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죽음, 그 이전과 이후에 대한 고찰

        백도수(Paek Do-su) 한국불교상담학회 2018 불교상담학연구 Vol.12 No.-

        초기불교는 죽음에 대해 죽음과 결합된 다양한 용어를 사용하였다. 본 논문은 죽음의 이전과 이후에 대해 불교적 의미와 진행과정 그리고 그 수행과 죽음치유에 대해 다룬다. 죽음 이전은 생, 노와 같다. 생노를 고통으로 간주하고 생에 방일하지 말 것을 강조한다. 생노를 두 가지 즉 무상, 무아, 고, 변화에 속하는 것으로 보는 것과 이해해야 하고 극복해야 하고, 벗어나야 할 것으로 파악한다는 점이다. 그래서 생노에 집착해서는 안된다. 죽음의 순간은 윤회와 관련한 세간의 죽음과 수행과 관련된 출세간의 죽음으로 구분한다. 육장, 유가사지론 등에서 윤회하는 과정에서의 죽음과 죽음의 모습을 다루고 있으며, 성스러운 죽음은 『장로니게』 주석, 『법화경』 등에서 보면 당시 아라한이 된 수행자, 붓다 등에서 엿볼 수 있다. 죽음 이후의 진행은 죽은자의 관점과 죽은 자와 연관된 일 즉 타행으로 구분할 수 있다. 그래서 죽은 자와 관련된 이를 위해서는 죽음 이후의 치유가 중요하다. 불교에서는 그 대안으로 수행적 치유와 불교의례를 치유에 대해 논의하고 방법론을 찾아가야 할 것이다. 불교에서는 죽음은 배움의 대상이자 수행의 대상, 치유의 대상으로 극복해야 할 것으로 보아야 한다. Early buddhism had used vanous terms related to death. This thesis deals with buddhist meaning and process of death and buddhist practical and ritual healing about before and after death . Before death should be called birth and old age. It was emphasized in Buddhism that we should regard birth and old age as suffering and be not lazy in our living. We could look upon birth and old age as impermanence, No Self, Pain and Belonging to Change and as understanding and overcoming, removing birth and old age. Therefore we should not attach to them. The moment of death divided into mundane death connected with Samsara and supermundane death related with buddhist practice. In buddhist Discipline and Yogacarabhumi etc, Death and its process was dealt with in detail. We could see supermundane death of Arhat and the Buddha in Theragatha s commentary and the Lotus Sutra etc. T h e process of after death could divide the Aspect of the dead and the act connected the dead. A s a result of that, it is very important for us to heal after death in order to help the remainder related with the dead. We should study methods on buddhist practical and ritual healing in regarding death in Buddhism as the object of learning, practicing, healing and overcoming.

      • 소리명상의 불교적 기반과 적용

        백도수 ( Paek Do-su ) 한국밀교학회 2023 불교학밀교학연구 Vol.3 No.-

        본 논문은 불교경전을 통해 제법관계, 소리종류 그리고 소리복합어를 파악하여 소리명상 토대와 활용방안을 제시하는 데 주안점을 두었다. 소리는 구업 관련 계율, 바른 말과 그릇된 말, 나와 세계에 관한 귀, 소리, 청각의식, 초월적인 귀, 듣는 수행, 이구지, 염불, 구밀, 예경, 범패 등과 관련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소리의 종류는 생명체와 사물 이외에도 시간, 장소, 가르침, 구업에 관련된 다양한 소리가 있음을 밝혔다. 특히 불교와 관련된 사성제, 팔정도, 사념처의 소리 등이 있음이 일반소리의 종류와 차이를 엿볼 수 있었다. 소리의 토대는 해로움을 주지 않아야 하고, 무상, 공, 치유, 치병의 기능, 수행의 도구, 깨달음이나 극락으로 인도하는 것으로서의 사상을 포함하고 있기에 이런 맥락에서 소리명상의 목표를 설정하는 것이 합리적일 것이다. 소리명상의 적용에서는 듣기명상과 소리 내기명상으로 구분하고 가능한 방법과 밀교적인 프로그램 구성과 실질적 가능 사례를 제시하였다. 소리명상은 진언명상 등의 다른 명상과 융합해서 소리통합명상으로 발전시키기 위해 다양한 프로그램개발이 절실히 요구된다. This paper focuses on identifying the relationships with dharmas, types of sounds, and sound compounds in the Buddhist scriptures to provide a foundation and application for sound meditation. It was found that sound is related to the precepts of verbal karma, right speech and wrong speech, the ear, sound, auditory consciousness in relation to self and the world, transcendental hearing, the practice of listening, ground of freedom from defilement, chanting, esoteric speech, precepts, and Buddhist hymns. It was also found that there are various types of sounds related to time, place, teaching, and karma, in addition to living beings and objects. In particular, there are sounds related to Buddhism, such as the Four Noble Truths, Eightfold Path, and Mindfulness, which are different from general sounds. Since the foundations of sound include the ideas of non-harmfulness, impermanence, emptiness, healing, curative functions, tools of practice, and leading to enlightenment or paradise, it is reasonable to set the goals of sound meditation in this context. In the application of sound meditation, we have divided it into listening meditation and sound making meditation, and presented possible methods, esoteric programmes, and practical examples. There is an urgent need for the development of various programmes to combine sound meditation with other meditations, such as mantra meditation, and to develop it into sound integrated meditation.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논사(Kathāvatthu)의 논모(論母 Mātikā)에 대한 연구

        백도수 ( Paek Do-su ) 동아시아불교문화학회 2020 동아시아불교문화 Vol.0 No.41

        본고는 논사(Kathāvatthu)에 나타난 논모(Mātikā)를 파악하기 위해 논모의 내용과 분류, 경·율·론 관계 그리고 Kathāvatthu에 나타난 논모(Mātikā)의 특징에 대해 다룬다. 논모는 10개씩 정리한 율장의 주제요약어, DN의 경집경, SN의 주제어 나열과 해설, AN 법수별 해설에 영향을 받은 것으로 보인다. 7론에서의 논모는 내용을 분류하는 중요한 요소이다. 특히 논사에서는 35개 단락, 23품, 216개의 논모가 있다. 형식적으로 핵심요약어가 논모를 대신하고 있으며 질문으로 구성되어 있다. 논사의 논모는 붓다, 아라한, 예류자, 유학, 보통사람, 천신, 승가, 가르침, 사람, 세계, 무위, 계 등과 관련되어 있다. 논사의 논모는 다섯 가지 요소로 구분되는데 즉, 사람, 붓다, 아라한, 법, 계이며, 이 중 세 가지는 생명체, 다른 두 가지는 시간과 장소를 포함한 현상과 윤리이다. 논사의 논모는 율장, 경장, 논장과 경장의 주석서의 경문을 인용한다. 인용 대부분은 경장의 내용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논사의 내용은 붓다의 가르침과 실천, 그 결과에 관해 논한 것이다. 논사의 논모 특징을 보면, 논모는 품 내에 제시되어 있고, 질문의 형식으로 구성되어 있다. 그 형식은 A인가?, A가 있는가?, A가 아닌가?, A가 없는가?, A가 B일 수 있는가?, A가 B인가?, A는 B를 지니고 있는가? 등이다. 형식은 초기 경전의 논쟁 형식에서 나온 것이다. 논모를 분석해보면, 논모는 각 품에서 무관한 내용도 다루기 때문에 무질서한 형태로 파악된다. 본 논모에 대한 연구는 삼장과 아비달마, 대승불교의 논모에 대한 연구에 기여하고 논쟁에 대한 방식을 파악하는 단서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deals with contents and classification of Mātikās, the classification of contents in Kathāvatthu, relationship between Mātikā and Sutta, Vinaya, Abhidhamma and its characteristics. The Mātikā could be affected by classification of Vinaya, Saṃyuttanikāya, Aṅguttaranikāya etc. In Abhidhamma, Mātikās plays a role to classify contents. Kathāvatthu consists of 35 bhāṇavāra, 23 Vagga, 216 Mātikās, however, Officially there was no Mātikā in Kathāvatthu, instead of Mātikā appears uddāna(a summary word). the thing called mātikā in Kathāvatthu regards as question’s sentences. Mātikās in Kathāvatthu related with buddha, saint(arhan, sotapanna, sekha), normal person, divine gods, Order, teaching, person, cosmos, unconditioned thing, the aspect of ethics etc. Mātikās classify into five elements, namely, person, buddha, arhant, dhamma, sīla. 3 things related with living things, others two, all phenomena included with time and place, and ethics. Mātikās in Kathāvatthu related with quoted contents in Vinayapiṭaka, Suttapiṭaka, Abhidhammapiṭaka, Aṭṭhakathā etc. Among these, most of quoted contents come form Suttapiṭakas because contents of debate in Kathāvatthu are problems of buddha’s teaching, practice and its result etc. Characteristics of Mātikās in Kathāvatthu should be explained as follows: Mātikās could be understood as these suggested under Vaggas. They have questions. the form of Mātikā’s contents are is A?, is there A?, is not A?, is there no A?, could A be B?, does A B? to A have B? etc. The form come from debating methods in Buddhist Canons. However, Mātikās in Kathāvatthu are disorder because Kathāvatthu deals with same contents of Mātikās in different Vaggas.

      • KCI등재
      • KCI등재

        불교대치명상의 심리치료에 대한 고찰 __빨리 불전을 중심으로__

        백도수 ( Do Su Paek ) 인도철학회 2015 印度哲學 Vol.0 No.43

        본 논문은 대치명상의 심리치료에 대해 빨리 불전을 중심으로 다루었다. 대치명상은 대치하여 번뇌를 다스리는 수행법이다. 대치명상은 시간과 장소, 행동, 언어, 감정, 심리 대치명상으로 세분화하고, 치료대상은 인적, 정신적 요소, 낮은 단계와 높은 단계의 대상으로 구분하였다. 붓다의 치료사례를 통해 본 치료법은 사실대로 아는 치료, 완전한 치료, 지속적 치료, 다양한 치료라는 특징을 지니고 있다. 심리치료의 적용은 기질과 조건을 알고 시청각, 기억명상, 명상실천과 지속, 습관과 개인의 변화와 새로운 대치치료의 단계로 진행되어야 한다. 또한 심리치료 적용시에 기질고려, 속임수 간파, 치료능력배양 후 실질적 치료진행이 되도록 해야 한다. 위의 연구결과로 대치명상은 붓다의 가르침으로 자가치료, 단, 장기에 적용되는 치료, 적정치료, 모두에게 적용되는 치료, 복합치료요소를 가지고 있으며 경제적 장애가 없는 명상법임을 알 수 있었다. This Paper deals with the Psychotherapy of Buddhist Replacement Meditation based on Pali Canons. This is related with the conception and classification of Replacement Meditation, the Division of Therapy Objects and Buddha``s Therapy Methods and Examples and Application Process of Psychotherapy and the Point of Consideration. Buddhist Replacement Meditation is a practice method which replaces one with another to destroy attachment or affliction. In this Replacement Meditation we could replace bad place with good place, bad time with good time. This called Time and Place Replacement Meditation(RM). Also there are Action RM which replaces bodily bad action with good action, Speech RM which replaces false speech, malicious talk, unkind talk, foolish gossip with true words, words that make for peace, kind words and useful words, Feeling RM which replaces unpleasant feeling with pleasant feeling, Psychic RM which replaces wrong view with right view, wrong thought with right thought, lust with impurity contemplation, anger with loving-kindness contemplation, delusion with cause and effect contemplation and so on. And Therapy Objects are divided according to person, men-tal elements, stage and so on. Buddha``s therapy method could be regarded as a prefect, continuous and various therapy which knows what it was. We can see to cure their suffering and problems in Buddha``s Therapy Examples, for example Dhaniya, Angulimala, Kisagotami, Khema etc. In the application of Psychotherapy it should be proceeded clearly knowing, investigating personal temper and condition, using audio visual data, remembering, practicing, continuous going, behavior modification, personal changing and replacing new therapy step by step. Therapists have to consider personal temper, recognize someone``s deceit and develop his therapy capacity in order to attain real therapy. Processing form what has been said above it is known to us that RM is a Meditation Method called Self Therapy, short-term and long-term Therapy, Therapy for everyone, Fusion Therapy and economical useful Therapy. This study lays the foundation for future work on the relationship between various Buddhist Meditation and Psychotherapy.

      • KCI등재

        불교여성관의 대립구조에 대한 연구 : 양성평등과 차별을 중심으로

        백도수(Do-Su Paek) 계명대학교 여성학연구소 2008 젠더와 문화 Vol.1 No.-

        본 논문은 빨리어, 범어, 한문경전을 중심으로 불교적 관점에서 양성평등과 차별에 대한 대립관계, 그 원인과 해결점을 고찰하는 것이다. 초기불교의 여성관은 힌두교 전통을 답습한 여성차별적 내용과 붓다의 평등사상으로 구분되며, 제일과 일반 비구니의 구별, 여성 수행자간의 법랍 순서, 출가가의 남녀차별과 출가와 재가의 남녀차별 여성관을 엿볼 수 있다. 대승불교에서 여성오장설, 변성성불론, 전녀신설, 불국토의 여성존재유무, 여성수기설 등이 있다. 또한 남녀평등사상과 남녀차별 사상, 양자의 중간적 입장이 혼재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대립자는 불교내의 남녀 수행자, 비대승인, 대승내에서의 믿는 사상을 주장하는 주체자간이고, 대립내용은 여성의 성불, 여성의 지도권한과 양성평등의 유무로 귀결된다. 대립구조 원인은 초기불교의 남성지배사상과 붓다의 가르침, 대승불교의 남성지배사상과 양성평등사상, 또한 힌두교 사상과 불교사상의 대립, 불교사상내의 평등과 차별의 대립에 기인한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대립구조의 해결방법은 부처님 가르침과 대승의 평등사상, 일승사상, 무분별, 무집착, 자비사상과 더불어 중관, 유식, 밀교사상에서 찾을 수 있다. 양성평등과 차별의 대립구조는 대립을 극복하는 자의 손에 달려 있다는 것이 불교의 가르침이다. 궁극적으로 불교는 완전한 고통제거와 깨달음 성취를 위해 양성평등주장을 넘어서 양성대립개념 초월을 강조한다. This paper deals with the antagonistic relationship between discrimination against women and sexual equality, and its cause and solution in Buddhism through readings of the P?li, Sanskrit and Chinese Canons. There are two images of the feminine in early Buddhism: a positive image produced by the Buddha's teachings about sexual equality and a negative image influenced by Brahmanical tradition. In Mah?yana Buddhism, there are various concepts about women; women cannot become a Brahman, Indra, M?ra, Cakravartin or Buddha, but they are able to become Buddhas through gender transformation, or live as a bodhisattva in this world to help and save beings, and so on. Within Buddhism, the main opponents are people of other religions versus Buddhists, monks versus nuns, males versus females, and believers in Mah?yana versus non-believers, etc. The contents of confrontations are related to whether women can become Buddhas or not, whether they are allowed to teach the Dhamma, whether males and females are equal, and so forth. The antagonism of the sexes is caused by a difference between brahmanical sexist attitudes and the Buddha's teaching of equality, as well as various changes in Buddhist thought within Mah?y?na Buddhism. It has been suggested that there are many elements in the Buddha's teaching and Mah?y?na thought that can resolve the problem of this antagonism, such as Oneness, non-discrimination and non-attachment, emptiness as well as the consciousness-only doctrine. In order to overcome sexism and foster sexual equality for the purpose of the destruction of suffering and the attainment of enlightenment, Buddhism emphasizes the transcendence of all sexuality and antagonistic concepts.

      • KCI등재후보

        불교예술 입문서 간행의 현황과 분석 그리고 대안

        백도수 ( Paek Do-su ) 한국불교사연구소 2019 한국불교사연구 Vol.16 No.-

        본 논문은 불교예술 입문서 간행의 현황을 소개하고 분석하여 출간을 위한 대안을 다룬다. 불교예술 개념은 사전이나 학자마다 차이난다. 불교예술저서는 『韓國佛敎關係論著綜合目錄』에서 예술, 건축, 탑파, 조각 등을 다루며 2002년까지 373권이 발행되었다. 동국대 불교 예술분야 검색에서는 불교미술, 조각, 음악 순으로 단행본 부수가 많았다. 이에 국회도서관의 147권의 관련자료, 도서출판 운주사의 예술일반자료, 불광미디어의 불교예술자료를 분석하였다. 아쉽게도 불교예술 입문 중 불교미술이 다수를 차지하며 전체를 포괄하는 단행본을 찾기 어려웠다. 불교예술 관련자료는 『불교시청각교재』, 대원사의 출간본이나 조계종출판사의 『불교입문』이나 『Why? 시리즈』 등을 참조할 필요가 있다. 아울러 어린이, 청소년, 일반대학과 불교대학용, 사찰신도용으로 세분화하되, 발간목적을 고려하고, 출간과정에서 충분한 논의를 거쳐 공동작업을 하며, 타켓인 독자를 고려해야 한다. 내용과 더불어 글씨크기, 표, 용어해설, 문답, 자료제공, 링크, 그림포함 등의 형식적인 측면도 고려하며, 문서출판과 더불어 전자출판도 병행되어야 한다. 불교예술 입문서 내용상, 전반적 연구를 포괄하는 것이 어려우므로 불교미술, 불교건축, 불교조각, 불교음악, 불교무용 등 분야별 불교예술관련 입문서를 제공할 필요가 있다. 불교예술 입문서가 21세기 대중에게 불교를 전하고 불교적 삶을 유도하는 중요한 자료가 될 것이므로 학술적, 대중적 논의를 통해 효과적이고, 효율적인 불교예술입문서가 발간되길 기대한다. This paper introduces and analyzes the current state of Buddhist art primer publication and deals with alternatives for publication. Buddhist art concepts vary according to dictionaries or scholars. Buddhist Art books’s 373 lists involved in areas of art, architecture, pagoda, sculpture etc. in the book Comprehensive Catalog of Books and Theses on Korean Buddhism. This study analyzed 147 related materials of the National Assembly Library. The introduction of Buddhist art was difficult to find a whole book. Buddhist art books should be subdivided into children, Buddhist colleges, and Buddhist believers etc. Discussing and collaborating in the process of publication, and considering readers is important to be published. It should be published in electronic publishing as well as document publishing, focusing on the form of font size, tables, glossary, resource provision, links, and pictures. Before publishing, it is necessary to provide a primer on Buddhist art by field such as Buddhist art, architecture, and music, etc. It is difficult to cover the general study of Buddhist art primer. Since Buddhist art primer books will be an important resource for spreading Buddhism, I hope that effective and efficient Buddhist art primer books will be published through academic and public discussion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