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확장된 지역특징을 이용한 중첩된 물체 인식

        백중환 한국통신학회 1992 韓國通信學會論文誌 Vol.17 No.12

        This paper describes a new overlapped object recognition method using extended local features. At first, we extract the extended local features consisting of corners, arcs, parallel-lines, and corner-arcs from the images consisting of model objects. Based on the extended local features we construct a knowledge-base. In order to match objects, we also extract the extended local features from the input image, and then check the compatibility between the extracted features and the features in the knowledge-base. From the set of compatible features, we compute geometric transforms. If any geometric transforms are clustered, we generate the hypothesis of the objects as the centers of the clusters, and then verify the hypothesis by a reverse geometric transform. An experiment shows that the proposed method increases the recognition rate and the accuracy as compared with existing methods. 본 논문은 확장된 지역특징을 이용하여 서로 중첩된 물체를 인식하는 새로운 방법에 대해 기술한다. 먼저 모델물체의 화상으로부터 코너, 아크, 평행선 및 코너-아크로 구성된 지역특징을 추출하고 지식베이스를 구축한다. 물체의 정합을 위해, 입력화상으로 부터 지역특징을 추출한 다음, 지식베이스의 특징과의 유사성을 조사하여 유사한 특징 set으로부터 기하변환을 구한다. 기하변환이 클러스터를 형성하면, 그 클러스터의 중심으로 가설을 설정하고 역기하변환으로 정합을 검증한다. 실험을 통해, 제안된 물체인식방법이 기존의 방법에 비해 인식율과 정확도를 높인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 KCI등재

        항법 지리 데이타베이스를 이용한 비행 시뮬레이터용 항공전자 장치 소프트웨어 개발

        백중환,Baek, Joong Hwan 한국항행학회 1997 韓國航行學會論文誌 Vol.1 No.1

        본 논문에서는 R-트리를 이용하여 항법 지리 데이타베이스를 구축하고 비행 시뮬레이터를 위해 VOR, ILS, DME, NDB 등의 항공전자 장치를 위한 소프트웨어를 개발한다. 먼저, R-트리를 이용하여 항법지리 데이타베이스를 설계하고 각 공항의 항법시설에 대한 데이타베이스를 구축한다. 항공전자 장치 소프트웨어 구현을 위해 VOR에서는 항공기와 VOR국 간의 거리, 방위각, 편위각 등을 계산하는 알고리즘을, ILS에서는 LLZ로 부터의 편위각, GP로 부터의 글라이드 슬로프로, 마커의 범위 등을 계산하는 알고리즘을 개발한다. 항법 지리 데이타베이스 시스템은 데이타베이스를 구축하고 갱신할 수 있는 항법지리 데이타 관리기, 항법전자장치에 관련된 정보를 제공하는 실시간 탐색기, 항법지리 데이타베이스, 그리고 사용자 인터페이스로 구성된다. In this paper, we construct a navigation geography database using R-tree, and develop a software for avionics systems such as VOR, ILS, DME, and NDB. First, we design the navigation geography database using R-tree, and construct a database for navigation aids facilities of every airport. In order to implement avionics software, we develop some calculating algorithms for distance, bearing, and deviation angle between an aircraft and a VOR station for VOR, and deviation angle from a LLZ, glide slope from a GP, and range of markers for ILS. The navigation geography database system is composed of map data manager which can construct and update the database, real-time searcher which provides information about the avionics system, geography database, and user interface.

      • 초고주파 영상의 선명도 개선 및 윤곽선 추출에 관한 연구

        백중환 한국항공대학교 1993 論文集 Vol.31 No.-

        장파장을 사용하는 초고주파 영상은 장파의 산란 특성 때문에 영상의 질이 매우 떨어진다. 본 연구에서는 초고주파 영상으로 부터 speckle 잡음을 제거하고 영상의 선명도를 높여 목표물 인식을 용이하게 하는 영상처리 기술을 개발한다. 히스토그램 군등화법을 이용하여 영상의 선명도를 개선하고, 공간평활 필터 및 미디언 필터링을 통해 잡음을 제거한다. 또한 영상으로 부터 목표물을 추출하기 위한 임계값 처리법에 대해 연구 한다. 마지막으로, 기존의 윤곽선 추출기법들에 대해 고찰하고 초고주파 영상에 가장 적합한 방법을 도출한다. The quality of microwave image is very degraded because microwave image uses long wavelength, which has reflecting or scattering characteristics. This study is for developing the technologies which remove the speckle noise in micr-owave image and enhance the quality of the microwave image in order to easily recognize the objects. Histogram equalization method is adopted to enhance the quality of the image, and spatial smoothing filter and median filter are used for removing the noise. Also, thresholding method is studied for segmention the objects from microwave image. Finally, several existing edge detection methods are are stuided and the best method for micro image is derived.

      • KCI등재

        비행 운동 시뮬레이션을 위한 좌표계 변환

        백중환,황수찬,김칠영 한국항행학회 1999 韓國航行學會論文誌 Vol.3 No.2

        비행 시뮬레이터는 엔진 모듈, 항법장치 모듈, 계기 모들로 구성된다. 여기에는 두 가지의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첫째는, 각 모듈별로 사용하는 좌표계가 서로 다르다는 점이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본 논문에서는 각기 독자적인 좌표계를 일치시키기 위한 방법을 고안하였다. 둘째는, 지구 형태가 완전한 구 모양을 따르고 있다고 가정하고 구삼각공식을 이용하여 거리와 방위각을 계산하게 되면 많은 연산량이 요구된다. 본 논문에서는 근거리 비행시 구 삼각공식 대신 평면 근사화 방식을 사용함으로써 우수한 결과를 얻음을 확인하였따. 연산 속도는 구 삼각공식 사용시 4.95 × 10^-4초에서 평면 근사화 방식을 사용시 1.648 × 10^-4초로 향상됨을 확인하였다. A flight simulator is composed of engine, navigation systems and instrument modules. However, two problems exist here. First, the coordinate of each independent module is not same. To solve this problem, we design a method that mutual coordinates are capable of transformation each other. Second, the distance and bearing between two points on the earth are computed in a sphere shape using the spherical trigonometry. However, the computing time is very sever. In this paper, we project the sphere into the planar to reduce the computing time. An experimental result shows that the performance of the proposed method is excellent to both distance and bearing calculations in close region. Also, the computing time is reduced from 4.95 × 10^-4 seconds to 1.648 × 10^-4 seconds.

      • SCOPUSKCI등재

        전자기 구동기를 이용한 웜 로봇의 회전 구동에 관한 연구

        백중환(Junghwan Back),Hongbin Liu,김영식(Youngshik Kim),신부현(Buhyun Shin) 대한기계학회 2019 大韓機械學會論文集A Vol.43 No.7

        본 연구는 4개의 솔레노이드를 이용한 웜 로봇의 회전 구동을 다룬다. 전자기력을 이용한 로봇은 4개의 솔레노이드와 가이드 그리고 tendon-driven 메카니즘으로 구성되어 있다. 웜 로봇의 구동은 지렁이를 모방하여 구부러진 가이드를 따라서 구동하고 회전 구동에 대해 이론식과 수치 해석으로 분석하였다. 전자기력과 마찰력이 로봇의 움직임에 지배적이다. 웜로봇의 시작품을 제작하여 회전 구동을 검증하였다. 첫 번째 솔레노이드 부분의 힘과 회전 구동에 대한 해석 결과가 타당함을 실험 결과를 통해 확인하였다. 첫 번째 솔레노이드 부분이 0.5의 마찰계수 조건에서 500A-turn의 전류를 인가하였을 경우에 0.116s시간 동안에 약 1deg 각도로 회전함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웜로봇이 가이드에 따라 회전 구동이 가능함을 확인하였다. The aim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turning locomotion of a worm-like robot using four segmented solenoids. The electromagnetic force driven worm-like robot is composed of four solenoids, a compliance guide, and a tendon-driven mechanism. The structure of the actuator in the robot mimics the muscular structure and locomotion of an earthworm. The turning motion of the robot has been analyzed both theoretically and numerically. Electromagnetic force and friction force govern the motion of the robot. The prototype of the robot was fabricated based on the simulation study, and its performance was compared to the simulation study. The robot is able to turn along a guide of 1° with a friction of 0.5 and 500 A-turn. It was demonstrated that the worm-like robot achieved turning locomotion.

      • 사진 현상용 확대기에서의 색보정 연구

        이장원,백중환 한국항공대학교 1999 論文集 Vol.37 No.-

        비디오 모니터를 이용한 사진현상용 확대기에서 디바이스간의 색보정 과정은 필수적이다. 본 논문에서는 표준 컬러 패치 필름을 인화한 은염 사진의 색과 필름을 반전시켜 비디오 모니터에 출력한 영상의 색의 두 색 공간을 정합 시키기 위한 색보정 알고리즘으로 최소자승오차법(Least Squares Error Method)을 이용한 1차와 2차 Curve Fitting 방식, 다항회귀(Polynomial Rrgression)를 통한 방식을 각각 적용하여 결과를 비교하였다. 적용한 색보정 알고리즘들 모두 약 50%까지 오차값을 감소시킬 수 있었다. 특히 적용한 방식들 중에서 최소자승오차법을 이용한 First-order Curve Fitting방식은 계산이 간단하고 오차값을 26.791까지 감소시켰다. Color correction proessing is essential in enlarger for photograph development using video monitor. In this paper, we appling First-order and Second-order curve fitting algorithm using least squares error method and polynomial regression method for color space matching photograph color developed from a standard color patch film with positive film image color in video monitor, then compare each results. All of the applied color correction algorithms, reduce the error value up to 50%. Especially the First-order curve fitting algorithm, least squares error method has a simple calculation, and reduces the error value up to 26.791.

      • ROI를 적용한 웨이블릿 기반 수표 영상 압축

        소정철,백중환 한국항공대학교 1999 論文集 Vol.37 No.-

        수표 처리 시스템의 전산, 정보화시, 수표영상의 차지하는 정보량이 매우 커서 수표 영상의 압축이 필요하다. 수표 영상은 하단부에 수표의 모든 정보를 포함하는 숫자와 문자 영역이 있어서 수표의 다른 지역에 비해 이 숫자와 문자 영역의 중요도가 매우 높다. 따라서 수표 하단 영역을 ROI로 정해서 압축시에도 ROI 지역의 화질을 선명하게 유지해야 된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ROI를 적용한 웨이블릿 기반의 EZW 알고리즘을 이용한 수표 영상의 압축 방법을 제시한다. 제시한 방법을 기존의 정지 영상 압축 표준인 JPEG와 비교했을 때, 12:1에서부터 32:1까지의 압축비에서 제시한 방법이 ROI지역을 33[dB] 이상으로 유지하면서도 PSNR이 3~7[dB] 정도 더 나은 성능을 보였다. A check image has a large amount of information in being real time online of the check process system, so the image has to be compressed. However the check has a resion including characters and numbers which have all information of check, the resion is more important than other regions. Therefore the region must be compressed in high quality. In this paper, we propose a check image compression method using EZW based on wavelet transform applying ROI. A comparison shows that the result between the proposed method and JPEG in compression ration from 12:1 to 38:1, proposed method has better performance about 3~7[dB] than JPEG in ROI being maintained high than 33[dB].

      • 중복된 물체 인식을 위한 확장된 지역특성 추출에 대한 연구

        白重煥 한국항공대학교 1992 論文集 Vol.30 No.-

        특징축출은 물체인식 과정중에서 가장 중요한 과정이다. 왜냐하면 시스템의 정확도는 물체로 부터 특징을 얼마나 정확하게 추출하느냐에 달려있기 때문이다. 본 논문에서는, 중복된 물체의 인식을 위한 하나의 새로운 확대지역특징 추출 방법을 제시한다. 먼저, 2차 미분된 가우스 필터와 원화상을 콘벌루션한후 영교차점을 찾음으로서 물체의 윤곽선을 추출한 다음, 다각형 근사화에의해 윤곽선으로 부터 직선소를 추출한다. 코너, 병렬선, 아크, 및 코너-아크로 이루어진 확대지역특징이 직선소로 부터 추출된다. Feature extraction is the most important phase in object recognition because accuracy of the system relies on how well the features are extracted. In this paper a new extended local feature extraction method is proposed, which can be applied for overlapped object recognition. Line edges are detected by convolving with the Laplacian of Gaussian filter and detecting zero-crossing points. Straight line segments are extracted from the line edges by polygonal approximation. The extended local features such as corners, parallel lines, arcs, and corner-arcs are then extracted from the set of straight line segmen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