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실천적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을 위한 인터넷 포털 뉴스의 담화구조 분석: `구의역 사건`을 중심으로

        김윤경 ( Kim Yunkyoung ),백목원 ( Baik Mokwon ),권순희 ( Kwon Soonhee ) 한국독서학회 2017 독서연구 Vol.0 No.42

        이 연구는 인터넷 포털 뉴스의 제목, 기사, 댓글, 대댓글에 대한 분석을 통해 미디어 주체 간의 소통 양상 및 담화구조 파악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구의역 사건`을 키워드로 하는 네이버 뉴스(2016. 5.28.~6.6.)의 제목 667건, 최다 댓글 제목의 기사문 10편, 각 기사문의 댓글 중 상위 추천 댓글 300편, 그리고 최다 공감 댓글의 대댓글 189편을 추출하였다. 제목과 댓글은 IOEA(정보, 의견, 정서, 행동), 기사는 V2P(목소리, 권력-입장), 대댓글은 2P(권력-입장)의 분석틀로 코딩하였다. 분석 결과, 제목은 정보에서 정서로, 기사는 [약자-비판]에서 [강자-비판] 및 [약자-옹호]로 변화하였다. 반면 댓글은 의견에서 행동으로 변하였고, 대댓글은 처음부터 지속적으로 [강자-비판]으로 그 양상이 나타났다. 이처럼 디지털 시대의 미디어 생산과 소비의 구조는 기존의 일방적인 하향식 관점이 아닌, 미디어 수용주체의 역할이 강화된 상향적 관점, 더 나아가 양방향적인 소통의 담화구조로 보아야 한다. 이 연구의 의의는 첫째, 미디어 담화구조에서 수용자를 적극적으로 비판하고 행동하는 `주체`임을 밝혔고, 둘째, 인터넷 포털 뉴스의 담화구조에 대한 비판적 담화분석을 시도하였다는 점이다. 무엇보다 비판적 관찰자를 기르던 기존의 국어교육 내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에서, 실천적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으로 나아가야 하는 교육의 방향을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국어교육은 물론 미디어 교육에 있어서도 큰 시사점을 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patterns of communication and discourse structures among media agents by analyzing the headlines, articles, comments, and replies regarding news on web portals. For this study, a Korean web portal, Naver(May 28~June 06 in 2016), was utilized to extract 667 headlines with the key phrase the `Guei Station Accident`. Then, the 10 articles that had the highest number of comments, the top 30 comments with the highest number of recommendations for each article above, and the 300 replies to the top 189 comments were analyzed. The headlines and the comments were analyzed with IOEA(Information, Opinion, Emotion, Action), and the articles and replies were analyzed with the analysis frameworks V2P(Voices and Power-Position) and 2P(Power -Position), respectively. The results of the analysis indicated that the headlines presented a tendency to shift from information to emotions, while the articles changed from criticism of the weak to criticism towards the strong and defense of the weak. The comments presented a tendency to shift from opinions to action, whereas criticism towards the strong was continuously shown in the replies from the beginning. This implies that the traditional top-down media structure, where a small number of producers hierarchically disseminate content to the masses, has turned into a discourse structure of bottom-up and, by extension, into a mutual communication that emphasizes the importance of media receivers.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light of the following two facts: firstly, the findings of this study show that the media receiver is the main agent actively criticizing and generating action in the media discourse structure; secondly, this study tries to critically analyze the discourse structure of a web portal. Most of all, this is an important study that paves the way for changing the traditional media literacy in Korean education, whereby a critical observer was simply churned out, to `Acting Media Literacy(AML)` education in which media receivers can become principal agents.

      • KCI등재

        관계 지향의 교사 화법을 위한 국어 교사의 수업 대화 유형 및 특징 연구

        김윤경,백목원,정경화,류선옥,황혜린,임영주,권순희 이화여자대학교 교과교육연구소 2017 교과교육학연구 Vol.21 No.4

        본 연구는 수업 대화에 나타난 교사의 수업 대화 유형을 질적으로 분석하여 유형별 특징을 도출한 연구이다. 10년 이상 경력의 중학교 국어 교사 2명, 고등학교 국어 교사 2명, 총 4명의 교사를 대상으로 2차시씩 총 8차시의 수업을 녹화하면서 참여관찰하였다. 이 수업을 전사, 분석하였다. Saldaña의 1차/2차 주기 코딩 방법에 따라 질적 자료 분석 도구인 Nvivo11을 활용하여 전사 자료를 분석하였다. 분석틀은 수업 대화를 그 목적에 따라 학습 대화와 생활 대화로 나누어 설계하였으며, 학습 대화는 전달-소통의 축으로, 생활 대화는 과업-관계의 축으로 나누어 분석을 진행하였다. 그 결과 4명의 교사 중 2명은 A형(전달-과업 중심), 2명은 B형(소통-과업 중심)으로 나타났다. C형(전달-관계 중심)과 D형(소통-관계 중심)은 나타나지 않았다. A형과 B형 모두 과업 중심의 생활 대화를 나누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우리나라 수업 대화가 과업 중심적 대화가 두드러지는 양상이 있으며 관계 중심적 대화가 현격하게 부족하다는 것을 입증하는 결과이다. 교육의 궁극적인 목표는 교사를 매개로 한 학생과 세계와의 인격적 만남이므로, 관계 지향의 교사 대화법이 이루어져야 한다. 앞으로 교사 대화법의 개선을 위한 연구와 실천이 병행되어야 할 것이다. This study is qualitative analysis of the types and characteristics of the teachers’ in-class conversation methods. A total of 8 classes of 4 Korean language teachers − 2 middle school teachers, and 2 high school teachers − that have more than 10 years of experience were recorded and observed. Their classes were then transcribed and analyzed. According to Saldaña’s first and second cycle coding, this study used the qualitative data analysis tool Nvivo11 to qualitatively analyze the collected data. In addition, the conversations during class were divided into learning conversations and living conversations according to their purpose. The learning-related conversations were then analyzed by the delivery–communication axis while the living conversations were analyzed by the task-relationship axis. As a result, 2 out of the 4 teachers were found to be Type A (delivery-task) and 2 were Type B (communication-task). No one belonged to Type C (delivery-relationship) and Type D (communication-relationship). Most of the high school teachers belonged to Type A while the middle school teachers belonged to Type B. Both Types A and B were found to have living conversations focusing on tasks, and such results prove that conversations during class tend to be task-focused, which conversely evidences a significant lack of relationship-focused conversations in Korea. As the ultimate goal of education is to help students form a personal relationship with the world with the teacher acting as a medium. This study thereby argues that teachers should use more relationship-oriented conversations in the classroom. In the future, more research and action should go hand in hand to improve teachers’ class convers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