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음성 폐쇄상을 이용한 구개열 환자의 언어치료의 증례 보고 - 장착 후 제거까지의 경과 -

        임대호,윤보근,백진아,신효근,Leem, Dae-Ho,Yoon, Bo-Keun,Baik, Jin-A,Shin, Hyo-Keun 대한악안면성형재건외과학회 2006 Maxillofacial Plastic Reconstructive Surgery Vol.28 No.5

        Velopharyngeal function refers to the combined activity of the soft palate and pharynx in closing and opening the velopharyngeal port to the required degree. In normal speech, various muscles of palate & pharynx function as sphincter and occlude the oropharynx from the nasopharynx during the production of oral consonant sounds. Inadequate velopharyngeal function caused by neurologic disorder - cerebral apoplexy, regressive diseases - disseminated sclerosis, Parkinson's disease, congenital deformity - cleft palate, cerebral palsy and etc. may result in abnormal speech characterized by hypernasality, nasal emission and decreased intelligibility of speech due to weak consonant production. In our study, we constructed speech aids prosthesis - Speech bulb in the incomplete cleft palate VPI patient with hypernasality and assessed velopharyngeal function with nasometer which can evaluate the speech characteristics objectively.

      • KCI등재

        치아유래골을 활용한 치조열 골이식술

        구정귀(Jeong-Kui Ku),백진아(Jin-A Baik) 대한치과의사협회 2024 대한치과의사협회지 Vol.62 No.4

        Autogenous bone grafts remain the standard for cleft alveolus surgery despite absorption tendencies and donor site complications. DDM, derived from teeth, demonstrates promising osteoinductive properties comparable to autogenous bone. This paper aims to introduce and discuss cases of bone graft for cleft alveolus utilizing demineralized dentin matrix (DDM) derived from teeth, highlighting the outcomes and potential advantages of DDM in cleft alveolus reconstruction. A nine-year-old patient underwent cleft alveolus surgery with bilateral bone grafting. To address volume limitation of DDM, the surgical procedure involved harvesting bone from the anterior iliac crest. Postoperative radiographic assessments at nine months revealed favorable bone integration in the cleft region. The study advocates for further exploration of DDM applications in clinical recommends.

      • KCI등재

        주부 소비자의 쌀 가공제품 이용실태 및 요구도 조사

        김수민 ( Soo Min Kim ),이진실 ( Jin Sil Lee ),한정아 ( Jung A Han ),김영식 ( Young Sik Kim ),진경 ( Jin Kyung Baik ),황혜선 ( Hye Sun Hwang ),이나영 ( Na Young Yi ),박대섭 ( Dae Seop Park ),홍완수 ( Wan Soo Hong ) 한국식품조리과학회(구 한국조리과학회) 2013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Vol.29 No.2

        본 연구는 쌀 소비 촉진 및 쌀 가공제품 개발을 위하여 서울 및 수도권 지역의 주부를 대상으로 쌀 가공제품의 이용실태와 쌀 가공제품에 대한 상품화 의견 및 구매의도, 쌀 활용 교육에 필요한 홍보방안 등에 관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쌀 가공제품에 관한 이용 실태를 분석한 결과, 전업주부는 92명(55.8%), 취업 주부는 71명(52.6%)이 쌀 가공제품을 사용한 경험이 있다고 응답하여 직장유무와 무관하게 전체 응답자 중 과반수 이상인 163명(54.0%)이 쌀 가공제품을 사용한 경험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2. 쌀 가공제품을 사용한 경험이 있는 주부를 대상으로 쌀 가공제품을 사용한 이유를 복수응답으로 분석한 결과, 전업주부(61명, 80.3%)와 취업 주부(41명, 75.0%)의 경우 모두, 쌀 가공제품은 몸에 좋은 건강식품으로 메뉴가 다양하고 소화가 잘되며, 맛이 있어서 이용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한편 쌀 가공제품을 사용한 경험이 없는 주부를 대상으로 쌀 가공제품을 구매하지 않은 이유를 복수응답으로 분석한 결과, 쌀 가공제품에 대한 인식이 부족하고(71명, 40.6%) 특히 쌀가루를 포함한 쌀 가공제품을 이용한 조리법이 부족하기 때문(67명, 38.3%) 이라고 응답하였다. 3. 쌀 가공제품 사용 시 불편한 점에 관하여 복수응답으로 분석한 결과, 쌀가루를 포함한 쌀 가공제품 조리 레시피의 부족(84명, 34.0%)과 보관 시 변질우려(68명, 27.5%), 메뉴의 다양성 부족(42명, 17.2%) 등으로 나타났다. 4. 개발이 필요한 쌀 가공제품에 대하여 주식류, 부식류, 간식 및 기호식으로 구분하여 살펴본 결과, 주식류의 개발 필요성은 쌀떡류(3.86점)의 점수가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부식류의 개발 필요성은 쌀장류(3.64점), 쌀식초(3.15점) 순으로 나타났고, 간식 및 기호식의 개발 필요성은 쌀 과자류(3.89점)의 점수가 가장 높게 조사되었다. 한편 쌀 가공제품을 사용한 경험이 있는 주부(3.97점)가 경험이 없는 주부(3.72점)에 비해 쌀 떡류의 개발 필요성에 더 높은 요구도를 나타냈다(p<.01) 5. 쌀 활용 교육 시 효과적인 매체에 대해 분석한 결과, 쌀 가공제품을 사용한 경험이 있는 경우와 쌀 가공제품 경험이 없는 경우 모두 인터넷사이트(홈페이지 운영)가 129명 (43.0%)으로 응답을 많이 하였으며, 그 외에도 요리 시연회 (조리법 시연회)가 88명(29.3%), 팜플렛ㆍ리플렛 35명(11.7%) 등으로 나타났다. 쌀 활용 조리법 시연회 교육에 대한 참여 의사를 분석한 결과, 쌀 가공제품에 대해 경험이 있는 군(59.5%)이 경험이 없는 군(44.5%) 보다 참여의사가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으며(p<0.05), 전업주부의 경우도 98명(59.4%) 으로 나타나 취업 주부의 60명(44.4%) 보다 쌀 활용 조리법 시연회 교육에 참여의사가 유의적으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p<.001).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current use and the demand for processed rice food products by full time and working housewives in a metropolitan area. Out of 330 questionnaires distributed, 300 were analyzed (90.9% response rate). It was revealed that more than half of the respondents (54.0%) had used processed rice food products, regardless of their occupation. Most respondents stated that they used rice food products because of the variety of the products, digestibility and the taste. The development necessity for processed rice food products was analyzed, showing that rice cake (3.86), rice sauce (3.64), and rice cookie(3.89) had the highest score in each category. The average demand for education and promotion of rice food products was 3.89; among 7 items, menu recipe using rice flour was highly demanded (4.18) by the respondents. Approximately 43.0% of the respondents agreed that the internet is the most effective method for learning about rice flour cooking, and the respondents who have used processed rice food products(59.5%) were more likely to attend education programs compared to housewives who have not used processed rice food products (44.5%)(p<.05). Full time housewife (59.4%) had a greater tendency to participate in the education program than working woman (44.4%) (p<.001). The findings suggested that various processed rice flour products with convenience to use and prolonged shelf-life will be need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