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원전해체 방사성폐기물 포장용기 적용방안에 대한 연구

        백준기,정석원,손진원 한국에너지학회 2022 에너지공학 Vol.31 No.4

        고리1호기 영구정지(‘17.6)에 따라 한수원(주)은 원자력안전법에 근거하여 고리1호기의 최종해체계획서를 포함 한 해체승인신청서를 원자력안전위원회에 제출(‘21.5) 하였다. 원전해체시에는 금속, 콘크리트, 폐필터 등 대량 의 다양한 방사성폐기물이 발생될 것으로 예상되어 진다. 이에 따라 운영 원전에서 사용하고 있는 용기와는 차 별화된 용기 확보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신규 용기 개발 시 방사성폐기물의 안전하고 효율적인 처분을 위해 용 기의 대형화 및 처분시설과의 연계성을 고려해야 한다. 본 연구를 통해 원전해체 방사성폐기물의 특성자료 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방사성폐기물 종류별 포장용기 개념 수립, 포장용기 설계검토 및 제작을 완료하였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방사성폐기물 포장용기 개발을 위한 국내·외 포장용기 적용사례 검토결과와 용기개발 프로세스를 제 시하였다.

      • KCI등재

        원전해체시 독립된 사용후핵연료저장조 국내 적용 검토

        백준기,김창락 한국방사성폐기물학회 2015 방사성폐기물학회지 Vol.13 No.2

        국내 원자력발전소에서는 사용후핵연료 저장용량의 확대를 위해 사용후핵연료저장조에 조밀저장대를 설치하고 있지만 한 빛원전은 2024년에 포화가 예상된다. 또한 10개의 원자력발전소가 2029년까지 설계수명에 도달하게 된다. 하지만 원전운영 과 해체를 위한 국내 사용후핵연료 관리정책은 아직 결정되지 않은 상황이다. 미국의 경우 원전해체시 사용후핵연료를 중간 저장시설 또는 영구처분장으로 이송하기 전까지 임시적으로 독립된 사용후연료저장조(이하 ‘SFPI’) 방식을 운영하는 사례가 있다. SFPI는 원전해체시 운전정지 후 사용후핵연료를 저장하는데 있어서 방사선 노출 저감, 운영비용 절감, 안전성 보강 등 의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따라서 이 논문에서는 미국의 SFPI 운영경험, 시스템, 적용규정 등에 대한 사례연구를 수행하였 다. 결론적으로 SFPI 국내 적용을 위해서는 사용후핵연료저장 계통의 설계변경 범위 및 예상 소요비용 확정, 원전 해체계획 에 설비개선 계획 반영제출, 주기적안전성평가(PSR) 방법 등을 활용한 안전성 평가(운영기간 10 년), 설계변경을 위한 운영 변경허가 신청, 규제기관 심사 및 허가 취득, 설계변경 수행, 규제기관의 확인점검, SFPI 운영을 위한 교육 및 시운전, SFPI 운영 및 정기검사, SFPI 해체 등의 절차가 필요하다. In many nuclear power plant sites in Korea, high density storage racks were installed in the spent fuel pool to expand the spent fuel storage capacity. Nevertheless, the capability of the Hanbit nuclear site will be saturated by 2024. Also, 10 NPPs will reach their design life expiration date by 2029. In the case of the US, SFPI (Spent Fuel Pool Island) operated temporarily as a spent fuel storage option before spent nuclear fuels were transported to an interim storage facility or a final disposal facility. As a spent fuel storage option after shutdown during decommissioning, the SFPI concept can be expected to have the following effects: reduced occupational exposure, lower cost of operation, strengthened safety, and so on. This paper presents a case study associated with the regulations, operating experiences, and systems of SFPI in the US. In conclusion, the following steps are recommended for applying SFPI during decommissioning in Korea: confirmation of design change scope of SFPI and expected final cost, the submission of a decommissioning plan which is reflected in SFPI improvement plans, safety assessment using PSR, application of an operating license change for design change, regulatory body review and approval, design change, inspection by the regulatory body, education and commissioning for SFPI, SFPI operation and periodic inspection, and dismantling of SFPI.

      • KCI등재

        이데올로기와 지역주의, 그리고 2002년 대통령 선거

        백준기,조정관,·조성대 세종연구소 2003 국가전략 Vol.9 No.4

        This paper aims to provide a comprehensive and systemic research on electoral regionalism in Korea. Based on critical theory, this paper presumes that regionalism functions as a strong ideology that has preserved regional hegemonic dominance in Korean politics. Following empirical analysis proves that regionalism in demand side consists of both class and parochial characteristics, and dominates electoral political conflict in Korea by showing a parallel line with party confrontation structure. Empirical analysis further shows that regionalism in demand side significantly influenced voter choice in the 2002 Korean presidential election. 이 글은 한국사회 선거지역주의와 관련한 세 가지 주요한 쟁점에 대한 경험 분석을 제공함으로써 선거지역주의에 대한 종합적이고 체계적인 연구를 제시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한국사회 지역주의가 지역패권주의의 지배질서를 유지시키는 이데올로기적 기능을 수행해 왔다는 비판이론을 이론적 바탕으로 이글은 경험분석을 통해 김대중에 대한 과도한 집착과 반대라는 지역적 향리성과 영호남간의 보수-진보의 이념적 균열현상이 영호남의 지역주의의 정치경제적 성격을 설명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아울러, 경험분석으로 나타난 정치적 공간지도는 한국사회의 지역주의가 정치적 여야갈등구조와 상당히 중첩되어 있음을 보여준다. 다시 말해, 지역주의가 지난 김대중 정부 기간 동안 지배적인 정치적 갈등구조로 작용했음을 입증하는 것이다. 마지막으로 회귀분석결과는 지역주의 거리변수 혹은 영호남 출신지역을 나타내는 변수가 2002년 노무현-이회창 사이의 대통령선거경쟁에서 유권자의 선택에 큰 영향력을 발휘했음을 보여준다.

      • KCI등재
      • KCI등재

        러시아의 중국정책의 재정립과 이행기적 특성:과정과 요인

        백준기 한양대학교 아태지역연구센터 2009 중소연구 Vol.33 No.3

        동아시아, 아태지역에서의 러시아의 전략적 비전은 ‘세력권(sphere of influence)의 재확인’ 또는 ‘평화로운 재진입’이다. 소연방 해체 이후 경제적 군사적으로 국제적 지위의 하락을 경험한 러시아는 성공적인 체제 이행과 전략적 지위의 회복을 위한 집중전략을 채택하였다. 러시아는 전통적인 세력권이자, ‘안전지대(security zone)’라고 판단하는 CIS지역에 대한 외부적 위협요인을 최소화하는 동시에 동아시아/아태지역에 대한 내부적 통합동기를 최대화할 필요가 있었다. 이것은 이후 ‘아시아태평양으로의 재진입’으로 구체화 되었고, 중국과의 관계는 이러한 목표를 달성하기위한 ‘전략적 입구이자 출구’를 의미하는 것이다. 이 연구는 소연방해체이후, 러시아의 중국정책의 재정립에 있어서 국제체제 및 국제질서의 변동이라는 ‘구조적 요인’과 국제환경 및 외부위협에 대한 엘리트들의 ‘인식요인’이 미친 영향과 결과들에 대해 파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목적달성을 위하여 러-중간의 관계설정에 작용하는 동인들—나토팽창, 분리주의/테러리즘, 지역통합 등—에 대해 분석할 것이다. 연구의 분석에 선정된 동인들은 ‘대외정책개념’ 등 정부 공식문서에 표명된 러시아의 대외정책결정과정에 중대한 영향을 미친 요인들로 한정하였다. 양국관계의 복원 및 제도화의 ‘과정’을 살펴봄으로써 양자관계 재정립의 전반적인 작용 메카니즘을 파악할 것이다. 이를 위해서 ‘국가 간 관계(inter-state relations)’수준에 분석 초점—정상회담이나 고위급 접촉 등—을 둘 것이다. 이 글의 범위는 주로 안보분야, 즉 ‘상위정치(high politics)’로 제한하고자한다.

      • KCI등재

        정전 후 1950년대 북한의 정치 변동과 권력 재편

        백준기 경남대학교 북한대학원 1999 현대북한연구 Vol.2 No.2

        AbstractThis article focuses on North Korea in the 1950s following the Korean War when the basic framework and political mechanism of the current North Korean socialist regime were formulated.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shed light on : how the political actors of high politics in the North recognized the realistic problems facing them at that time ; how resolving problems evolved and erupted political rivalry and conflicts ; why political conflicts went through such a `catastrophic, disastrous coordination' to become the current noncompetitive, closed political mechanism ; and what implications the defeated political forces have in the political history of North Korea. Most researchers agree that the 1950s in North Korea meant a period of great potentials that provided the North with various possible ways of shifting its government. The period also represented an era of abundance in a political sense.The post-Korean War period had the following implications for the North Korean regime : First, the political elite groups and political factions outside of the inner circle led by Kim Il Sung were finally excluded from the central power circle in the power struggles that ensued in high-level politics in 1953 to 1956. The political dynamics have since disappeared in the North. In the wake of the massive cleanup campaign, 1957-1959, the realignment of the political terrain which began in high-level politics spread to low-level politics and then to the whole society, resulting in the oneness of a single leader led by Kim Il Sung.Second, in social and economic terms, full-fledged and widespread fundamental socialist reconstruction occurred among the citizens and industrial fields, providing a basic framework for the current North Korean-style socialist economic system.Third, a foundation for an independent diplomatic line was laid down in the 1950s, that is, the engagement of the Soviet Union and China in the North's power struggle in 1956 failed and the socialist camp fell apart. Consequently, this aided in paving the way for an independent diplomatic line for North Korea.Fourth, the North, after post-war restoration, economic recovery, and the completion of a socialist system through three-and five-year development plans, established a reunification strategy based on its `economic superiority.' It attempted to ease tensions between the South and the North and attain a state of peace on the Korean peninsula by putting forward a series of proposals, including the confederation proposal. This proposal suggested commodities and resource assistance toward the South and free economic and cultural exchanges. These attempts in the area of unification are meaningful in that they constitute a prototype of the North's institutional approach toward unification.This study notes that social and economic factors basically caused changes in other arenas. The 1956 political crisis, represented by the `August plenary session,' took center stage in the political changes in North Korea. This paper analyses points of disputes and standpoints with respect to the political changes in the North, which were destined to define the North's political picture for the following 40 years.The article also explores the causes of the 1956 political crisis, which represents a culmination of the political changes, in terms of economic restoration following the war, establishment and implementation of development strategies and ensuing social and political crises. Finally, through the so-called `Choi Chang Ik's anti-party conspiracy and spy incident' and `the third-party incident,' this article analyzes the process in which the power struggles at the heart of high-level politics featured in the 1956 `August plenary session' expanded toward national organs and society as a whole, contributing to the realignment of power in the political leadership of North Korea.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