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조선 영화비평에서 미국영화의 문제: 1916-1931

        백문임 ( Baek Moonim ) 한국문학연구학회 2016 현대문학의 연구 Vol.0 No.60

        이 논문에서는 식민지 시대 영화비평이라는 글쓰기가 등장하고 정착하던 1925-1931년, 미국영화에 대한 담론이 어떻게 형성되고 전개되었는가 하는 점을 유럽영화 및 소비에트 영화에 대한 담론과 비교하며 분석하였다. 미국영화 담론은 영화비평이 등장하기 전 거의 30여년간 조선의 관객들이 관람해 왔던 영화들에 대한 취향 및 관점과 더불어 그것을 계몽하고 통제하려는 지식인 평론가들의 영화관을 추적하는 데 매우 중요하다. 하지만 현재 조선에 수입, 상영된 외국영화에 대한 기초 정보조차 정리되어 있지 않은 상황이며, 그에 대한 담론화, 이론화 양상에 대한 연구 역시 시작 단계에 있다. 이 논문에서는 식민지 시대 수입, 상영된 외국영화의 목록을 만들면서, 그에 대한 비평이 어떻게 진행되었는가를 분석하였다. 미국영화에 대한 논의에 집중했지만, 늘 유럽영화 및 소비에트 영화의 대타항으로서 미국영화가 담론화되었다는 점에 주목하여, 유럽영화 및 소비에트 영화 담론과의 비교 속에서 그 맥락과 의미를 구성하였다. 1916년 미국 유니버설사가 아시아에 지사를 설치하면서 집중적으로 배급되기 시작한 미국영화는 한때 조선인 극장 상영작의 95%를 점유할 만큼 그 양적인 차원에서 압도적인 존재감을 갖고 있었다. 연극적 성격을 필름에 담은 것으로 인식되었던 유럽영화와 달리 미국영화는 1920년대 초까지는 빠른 편집과 ‘아메리칸 바디` 등 “영화적 특성”을 구현한 것으로 상찬되었는데, 본격적인 영화비평이 등장하는 1925년경부터 식민지 말기까지는 독일영화 및 소비에트 영화와 대조되는 자본주의적 상품으로서 줄곧 비난의 대상이 된다. 이는 1차대전 이후 1920년대 중반까지 유럽에서는 유일하게 미국영화와 경쟁할 수 있었던 독일영화의 부상, 그리고 1928년 영화를 선전 선동의 무기로 규정한 소비에트 중앙위원회의 결의라는 맥락 속에 있는 것이다. 또 조선에서 영화를 ‘예술`로, 그리고 혁명의 무기로 재규정하면서 미국영화의 자본주의적 속성을 비판하려던 지식인들의 계몽전략과 긴밀한 관계 속에서 전개된 논의이다. 토키가 일반화될 때까지 진행되었던 미국영화 담론은 이후 조선의 비평 계에서 영화를 이론적, 실천적, 미학적 대상으로 만드는 게 결정적인 기여를 하게 된다. This paper examines the cinematic discourses on American films during the colonial period from 1916 to 1931, in comparison with those on European and Soviet films. The paper pays attention to several aspects of methodological framework regarding the discursive formation of colonial cinema in Korea. First, it is crucial for researches on American films in colonial Korea to build a list of imported films and to trace the responses to them in various literatures such as reviews and criticisms. Also, the cinematic discourses on American films require to be examined with a comparison to the “artistic status” of European cinema, especially such as German cinema, as well as to the revolutionary feature of Soviet cinema as a model of Socialist film movement. In spite of American films` unequivocal influence on everyday life and sensibility toward Westernization/Modernization process of colonial Korea, filmic discourses from various schools or stages of Korean film history show almost coherent hostility toward American films. There are only a few exceptions of fascination with ‘American body` represented in serial films, novel techniques such as close-up and ‘literary` values in ‘blue bird photoplays` in late 1910-early 1920s. The paper focuses on the formation of the discourses on American films by dividing them into three stages: first, the fascination with serial films and ‘blue bird photoplays,` depicted in early film criticisms and the first film magazine Nokseong (1916-1924); second, the emergence of hierarchy in film criticism that reveals the admiration for European films while devaluating American films with big budget spectacles (1925- 1926); third, the rise of Socialist film movement that actively criticizes Capitalist films` propagandistic features, disregards German films` refined cinematography, and demands for Proletariat films modeled after Soviet films to be produced by Korean film makers (1927-1931).

      • KCI등재

        2010년대 동물화자 소설에 나타난 인간/비인간종(種)의 착종(錯綜) : 「묘씨생」의 자본주의 생태 속 새로운 관계성

        송다금(Dageum Song),백문임(Moonim Baek) 구보학회 2020 구보학보 Vol.0 No.26

        This paper explores how the borders between humans/nonhuman species are deconstructed today through the short stories featuring animal narrators in the 2010s. For this purpose, I critically review the four short stories “Fly, Odin,” “The Moomin is a Vegetarian,” “Today s Origin,” “Confession of Rango” in The Moomin is a Vegetarian and analyze Hwang Jeong-eun’s 2010 short story “Lives of Cats.” Appearance of animal tellers is the rhetorical strategies of anthropomorphism to evade the anthropocentrcism in representation, which are conducive to build the post-human/animal relationship. Above four short stories with animal narrators in The Moomin is a Vegetarian are meaningful in that they not only shed light on animals mobilized for war, animals recognized only as eating in meat-eating, healthy animals that have to end their lives at animal welfare farms, and wildlife displayed at zoos, but also criticise dichotomy between humans/animals. However, these narratives fail of the attempt of changing relationship between ‘superior’ human and ‘inferior’ nonhuman species. This is because in terms of methodology, by presuming dominating/dominant relationship between humans and animals or dichotomously contrasting the properties of vulnerability/cruelty. Eventually, they cannot escape from the dichotomy of animal/human and nature/culture. On the other hand, in “Lives of Cats”, deconstructs the dichotomy between humane human and nonhuman animals, as when a stray cat recounts how he/she and an old man survive by foraging for food in the capitalist environment, but live independently of each other. In addition, “Lives of Cats” differs from other animal novels and animal narrators’ short stories in that it simultaneously pays attention to the life of animals as a specific entity and the alienated humans. With effective use of rhetorical strategies of anthropomorphism, “Lives of Cats” shows possibility of the post-humans/animals even in the tragedy of capitalist environment. This study has significance in analyzing short stories with animal tellers in the context of critical humanism and pointing to the current state of animal discourse today. Through this, my work lays the foundation for academic discussion on fictional narratives with animal narrators and analyzed in detail “Lives of Cats” which has not been discussed in depth in the posthuman context. This study is able to find that it is impossible to find the basis of the existence of animals only in the phenomenon of familyization of companion animals, or to separate humans from the narrative where animals are unilaterally sacrificed in the reality where everything is capitalized and therefore animals and humans are inseparable. Next, the present analysis stresses animal narrators as anthropomorphic strategies is helpful to lower the boundaries between humans and animals. Finally, the old man’s “Becoming-Animals” caught by the cat’s eye of “Lives of Cats” requests readers to think of improving the quality of lives of all kinds of animals in “here and now” social surroundings. 본고는 『무민은 채식주의자』에 수록된 동물화자 소설인 「날아라, 오딘」, 「무민은 채식주의자」, 「오늘의 기원」, 「랑고의 고백」과 황정은의 「묘씨생」을 통해 2010년대 이후 인간과 비인간종의 경계가 해체되고 착종되는 양상을 비교·분석한다. 『무민은 채식주의자』의 동물화자 소설은 전쟁에 동원되는 동물, 육식주의에서 ‘식용’으로만 인지되는 동물, 동물복지농장에서 생을 마감하는 동물, 동물원에 전시되는 야생동물에 주목하고 인간중심주의를 비판했다는 의의가 있다. 이 네 편은 인간과 동물의 관계를 성찰하고 관계 재편을 시도했음에도, 방법론의 측면에서 인간과 동물의 지배/피지배 관계를 전제하거나 취약성/잔혹성이라는 성질을 이분법적으로 대비하고, 동물에 대응되는 자연/인간에 대응되는 인위적 공간의 이분화에서 벗어나지 못함으로써 다시금 인간과 동물을 이분화한다. 반면 「묘씨생」은 자본주의의의 생태환경을 공유하는 가운데 독립적 삶을 영위하는 길고양이와 노인을 등장시키고, 길고양이의 시선으로 ‘동물-되기’를 하는 노인을 포착하게 함으로써 동물/인간의 이분법적 구분에서 벗어난다. 또한 「묘씨생」은 구체적 실체로서의 동물이 처한 삶과 소외되는 인간을 동시에 주목한다는 점에서 여타의 동물소설 및 동물화자 소설과 차이가 있다. 이 연구는 비판적 휴머니즘의 맥락에서 동물화자 소설을 분석하여 오늘날 동물담론의 현주소를 짚음으로써 동물화자 소설에 대한 학술적 논의의 토대를 마련했으며, 포스트휴먼 맥락에서 깊이 논의된 적 없는 「묘씨생」을 상세히 분석했다는 의의가 있다. 이로써 모든 것이 자본화되어 동물과 인간이 분리 불가능한 존재로 착종되고 있는 현실에서는 동물의 존재근거를 더는 반려가족화 현상에서만 찾거나 동물이 일방적으로 희생되고 있는 서사에서 인간을 분리해내는 것이 불가능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말하는 동물’을 도입한 의인화 기법을 잘 활용한 텍스트로서 「묘씨생」은 동물로서의 인간을 취약하게 하는 자본주의의 생태의 비극이 역설적으로 보여주는 가능성을 드러내고, 독자차원의 사유와 실천까지 종용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