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최익한의 다산학 이해와 그 의미

        백민정 재단법인다산학술문화재단 2020 다산학 Vol.- No.36

        Active in the early 20th century as a socialist, Choe Ik-han(崔益翰, 1897~?) was a figure who underwent a gamut of ideologies from Confucianism to socialism. When political activities encountered a crisis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era(1910~1945), he sought new breakthroughs in journalism, academic learning, and research on the classics. With the 1935 events commemorating the centennial of Jeong Yak-yong[丁若鏞. pen names: Dasan(茶山) and Yeoyudang(與猶堂)]’s decease and the project of compiling his Yeoyudang Jeonseo(與猶堂全書, Complete Works of Yeoyudang) as the occasion, Choe came to associate with nationalistic intellectuals─e. g., Jeong In-bo(鄭寅普, 1893~1950) and An Jae-hong(安在鴻, 1891~1965)─and went on to serialize Reading the Yeoyudang Jeonseo(與猶堂 全書를 讀함), a critique of Dasan studies(茶山學), in a periodical. Throughout his life, he consistently criticized Confucianism, which had been the legitimate ideology of the Joseon Dynasty and, in contrast, adopted a generally favorable attitude toward Western learning(西學). Indeed, even before dubbing Jeong a scholar of the Practical Learning(實學) school, Choe called the former a Western learning scholar. This was because he located an important origin of Jeong’s learning in Western learning, especially modern Western science. He highly esteemed the fact that Dasan had been capable of distinguishing between Western religion and modern Western science and independently using the new scientific knowledge of the modern era, not the religion. In Choe’s view, Jeong had endeavored to present a theory of social reform based on scientific and rational thinking but had been unable to understand the motive power behind historical change and utterly failed to reflect on the rise of new classes. According to his evaluation, the Confucian Jeong inevitably came to reveal the limitations of his thought by failing to perceive clearly the interests and goals of which social classes his theory and arguments represented. Analyzing Jeong’s famous works─i. e., Wonmok(原牧) and Tangnon(湯論)─Choe stated that Dasan had: explained the process of origination of rulers in terms of the populace’s everyday needs and convenience, of their choice; opposed the theory of the divine right of kings; and acknowledged democratic institutions and the democratic spirit in principle. He acknowledged as an intellectual accomplishment the fact that Jeong had viewed the power in the hands of a minority of the ruling class not as an invariable constant but as a variable outcome of the process of historical change. In Choe’s view, however, Jeong had only been a moderate social reformist in the end, by no means a revolutionary with a rebellious spirit. According to his analysis, Dasan’s theories of reform had merely been ideas in the head of a great daydreamer and lacked the practicability and concreteness of social institutions. Choe pointed out as the philosophical limitations and problems of Jeong’s learning: the absence of reflections on the identity or nature of the inevitable motive power behind changes to objects and institutions; limitations in thought, thus inevitably locating concrete methods for inducing such change in the morality and political decisions of the monarch, or the highest power holder; and an utter failure to turn attention to the rise of new social classes equipped with the capacity for problem solving amidst current contradictions and dangers. Choe thus criticized Jeong: though Dasan had expressed an independent position on politics, morality, and ethics, his political thought as a Confucian, based on the theories of royalism and monarchism, nevertheless had failed to secure a universal and global perspective. Highly praising the view based on the theory of social evolution and the universal orientation toward scientific knowledge exhibited by Jeong’s Giyeron(技藝論, A Theory of Skills), he regretted that ... 20세기 초 사회주의자로 활동한 최익한崔益翰(1897~?)은 유학에서부터 사회주의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사상 편력을 거친 인물이었다. 그는 식민지 시기 정치적 활동이 위기에 봉착하자 언론과 학문, 고전연구를 통해 새로운 활로를 모색했다. 1935년 다산 정약용 서세 백주년 행사와 《여유당전서》 편찬 작업을 계기로 최익한은 민족주의 진영 지식인들─정인보, 안재홍 등─과 교류했고, 정기 간행물에 『여유당전서를 독함』이라는 다산학 비평문을 연재했다. 최익한은 평생에 걸쳐 일관되게 조선의 정통 이념이었던 유교를 비판했고, 이와 달리 서학西學에 대해서는 대체로 우호적인 자세를 취했다. 그는 다산을 실학자로 호명하기 전부터 이미 서학자라고 불렀다. 이것은 최익한이 다산학문의 중요한 연원을 서학, 특히 서양 근대과학에서 찾았기 때문이다. 그는 다산이 서양종교(천주교)와 서양 근대과학을 준별하고, 종교가 아닌 근대의 새로운 과학지식을 주체적으로 활용할 수 있었던 점을 높이 샀다. 최익한은 다산이 과학적이고 합리적인 사유에 기반해서 사회개혁론을 제시하려고 노력했지만, 역사변화의 동력을 이해하지 못하고 새로운 계급의 출현을 전혀 성찰하지 못했다고 보았다. 그는 유학자 정약용이 자기 이론과 주장이 어떤 사회계급과 계층의 이해관계와 목적을 대변하는 것인지 명확하게 인식하지 못함으로써 사유의 한계를 노정할 수밖에 없었다고 평가한다. 최익한은 다산의 유명한 논저들─「원목原牧」과 「탕론湯論」─을 분석하면서 다산이 통치자의 발생 과정을 인민 생활의 필요와 편리, 인민의 선택으로 설명했고 왕권신수설을 반대하였으며, 원칙적으로는 민주제도와 민주주의 정신을 시인했다고 보았다. 그는 다산이 소수 지배층의 권력을 불변적 상수가 아니라 역사적 변혁 과정의 가변적 결과로 간주한 점 자체를 중요한 지적 성과로 인정했다. 하지만 최익한이 보기에 다산은 결국 온건한 사회개량론자였을 뿐, 반역적인 정신을 가진 혁명론자는 결코 아니었다. 그는 다산의 개혁론이 위대한 공상가의 머릿속 관념에 지나지 않으며 사회제도의 실천성과 구체성을 결여했다고 분석한다. 사물과 제도가 변화하는 필연적 동력이 무엇인지에 대한 성찰의 부재, 그러한 변화를 이끄는 구체적인 방법을 최고 권력자인 군주의 도덕성과 정치적 결단에서 찾을 수밖에 없던 사유의 한계, 현재의 모순과 위험 속에서 문제해결의 역량을 갖춘 새로운 사회계급의 출현에 전혀 주목하지 못했던 점 등을, 최익한은 다산학문의 철학적 한계와 문제점으로 지적하고 있다. 최익한은 다산이 정치와 도덕ㆍ윤리 영역에서 자주적이며 주체적인 입장을 피력했지만, 그럼에도 왕정론과 군주론에 기반한 유학자 다산의 정치적 사유는 보편적인 세계적 시야를 확보하지 못했다고 비판했다. 그는 다산의 「기예론」이 보여준 사회진화론적 시각과 과학지식에 대한 보편적 지향을 극찬하면서, 「기예론」에서 보인 이 같은 보편적 시야를 다산이 조선사회 전반에 적용하지 못한 점을 안타까워했다. 말하자면 과학적 신지식에 대한 안목으로 유학자 다산이 군주정과 왕정을 비판하면서 정치적 변혁과 새로운 계급의 출현을 사유하지 못한 점을 비판한 것이다. 유학자로서 다산은 유교의 인륜적 가치와 도덕규범을 믿었고 유교사회를 떠받드는 현인군주의 왕도정치를 이상적 정치체로 지향했다. 따...

      • KCI등재

        청소년의 기업가정신이 자기주도학습과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백민정,권경아,박민서,유홍열 한국경영교육학회 2018 경영교육연구 Vol.33 No.6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s of youth entrepreneurship on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and creativity. [Methodology] For this study, we surveyed 223 students who have studied in a program for the gifted enterprisers and analyzed the relationships among their entrepreneurship, self-direct learning ability and creativity. The data were analyzed with SPSS 21.0 and SPSS Macro Process to identify the effects of entrepreneurship on creativity and self- directed learning ability and the mediator effect of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between entrepreneurship and creativity. [Findings]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and creativity of the entrepreneurial gifted students were affected by their entrepreneurship. Second,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was revealed to function as a mediator in the relationship between entrepreneurship and creativity. [Implications] This study identified the relationships among youth entrepreneurship, self-direct learning ability, and creativity. Based on the results, the importance of entrepreneurship education for youth was discussed. [연구목적] 이 연구는 청소년의 기업가정신이 자기주도학습과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하여 청소년들을 대상으로 실증연구를 실시하였다. [연구방법] 연구 대상은 기업가정신 교육을 받고 있는 중․고등학생 233명이고, 분석 도 구로 SPSS 21.0과 SPSS Macro Process를 사용하여 청소년들의 기업가정신이 자기주도 학습과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 기업가정신과 창의성의 관계에서 자기주도학습 의 매개효과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다. 첫째, 청소년들의 기업가정신은 자기주도학습과 창의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둘째, 자기주도학습이 기업 가정신과 창의성 관계에서 유의한 매개효과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의 시사점] 본 연구는 청소년들의 기업가정신이 자기주도학습과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을 경험적 연구를 통하여 규명함으로써 청소년들이 자기 주도적으로 창의적 사고를 발현시키는데 기업가정신의 중요성을 확인했다는 것에 의의가 있다.

      • KCI등재

        「도산사숙록」으로 본 다산의 퇴계 독법

        백민정 재단법인다산학술문화재단 2022 다산학 Vol.- No.41

        This paper examines the book of Jeong Yag-yong[丁若鏞, 1762~1836, pen name: Tasan(茶山)]’s , Dosansasukrok[The Record of the Learning from Dosan(Toegye)’s Work, 1795]. Tasan was relegated to the small town of Geumjeong, Chungcheongdo because he was involved in the Catholic scandal. Given convoluted political situations, this work has been regarded as an apology for his past or an individual confession. However, as this paper analyzes, in his book, while Tasan honors the character and political demeanor of Yi Hwang(1501~1570, pen name: Toegye), he manifests his distinct philosophical perspective and often negates Toegye’s evaluation of people. These points show that Dosansasukrok should be seen as a book of philosophical criticism. This paper categorizes four issues to which Tasan paid attention in letters in Toegyezib(The Collection of The core method to cultivate one’s mind-heart suggested by Toegye) consists of four parts: (1) Jonyang(Nurturing by protection, 存養), conducted when mind-heart is tranquil; (2) Seongchal(Reflecting on oneself, 省察), conducted when mind-heart responds to concrete events; (3) maintaining Gyeong(sincerity, 敬), and (4) investigating the principle through studying things(格物窮理法). Tasan also emphasizes the endeavor of Gyeong, which is related to the attitude toward virtue cultivation that one should persist both during the presence of events or the absence of events. However, Tasan underscores the importance of active reflection(動察), the volitional and practical cultivation made in concrete human relations and events, while Toegye, who always emphasized Gyeong, but didn’t miss the importance of the cultivation residing in tranquility(主靜). In his 20s, Tasan supported the theory of li(理) and gi(氣) suggested by Yi Yi(1536~1584, Pen name: Yulgok). After his 40s, in his work, Libalgibalbyeon(理發氣發 辨), he pointed out the differences between the theories of Toegye and Yulgok in terms of their referring contents and implication. Intellectual interactions with his relative Yi byeok(李檗) and seminars with King Jeongjo significantly influenced Tasan’s reading Toegye’s theory of li and gi as a kind of the theory of heart-mind, which is related to the difference between human heart-mind(人 心) and ideal(moral) heart-mind(道心). Tasan understood the theory of heart-mind differently from Zhu Xi, and partly adapted the argument of Toegye from his own perspective. However, for Tasan, the human heart-mind and ideal heart-mind have a conflicting relationship as private desires and ethical desires, respectively, while, for Toegye, the ideal heart-mind means the agential power(主宰力) acquired through the cultivation based on Gyeong, which involves the well-organized and transparent perceptive ability to respond to events without prejudices like a mirror. The difference between their methods for virtue cultivation is also reflected in the ways to rejoice in nature-emotion(性情) or nature-spirit(性靈). Toegye recommends a relaxation method that prohibits excessive reading and mental fatigue and enjoys leisure for proper mental rest. However, Tasan worries that Toegye’s relaxation method does not help manage one’s body and heart-mind. Dansan stresses the volitional effort to eliminate selfishness with fierce devotion, partly acknowledging relaxation for nature-spirit only within a limited situation. Consequentially, the part where Tasan was the most sympathetic to Toegye in Dosansasukrok was the principle to engage in and abjure politics and his political demeanor. Tasan was greatly comforted by Toegye’s wise conduct in the face of political difficulties and gained the power to overcome the difficulties of his life. This article explains the difference between Toegye and Tasan in terms of the method of cultivating mind-heart but notes that they also share a common philosophical concern. The reason why Tasan could criticize the theory of Toe... 글은 정약용이 작성한 「도산사숙록」(1795년)의 쟁점을 재검토한것이다. 서학과 천주교 사건에 연루된 다산은 충청도 금정 지역으로 좌천되었다. 당시 복잡한 정세 때문에 흔히 다산의 이 작품은 자신의 과거를 성찰하는 반성문, 개인적 고백록 정도로 이해되었다. 하지만 본고에서 분석했듯이 다산은 퇴계 이황의 인품과 정치적 처신을 존중하면서도 퇴계와 다른 자신의 철학적 관점을 분명히 드러냈고 퇴계의 인물 품평에 대해서 반대하는 이견도 피력하였다. 이런 점에서 볼 때 「도산사숙록」은 일종의 철학 비평서에 해당한다고 볼 수 있다. 본고에서는 다산이 『퇴계집』의 서신들 가운데 주목한 쟁점을 다음 네 가지로 분류했다. 퇴계 심학의 핵심 공부법으로 정시 존양存養과 동시 성찰 공부, 경공부, 격물궁리법을 들 수 있다. 다산도 동정을 관통하는 경 공부를 중시했다. 그러나 퇴계가 경을 말하면서도 항상 주정主靜, 즉 고요할 때의정좌와 존양 공부의 중요성에 주목한 반면, 다산은 동찰動察, 즉 인륜과행사에서 구체적으로 적용되는 의지적이고 실천적인 공부를 중시했다. 다산은 20대에 율곡 이이의 이기설을 지지했고, 40대 이후의 「이발기발변」에서는 퇴계설과 율곡설이 지시하는 내용과 함의가 다르다고 구별했다. 다산이 퇴계의 이기설을 인심도심설로 독해했던 데는 이벽과의지적 교우 그리고 국왕 정조와의 세미나 경험이 중요한 밑거름이 되었다. 다산은 주희와는 다른 방식으로 인심도심설을 분석했고 자신의 관점에서 퇴계의 주장을 일부 수용했다. 다만 다산의 도심과 인심이 윤리적 욕구와 사적인 육체적 욕구라는 대립적이고 도덕적인 의미를 띤데비해 퇴계의 도심, 이 도심의 마음은 경 공부를 통해 확보한 주재력, 즉사태에 거울처럼 허명하고 치우침 없이 대응할 수 있는 중정한 인식능력을 의미했다. 두 사람의 공부법의 차이는 성정 혹은 성령性靈을 휴양하는 방법에서도 드러난다. 퇴계는 지나친 독서와 정신의 피로를 금하고 적절한 정신의 휴식을 위해 여가를 즐기는 이완법을 권고한다. 그러나 다산은 심신을 검속하는 데 퇴계 방식의 휴양법이 도움이 되지 못한다고 우려한다. 다산은 성령의 휴양을 제한된 경우에 인정하면서, 오히려 맹렬히 정진하며 최선을 다해 사심을 꺾어 없애려는 의지적인 노력을 강조한다. 결과적으로 「도산사숙록」에서 다산이 퇴계의 언행에 가장깊이 공감한 부분은 퇴계의 출처 의리와 정치적 행보였다고 볼 수 있다. 다산은 정치적 난관에 직면해서 빛을 발한 퇴계의 지혜로운 처신에서큰 위로를 받았고 자기 인생의 곤궁함을 타개할 수 있는 삶의 동력을 얻었다. 이 글은 심학의 방법에서 퇴계와 다산의 차이점을 해명했지만 그럼에도 이들이 공통된 심학적 문제의식을 공유했다고 본다. 다산이 퇴계설의 어떤 지점과 달라지면서 그를 비평할 수 있었던 것도 심학의 오랜 역사에서 앞선 사상가들의 설을 착수처로 삼아 자신의 사유를 개진할 수 있었기 때문이다.

      • KCI등재

        정약용의 公私 관념과 정치 공공성의 문제

        백민정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2022 民族文化硏究 Vol.97 No.-

        이 글은 다산 정약용의 사유에 나타난 公私 관념과 정치적 공공성의 문제를 분석한다. 그는 인간이 선을 좋아하고 악을 미워하는 윤리적 욕구를 가지며, 부유하고 귀해지려는 정치적 욕구를 지닌 존재라고 보았다. 다산이 주목한 公 개념에는 만인이 함께 가진 도덕적 욕구라는 의미가 있다. 그가 道心이 공적이라고 한 것은 그것이 衆人의 호오, 인민이 함께 가진 公共한 욕구였기 때문이다. 다산이 강조한 정치적 공공성도 다수 인민의 욕구를 적절히 실현한다는 의미를 담고 있다. 그는 제도와 절차를 통해 권력의 상호견제, 역할과 능력에 따른 차등대우가 가능한 국가운영안을 설계했다. 여론에 기반한 목민관의 추대, 상제의 간선, 제명(帝命)을 따르는 관료들의 국왕 견제는 왕정에서 군주의 정치적 공공성을 구현하기 위한 장치로 고안되었다. 그는 인사고과를 받지 않던 재상을 포함한 고위공직자에 대해 엄격한 고적제를 제안했는데, 이는 賢臣의 막중한 책무―제명, 군주방벌, 후대―에 준하는 고강도 평가였다. 다산은 정치적 공공성을 뒷받침하는 심층의 윤리적 공정성에 대해 숙고한다. 그는 민의 호오를 그대로 수용하는 것이 아니라 능력과 공적에 따라 차등적으로 욕망을 충족시킬 방법을 고민한다. 이 대목에서 다산이 인민을 스스로 도덕판단이 가능한 자율적 주체로 상정한 점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그는 예치국가의 군주와 지식인이 자신이 마련한 제도적 공공성을 실현하는 정치 주체라고 가정했다. 그럼에도 다산의 사유에서 공적인 道義之性과 道心을 인지하고 실천하는 주체는 만민으로 상정되었다. 정치적 공공성을 근거 짓는 公의 의미, 공정성을 판별하는 도덕판단의 주체를 民으로 본 것이다. 다산이 만민이 공유한 윤리적 판단의 보편성에 기반해서 정치적 공공성과 공평, 공정의 의미를 어떻게 해명했는지 검토한다.

      • KCI등재

        조선후기 성 관련 범죄의 처벌 규정과 재판 양상―『審理錄』⋅『秋官志』와 『欽欽新書』의 판결 사례를 중심으로―

        백민정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2020 民族文化硏究 Vol.87 No.-

        King Jeongjo’s (正祖) reign (1776-1800) in the 18th century during the latter half of the dynasty likewise saw the active publication, first, of diverse ethics textbooks and didactic books (敎訓書) for the people’s moral awakening. The countless filial children (孝子), loyal ministers (忠臣), and virtuous women (烈女) featured in Oryun Haengsildo (五倫行實圖) demonstrate well the ruling classes’ moral orientation and goals. Meanwhile, the Simnirok (審理錄) and the Chugwanji (秋官志), which include the results of criminal trials conducted by the king and the Board of Punishments (刑曹), enumerate a large number of acts evaluated as ‘immoral’ and ‘unethical’ by the ruling classes. A collection of judicial precedents by Confucian Jeong Yag-yong (丁若鏞, 1762-1836), the Heumheum Sinseo (欽欽新書, New Book on Criminal Law), too, performs similar functions. Analyzing punitive regulations and judicial precedents regarding sex crimes from the latter half of the Joseon Dynasty, this study first examines the relevant legal provisions in the Daejeon Husongnok (大典後續錄), Sugyo Jimnok (受敎輯錄), and Sokdaejeon (續大典), which all include the basic requirements and punitive regulations regarding the establishment of sex crimes. In addition, various cases and trial records not addressed in provisions are analyzed through texts such as the Simnirok, Chugwanji and the Heumheum Sinseo. I examine punitive regulations on sex crimes and analyze the ways in which these regulations were applied to trials because I wish to glimpse, through trials, at the mentality and self-awareness of the ruling classes who were involved in either the legislation or the direct enforcement of such laws. As discussed in detail in the main body of this study, at the time, the king and officials acknowledged acts on the level of ‘[a man] tugging at the hem [of the skirt of a woman other] or sitting across each other [i. e., eating together] at a table (挽裳飯對, mansang bandae)’ as an important requirement for the establishment of the crime of adultery. If so, then when the women involved had not consented to such acts, those acts should have been acknowledged as the requirements for the establishment of the crime of already committed rape (强奸 已遂罪) as well. In this era, women all too easily committed suicide due to insignificant acts on the level of being tugged at their hems by men. In other words, because the act of ‘tugging at the hem or sitting across each other at a table’ was considered to constitute serious adultery, women took their own lives in order to plead in advance their own innocence and sense of the injustice of the circumstances. In the case of adultery, the legislators and law enforcers of Joseon at the time created diverse royal edicts and punished acts on the level of ‘tugging at the hem or sitting across each other at a table’ as the sex crime of adultery. In contrast, as for rape, these figures only clung to provisions in the Daminglü (大明律, Great Ming Code), presenting the interpretation that there was no relevant provision and desisting from strictly punishing the perpetrators. This paper examines problems and inadequacies in the interpretation and implementation of legal provisions surrounding sex crimes in order to glimpse at the contradictory sexual mores and legal judgments of the subjects who legislated such laws. This, above all, can be seen as better reflecting the intimate sexual desires and aspirations of the ruling classes centering on the monarch at the time. If men and women during the latter half of the Joseon Dynasty lived under a cognitive system that was seriously differential toward the crimes of adultery and rape, then, today, South Koreans conversely live in a world where the crime of adultery has been abolished and public attention is directed at the crime of rape. We have also experienced as an important issue whether or not sex... 조선에서는 德과 禮가 정치의 근본이었고, 법과 형벌은 정치의 보조수단으로 간주되었다. 조선후기 正祖 때도 백성의 도덕적 각성을 위한 윤리 교과서, 교훈서들이 활발히 간행되었다. 당시 널리 보급된 교훈서 『五倫行實圖』의 수많은 효자⋅충신⋅열녀들은 지배층의 도덕적 지향과 목표를 보여준다. 한편 국왕과 刑曹의 형사재판을 수록한 『審理錄』과 『秋官志』에는 그들이 부도덕하고 비윤리적이라고 평가한 행위들이 수록되었다. 범죄사건과 재판 기록을 통해 우리는, 도덕과 부도덕의 경계 앞에 선 인간 군상들과 그들의 욕망을, 그 어떤 자료들보다 생동감 있게 잘 살펴볼 수 있다. 정약용의 『欽欽新書』도 비슷한 기능을 갖는다. 조선후기 성 관련 범죄의 처벌 규정과 판례를 분석한 이 글에서는, 성범죄의 성립 요건과 처벌 규정을 담은 『大典後續錄』, 『受敎輯錄』, 『續大典』 등 법조문을 먼저 살펴본다. 법조문에 담지 못한 다양한 사건과 재판 기록들은 『심리록』⋅『추관지』와 『흠흠신서』를 통해서 분석한다. 성 관련 범죄의 처벌 규정을 살펴보고 재판 운영방식을 분석하는 것은, 당시 법 제정과 운영에 간여했던 지배층, 즉 국왕과 관료들의 내면 심리와 모순된 자의식을 엿보기 위해서다. 영조 때부터 ‘차미(옷깃)를 당기거나 밥상을 마주 대하는[挽裳飯對]’ 수준의 행위를 간통죄 성립의 중요한 요건으로 간주하여 국왕 수교로 성문화했다. 그렇다면 이것은 상대방이 원하지 않을 경우, 강간 이수죄 성립 요건으로도 인정될 수 있었을 것이다. 당시 여성들은 옷깃을 잡아당기는 정도의 매우 사소한 행위만으로도 자살했다. ‘만상반대’ 행위가 심각한 간통행위로 간주되었기에, 여성들은 이것이 화간이 아닌 강간임을 하소연하고 자신의 억울함을 표명하기 위해 최후 수단으로 자살을 선택한 것이다. 하지만 명백한 간통죄 성립 요건도 반대로 강간 이수죄 성립의 요건은 되지 못했다. 조선후기 남녀가 간통과 강간에 대한 차등적 인식 체계 속에서 살았다면, 오늘날 우리는 간통죄를 폐지하고 강간죄에 이목이 집중되는 세계에 살고 있다. 和姦과 强奸에 대한 오늘날의 명확한 판단 기준은 무엇일까? 우리는 강간죄를 특수한 성관계가 아닌, 심각한 폭력으로 이해할 인식론적 근거를 갖고 있을까? 간통과 강간의 구별에 민감했던 조선후기 위정자들의 성 인식과 그런 인식의 위력에 직면해 투항하거나 싸웠던 여성들의 체험은, 우리들의 성 인식의 좌표를 되묻고 있다.

      • 대전 지역 6ㆍ25 전쟁체험담 중 아군에 의한 민간인 피해담의 서사 분석과 존재 양상

        백민정 한남대학교 한남어문학회 2022 한남어문학 Vol.43 No.-

        본고는 대전 지역의 6ㆍ25 한국 전쟁체험담을 경험 주체의 성격에 따라 전투체험담 과 민간인 전쟁체험담으로 구분하고, 민간인 전쟁 체험담이 ‘적군에 의한 피해담’과 ‘아 군에 의한 피해담’으로 구분되는 가운데, 이 중 ‘아군에 의한 피해담’을 분석한 논문이 다. ‘아군에 의한 피해담’은 크게 비행기 ‘공습 피해담’과 ‘민간인 학살담’으로 분류된다. 대전 지역은 6ㆍ25 한국 전쟁 중 대전역을 중심으로 한 비행기 폭격의 피해가 큰 곳이 었다. 인민군 점령기 시절에 주로 집중된 비행기 폭격은 인민군을 겨냥한 폭격뿐만 아니 라 오폭 사고도 많이 일어나서 이로 인한 민간인 피해가 매우 컸던 곳이었다. 본고에서 는 이러한 폭격이 민간인들에게 체험되면서 기억되는 일련의 에피소드와 트라우마가 담 긴 담화 유형을 소개하고 분석하였다. 이는 대전 지역민들에게 ‘전쟁=비행기 폭격’이라는 전쟁 인지 공식을 형성케 해주기도 했다. 한편, 대전 지역이 수복 후 인민군들에게 협조했던 사람들에 대한 처형이 주된 담화 의 골자를 이루는 서사 및 산내의 골령골에서 이루어진 대전형무소 수감자들에 대한 대 형 학살 사건을 담은 ‘민간인 학살담’이 대전 지역민들에게 기억되어 구연되는 유형을 분석하였다. 인민군에게 밀고를 해 이웃을 죽게 한 ‘지역빨갱이’들에 대한 적개심도 활 발한 구연 동기가 되고 있는 한편, 억울하게 지역빨갱이로 몰려서 수모를 당한 서사들 도 적지 않게 전승되고 있었다. 대전 형무소 수감자 학살 사건은 흔히 ‘트럭에 실려간 사람들’로 대전 지역민들에게 가장 널리 알려진 사건이다. 이들이 빨갱이라서 죽었다는 당위성보다는 억울한 죽음이었다는 연민이 더욱 강하게 읽혔던 것은, 학살의 규모 즉, 트럭에 실려간 사람들의 수가 너무 많았다는 것이 큰 이유였던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그들 중 빨갱이라는 누명을 쓰고 죽은 사람이 많았다는 연민의 서사, 혹은 인민군들이 죽였다는 와전된 서사가 함께 병존하고 있다. This paper classifies the Korean War experiences in the Daejeon area into combat experiences and civilian war experiences according to the nature of the subject of experience, and civilians’ war experiences are also classified into ‘victimize stories by the enemy’ and ‘victimize stories by friendly forces’. In the middle, this is a thesis that analyzes 'victimize stories by allies’ among them. ‘victimize stories caused by friendly forces’ are broadly classified into ‘victimize stories caused by air raids’ by planes and ‘stories of massacres of civilians’. The Daejeon area was heavily damaged by airplane bombing centering on Daejeon Station during the Korean War on June 25th. During the period of occupation by the People’s Army, the main concentration of airplane bombing was not only targeting the People’s Army, but also a lot of accidental bombing accidents, resulting in great civilian damage. This paper introduces and analyzes a series of episodes and types of discourse containing trauma that are remembered as civilians experience the bombing. This also helped the residents of Daejeon to form a formula for recognizing war: ‘war = plane bombing’. On the other hand, after the restoration of the Daejeon area, the execution of those who cooperated with the North Korean People’s Army was the main focus of the narrative, and the ‘civilian massacre story’, which contains a large-scale massacre of Daejeon Prison inmates in Golryungol in the mountain, was written by the local people of Daejeon. The types that were memorized and narrated were analyzed. The hostility towards the ‘local commies’ who informed Mingun and caused their neighbors to die was also a motive for active storytelling, while not a few narratives that were unfairly accused of being local commies and were humiliated were handed down. The massacre of prisoners at the Daejeon Prison is the most widely known event among the local residents of Daejeon, often referred to as “those who were taken away by trucks.” It seems that the scale of the massacre, that is, the number of people taken by trucks, was a big reason why the pity that the deaths were unfair was read more strongly than the justification that they died because they were Reds. Therefore, it can be found that the narrative of pity that many of them died because they were unjustly accused of being communists, or the erroneous narrative that the North Korean People’s Army killed them coexist.

      • KCI등재

        대전 지역 6·25 전쟁체험담 중 적군에 의한 민간인 피해담의 유형별 서사 분석과 존재 양상

        백민정 어문연구학회 2018 어문연구 Vol.98 No.-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analyze stories of civilians about enemy forces and identify the patterns of such stories existing among description of Korean War in Daejeon Region.‘Enemy’ in this paper refers to the object commonly mentioned by the bearers as the existence that created most painful experience for them under the name of war during the Korean War period. As there is a complicate spectrum in the true identity of enemy found in the narratives , it is difficult to simplify the enemy as the army of North Korea. In addition, coexisting hostility and compassion in the stories well represents the special nature of Korean war as a civil war between same races. It is worth to notice in the narratives that there is no significant hostility against North Korean army, which is currently regarded as the main enemy of South Korea, and extreme hatred and strong compassion against partisans are found at the same time. Hostility of the narrators is mainly toward ‘neighbors wearing an armband’ who cooperated with North Korean army’, rather than North Korean army that occupied Daejeon for two months. ‘Local partisans’ who cooperated with North Korean army as neighbors wearing an arm band were executed as soon as Daejeon was recovered. When local partisan were disappeared, the empty space was filled by ‘new partisans’ and civilians suffered. ‘New partisans’ found in the narratives refer to North Korean soldiers who could not be back to North Korea but remained in South Korea when North Korean army was defeated and retreated. As they hid in a mountain during daytime and plundered a town every night, the narrators showed very strong hostility against them as much as neighbors wearing an arm band. It is very interesting that there are stories about compassion for them, together with strong hostility because the narrators who had similar experience in mountains as refugees during the war might understand their desperation. The main topics of stories about hardships by North Korean army during the North Korean occupation period include forced gathering, forced labor and food robbery. When the narrators gave their stories, they tried to show ‘they reluctantly did by force’ in an exaggerated tone. They tend to strongly appeal what they did during the North Korean occupation period was by force, not voluntary. The life and death of people who live in battlefield as civilians depend on who takes the region they live. People naturally know from their experience of attack and revenge that standing by one side to survive is very dangerous choice in a circumstance that a winner is not yet decided. Therefore, the narratives have the intention to show their honor of not cooperating with partisans by emphasizing their status as helpless civilians sacrificed by treat and force of huge power. It is the thinking of the narrators that we must be friendly to the power that occupies the area where we lives while we must be hostile against the enemy of our occupier. The thinking reflects untreated trauma of people who experienced the war as civilians. 본고는 대전 지역의 6·25 전쟁체험담을 채록한 것을 바탕으로 이 중 적군에 의한 민간인 체험담을 분석하고 이들의 존재 양상을 살펴본 논문이다. 본 논문에서 ‘적’이란 6·25 한국 전쟁 중 전쟁이란 미명하에 실질적으로 민간인을 가장 고통스럽게 했던 존재로써 구술자들이 공통적으로 지목하는 대상을 말한다. 본 담화 내에 존재하는 적군의 실체는 우리가 ‘주적’이라 인지하는 북한 인민군이라고 단순화하기에는 매우 복잡한 스펙트럼의 적이 존재한다. 또한 적에 대한 적개심과 연민이 함께 하는 점 또한 이 전쟁이 동족 간의 전쟁으로서 갖는 특수성을 잘 드러내고 있다. 실질적으로 담화 내에서는 우리가 주적이라 인식하는 ‘인민군’들에 대해서 크게 적대감을 갖고 있지 않다는 점과 빨치산에 대해서는 극단적인 미움과 지극한 연민이 병존하고 있다는 점은 주목할 만하다. 오히려 구술자들의 적개심은 근 두 달간 대전을 점령하다가 쫓겨난 인민군에게보다는, 인민군에게 협조하여 마을 사람들을 괴롭힌 ‘완장 찬 이웃’에 집중되는 경향이 짙었다. 완장 찬 이웃으로서 인민군에게 협조했던 ‘지방빨갱이’는 수복과 동시에 처단되었다. 그리고 그들이 떠난 자리엔 다시 ‘빨치산’이라는 새로운 ‘지방빨갱이’가 등장하여 민간인을 괴롭게 했다. 본 담화 내에서 ‘빨치산’이라 함은 인민군이 북한으로 쫓겨간 이후에는 그들을 따라가지 못하여 남쪽에 남게 된 잔존 인민군을 가리킨다. 이들은 산 속에 숨어 살다가 밤마다 내려와서 민가의 식량과 가축을 약탈해감으로써 민간인에게 피해를 끼친 적으로, 완장 찬 이웃과 함께 ‘지방빨갱이’로 지목될 만큼 적대시되고 있다. 이들은 매우 적대시 되는 한편, 이들에 대한 연민의 서사도 병존한다는 점 또한 특이하다. 전쟁 중 피란을 경험하면서 그들처럼 산속에 숨어 지냈던 경험을 한 민간인으로서 그들이 겪고 있는 절박함을 누구보다도 잘 이해하기 때문이었을 것이다. 인민군 점령기 때 인민군에게 실질적으로 겪었던 고초담으로 등장하는 화소는 강제 집합, 강제노동, 식량 탈취 등으로 나타난다. 구술자들은 이 서사를 구연할 때 상당히 과장된 어조로 ‘하기 싫은데 억지로 했다’는 심정을 드러내는 경향이 강했다. 이는 즉 인민군 점령기 때 자신들이 했던 행위는 자발적인 것이 아니라 강제적이었던 것이었음을 강하게 어필하고자 하는 심리에서 기인하는 것으로 보인다. 민간인으로서 자신의 삶의 터전에서 전쟁을 겪었던 사람들은 어떤 세력이 자신의 터전을 점령하는가에 따라 생사의 운명이 달라질 수밖에 없었다. 전쟁의 승패가 결정되지 않은 상황에서는 민간인으로서 자신의 터전에서 살아남기 위해서는 어떤 세력의 편에 있다는 것이 얼마나 어리석고 위험한 처신인지를 마을 내에서의 보복과 역보복이 반복됨을 목격함으로써 자연스럽게 터득할 수밖에 없었다. 따라서 거대 세력에 의한 협박과 강제에 의해 희생된 힘없는 민간인이었던 자신들의 당시 처지를 강조함으로써, 자신들은 절대 ‘빨갱이짓’을 하지 않았다는 떳떳함을 드러내고자 하는 의도를 가진 서사들이다. 아직까지도 우리의 터전을 점유한 세력에게는 호의적이어야 하고, 이 터전을 점유한 세력의 적을 향하여서는 함께 적대적이어야 한다는 것이 바로 구술자들 내에 있는 적대 의식이다. 이는 곧 민간인으로서 전쟁을 경험한 사람들이 아직까지 치 ...

      • KCI등재

        茶山과 老少論系 학자의 人性論 비교 연구: 茶山 『孟子要義』와 『經史講義・孟子』 세 조목의 條對 내용을 중심으로

        백민정 동양철학연구회 2009 東洋哲學硏究 Vol.59 No.-

        This paper is intended to compare Jôngyagyong with the faction of Lo(老) and So(小) of those days in the interpretation of Maengja. So I should investigate into Jôngyagyong's Maengjayoui(孟子要義) and the dialogues in the part of Maengja of Gyôngsaganguimodes(經史講義). Three issues about the theory of human nature are as follows. Firstly, when Jôngjo(正祖) asked the identity and difference between human nature(人性) and animal nature(物性), most scholars of the faction of Lo and So emphasized the identity of human nature and animal nature, namely Bonyônjisông(本然之性). On the other hand, Jôngyagyong thought human nature and animal nature as different, and the human as having ethical nature, namely Douijisông(道義之性). Secondly, when Jôngjo(正祖) asked the meaning of such phrases as 'Injisilsachin(仁之實事親)' and 'Uijisilsahyông(義之實從兄)', scholars of the faction of Lo and So interpreted Inui(仁義) as root, Hyojei(孝弟) as fruit, and Sagunjeijang(事君弟長) as flower. On the other side Jôngyagyong regarded Hyojei(孝弟) as root, and emphasized such virtues as Inui(仁義) as ex post factor. Thirdly, when Jôngjo(正祖) asked the meanings of JInsim(盡心) and Jisông(知性), most scholars of the faction of Lo and So like Juja(朱子) regarded the Jisông(知性) as the way to JInsim(盡心). On the other hand, Jôngyagyong claimed the opposite. 본 논문은 다산 『孟子要義』 중 현존하는 條對 기록과 정조 『經史講義․孟子』 중에 수록된 老少論系 講員의 條對 내용을 세 가지 조목을 통해 비교한 것이다. 『맹자』「고자․상」 3조의 人物性 문제와 관련해 다산과 다른 강원들은 정조로부터, 이곳의 性은 本然之性인지 氣質之性인지 질문을 받았다. 노소론계 학자들이 대부분 맹자가 말한 인물성은 하나의 본연지성을 가리킨다고 보거나 인물간에 차이나는 서로 다른 본연지성을 의미한다고 답한 반면, 다산은 인물성이 天命에 의해 다르게 품부된 것이라고 보았고 오직 인간만이 道義之性을 가졌음을 강조했다. 이에 따르면 다산은 이미 초년부터 本然・氣質의 이분법을 비판했음을 알 수 있다. 또 「이루․상」 27조와 관련해 정조는 ‘仁之實事親, 義之實從兄’의 의미를 질문했는데, 주희 『맹자집주』를 옹호한 노소론계 강원들은 주희가 仁義를 根으로, 孝弟를 實로, 忠君․弟長을 華로 비유했다고 본 반면, 다산은 孝弟야말로 實이고 인의예지 같은 명칭[名]은 마지막에 이루어지는 덕목이라고 주장했다. 이는 다산이 仁義禮智 내재성을 비판했던 관점이기도 한데, 후년에 노론계 문인 李載毅와 논쟁을 벌일 때도 이 관점이 강조되었다. 한편 다산은 「진심․상」 1조의 ‘盡心․知性’ 문제에 대해서도 다른 강원들과 함께 정조로부터 질문을 받았다. 이에 답한 다산 條對를 보면 마음을 다 실현하는 공부를 먼저 해야 인간의 본성을 이해하게 된다고 주장한 것을 알 수 있다. 그러나 다른 강원들은 格物窮理를 통해 理와 性을 모두 알게 될 때 비로소 마음을 다 실현하게 된다는 『맹자집주』 해석을 옹호했다. 이처럼 다산 『맹자요의』 중 條對만을 따로 보아도, 『맹자』를 둘러싼 다산의 인성론 이해가 당시 노소론계 강원들의 『맹자강의』 답안 내용과 상당히 달랐음을 잘 알 수 있다.

      • KCI등재

        기업영재학생과 일반학생의 기업가정신이 진로결정 자기효능감과 진로성숙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백민정,박민서,권경아 韓國英才學會 2017 영재교육연구 Vol.27 No.3

        최근 사회와 기술의 빠른 발전으로 노동시장에도 많은 변화가 요구되고 있다. 이러한 환경에서 우리 청소년들이 새로운 변화에 유연하게 대처하면서 기회를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진로 교육이 새로운 방향으로 전개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서 기업가정신을 통해 창의성과 도전정신을 바탕으로 사회에 적극적이고 탄력적으로 대처할 수 있는 방안이 마련되어야 한다. 이에 이 연구에서는 청소년의 기업가정신이 진로결정 자기효능감과 진로성숙도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하여 청소년 기업영재들과 일반학생들을 대상으로 실증연구를 실시하였다. 분석을 위하여 SPSS 21.0과 SPSS Macro Process를 사용하여 기업영재학생들과 일반학생들의 기업가정신,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및 진로성숙도의 차이를 알아보고 기업가정신과 진로성숙도의 관계에서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를 분석하였다.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청소년들의 기업가정신은 진로결정 자기효능감과 진로성숙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규명되었다. 둘째, 기업영재학생이 일반학생보다 기업가정신,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및 진로성숙도가 유의미하게 높았다. 셋째, 기업영재학생과 일반학생 모두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이 기업가정신과 진로성숙도 사이에서 유의한 매개효과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는 기업가정신이 청소년들의 진로인식에 영향을 미친다는 점을 규명함으로써 진로교육에서 기업가정신에 대한 교육을 선행하는 것은 바람직한 일이라는 점을 강조하고 향후 진로교육과 연계한 기업가정신 교육을 실시하는데 유용한 자료를 제공할 것이다. This research is design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entrepreneurship upon the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and career maturity of the entrepreneurial gifted students and general students. This paper analyzed the effects of entrepreneurship on career decision-making self - efficacy and career maturity using SPSS 21.0 and SPSS Macro Process to investigate relationship between entrepreneurship and career maturity behavior with the mediating effect of career self-efficacy. 190 the entrepreneurial gifted students and 660 general students participated in the survey. The results of the survey showed significant. First, the results showed that entrepreneurship had a significant effect on career decision-making self - efficacy and career maturity. Second, the entrepreneurial gifted students showed higher scores in entrepreneurship,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and career maturity compared to the general students. Third,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was identified to act as a partial mediator in the relation between entrepreneurship and career maturity for both entrepreneurial gifted and general students group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