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경부의 종물로 발견된 결절성 근막염 1예

        변영석,임성직,이영찬 대한이비인후과학회 부산,울산,경남 지부회 2015 임상이비인후과 Vol.26 No.2

        Nodular fasciitis is a benign proliferative fibroblastic lesion that was unknown of etiology. It is easily seemed like sarcoma and is misdiagnosed of malignancy. The patient clinically present with pain and swelling. Nodular fasciitis mainly present aggressive growing, movable, solitary subcutaneous lesion of extremities and trunks in young adults. Nodular fasciitis of the head and neck region is 10-20% in overall and mainly in infants and children, rare in adults. We report the case of a 51-year-old woman who had lobulating mass in right cervical region. Computed tomography (CT) showed focal infiltrating marginated, multilobular, heterogenous enhancing solid mass (5.0×4.5×5.0 cm) at right upper anterior neck space. And biopsy was reported uniform spindle cells in the collagenous stroma with scattered extravasated red blood cells and focal loosely textured area of stroma. Surgical excision was done. At follow up, no other complications or recurrence were observed. Thus we present the case and a review of the literature.

      • KCI등재

        현저한 지리적 명칭과 대학교로 된 결합상표의 식별력 판단기준에 관한 소고

        변영석,박재원 한국지식재산연구원 2019 지식재산연구 Vol.14 No.1

        In principle, the trademark composed of a conspicuous geographical name and a word ‘university’ is considered as a mark having no distinctiveness. However, the Supreme Court recognized that ‘Kyungnam University’ and ‘Kyonggi University’ had acquired the distinctiveness by its use in the field of the service related to education. In this regard, it is interesting that the Supreme Court decided on this topic recently although this decision leaves room for doubts whether it was reasonable under our trademark law. Thus, in this report, we will review the tendance of related precedents and also try to find a appropriate way for a similar cases in near future. Whether to acquiring the distinctiveness of a trademark as mentioned above in their unique service, It will be reasonable to see that the applicable provision of the previous Trademark Act is not the article 6(1) but the article 6(2). And the distinctiveness by its use should be judged by each designated goods based on the criteria already presented by Supreme Court cases. Such limited interpretation is need to avoid a confusion on the current Trademark system. In general, the trademark composed of a conspicuous geographical name and a word ‘university’ relating to their proper service such as service of university education, service of teaching, etc. has been built their social confidence and awareness by using for long periods. So, consumers recognized this trademark as a certain university. Hence it is appropriate to judge that such trademark has acquired the distinctiveness in the field of unique services of the university. However, it seems that the court’s precedents do not show the consistency on this matter. 원칙적으로 ‘현저한 지리적 명칭’과 ‘대학교’로 구성된 결합상표는 식별력이 없으나, 예외적으로 ‘경남대학교’와 ‘경기대학교’는 사용에 의한 식별력을인정받았다. 그러나 최근 대법원에서 ‘현저한 지리적 명칭’과 ‘대학교’로 구성된 결합상표의 식별력과 관련하여 전원합의체 판결이 나와 주목을 끈다. 이판례가 우리 상표법 체계에서 타당한 것인지 의문이다. 따라서 식별력 판단에 관한 일반적 기준과 ‘현저한 지리적 명칭’과 ‘대학교’로 구성된 결합상표와관련하여 나왔던 최근 대법원 판례들의 동향을 살펴보았다. 현저한 지리적 명칭과 대학교로 결합된 표장에 대한 식별력 인정여부는대학 고유의 업무와 관련하여서는 구상표법 제6조 제1항이 아니라 제6조 제2항에 따라서 판단하는 것이 현 상표법 체계에서는 가장 타당해 보인다. 그리고 사용에 의한 식별력 인정은 대법원 판례에 따라 지정상품마다 개별· 구체적으로 판단하여야 할 것이다. 이처럼 현행법 하에서는 제한적으로 해석하는 것이 기존 상표제도의 혼란을 방지하기 위해서도 필요하다고 본다. 왜냐하면, 현저한 지리적 명칭과 대학교로 구성된 결합표장은 대학교 고유의 속성인 대학교육업, 교수업 등과 관련하여 오랜 기간 사용을 통하여 일반수요자들에게 사회적인 신뢰와 인지도를 쌓아온 것이고, 이를 기반으로 일반 수요자들이 특정 대학으로 인식하기에 식별력이 있는 것으로 봄이 타당할 것이기 때문이다. 그러나 아직 현저한 지리적 명칭과 대학교로 된 결합상표에 대한 법원의 판례는 일관성이라는 측면에서 여전히 숙제를 남겨 놓고있다.

      • KCI등재

        Characteristics of Patients with Hearing Aids according to the Degree and Pattern of Hearing Loss

        변영석,김성수,박상현,박은빈,김호중,김상훈,여승근 대한청각학회 2016 Journal of Audiology & Otology Vol.20 No.3

        Background and Objectives: This study was designed to assess the characteristics of patients according to the degree and audiogram shape of hearing loss and the association of these characteristics with hearing aids (HA) choice, return rate, and cause of return. Subjects and Methods: This study included 460 individuals who received HAs from 2011 to 2015. The relationships between type of HA and age, primary and accompanying symptoms, HA choice and return and cause of return were evaluated according to the degree and pattern of hearing loss. Results: HA type did not differ significantly according to the degree and pattern of hearing loss. Intensity of hearing loss was greater in male than in female (p<0.05). Open and completely-in-canal types of HA decreased with age (p<0.05). As degree of hearing loss intensified, behind-the-ear and in-the-ear types increased and Open type decreased (p<0.05). The HA return rate was 9.7%, but was not associated with degree or pattern of hearing loss. The main causes of HA return were costs, psychological fears and adaptive failure. Conclusions: Choice of HA is affected by age, sex, and degree and pattern of hearing loss. HA for hearing rehabilitation in patients with hearing loss can be personalized according to each patient's characteristics and tendencies.

      • KCI등재

        인터넷상 상표 사용의 다양화로 인한 분쟁과 해결방안

        변영석 ( Pyun Young Sug ),박재원 ( Park Jae Won ) 중앙대학교 법학연구원 문화미디어엔터테인먼트법연구소 2021 문화.미디어.엔터테인먼트 법 Vol.15 No.2

        상표의 사용은 상표를 상품 또는 상품의 포장에 표시하여 상업상 거래에 유통케 하는 경우를 말한다. 그러나 디지털 혁신으로 경제활동이 다양해지면서 현재의 규정으로 여러 유형의 상표 사용을 포괄할 수 있는지는 의구심이 든다. 특히, 인터넷 상에서 도메인 이름과 상표와의 분쟁, 키워드 검색광고와 상표와의 분쟁들은 기존 상표법 규정만으로는 해결하기에는 한계가 있다. 특히, 도메인 이름과 상표와의 분쟁을 신속히 해결하기 위하여 새로운 분쟁해결절차가 국내외적으로 마련되어 적용되고 있다. 또한, 4차 산업혁명 및 COVID-19에 따른 비대면 추세 가속화로 더욱 더 다양한 상표 사용의 유형이 나타나고 있다. 특히, 메타버스의 등장으로 온라인플랫폼 등과 같은 가상공간에서 디지털 상품 및 서비스의 거래는 전통적인 상표 사용행위와는 다르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디지털 시대의 새로운 상품 거래유형를 반영하고, 상표침해 등 관련 분쟁에 적절히 대응하기 위해서는 상표 사용행위의 개념적 확대가 필요하다고 보인다. 국내에서는 이와 관련된 상표법개정안이 최근 국회에서 논의를 시작하여 지속적인 관심을 가질 필요가 있다. 끝으로, 이와 관련된 바람직한 국제규범 정립을 위하여 세계지식재산권기구(WIPO) 주도 하에 심도 있는 국제적 논의를 진행하는 것도 필요하다. Generally, the use of trademark refers to being utilized for commercial transactions by indication it on goods or packaging of goods. In 2016, the Trademark Act was amended to regulate the use of trademarks on the Internet. However, as digital revolution made economic activities diversify, it is questionable whether the current provisons of the Trademark Act are able to cover the various types of the trademark use. In particular, it seems that current provisions of Trademark Act are insufficient to resolve disputes between domain names and trademarks, and between keyword search advertising and trademarks. In addition, with the acceleration of the non-face-to-face trend due to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and Covid 19, more and more various types of trademark use are appearing. With the advent of Metaverse, it can be said that the transaction of digital goods and services in a virtual space such as an online platform is different from the traditional use of trademarks. Therefore, in order to reflect the new types of goods transaction in the digital era and to properly respond to related disputes such as trademark infringement, it seems necessary to expand the concept of trademark use. Finally, it is needed to start in-depth international discussions under the presiding of the World Intellectual Property Organization in order to establish desirable international norms in this regard.

      • KCI등재

        유럽 디자인보호규정상의 수리조항(Repair Clause) 고찰 및 우리 디자인보호법으로 도입가능성 검토

        변영석 ( Pyun Young Sug ),박재원 ( Jaewon Park ) 중앙대학교 문화미디어엔터테인먼트법연구소 2019 문화.미디어.엔터테인먼트 법 Vol.13 No.2

        디자인권자는 정하여진 등록디자인의 보호범위 안에서 실시할 권리를 독점한다. 하지만 자동차 등 복합물품의 부품에 대해서는 사실상 물품의 독점, 시장의 독점으로 나타나는 특수성으로 인하여 일정한 물품의 경우에는 시장가격의 안정, 소비자 보호 등의 이유로 권리자의 독점을 제한하여야 한다는 주장이 있다. 최초 외형을 복원하기 위한 수리목적으로 대체부품을 사용하는 것은 비록 디자인권이 등록되어 있더라도 그 권리자가 디자인권 침해를 주장하지 못한다는 의미이다. 최근 유럽공동체법원이 공동체 디자인규정에 규정되어 있는 소위 ‘수리조항’과 관련하여 판결을 하였는데, 자동차 대체부품 관련하여 적용기준을 판결에서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검토할 가치가 있다. 자동차 휠림이 수리조항이 적용되는지 여부가 쟁점인 판결에서 유럽공동체법원은 수리조항의 적용범위를 넓게 해석하였다. 특히, 우리나라에서도 자동차 대체부품의 디자인권을 제한하는 법안이 발의되는 등 디자인권을 제한하자는 주장이 최근에 제기되고 있는 현실에서, 수리조항이 이에 대한 하나의 대안으로서 의미가 있는지 검토해 볼 필요도 있어 보인다. 우리나라의 경우 수리조항을 도입하려면 디자인 권의 존속기간 단축처럼 디자인보호법을 개정하여야 할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수리조항의 도입은 우리나라 자동차 산업구조의 특수성, 부품시장 현황 등을 고려하여 결정되어야 할 것이다. The owner of a design right is able to monopoly the right for exploiting in the scope of protection of the registered design given by the law. However, someone argues that the right of exclusive exploitation on the industrial design right should be restrained in case of the complex product such as a piece of vehicle which has special feature like the monopolization de facto or the monopoly of market. This means that the holder could not claim the infringement on his industrial design against the other when he uses a piece of replacement for the purpose of the repair so as to restore its original appearance. Recently, the CJEU(Court of Justice of European Union) made a decision related to so-called ‘repair clause’ prescribed in EU design regulation. It is worth reviewing the ruling in that the Court had presented the criteria of application on the piece of replacement for vehicle. In particular, the study on whether introduction of ‘repair clause’ will be an alternative or not in our country will be an opportune review in considering that the bills for restricting the industrial design right on replacement parts for vehicle had been proposed at the National Assembly. The legislative work to amend the Industrial Design Protection Act will be necessary to introduce the repair clause. In fact, the necessity of the repair clause in our country should be decided in consideration of the special nature of industrial structure and the present situation on the market of spare parts in the automobile industr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