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제주 성읍민속마을의 귀화식물 분포현황 및 관리방안

        노재현 ( Rho Jae Hyun ),오현경 ( Oh Hyun Kyung ),한윤희 ( Han Yun Hee ),최영현 ( Choi Yung Hyun ),변무섭 ( Byun Mu Sup ),김영숙 ( Kim Young Suk ),이원호 ( Lee Won Ho ) 한국전통조경학회 2014 한국전통조경학회지 Vol.32 No.1

        제주시 성읍민속마을을 대상으로 관속식물상 및 귀화식물의 현황을 조사하고, 여타 민속마을과 제주도 전역에 분포하는 귀화식물의 분포양상 및 발생특성과 비교 고찰함으로써 이곳의 귀화식물의 관리방안을 모색할 목적으로 시도된 본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성읍민속마을의 관속식물상은 93과 260속 298종 44변종 12품종으로 총 354분류군이 확인되었으며, 이 중 귀화식물은 22과 46속 53종 2변종의 총 55분류군으로 이는 제주도 전역에서 확인된 총 254분류군의 21.7%에 해당된다. 이에 따른 성읍민속마을 의 귀화율은 15.5%로서 이는 경북 안동의 하회마을, 경주의 양동마을, 성주의 한개마을, 강원 고성의 왕곡마을 그리고 충남 아산의 외암마을에 비해 월등히 높은 수치였다. 마을내 발생한 귀화식물 중 분포지가 제주도에 한정되어 있는 것은 양장구채, 국화잎아욱, 애기달맞이꽃, 긴잎달맞이꽃, 솔잎미나리, 자주풀솜나물, 선풀솜나물, 큰참새피, 등심붓꽃 등 9분류군으로, 귀화식물의 이입 관문이자 선구 발생지로서의 특성을 살린 적절한 관리전략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된다. 한편 본 연구를 통해 제주도 기준목록에는 포함되지 않았던 까락빕새귀 리, 삼, 눈개불알풀 등 3분류군이 성읍민속마을에서 처음으로 확인되었다. 단위문화재 정원내 발생한 귀화식물은 총 20분류군으로 이 중 유럽점나도나물의 출현율이 62.5%로 가장 높았으며, 미국자리공·선개불알풀·망초·방가지똥·큰방가지똥(37.5%)도 비교적 높게 나타났는데 이는 제주도뿐만 아니라 대부분의 민속마을과 레크레 이션공간의 공통된 특성으로 보인다. 한편 경관관리적 취급이 요망되는 식물군락은 유채를 비롯하여 귀화식물인 코스모스, 토끼풀, 잔개자리, 긴잎달맞이꽃, 애기달맞이꽃, 서양벌노랑이, 호밀풀, 양장구채, 서양금혼초, 미국질경이, 큰이삭풀, 유럽점나도나물 등으로 분석되었다. 성읍민속마을의 단기적 귀화식물 관리방안으로는 경관농업적 차원에서 식재되고 있는 코스모스와 유채의 임내 침투 현황과 개화 후 활용 방안의 모색이 필요하다. 환경부가 지정한 생태계교란야생식물인 돼지풀과 서양금혼초는 우선적으로 제거하고, 재발에 대비한 추가 발생과 확산과 팽창을 염두에 둔 모니터링의 실시를 제안한다. 특히 서양금혼초는 서식밀도 파악 및 제근 등 물리적인 방제방안이 강구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시각적으로 녹시율이 높은 정의읍성 외벽에 자생하는 방가지똥, 약모밀, 주홍서나물, 개망초, 자주광대나물의 제거가 시급하다. 이와 함께 폐·공가에 귀화식물의 분포와 우점도가 높음에 따라 공가에 대한 보존관리 및 민박 활용방안 등을 강구해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current status of vascular plants and naturalized plants growing in the Seongeup Folk Village in Jeju and to consider and compare their distribution patterns and the characteristics of emergence of naturalized plants in other folk villages and all parts of Jeju, thereby exploring measures to well manage naturalized plants. The result of this study is as follows.11) The total number of vascular plants growing in Seongeup Folk Village is identified to be 354 taxa which include 93 families, 260 genus, 298 species, 44 varieties and 12 breeds. Among them, the number of naturalized plants is 55 taxa in total including 22 families, 46 genus, 53 species, and 2 varieties, which accounts for 21.7% of the total of 254 taxa identified all over the region of Jeju. The rate of naturalization in Seongeup Folk Village is 15.5%, which is far higher than the rates of plant naturalization in Hahoi Village in Andong, Yangdong Village in Gyeongju, Hangae Village in Seongju, Wanggok Village in Goseong, and Oeam Village in Asan. Among the naturalized plants identified within the targeted villages, the number of those growing in Jeju is 9 taxa including Silene gallica, Modiola caroliniana, Oenothera laciniata, Oenothera stricta, Apium leptophyllum, Gnaphalium purpureum, Gnaphalium calviceps, Paspalum dilatatum and Sisyrinchium angustifolium. It is suggested that appropriate management measures that consider the characteristics of the gateway to import and the birthplace of the naturalized plants are necessary. In the meantime, 3 more taxa that have not been included in the reference list of Jeju have been identified for the first time in Seongeup Folk Village, which include Bromus sterilis, Cannabis sativa and Veronica hederaefolia. The number of naturalized plants identified within the gardens of unit-based cultural properties is 20 taxa, among which the rate of prevalence of Cerastium glomeratum is the highest at 62.5%. On the other hand, the communities of plants that require landscape management are Brassica napus and other naturalized plants, including Cosmos bipinnatus, Trifolium repens, Medicago lupulina, Oenothera stricta, O. laciniata, Lotus corniculatus, Lolium perenne, Silene gallica, Hypochaeris radicata, Plantago virginica, Bromus catharticus and Cerastium glomeratum. As a short-term measure to manage naturalized plants growing in Seongeup Folk Village, it is important to identify the current status of Cosmos bipinnatus and Brassica napus that have been planted for landscape agriculture, and explore how to use flowers during the blooming season. It is suggested that Ambrosia artemisiifolia and Hypochaeris radicata, designated as invasive alien plants by the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should be eradicated initially, followed by regular monitoring in case of further invasion, spread or expansion. As for Hypochaeris radicata, in particular, some physical prevention measures need to be explored, such as for example, identifying the habitat density and eradication of the plant. In addition, it is urgent to remove plants, such as Sonchus oleraceus, Houttuynia cordata, Crassocephalum crepidioides, Erigeron annuus and Lamium purpureum with high index of greenness visually, growing wild at around high Jeongyi town walls. At the same time, as the distribution and dominance value of the naturalized plants growing in deserted or empty houses are high, it is necessary to find measures to preserve and manage them and to use the houses as lodging plac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