능한 경우에도 법정손해배상을 인정할 수 있다는 규정 등으로 보아 징벌적 손해배상이라고 해석하여야 할 것이다. 만약 우리나라에 규정된 (광의의)법정손해배상의 그 법적 성질이 징벌적 손해배상이라면 민사소송법 제217조의 2의 외국재판의 승인이 인정될 수 있다. 결국 3배 배상제도를 인정하고 있는 하도급법과 개인정보관련 3개 법률은 당연히 외국재판의 승인이 인정될 것이고, 이는 개인정보보호관련 3개 법률상의 (협의의)법정손해배상이 전보적 성질이라도 해당 법률이 3배 배상제도를 규정하고 있기 때문에 외국재판의 승인이 인정될 것이다. 반면에 저작권법은 3배 배상제도를 규정하고 있지 않고 (협의의)법정손해배상만을 규정하고 있기는 하지만, 그 (협의의)법정손해배상의 성질은 해석상 징벌적 성질을 띄고 있으므로 외국재판의 승인을 인정하여야 할 것이다. Treble damages was first introduced to Fair Transactions in Subcontracting Act in 2011. After that statutory damages has been enacted in Copyright Act and Trademark Act. In addition National Assembly enacted treble damages and statutory damages in the 3 laws in connection with 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 Act on Promotion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Network Utilization and Information Protection, Etc., 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 Act, Credit Information Use and Protection Act. Statutory damages has three types, the statutory damages of the type of the upper and lower limits, statutory multiple damages, specific statutory damages. Therefore statutory multiple damages like double treble damages etc. should not be excluded from statutory damages. Treble damages ruled in 4 acts are punitive in nature. But the statutory damages of the type of the upper and lower limits ruled are basically compensative in nature. The reason is that the statutory damages was enacted because it is difficult to prove actual damages. However the statutory damages in Copyright Act is punitive in nature, because of the statute of ‘intentionally infringing rights for profit’ and the recognition of statutory damages in lieu of the actual amount of damages etc. As to the effect of foreign judgment in Civil Procedure Act, whether the effect is accepted or not is based on the legal natur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