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서울 도시디자인 전략 어떻게 추진할 것인가? 제22호

        백선혜,라도삼,여혜진 서울시정개발연구원 2008 SDI 정책리포트 Vol.22 No.-

        세계 여러 도시들은 그동안 도시 경쟁력 확보를 위해 도시디자인 사업을 적극 추진해 왔다. 도시마케팅의 수단이 도시의 경관과 디자인 등 도시 전반으로 확대되고, 유네스코의 창조도시 네트워크에 디자인도시가 포함되는 최근의 경향은, 매력적인 도시경관과 도시의 브랜드 가치가 밀접한 관계에 있음을 보여준다. 그러나 국제적으로 서울의 도시 브랜드 가치에 대한 평가는 매우 낮은 실정으로 도시디자인과 브랜드 가치 제고가 시급하다. 우리나라는 산업 중심의 근대화 과정을 거치면서 민간 분야의 디자인은 급속히 발달한 반면, 공공디자인은 상대적으로 낙후되어 민간과 공공 간 디자인 수준의 격차가 매우 심각하다. 건축도시전문가들 상당수가 우리나라 도시경관의 품격에 대해 선진국의 70% 수준에 못 미치는 것으로, 중국 또는 동남아 신흥도시와 비교해서도 낮은 것으로 평가하고 있다. 서울시민 역시 86.1%가 도시디자인 개선이 필요하다고 여기고 있다. 민선 4기 출범 이후 서울시는 도시디자인 사업에 역점을 두고, 디자인서울총괄본부를 새롭게 조직하여 80여 개의 다양한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최근에는 공동주택의 외관디자인 심의 강화 등 도시건축 분야에서도 디자인의 질 향상을 위해 노력하고 있다. 우수한 디자인도시로 꼽히는 뉴욕, 런던, 요코하마 등 해외 도시들은 사람과 자연, 문화를 중심으로 한 도시디자인을 추구하고 있다. 특히 디자인을 통해 생활환경의 즐거움, 편리함, 안락함을 제공하고 시민들의 삶과 도시환경을 개선하는 데 역점을 두고 있다. 또한 근대건축 및 산업유산에 대한 역사보존과 현대적 활용을 접목하고, 도시계획·건축·교통·문화·예술·음악 등 다양한 전문가와 시민들의 자발적 참여를 통해 도시의 장기비전에 맞추어 통합적 디자인을 추구하고 있다. 이와 같은 맥락에서 향후 서울시 도시디자인사업은 도시의 외관을 아름답게 하는 것뿐 아니라 시민이 행복한 도시디자인을 구현하는 데 역점을 둘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서는 첫째, 도시개발과 도시디자인 사업을 통합하여 문화와 디자인을 생활공간과 연계한다. 둘째, 지역 생활환경 및 낙후지역 개선을 우선으로, 지역의 역사성과 문화적 정체성을 살린 디자인사업을 유도하여 생활밀착형 도시디자인을 실현한다. 현재 추진 중인 디자인서울사업에 대한 서울시민의 인지도가 30%에 불과한 것은 디자인서울사업이 대체로 시민이 직접 체감하기 어려운 사업 위주로 추진되었기 때문이다. 셋째, 민간 스스로의 디자인 역량을 창출할 수 있도록 디자인사업 추진과정에 시민의 참여를 적극 유도하고, 시민의 눈높이에 맞춘 도시디자인 이벤트와 교육프로그램을 단계적으로 운영한다. 도시디자인 사업이 지속적으로 추진되기 위해서는 공공성을 위해 개인의 이익을 양보하는 성숙한 시민의식이 전제되어야 한다는 점에서, 사업추진 과정에 시민참여를 독려할 수 있도록 제도적 기반 마련과 교육 및 연구에 지속적인 투자가 필요하다.

      • 서울시 문화다양성 시민인식지표 개발과 정책과제

        백선혜,조윤정 서울연구원 2021 정책리포트 Vol.- No.330

        사회구성원이 다원화되면서 문화다양성의 보호와 증진이 공동체의 지속가능성을 위한 핵심 요소로 인식되고 있다. 다양성 사회에 진입한 서울시 역시 2017년 문화다양성의 보호와 증진에 관한 조례를 제정하고, 문화다양성 정책 추진의 기초를 마련하였다. 서울시가 문화다양성 정책을 효과적으로 추진하기 위해서는 정책 추진과 모니터링을 위한 실태조사의 정례화가 필수적이다. 실태조사는 문화다양성 정책환경 조사와 시민인식조사로 구성되는데, 특히 문화다양성 시민인식조사는 시민을 문화다양성의 수용자이자 당사자로 설정하고, 시민 개개인의 문화표현에 초점을 두어 실시할 필요가 있다. 서울시민의 문화표현에 초점을 둔 문화다양성 시민인식지표 개발 필요 국내 문화다양성 관련 인식조사는 대체로 문화다양성의 수용자인 국민이 문화다양성의 대상(소수자 집단, 사회문화현상)을 얼마나 수용하고 포용하느냐를 중심으로 설계되어 있다. 그러나 서울시는 시민생활에 직접 영향을 미치는 정책을 생산하고 수행하는 지방 정부로서, 시민 개개인의 다양성에 기초한 실증적 지표가 필요하다. 이에 시민을 문화다양성의 수용자이자 당사자로 설정하고, 개인의 문화표현 자유도와 발현방식, 다른 문화에 대한 수용도를 중심으로 인식조사 체계를 설계하여 지표를 개발할 필요가 있다. 시민의 문화다양성 수용도 낮고 소수자의 문화표현 어려워…문화다양성 정책 필요성 증대 시민인식 시범조사 결과, 서울시민은 인식 차원의 문화다양성 수용도는 높으나 실제 수용도는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문화다양성에 대한 정확한 인식과 감수성 부재에 기인하는 것으로 보인다. 또한 소수자들은 자신의 정체성과 문화를 드러내기 어려워하고 있었으며, 이에 대한 가장 큰 원인은 차이를 받아들이지 못하는 사회 분위기로 지적되었다. 소수자들은 무시와 차별을 피하기 위해 대개 자신의 정제성을 숨기는 방식으로 대처하였다. 서울시는 우리나라의 다른 도시들에 비해 문화다양성 구현 수준은 높다고 평가되지만, 소수자의 권익 보호와 문화다양성 가치 확산을 위한 정책들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서울시 문화다양성 증진을 위해 실태조사 정례화와 문화다양성 정책 추진체계 구축 필요 서울시의 소수자 권익 보호와 문화다양성 가치 확산을 위해 정책 추진체계와 제도적 기반 마련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 ‘문화다양성위원회’를 설치하여 문화다양성 정책 추진의 총괄과 조정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고, 문화다양성 정책 추진을 위해 서울시 문화다양성 보호와 육성을 위한 종합계획을 수립할 필요가 있다. 또한 문화다양성위원회 주관 하에 서울시민의 문화다양성 인식조사를 정례적으로 실시하여 문화다양성 정책 추진방향 설정과 효과성 평가를 위한 기초자료를 축적할 필요가 있다.

      • KCI등재

        도시문화전략으로서 지역문화축제의 지향점과 구성요소 정립에 관한 연구 - 한국과 미국, 일본 지역문화축제의 비교분석을 바탕으로 -

        백선혜 국토지리학회 2006 국토지리학회지 Vol.40 No.1

        Since the economic value of culture extended, it has become an essential element to establish cultural strategy for regional development. The holding of regional festivals, which stands for urban cultural strategies, has become very popular since the local self government system began in Korea. Numbers of regional festivals are not sustainable, however, because they lack of cultural and economic effects on the regions. This study extracted essential elements of regional festivals from the aims of them, on the assumption that those elements are necessary for regional festivals as a successful urban cultural strategy. Also, the practical uses of those elements have been examined through the comparative case study of successful festivals. 문화의 경제적 가치가 커지면서, 지역개발에서 문화전략의 수립이 필수적인 요소가 되었다. 도시문화전략을 대표하는 지역문화축제는 지방자치제 실시 이후 개최수가 폭발적으로 증가할만큼 우리나라에서 많이 활용되고 있는 전략이다. 그러나 현실적으로 많은 지역문화축제들이 문화적 진정성과 지역경제활성화 효과를 갖지 못하면서 지속가능성에 문제를 드러내고 있다. 본 연구는 이와 같은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서는 지역문화축제가 반드시 갖추어야 할 구성요소를 만족시켜야 함을 전제하고, 축제의 본질적 목적에 기반하여 지역문화축제가 도시문화전략으로서 기능하기 위해 필수적인 구성요소를 도출하였다. 또한 성공적으로 개최되고 있는 축제 사례의 비교연구를 통해 각 구성요소가 축제의 운영에 구체적으로 어떻게 활용되는가를 살펴보았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