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빅데이터 분석을 활용한 제5차 산림기본계획 주요 사업에 대한 평가

        변승연,구자춘,석현덕,Byun, Seung-Yeon,Koo, Ja-Choon,Seok, Hyun-Deok 한국산림과학회 2017 한국산림과학회지 Vol.106 No.3

        제5차 산림기본계획은 2008년부터 2017년까지의 10년 단위 계획으로, 2013년에 대외환경 변화 등의 이유로 변경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산림기본계획에 대한 거시적 평가를 위해 빅데이터 분석을 활용하여 연도별 정책 수요와 공급의 간극을 파악하였다. 정책수요 부분은 당해 연도의 뉴스, SNS 등에서 언급된 사업과 관련된 키워드(명사 기준)를 기준으로 하고, 정책 공급 부문은 산림청이 발행한 문서를 기준으로 하여 비정형 데이터를 수집하였다. 수집한 자료는 사회연결망 분석(social network analysis)을 활용하여 네트워크 구조를 특정하고, 수요 측면의 네트워크와 공급 측면의 네트워크를 비교하여 산림청 정책 수요와 공급의 간극을 확인한다. 분석 결과, 공급부문의 네트워크 구조는 수요 부문보다 방사형이 약한 것으로 나타나 산림 이외에 다양한 주제어가 네트워크에서 상당한 영향력을 행사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또한 27대 대표사업들을 대응한 33개 주제어에 대해 수요부문과 공급부문의 기울기를 비교한 결과, 수요는 증가하지만 공급이 감소하는 주제어의 개수는 7개로 지속가능, 산림경영, 산림생물, 산림보호, 산림병해충, 도시숲, 북한이 해당되었다. 이들 주제어는 수요와 공급의 간극이 확인된 만큼, 제6차 기본계획에서는 이들 주제어에 대한 공급 강화가 필요하며, 자유게시판 분석을 통하여 신규 임업인에 대한 정보 제공 및 교육 강화도 포함되어야 할 것으로 나타났다. In This study, we examined the gap between supply and demand of forest policy by year through big data analysis for macroscopic evaluation of the 5th Basic Forest Plan. We collected unstructured data based on keywords related to the projects mentioned in the news, SNS and so on in the relevant year for the policy demand side; and based on the documents published by the Korea Forest Service for the policy supply side. based on the collected data, we specified the network structure through the social network analysis technique, and identified the gap between supply and demand of the Korea Forest Service's policies by comparing the network of the demand side and that of the supply side. The results of big data analysis indicated that the network of the supply side is less radial than that of the demand side, implying that various keywords other than forest could considerably influence on the network. Also we compared the trends of supply and demand for 33 keywords related to 27 major projects. The results showed that 7 keywords shows increasing demand but decreasing supply: sustainable, forest management, forest biota, forest protection, forest disease and pest, urban forest, and North Korea. Since the supply-demand gap is confirmed for the 7 keywords, it is necessary to strengthen the forest policy regarding the 7 keywords in the 6th Basic Plan.

      • KCI등재

        제5차 산림기본계획 주요 사업에 대한 정성적 평가

        변승연 ( Seung-yeon Byun ),구자춘 ( Ja-choon Koo ),석현덕 ( Hyun-deok Seok ) 한국산림경제학회 2017 산림경제연구 Vol.24 No.1

        산림기본계획은 「산림기본법」 제 11 조(산림기본계획의 수립 · 시행)에 의해 장기 전망을 기초로 하여 지속가능한 산림경영이 이루어지도록 전국의 산림을 대상으로 실시하는 중앙 정부차원의 계획이다. 현재 제5차 산림기본계획 (2008-2017) 이 추진 중에 있으며, 2018년 제6차 산림기본계획 수립을 앞에 두고 있다. 제6차 산림기본계획을 수립하기 위해서는 제5차 산림기본계획 (`08-`17) 및 변경된 제5차 산림기본계획 (`13-17 `)의 추진 성과 및 한계에 대한 총괄적이고 실정적인 평가가 반드시 필요하며, 이를 통해 제5차 산림기본계획의 성과와 한계를 고려할 뿐만 아니라 제6차 산림기본계획에도 그 결과를 반영해야 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제5차 산림기본계획 27대 사업에 대한 평가를 위해 사업별 실제 담당자를 대상으로 심층 인터뷰를 실시하였고, 결과에 대해 시스템 분석을 실시하여 사업별 문제점을 도출하였다. 그리고 27개 사업의 연관 관계를 분석하여 산림 정책 공급 시스템을 구축한 뒤, 시스템에 대한 고찰을 바탕으로 산림 정책의 효율성을 제고하기 위한 방향, 즉 제6차 산림기본계획의 방향을 제시한다. Korea`s central government has formulated basic forest plans for nationwide forests for sustainable forest management based on the long-term outlook. Currently, the 5th Basic Forest Plan (2008-2017) is being implemented, and the 6th Basic Forest Plan will be established in 2018. To set up the 6th plan, it is necessary to comprehensively and empirically assess the performance and limitations of the 5th plan`s implementation, and the 6th plan should reflect the evaluation outcomes. Therefore, this study conducted in-depth interviews with the people in charge of 27 projects of the 5th plan to evaluate the projects, carried out system analysis of the results, and derived the problems of each project. Also, we established a forest policy supply system by analyzing the correlation among the 27 projects, and presented the direction for the 6th Basic Forest Plan based on consideration of the system.

      • KCI등재

        단기소득 임산물의 주산지 집적도에 관한 연구

        변승연 ( Seung Yeon Byun ),구자춘 ( Ja-choon Koo ) 한국산림과학회(구 한국임학회) 2021 한국산림과학회지 Vol.110 No.1

        본 연구는 단기소득 임산물 주산지의 공간적 특성을 밝히기 위해 마련되었다. 산림청의 임산물생산조사 결과 중시군구의 품목별 생산량을 기준으로 Moran's I 방법을 활용하여 주산지의 공간적 집적도와 그 변화를 규명하였다. 연구 결과, 단기소득 임산물의 45%의 주산지가 공간적으로 유의미하게 군집화되어 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5대 주요 단기소득임산물의 경우, 지난 10년간 주산지가 확대되었으며, 군집화 정도도 강화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는 특정 임산물산지종합유통센터 위치와 규모 확정 등 임산물 지원 정책에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The aim of the study was to analyze the spatial characteristics of the main producing areas of nontimber forest products. We analyzed the spatial aggregations of the main producing area and their changes using the Moran's I index. We found that 45% of nontimber forest products were significanty spatially clustered. Additionally, in five major products, we observed that the main producing area has expanded and the degree of aggregation has also strengthened over the last ten years.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effectively used for forest policies, such as determining the location and size of the distribution centers of specific forest produc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