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新羅 嘉俳의 정치성-위계질서와 성역할의 재생산-

        백동인 한국고대사탐구학회 2019 한국고대사탐구 Vol.32 No.-

        This article newly interpreted the background of the emergence of Gabae, the most important holiday in Silla, and examined the meaning of Gabae and its periodic changes. According to Samguksagi, King Yu-ri(儒理尼師今) changed the name of six-bu(部), instituted a official rank system, and made Gabae in the ninth year of his reign. It is difficult to believe the records as they are, but we can judge that Gabae is related to political and administrative reform. The joint labor in Saro six-chon(村) was converted into Gabae, a national rite overseen by princesses. Princesses supervised weaving and led the Gabae rite, just as queens acted as priests or encouraged farming. As a result, a strong hierarchy may have been established between princesses and powerful women of six-bu. ‘The setting up of the area’ for the princesses and the ‘separation of hierarchy’ between queen, princesses, and six-bu women have aspects that connect with the administration of bu and the official rank, respectively. The origin of the local government and the official rank system in Silla was ritual. Similar changes were believed to have occurred in male-dominated activities at the time, which later led to the creation of the official rank system. Other than women participating in the weaving match, Silla people also celebrated Gabae in their own way. In particular, male bureaucrats shot bows in front of king and won prizes for horses and textiles. The weaving match and archery were festivals only for women and men, respectively, and all involved the intentions of king. Therefore, the two festivals reflect the order the Silla Dynasty demanded for women and men. Silla called for women to make economic contributions through farming and handicraft, and men to win the war. Women’s achievements were not rewarded by society, but men were rewarded by king for their ability and achievement. This is because the constant war between the three kingdoms encouraged women to remain nameless producers at home and men to fight for their country. After unification, new memories were laid over on Gabae, and some Silla people recognized the origin of Gabae as a victory for Goguryeo. Although Gabae began under the king’s political intentions, we can see that its content and meaning continued to change and expand. 본고는 新羅에서 가장 중요한 명절인 嘉俳의 출현 배경을 새로이 해석하고, 가배에 담긴 의미와 그 시대적 변천을 살핀 글이다. 『三國史記』에 의하면, 儒理尼師今 9년에 6部의 이름을 바꾸고, 官等을 설치하고, 가배를 시작했다고 한다. 사료를 있는 그대로 믿기는 어려우나, 가배가 정치・행정 개혁과 관련이 있다는 점을 가늠할 수 있다. 가배는 村에서 발생한 공동 노동을 왕녀가 감독하게 함으로써 국가적인 의례로 개조한 것이다. 왕녀는 妃가 사제 역할을 하거나 권농 활동을 하듯이, 자신이 맡은 구역에서 길쌈을 감독하고, 가배 제사를 주도했다. 그 결과, 왕녀와 6부 토착의 유력자 여성 사이에 공고한 위계질서가 구축됐으리라 보인다. 왕녀가 담당할 ‘구역 설정’과 비-왕녀-6부 여성 사이 ‘위계 분화’는 각각 6부 행정, 관등과 통하는 측면이 보인다. 신라에서 지방 통치 및 관등 제도의 기원이 의례였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당시에 남성이 주도하는 활동에서도 비슷한 변화가 발생했으리라 추측되며, 이런 조치가 훗날 관등 제도의 단초가 되었을 것이다. 길쌈놀이에 참여하는 여성 외의 신라인들도 각자의 방식으로 가배를 쇠었다. 특히 관리 남성은 왕 앞에서 활을 쏘고, 말과 布를 상으로 받았다. 길쌈놀이와 활쏘기는 각각 여성과 남성만을 위한 축제였고, 모두 왕실이 개입하였다. 따라서 두 축제는 신라 사회가 여성과 남성에게 주문한 질서를 반영한다고 볼 수 있다. 신라는 여성에겐 농업・수공업 생산을 통한 경제적 기여를, 남성에겐 군사적 성취를 요구했다. 여성의 성과는 사회로부터 보상을 받지 않았으나, 남성은 왕으로부터 능력과 성취에 따른 상을 얻었다. 三國 사이 끊임없는 전쟁이 여성에게는 가정에서 이름 없는 생산자로 남도록, 남성에게는 국가를 위해 싸우도록 부추긴 결과로 보인다. 통일 이후에는 가배에 새로운 기억이 덧씌워졌고, 가배의 유래가 高句麗에게 거둔 승리라고 인식하는 신라인도 있었다. 왕실의 정치적 의도 아래 시작된 가배였지만, 그 내용과 의미가 계속 변화하고 확장되었음을 알 수 있다.

      • KCI등재

        고려 하가(下嫁) 의례의 구성과 특징

        백동인 한국사상사학회 2022 韓國思想史學 Vol.- No.72

        This article compared the wedding ceremony of Goryeo princess with that of China, and analyzed the way Goryeo changed Confucian rituals. The wedding ceremony of princess in Goryeo is summarized in Goryeo History( 高麗史 ). The source of this record is likely to be Sangjeonggogeumrye( 詳定古今禮 ) compiled in the period of King Uijong(毅宗), and its contents were greatly influenced by Zhenghe New Five Ceremonies( 政和五禮新儀 ), the representative ceremony books of Song dynasty. The wedding ceremony of princess in Goryeo History is much simpler than those of Kaiyuan Ritual Code( 大唐開元禮 ) and Zhenghe New Five Ceremonies, eliminated all five stages of wedding ceremony except bride bringing(親迎). The ritual between princess and her parents-in-law was renamed as a bowing ritual, not a meeting ritual. Another royal wedding in Goryeo History, the wedding of Crown Prince also omitted five stages, but proposal(納采) and fixing a date(請期) seem to have existed in their own way. However, by changing the name of bride bringing toCrown Princess’s entrance, Goryeo History showed a different perspective from China on bride bringing. Since this book did not deal with other royal weddings, it can be said that the wedding ceremony of princess was treated very exceptionally. Moreover, the procedure for sending envoys after other royal weddings was stipulated to be the same as that of princesses, making the wedding ceremony of princess the standard for royal weddings. Goryeo was unable to follow the six stages of wedding due to the customs of endogamy and matrilocal residence. Since patriarchal clan(宗法) and ancestral shrine(禰廟) were not established in a Confucian way, the wedding ceremony became an event for parents and relatives, not ancestral shrine. Princess couples went through the bride bringing procedure, but did not fully embody the ethics of a wife following her husband(夫唱婦隨) and lived in palaces of princesses. However, the Goryeo royal family actively practiced acts related to filial piety. The giving advice with alcohol(醮戒) in which a father ordered his son to marry followed almost the original ritual. Although the Goryeo people did not greatly sympathize with the Confucian value that marriage was a solemn generation change ritual, there was a three-day interval between weddings and banquets. The wedding ceremony in Goryeo History shows many traces of adjusting the details to suit the situation and needs of Goryeo. In the case of the Song Dynasty, the rules of Zhenghe New Five Ceremonies and actual rituals were very different. It can be seen that Sangjeonggogeumrye reflects many worries and experiences and contains contents optimized for practice. 본고는 고려 하가(下嫁) 의례를 중국의 것과 비교하여, 고려가 유교 의례를 변용한 방식을 분석했다. 고려 하가 의례의 규정은 고려사 예지(禮志) 공주하가의(公主下嫁儀) 항목에 정리되어 있다. 원전은 고려 의종(毅宗) 대에 편찬한 상정고금례(詳定古今禮) 가 유력하며, 그 내용은 송의 대표 예전(禮典) 정화오례신의(政和五禮新儀) 의 영향을 많이 받았다. 고려사 공주하가의는 대당개원례(大唐開元禮) ・ 신의 하가보다 절차가 훨씬 간략했으며, 특히 육례 중 친영을 제외한 오례를 모두 삭제했다. 공주와 시부모 사이 의례는 뵙는(見) 의례가 아닌 절하는(拜) 의례로 개칭했다. 또 혼례 후 사신 파견을 중요한 절차로 다루었다. 고려사 예지의 다른 왕실 혼례인 왕태자 납비 역시 오례를 생략했으나, 납채・청기 절차는 나름대로 존재했던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친영을 비입내(妃入內)로 개칭하여, 친영에 대해 중국과 다른 관점을 보였다. 고려사 예지는 이외의 왕실 혼례를 다루지 않았으므로, 하가 의례는 매우 예외적으로 취급되었다고 할 수 있다. 더욱이 다른 왕실 남성의 납비 이후 사신 파견 절차는 하가와 똑같이 하도록 규정하여, 하가를 왕실 혼례의 표준으로 삼았다. 고려는 족내혼・남귀여가 풍속 때문에 육례를 그대로 따를 수 없었다. 종법 질서와 니묘(禰廟)가 자리 잡지 못했기 때문에, 혼례는 종묘가 아닌 부모와 친척을 위한 행사가 되었다. 친영 절차를 밟았으나, 부창부수를 충실히 구현하지 않았고, 부부는 공주궁에 거주했다. 하지만 효행과 관련 있는 절차는 적극적으로 실천했다. 아버지가 아들에게 혼례를 명령하는 초계는 본래의 의례를 거의 그대로 따랐다. 혼례가 엄숙한 세대 교체의 의례라는 유교적 가치관에 크게 공감하지 않았음에도, 혼례와 연회 사이 3일의 말미를 두었다. 고려사 공주하가의는 이렇듯 고려의 실정과 필요에 맞게 세부 사항을 조정한 흔적이 여럿 보인다. 송의 경우, 신의 의 규정과 실제 의례가 크게 달라 대조가 된다. 고려의 상정례 는 많은 고민과 경험을 반영하여 실천에 최적화한 내용을 담았음을 알 수 있다.

      • KCI등재

        원로에서 王弟로-新羅 麻立干期 葛文王의 자격과 위상

        백동인 한국고대사탐구학회 2023 한국고대사탐구 Vol.45 No.-

        본고는 新羅 麻立干期에 王弟 葛文王이 등장했음을 논증하고, 마립간기 국정 및 왕실의 특징과 함께 그 의미를 분석했다. 다른 시대에 비해 마립간기는 어떤 기준으로 갈문왕을 봉했는지 불분명하여 전후 맥락을 함께 살필 필요가 있다. 昔氏 尼師今期 갈문왕의 존재 양상을 검토한 결과, 갈문왕 제도가 매우 불안정하게 운용되었음을 확인했다. 朴氏 이사금기에 갈문왕은 가장 중요한 조력자인 國舅를 높이는 칭호였다. 그러나 석씨 이사금들은 장인이 아닌 아버지나 외조부를 갈문왕에 봉하여 자신의 정통성을 강화했다. 갈문왕 제도의 변화는 논란을 수반했고, 석씨 이사금기 들어 갈문왕의 수가 눈에 띄게 줄어들었다. 석씨 이사금기의 특징은 왕이 자신의 이익을 위해 갈문왕 제도를 거듭 개조했다는 점이다. 마립간기의 첫 갈문왕들인 期寶葛文王(卜好)・巴胡葛文王(未斯欣)은 왕제・국구 두 조건에 모두 부합하여 언제 어떻게 갈문왕이 되었는지 파악이 어렵다. 하지만 국구 갈문왕은 석씨 이사금기부터 명맥이 끊긴 상태였다. 또한 至都盧葛文王이 국정에 활발히 참여했다면, 이미 정치에 참여하는 왕제 갈문왕이 존재했어야 한다. 따라서 복호・미사흔은 訥祗麻立干의 동생으로서 갈문왕이 된 것이다. 하지만 눌지마립간 대의 왕제 갈문왕은 中古期 立宗葛文王처럼 왕에 버금가는 권력자는 아니었다. 후대에 왕이 上大等을 두듯, 이사금들도 다른 2인자에게 국정을 위임했다. 이사금기의 2인자는 연륜과 덕망을 갖춘 원로로서 당대의 가치관에 부합하는 존재였다. 하지만 마립간들은 연장자 우대의 전통보다 혈통을 중시하며 부자 계승을 지향했으므로, 재상급인 인물에게 국정을 위임하지 않았다. 대신 가까운 친족을 우대하며 김씨 왕실의 위상을 강화했고, 그 일환으로 왕제 갈문왕이 출현했다. 당시 왕제 갈문왕은 2인자는 아니었으나, 외국에서 체류한 경험을 살려 외교 및 문물・제도 도입에 이바지했다. 복호가 장수하여 3대의 마립간을 모시면서, 복호 개인과 갈문왕 지위의 위상이 성장했다. 특히 炤智麻立干代에 국정을 위임받으면서 갈문왕이 거주하던 沙梁宮이 政事堂의 정치적 기능을 흡수했다. 그 후광을 입어 지도로갈문왕 이후 왕제 갈문왕들은 강력한 沙喙部 갈문왕으로 올라섰다. This article argued that brother Galmunwangs(葛文王) appeared in the Maribgan(麻立干) era and analyzed its meaning along with the characteristics of state affairs and royal family during this period. Compared to other eras, it is unclear in what criteria Galmunwangs were installed in the Maribgan era, so it is necessary to examine the context before and after. As a result of reviewing the existence of Galmunwangs during the Seok Isageum(尼師今) era, it was confirmed that the system of Galmunwang was operated very unstable. At first, Galmunwang was a title that favored king’s father-in-law, the most important helper. However, Seok kings strengthened their legitimacy by appointing their father or grandfather, not their father-in-law, as Galmunwang. Changes in the Galmunwang system were accompanied by controversy, and the number of Galmunwangs decreased noticeably at this time. The characteristic of Seok Isageum era is that the kings repeatedly renovated the Galmunwang system for his own benefit. The first Galmunwangs in the Maribgan era, Bokho(卜好), Galmunwang Kibo(期寶葛文王), and Misahun(未斯欣), Galmunwang Paho(巴胡葛文王), met both the requirements of a king’s brother and father-in-law, making it difficult to determine when and how they became Galmunwangs. However, father-in-law Galmunwang had been out of existence since the Seok Isageum era. In addition, if Galmunwang Jidoro(至都盧葛文王) actively participated in state affairs, there should have been brother Galmunwangs, who already participated in politics. Therefore, Bokho and Misahun became Galmunwang as the younger brother of King Nulji(訥祗麻立干). However, Galmunwangs of King Nulji era would not have been as powerful as Galmunwang Ipjong(立宗葛文王) of the mid-ancient period(中古期). Just as the king had a chancellor in later generations, Isageum delegated state affairs to another second-in-command. During the Isageum era, the second-in-command was a senior with years of experience and fame, and was in line with the values of the time. However, the Maribgans did not delegate state affairs to chancellors because they valued lineage over the tradition of preferential treatment for the elderly and aimed for the father-son succession. Instead, the kings strengthened the status of Kim's royal family by giving preferential treatment to close relatives, and as part of that, brother Galmunwangs appeared. At that time, brother Galmunwangs were not in the position of second-in-command, but they contributed to diplomacy and the introduction of culture and systems by taking advantage of their experience of staying abroad. As Bokho lived a long life and served three generations of kings, the status of Bokho individual and Galmunwang grew. The palace of Saryang(沙梁宮) where Galmunwang lived absorbed the political functions of political affairs hall(政事堂) as he was entrusted with state affairs during the reign of King Soji(炤智麻立干). With that halo, Galmunwangs became powerful Galmunwangs of Sahwe(沙喙部) from Galmunwang Jidoro.

      • KCI등재

        新羅 炤知麻立干의 神宮 설치와 親祀

        백동인(Baek, Dong-in) 신라사학회 2018 新羅史學報 Vol.0 No.42

        新羅神宮의 설치 시기에 대해서는 ≪三國史記≫ 新羅本紀에는 炤智麻立干代(479~500)로, 祭祀志에는 智證王代(500~514)로 다르게 서술된 탓에 무성한 논의가 있었다. 현재로서는 신궁의 최초 설치는 소지마립간 대에, 제도적 정착은 지증왕 대에 이루어졌다는 것이 우세한 견해이다. 본고에서는 이와 같은 견해를 수용하여, 신궁의 설치부터 첫 親祀까지 과정을 검토하였다. 신궁은 기존의 최고 祭場이었던 始祖廟와 비교했을 때, 시조 赫居世가 갖는 天神의 면모를 강조하고, 왕을 비롯한 소수의 역할과 주도권을 강화하는데 최적화된 형태였다. 또한 제장과 제사를 설계하는 데 있어서 외래의 선진적인 문물과 기술을 활용하였다. 즉 신궁은 전반적으로 시조묘보다 발전한 형태의 제장이었지만, 이국적인 성격이 강하고, 왕 중심으로 설계되었다. 따라서 시조묘에 익숙한 신라인들의 반발을 살 소지가 적지 않았다. 射琴匣설화를 통해 실제로 신궁의 첫 친사가 반대에 부딪쳐 좌절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다. 기존에는 사금갑 설화가 토착신앙과 불교의 대립이 정치적 갈등과 중첩된 사건을 바탕으로 한다는 견해가 지배적이었다. 하지만 신궁 설치가 야기한 갈등은 토착신앙과 불교 사이의 문제가 아니라 토착신앙을 기반으로 한 국가제사 내에서 전통적인 시조묘와 외래 요소를 가미한 신궁을 둘러싼 갈등이었다. 전통적인 시조묘 제사를 지지하던 세력이 신궁친사에 반발하였고, 그 결과 親王세력인 善兮夫人과 內殿焚修僧이 희생된 것이다. 소지마립간이 신궁 친사에 성공한 때는 설치 8년 후인 소지마립간 17년이었다. 소지마립간은 사금갑 사건이 발생한 후 불교·지방 세력과 거리를 두었다. 또한 반대 세력에 강경한 대응을 하지 않고, 타협적인 태도를 취했다. 대신 소지마립간은 자연재해에 대한 대응으로 救恤과 같은 현실적인 사후처리가 아니라, 재해 발생의 원인과 왕의 역할을 강조하며 천신 제사의 필요성을 주장하는 우회적인 방법으로 신궁 친사를 추진하였다. 그 결과, 소지마립간은 8년 만에 신궁 친사를 실행하였다. 소지마립간이 반대 세력과 타협한 결과, 지증왕 대에는 왕실 세력이 확장되었고, 국가 제도의 정비가 더욱 활발해졌다. 이와 같은 변화를 바탕으로 지증왕 대에 신궁의 ‘創立’, 즉 제도적 정착을 이룬 것이다. There has been an endless discussion of when the Singung(神宮, palace of god) of Silla was established because Samguksagi suggests two points; Sillabongi of Samguksagi points King Soji’s reign(479~500) while Rituals of the same book points King Jijeung’s reign(500~514). At the moment the prevailing view seems to that the Singung was established during King Soji’s reign at first and institutionalized during King Jijeung’s reign. This article embraced that view and studied changes of the Singung from the establishment to the first ancestral ritual. The Singung highlighted the progenitor Hyeokgeose’s divine character and was optimized for an improvement on king’s role and leadership in rituals in comparison with the Sijomyo(始祖廟, royal tomb of the progenitor). In addition, exotic and advanced culture and technique was utilized to design the Singung and its rituals. Thus the Singung was more sophisticated than the Sijomyo, but exotic and King-centric. Therefore, there was high probability that those who was used to Sijomyo resist. The tale of ‘shoot the geomungo case’ implies that the first ancestral ritual at the Singung was cancelled because of strong opposition. The prevailing view is that this tale was based on an incident entangled with political and religious conflicts: among political groups and between indigenous religion and Buddhism. However, the conflict surrounding the Singung was not between indigenous religion and Buddhism, but between the orthodox Sijomyo and the unorthodox Singung within indigenous religion. Those who backed the Sijomyo opposed Singung rituals, and madam Seonhye(善兮夫人) and a royal bhikkhu(內殿焚修僧), King Soji’s supporters, became victims of this conflict. The first time King Soji succeeded in Singung ritual was the 17th year of his reign after eight years from the establishment. King Soji put distance from Buddhistic and local groups after the incident in the tale of ‘shoot the geomungo case’ Furthermore, he took a conciliatory attitude toward the counterforce, not a strong measure. Instead, he pushed forward the Singung ritual in a roundabout way; he stressed the importance of heaven rituals(祭天) and his role in it to prevent natural disaster. Consequently, he accomplished the Singung ritual. As a result of his compromise with counterforce, the royal family expanded and reorganization of national system got more activated. The institutional ‘Foundation’ of the Singung was completed during King Jijeung’s reign based on such changes.

      • KCI등재

        阿老에서 宮主로 - 新羅 麻立干期 왕실과 宮主 -

        백동인(Baek, Dongin) 한국고대사학회 2022 韓國古代史硏究 Vol.- No.105

        본고는 宮主 칭호의 사용 배경을 麻立干期의 시대적 필요 속에서 탐색했다. 궁주는 궁을 소유한 新羅·高麗 왕실 여성을 일컫는 칭호다. 기록에 나타나는 최초의 궁주는 불교 초전 설화 속 成國宮主와 射琴匣 설화 속 궁주다. 두 사람은 마립간기 佛敎 설화에 등장한다는 특징을 공유한다. 궁주 칭호가 마립간기 및 불교와 연관이 깊음을 암시한다. 기존에 성국궁주는 실제 궁주가 아니라 고려인의 인식을 투영해 윤색한 표현으로 간주되었다. 그러나 성국궁주가 등장하는 『수이전』의 인명 표기가 원본을 더 잘 보존한 것으로 보인다. 성국궁주는 초기 전승에서 불사의 후원자로서 阿道·墨胡子보다 더 중요한 위치를 차지했고, 그만큼 신라 불교사에서 중요한 인물이다. 사금갑 설화 속 궁주는 炤知麻立干의 妃 善兮夫人이다. 선혜부인은 智證王의 누이이자 卜好의 딸이며, 성국궁주는 선혜부인의 어머니 혹은 이모이다. 선혜부인과 그 가까운 친족은 마립간기 불교 수용 및 제사 개혁을 주도했다. 특히 선혜부인은 불당에서 향을 사르는 승려와 가깝게 지내다 사건에 연루되는 등, 성국궁주를 이어 왕실 불교를 지탱하는 역할을 수행했다. 두 사람의 행적을 마립간기의 여러 상황과 함께 살펴보면, 궁주의 역할을 이해할 수 있다. 이사금이 연장자를 우대하는 전통에서 유래한 왕호라면, 마립간은 위계질서를 중시하는 왕호다. 이사금기는 왕위 계승에 나이와 공적이 중요하게 작용했으나, 마립간기는 대체로 부자 계승을 준수했다. 이런 흐름에 발맞추어 정치·제사 분야도 변화가 필요했다. 시조묘를 정점에 둔 이사금기 제사는 阿老, 즉 왕비·왕모가 주도했으나, 이 역시 폐기해야 할 유습이 되었다. 마립간들은 神宮 제사와 불교 등을 통해 제사 분야의 변화를 모색했고, 기존에 제사를 관장하던 왕실 여성이 그 과제를 수행했다. 그러나 스스로 시조묘 제사를 주관한 아로와 달리, 승려를 후원하고 관리하는 후원자로 성격이 변화했다. 종교적 능력이 아닌 경제력이 왕실 여성의 핵심적인 권력으로 떠오르면서, 그들의 경제력을 드러내는 칭호를 사용하게 되었다. 궁주는 그가 소유한 궁과 부속 재산을 이름이자 지위로 삼은 칭호였다. 이후의 궁주·택주들 역시 불사 후원과 같은 경제 활동을 통해 역사에 이름을 남길 수 있었다. This article investigated the use of Gungju(宮主, palace owner) titles through the characteristics and demands of the Maribgan(麻立干) era. Gungju is a title referring to royal women of Silla and Goryeo who own palace. The first ones in the records are Seonggukgungju(成國宮主) in Buddhist tales and one in the tale of ‘shoot the geomungo case’. The two share the characteristics of appearing in Buddhist tales of the Maribgan era. It implies that the title of Gungju is deeply related to the Maribgan era and Buddhism. Previously, Seonggukgungju was regarded as an embellished name by projecting Goryeo people’s perceptions, not actual Gungju. However, it was found that the name notation of Suijeon(『殊異傳』) featuring Seonggukgungju preserved the original better. Seonggukgungju, a Buddhist supporter occupied a more important position than monks in the early transmission, and it can be said that she is an important person in the history of Silla Buddhism. The Gungju in the tale of ‘shoot the geomungo case’ is Madam Seonhye(善兮夫人), the spouse of King Soji(炤知麻立干). She is King Jijeung(智證王)’s sister and Bokho(卜好)’s daughter, and Seonggukgungju is her mother or aunt. Madam Seonhye and her close relatives led the acceptance of Buddhism and the reform of ancestral rites in the Maribgan era. She played a role in supporting royal Buddhism following Seonggukgungju, and was involved in the incident because of staying close to a Buddhist monk who burned incense. We can understand the role of Gungju by examining the actions of the two together with various situations in the Maribgan era. While Isageum(尼師今) is a title derived from the tradition of preferential treatment for seniors, Maribgan is a title that values hierarchical order. In the Isageum era, age and achievements played an important role in the succession of the throne, but in the Maribgan era, the hereditary system was generally observed. In line with this trend, the fields of politics and rituals also needed to change. The ancestral rites of the Isageum era, including Sijomyo(始祖廟, royal tomb of the progenitor), were led by queen Aro(阿老), but this was also a custom that should be discarded. Kings sought changes in the field of rituals through Singung(神宮, palace of god) and Buddhism, and royal women who had previously been in charge of ancestral rites led the change. However, unlike Aro who organized ancestral rites by herself, their personality has changed to sponsors who manage monks. As economic power, not religious power, emerged as the core power of royal women, titles that revealed their economic power were used. Gungju was named after her palace and its affiliated property. Since then, Gungju and Taekju(宅主, mansion owner) have been able to make their names in history through economic activities such as Buddhist sponsorship.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