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사회윤리와 정당화사유 - 정당화사유의 체계적 이해와 그 적용에 관하여 -

        변종필 ( Byun Jong-pil ) 한국비교형사법학회 2020 비교형사법연구 Vol.21 No.4

        우리 형법에는 가령 성풍속에 관한 죄, 도박과 복표에 관한 죄, 신앙과 사체에 관한 죄 등 사회윤리와 매우 친화적인 죄형법규들이 존재한다. 또한, 사회상규, 책임에서의 비난가능성, 신의칙 등 형법이 사회윤리나 도덕과 연계된 듯한 표지들도 나타난다. 하지만 이러한 예시들이 사회윤리가 곧바로 형법의 포괄적인 (정당화)원리나 근거로 작동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은 결코 아니다. 왜냐하면 형법은 사회윤리를 보호하는 규범체계가 아니라 사회유해적인 법익위해행위로부터 사회 일반의 법익을 보충적으로 보호하는 것을 그 임무로 하는 규범체계이기 때문이다. 그런데 우리 형법상 위와 같은 사회윤리가 체계 전반에 걸쳐 명시적인 정당화근거 혹은 판단근거로 활용되고 있는 대표적인 영역이 있는데, 바로 위법성조각사유가 그것이다. 이 글에서는 이러한 경향 및 그와 관련된 언어사용법이 과연 적절한 것인가 하는 물음에 답해보고자 하였다. 먼저, 사회윤리와 밀접한 연관성을 지닌 형법 제20조 정당행위 규정을 토대로 관련 논의를 비판적으로 살펴보고(Ⅱ), 그런 다음 사회윤리가 그 밖의 개별적 정당화사유와는 어떤 관련성을 띠고 있는지를 다루었다. 여기서는 그러한 연관성을 집약적으로 보여주는 논의로서 정당방위 등 개별적 정당화사유의 ‘사회윤리적제한’에 관한 논의를 중점적으로 살펴보았다(Ⅲ). 그리고 끝으로, 본문에서 비판적으로 검토한 내용을 요약·제시하였다(Ⅳ). 요컨대, 필자는 이상의 논의를 통해 형법상 모든 위법성조각사유의 최종적 근거를 (현재의 다수설과 판례가 전제하고 있듯이) 이원적 관점에서 파악할 것이 아니라 ‘법질서 전체의 정신과 취지’라는 일원적 관점에서 이해하고, 개별적 위법성조각사유의 상호관계 역시 그에 따라 재정립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주장하였다. The area of justifications in criminal law is the typical one in which social ethics is used as explicit basis to justify some interpretation or thought of interpreters. Is the attitude like this appropriate by the way? This paper is the attempt to answer that question. And its contents are as follows. First, the author examines discussion state regarding the article 20 of the Criminal Law which seems to be closely connected with social ethics (because that regulation contains the concept of social rule which has very similar character with social ethics). Second, is here treated the problem which relation social ethics has with the other justifications such as self-defense, emergency evacuation etc.. In this is especially examined the issue of restriction on social ethics in regard to each justification. Because that issue shows intensively that justifications and social ethics have a very intimate connection. Finally, this paper summarizes and proposes the core contents derived from the above discussion. In short, it is as follows that the author shows through the discussion above. Namely, it is not proper that the final basis of justifications in criminal law be understood under the dualized perspective(either the spirit of the whole legal order or the social ethics lying behind it), as is so in the present by the majority of criminal law scholars and the judicial precedents of Supreme Court, but proper that it should be understood under the one and same, that is ‘the spirit of the whole legal order’ and that all justifications and their relation be also established based on such an understanding.

      • KCI등재후보

        법규칙과 법원리 구별의 유용성과 한계

        변종필(Byun, Jong-Pil) 강원대학교 비교법학연구소 2011 江原法學 Vol.34 No.-

        This paper is about the utility of distinguishing principles of law from rules of law and its limits. Especially, it treats legal theories of Dworkin and Alexy, which are related to the standards of distinguishing between legal rules and legal principles. And it treats three models of legal system which can be appeared from the result of critical look-over about such discussions. According to Dworkin, legal rules and legal principles are logically and structurally distinctive in that the former has all-or-nothing-character on the one hand and the latter has dimension of weight or importance on the other hand. According to Alexy, both are distinguished in that whereas principles are optimal orders, rules are definite ones. Such distinctions are useful in understanding what law is and which norms legal system includes. Furthermore, the theory of principles is practically very meaningful in that it provides the judge with a clue to make a decision in hard case. When man acknowledges the usefulness of distinguishing principles from rules, legal system is apt to be understood as rule-principle model or rule-principle-process model. These models are the ones which understand law under the viewpoint of practical rationality. By the way, I think rule-principle-process model is more proper than rule-principle one in that the former includes a series of forms and standards for rational argumentations. Their legal theories can be very available foundations to understand, search and analyse our legal system and its problems.

      • KCI등재
      • KCI등재

        위험사회, 위험 그리고 형법의 대응 -국내의 논의 현황과 동향을 중심으로-

        변종필 ( Jong Pil Byun ) 한국비교형사법학회 2012 비교형사법연구 Vol.14 No.2

        This paper treats what roll criminal law has to carry out in modern society named risk-society. I examined here the existing debates critically. First, I referred to the concept of risk-society and the risks, which occur routinely in risk-society and their characteristics. Second, I searched the justificatory mechanisms of so-called risk-criminal law and indicated their problems in the respect of criminal law theory. Third, I researched some responses of criminal law to cope with the risks in risk-society. Finally, I mentioned the task and roll of criminal law in modern society. My opinion is that future of criminal law is very unclear, therefore it is desirable to review implications of traditional principles of criminal law and to deliberate the justificatory ground of criminal law in such a situation, and to find new ascribing standards of responsibility for actions in danger of violating legal interests at the same time.

      • KCI등재

        정신질환자 격리강박과 강제입원에 대한 감금, 감금치사죄의 성부 - 광주고법 2013.10.15. 선고 2013노112 판결을 대상으로 -

        변종필 ( Jong Pil Byun ) 한국비교형사법학회 2016 비교형사법연구 Vol.18 No.1

        이 논문은 하급심 판례(광주고법 2013.10.15. 선고 2013노112 판결)를 대상으로 평석한 글이다. 대상판례는 동일한 피고인과 관련된 두 가지 사례와 쟁점을 다루고 있다. 하나는 정신병원 격리실에 격리·강박된 환자가 간호사등의 관리소홀 등으로 사망한 사례로서 이 경우 담당의사 등에게 감금치사죄가 성립하는가 하는 것이고, 다른 하나는 입원절차상의 하자가 있는 상태에서, 즉 보호의무자의 동의가 없는 상태에서 환자가 강제 입원된 경우 담당의사에게 (공동)감금죄가 성립하는가 하는 것이다. 정신병원에의 강제입원과 그로 인한 부작용이 사회적으로 끊임없이 문제되고 있는 상황에서 대상판례는 하급심판결로서, 아직 대법원의 판단을 남겨두고 있긴 하지만, 우리 사회의 고질적인 병폐의 한 단면과 관련된 형법적 판단을 다루고 있다는 점에서 자세히 살펴 고찰해 볼 필요가 있다고 본다. 이러한 문제의식에 입각하여 이글에서는 대상판례에 나타난 쟁점을 중심으로 법원의 판단이 적절한 것이었는지 여부를 비판적으로 살펴보았다. 감금죄, 감금치사죄 등에 관한 기본적인 법리 이해를 토대로 하여 법리적 측면에서 해당 법원의 판단의 적절성뿐만 아니라 필요한 경우에는 법적 판단의 전제가 되는 사실인정 부분에 관해서도 필자의 소견을 피력하였으며, 사례와 쟁점에 대한 형법적 평가의 적절한 방향을 요약하여 결론으로 제시하였다. This paper treats legal judgments of lower criminal court about two cases, one of which is that the patient isolated into an isolation ward of mental hospital and compelled led up to death through lack of proper management of relevant nurses, and the other is that the patients were admitted to mental hospital in the lack of proper hospitalization process, namely involuntarily without consent of legal guardians. In former case the issue is whether the doctor in charge who directed nurses to isolate and compel the patient is responsible for confinement and his death caused by the isolation-compulsion. And in latter the issue is that the doctor who engaged in the involuntary admission of the patients is liable for confinement. In this research I examined critically the judgments of relevant court about these issues and suggested appropriate direction of solution.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