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우수등재

        『成唯識論』의 假說(upacāra)에 대한 연구

        백진순(Jin-Soon Paek) 한국철학회 2003 철학 Vol.76 No.-

        『성유식론』의 핵심 사상은 유식무경(唯識無境)으로 압축된다. 이 문구는 흔히 외부 실재를 부정하고 모든 것을 의식의 자기 전개로 환원시키는 일종의 관념론의 표방으로 받아들여진다. 그것은 이 논서를 주로 식의 전변(轉變) 개념을 중심으로 해석해 왔기 때문이다. 그런데 중국 주석가들의 문헌을 검토해 보면 유식무경의 종지를 둘러싸고 의미론적 논쟁이 개업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의미론의 일차적인 과제는 말과 그 지시물 간의 대응 관계를 따져보는 것이다. 강력한 실재론자들은 어떤 이름에 해당하는 외부 실재가 반드시 존재하며 세계가 그대로 말의 ‘의미’라고 주장한다. 이에 대해 유식학자들은 이름의 대상으로서의 외부 실재는 존재하지 않으며 그 이름은 모두 가명(假名) 혹은 가설(假說)에 불과하다고 말한다. 주석가 규기(窺基)에 따르면, 말은 의미를 드러내는 기능도 하지만 일상적으로 인간의 정(情)과 집착을 축적시키는 도구가 되기도 하는데, 어떤 경우에도 말은 그 작동 기원에서부터 근본적으로 실상(實相)을 반영하지 못한다. 따라서 모든 이름은 가짜 이름이다. 만약 말을 통해 실제로 알려지는 것이 있다면 그것의 정체는 공상(共相)이며, 곧 실물의 직접 지각 속에서 알려지는 특수한 자상(自相)에 의거해서 다시 관념적으로 재구성해 낸 일종의 보편상이다. 강력한 실재론적 언어 체계에서는 이 보편상들을 외부에 놓인 것으로 전제함으로써 그 말에 대한 우리의 집착을 강화시킨다. 따라서 규기는 말의 의미가 외부의 진짜 사물에 의거하는 것이 아니라 관념적 구성물임을 보여주려 한다. 이와 같은 규기의 해석을 근거로 해서, 외경의 부정은 무엇보다 실재론적 언어관을 비판하는 작업과 직결되어 있음을 보여주고자 하는 것이 본 논문의 목적이다.

      • KCI등재

        아뢰야식(阿賴耶識)의 지평에서 본 타인의 마음 : 법상종(法相宗)의 해석을 중심으로

        백진순(Paek, Jin-soon) 불교학연구회 2010 불교학연구 Vol.26 No.-

        이 글은 ‘유식무경(唯識無境)’이라는 교의를 고수했던 중국 법상종의 입장에서 ‘타인의 마음(他心)’의 의미를 고찰한 것이다. 이 글에서는 먼저 ‘타심지(他心智)’의 문제를 다루었다. 타심지는 일반적으로 타인의 마음의 존재를 확인하는 중요한 통로로 간주되지만, ‘유식’에 동의하지 않는 외인들에게는 일종의 약점으로 인식되었다. 왜냐하면 ‘타인의 마음을 아는 지식’이 성립한다는 사실 자체가 또 다른 외경(=타인의 마음)을 긍정하는 논리가 될 수 있기 때문이다. 법상학자들은 타심지란 타인의 마음 자체가 아니라 자기 마음에 나타난 그것의 영상을 아는 것이라는 의미에서, ‘유식’의 교의를 정당화한다. 또 그들은 논의를 더 밀고 나아가 ‘유식의 밀의(密意)’에 의거해서 다음과 같은 결론을 이끌어냈다. 이 밀의에서는 ‘식’이란 그와 분리되지 않는 모든 것[諸法]을 뜻하기 때문에, 타인의 마음도 타인이 향유하는 세계 전체를 포괄하는 개념으로 전환된다. 그에 따르면, 자타의 식이 각기 개별적인 것이고 또한 서로에게 완전히 알려지지도 않는다 해도, 중생들의 공통된 업에서 비롯된 공통된 종자(共相種子) 가 개별적인 아뢰야식들이 전변해낸 세계들 간의 근본적 유사성을 부여하기 때문에 각각의 아뢰야식의 세계는 소통과 공존이 가능한 세계로 나타난다. 이런 세계에서는 타자의 식은 나의 식 바깥에 있는 또 다른 외적인 실체가 아니라, 나의 식의 전변 활동에 대해 ‘협력하거나(能順) 협력받는(所順)’ 증상연(增上緣)으로 간주된다. 이런 의미에서 타인의 식이 존재한다고 해도 ‘유식’의 교의와는 어긋나지 않는다고 결론짓는다. In this treatise, I tried to consider the meanings of other minds(他心) in the Fa-hsiang school(法相宗) which adheres to the doctrine, Mere-consciousness and No external-object(唯識無境). To do this, I first examined the problem of the knowledge of other minds(他心智), which is regarded not only as the important path to ascertain the existence of other minds by most Buddhist scholars but also as the fatal flaw by the objectors against Mere-consciousness(唯識). To the objection that the knowledge of other minds is the proof of being the external object, or another external spiritual entity separated from its consciousness, the Fa-hsiang school answers that we perceive only the image(影像) of another person’s mind, not the mind itself. Moreover, in the secret meanings(密意) of ?layavij??na(阿賴耶識), they conclude as follows: The consciousness as ?layavij??na means all dharma-s(諸法) which are produced by it and so not separated from it, and in this sense other minds mean the whole worlds experienced by them. Though the ?layavij??na of each sentient being is individual and is not known perfectly by another, it originally communicates with another. The seeming external world, which the consciousness of each sentient being respectively transforms itself into, bears a similarity to another’s world, because it is produced by the force of the maturing of the common-b?ja-s(共相種子) which derive from the common karma-s(共業) in one’s past life. And other minds as ?layavij??na always coexist, not as the external object, but as ‘the condition qua contributory agent(增上緣)’ which assists and follows in ‘the transformation of my consciousness’ in its own distinct manner. In this sense, other minds are relative to mine, and the ‘Mere-consciousness’ doctrine is maintained.

      • KCI등재

        유식학파에서 요가의 의미와 목적 - 『해심밀경』「분별유가품」을 중심으로

        백진순(Paek Jin-Soon) 불교학연구회 2007 불교학연구 Vol.16 No.-

          The term of Yoga has very significant practical meanings in Mind-Only school. In this school, Yoga in a broad sense means the correspondence(相應), both of buddhist theories with practices and of practices with those fruits. And Yoga in a narrow sense means ?amatha-vipa?yan?(止觀) which is the best way to the truth of Mind-Only, exactly the philosophical meditation. In this study, we especially give attention to the point that the philosophical meditation and the logical investigation of the teachings of Buddha can be the core of buddhist practices to realize the truth. It is very suggestive to us, whereas Zen school takes too exclusive attitude toward the scriptures. The ascetics in practicing yoga consistently meditate on linguistic insight that the meaning of the word is only fictitious constructions produced by consciousness. In result, they disjoin the word from its meaning and remove the world of words of which the external reality we believe i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