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漢字能力試驗과 讀解力의 비교 연구-初等學生을 대상으로

        백광호 한국어문교육연구회 2006 어문연구(語文硏究) Vol.34 No.1

        A Study of the Comparison between Chinese Character Proficiency Test and Reading Ability Baek, Kwang-ho This study focused on the validity of the Chinese character proficiency test by comparing the difference proficiency of Chinese characters between students who have obtained the certificate of qualification and those who have not. For this study, the definitions of Chinese character, proficiency of Chinese characters, Chinese character proficiency test, and reading ability. The hypothesis was set as ‘after measuring reading ability, it is shown that students who have acquired the certificate of Chinese character proficiency have a greater proficiency of Chinese characters than those who have not.’ This study used elementary school students, since they make up the biggest proportion of people taking the Chinese proficiency test, as the sample population. There was a difference between students based on the acquirement of the Chinese character proficiency test, with students having acquired it having significantly higher reading ability than those who have not(p<.05). Also in the case of those who have acquired the certificate, there showed no difference in reading ability based on place of residence(t-test). 이 연구는 漢字能力試驗의 資格證을 取得한 學生의 讀解力과 資格證을 未取得한 學生의 讀解力이 어떤 差異를 보이는지 밝힘으로써 한자능력시험의 有效性에 관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 데 目的이 있다.이를 위해 본 연구는 漢字, 漢字能力, 漢字能力試驗, 讀解力을 개념 정의하고, ‘독해력 측정 결과, 한자능력시험의 일정 자격을 취득한 학생은 그렇지 않은 학생보다 유의미한 수준에서 높을 것이다.’라는 硏究 假說을 세웠다. 그리고 한자능력시험에 가장 많이 응시하는 집단인 初等學生을 對象으로 연구를 진행하여 다음과 같은 硏究 結果를 얻었다. 한자능력시험 자격증 취득 여부에 따라 독해력에 차이가 있으며, 자격증을 취득한 학생의 독해력이 그렇지 않은 학생보다 有意味하게 높다(유의수준 p<.05). 또한 자격증을 취득한 경우, 거주 지역과 관련 없이 독해력 수준은 차이가 나지 않았다(t-검증).

      • KCI등재

        2009 改定 漢文科 敎育課程에 따른 『高等學校 漢文』Ⅰ 敎科書에 나타난 學習活動 分析

        백광호,류재윤 성신여자대학교 교육문제연구소 2014 교육연구 Vol.61 No.-

        This study analyzed learning activities in respect of High school Sino-Korean Textbooks according to the Revised Curriculum in 2009.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i) to analyze learning activities presented in 10 types of High school Sino-Korean Textbooks developed according to the Revised Curriculum in 2009, and ii) to make a proposal so that this study may be helpful when a textbook is written according to the future curriculum. As a result of analysis, following points could be proposed:i) Learning activities must be devised so that one or more learning goals may be achieved in linkage with, to the fullest extent, the learning goal of the small unit;ii) Lots of efforts must be made in developing learning activities having nature of integrated subjects combined with other subjects as well as in finding materials such as science, music, arts, mathematics, etc. among the writing left by the ancestors;iii) Learning activities must be able to be done immediately in the classroom and, simultaneously, have learning courses and processes, taking precedence over an evaluation function; andiv) In a guiding method of embodying learning activities, it allows learners to do concrete and self-directed learning rather than abstract epilogues. Accordingly, textbook authors must devise creative learning activities matching the level of the learners and develop an idea for learning activities able to attract the interest of learners. 이 연구는 새로 개정된 2009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高等學校 漢文』Ⅰ 교과서의 학습활동을 분석한 것이다. 이 연구의 목적은 2009 개정 한문과 교육과정에 따라 개발된 『高等學校 漢文』Ⅰ 교과서 10종에 나타난 학습활동을 분석한 후, 차기 교육과정에 따른 교과서 제작 시 참고할 수 있도록 제언하는 것이다. 분석 결과, 학습활동은 소단원에 제시되는 구체적인 학습목표와 최대한 연계하여 1개 이상의 학습목표를 성취할 수 있도록 구안되어야 하며, 선인들이 남긴 글 가운데 과학, 음악, 미술, 수학 등의 지문을 발굴하는 것 못지않게, 학습활동 또한 과학, 미술, 수학 영역 등과 결합된 통합교과적인 양상을 가질 수 있도록 구안되는 것이 필요하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무엇보다 학습활동이 배운 것을 측정하는 평가의 기능을 하기 보다는, 교실 현장에서 즉시적으로 수행할 수 있으면서도 학습의 과정과 절차적인 면을 강조하여 설계되어야 하며, 학습활동 안내 방식 또한 ‘익혀 보자’, ‘인터넷에서 찾아보자’ 등의 발문을 지양하고, 학습자의 자기주도적인 학습이 가능하도록 설계되어야 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교과서 저자들은 학습자들의 세대를 반영하여 시대의 흐름과 학습자의 눈높이에 맞는 창의적인 학습활동을 구안해야 하겠다. 또한 학습자가 능동적으로 수행할 수 있고 호기심을 갖게 되거나 흥미를 유발할 수 있는 학습활동 아이디어를 평소에 수집할 필요가 있다.

      • KCI등재

        漢文敎科에서 ICT 活用敎育의 現況과 展望

        白光鎬 한국한문교육학회 2002 한문교육논집 Vol.18 No.-

        본 연구는 2000년부터 한국교육학술정보원을 중심으로 학교 현장에 확산되고 있는 'ICT 활용교육'의 개념과 특징을 알아보고, 한문교과에서는 그 동안 어떻게 활용되어 왔는지 현장에서의 사례 중심으로 살펴봄으로써 '한문과 ICT 활용교육'의 현재를 진단하고 문제점과 개선방안을 제시함으로써 바람직한 ICT 활용교육의 방향을 찾아보고자 한 것이다. Ⅰ장에서는 간단하게 ICT 활용교육이 교육 현장에 들어오게 된 배경을 소개하고 본고의 연구 목적을 밝혔다. Ⅱ장에서는 'ICT 활용교육'의 전반에 대해 살펴보았다. 먼저 교단선진화·자기주도적 학습·INTERNET·PBL·WBI 등 관련 용어를 정의했고, 'ICT 활용교육'의 개념과 목표 및 필요성에 대해 살펴보았다. 'ICT 활용교육'은 기본적인 정보소양능력을 바탕으로 학습 및 일상생활의 문제해결에 정보통신기술을 적극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교육을 의미하는데, 제7차 교육과정이 도입되면서 그 필요성이 더욱 강조되고 있다. 따라서 한문교과에서도 교수-학습 방법의 효과를 높이고 흥미를 유발할 수 있도록 정보통신기술을 적극 활용해야 할 것이다. Ⅲ장에서는 위와 같은 'ICT 활용교육'을 '漢文敎育' 회지에 소개된 자료를 중심으로 연구된 성과를 검토하고, 현재 현장에서 활발히 사용되고 있는 웹사이트를 중심으로 한문교과에서의 ICT 활용교육을 소개했다. 총 7개의 사이트를 소개했는데, 그 가운데는 학생들이 직접 보고, 쓸 수 있는 전자교과서를 구현한 공간, 학생들이 자기 수준에 맞게 자율학습이 가능한 공간, 학급운영과 조화롭게 결합된 공간 등 매우 다양한 콘텐츠를 갖고 있었다. Ⅳ장에서는 현재 실시되고 있는 ICT 활용교육의 전반적인 문제점과 한문교과만의 문제점을 살펴보고, 개선 방안을 모색해 보았다. 결론인 Ⅴ장에서는 학생들의 적극적인 수업 참여를 목표로 하는 ICT 활용교육이라면 앞으로 나아가야 할 방향을 설정하는 데 있어 '노하우(Know-how)'보다는 '노웨어(Know-where)'를 지향해야 한다는 제안을 했다. This study searches the concept and characteristic of 'ICT practical use in education' that is spreading in school with KERIS(Korea Education & Research Information Service) since 2000, and by investigating to whether had been utilized recently how from sino-korean subject. I wish to find the direction of desirable ICT practical use in education by diagnosing the problem of 'Sino-koprean with ICT', and propose the improvement way. 'Chapter Ⅰ' introduced the background that ICT enters in education and explained research purpose. 'Chapter Ⅱ' examined about whole of 'ICT practical use in education'. Defined relative terminology with SDL(Self-directed learning: Knowles)·INTERNET·PBL·WBI, and examined about concept and target and necessity of 'ICT practical use education'. 'ICT practical use education' means education that do to take advantage of Information Technology actively studying and problem solution of everyday life with basic information grounding ability, as the seventh training courses are introduced, the necessity is emphasized more. Therefore, we must use Information Technology actively so that can heighten effect of tuition-studying method from Sino-korean and cause interest. 'Chapter Ⅲ' checked 'ICT practical use in education' result that is studied laying stress on data that is introduced to 'Hanmungyoyuk' bulletin, and inspected ICT practical use from Sino-korean laying stress on website been using abuzz in present days. I introduced 7 site all, a space, students who embody an electron text book that students are "see, hear, and write" directly among it had space that self-regulation studying is available, very various contents such as space combined harmoniously with class operation according to own level. 'Chapter Ⅳ' examined the general problem of 'ICT practical use in education' that is enforced now and the problem of only Sino-korean, and grope for the improvement way. In chapter Ⅴ, If 'ICT practical use in education' is targeted the active class participation of students, it is that set direction that must go forward where I proposed that must intend 'Know-where' than 'Know-how'.

      • KCI등재

        漢文 敎育을 通한 人性 敎育의 可能性과 方向-2009 改定 中學校 漢文科 敎育課程을 中心으로-

        백광호 청람어문교육학회 2013 청람어문교육 Vol.47 No.-

        This paper aims to look into the possibility and direction of character education of Chinese Classics which can be considered as one of affective subject areas. For that, study results of Chinese Classics and character education were examined and elements related to character education in Revised 2009 Chinese Classics education curriculum were extracted. As a result of reviewing the aspects in which writing materials were included in Middle school Chinese Classics textbook according to the revised 2009 Chinese Classics education curriculum, it could be known that most textbooks widely dealt with various virtues involved in personality. In Chapter V proposed teaching guidelines about how character education should be designed and in what method such education should be taught. 본고는 漢文科에서 할 수 있는 인성 교육의 가능성과 방향을 탐색해 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한문과 인성 교육의 연구 성과를 살펴보고, 2007 개정 한문과 교육과정과 2009 개정 한문과 교육과정에서의 인성 교육 관련 요소를 추출해 보았다. 또한 한문 교과서에서의 인성 교육 구현 양상을 살펴보기 위해 2009 개정 한문과 교육과정에 따른 중학교 한문 교과서를 대상으로 인성 교육 관련 글감 수록 양상을 살펴보았다. 대부분의 교과서에서 人性과 관련된 다양한 내용을 폭넓게 다루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다만, 인성 교육과 관련된 본문 학습 활동이나 본문 관련 제시 자료는 글감이 가진 소재의 풍부함에 비하면 상대적으로 빈약하였다. 마지막으로 실제 한문과에서 인성 교육을 어떻게 설계하고 어떤 방식으로 가르쳐야 하는지에 관하여 ‘선인들의 삶과 지혜, 전통문화를 통한 가치관과 인성 함양’에 맞는 교수 단위를 제시해 보았다. 인성 교육에 대한 사회의 요구는 앞으로 더욱 증가하리라 예상되지만, 한문과에서는 아직 인성 교육에 관한 이론적 탐색이나 방향 제시 등이 구체화되지 못했기 때문에 이에 대한 다각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또한 학교 현장에서 한문 수업 시간에 학생들에게 어떻게 인성 교육을 할 것인지에 관한 구체적 수행 양상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 KCI등재

        한문과에 적용가능한 웹기반수업과 문제중심학습

        백광호 한국한문교육학회 2000 한문교육논집 Vol.15 No.-

        昨今我國敎育急速收容通信綱基盤學習(Web Based Instruction:略稱 WBI). 多數人不能豫測其速度和量何許影響諸敎育. 雖然今我敎育沒有成就通信基盤學習的敎授媒體的役割. 其所以轉換傳統的敎育方法和敎授媒體授業於通信網基盤學習. 沒有愼重考慮於主要原理. 此必須於通信綱基盤授業設計. 故願我敎授方法爲助於學生學習. 然以前所言授業模型實施於現場, 則觀祭所期的諸般敎育效果(協力學習, 挑判的思考力, 創意性, 伸張問題解決能力, 克復情報化文盲, 對話及討論的場, 形成知識共同體). 且前提學習者中心敎育的通信網基盤學習, 必要求我敎育現場的代案.

      • KCI등재

        授業 改善을 위한 高等學校 漢文 敎師의 自己 授業 分析

        백광호 한국한문교육학회 2008 한문교육논집 Vol.30 No.-

        This study discloses the experience the researcher had in self-teaching observation and analysis for the researcher's own teaching improvement. Teachers can the basic materials for reflecting on his own teaching behavior and for changing the class through the methods and results proposed in this study. The results of class analysis is as follows. According to Flanders Interaction Analysis System, in most cases, as class types showing non-instructional trends, there were teachers' questions inducing students' answer and thereby students' short reply was followed. In the next, according to Class atmosphere-analyzing method, though it is not inclined to any direction towards creativity, amiability, vitality and fineness, the remaining areas except for 'amiability' shows a low value, so that improvement to that is considered necessary. 이 연구는 필자 자신의 수업을 개선하기 위해 본인의 수업을 관찰하고 분석한 경험을 밝힌 것이다. 교사는 지속적으로 자신의 수업을 개선하고 변화시켜야 한다. 교사들은 이 연구에서 제시한 연구 방법 및 결과를 통해 교사 스스로 자신의 교수 행동을 성찰하고 수업을 변화시키기 위한 기초 자료를 얻을 수 있다. 필자는 특히 Flanders와 Tuckman의 양적 수업 분석 방법을 통해 해당 수업에 관한 데이터를 수집하고 이를 분석하여 수업 개선을 위한 기초 자료를 얻고자 했다. 또한 수업 분석의 신뢰도를 높이기 위해 수업을 실시한 교사 외에 2명의 교육 실습생이 동일한 수업을 참관한 뒤 수업을 분석한 자료를 덧붙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언어상호작용 분석 방법에 따르면, 분석한 수업은 비지시적 경향을 보이며, 학생의 대답을 유도하는 교사의 질문과 그에 따른 학생들의 짧은 반응이 이어지는 경우가 가장 많이 드러났다. 수업분위기 분석 방법에 따르면, 창의성 · 온화성 · 활기성 · 치밀성의 어느 한 쪽으로 치우치지는 않지만, ‘온화성’을 뺀 나머지 영역은 그다지 높지 않은 수치를 보이므로 이에 대한 개선이 필요하다고 볼 수 있다. 수업을 개선하고자 하는 의욕이 막상 생기더라도, 구체적인 방법을 알지 못하면 막연하기만 하다. 이상과 같은 수업 분석 방법을 통해 자신의 수업을 개선할 수 있는 구체적인 아이디어를 얻을 수 있다.

      • KCI등재

        미리 圖形化된 노트에서 한자 쓰기가 漢字 正書力 신장에 미치는 효과 연구 - 초등학교 저학년 학생을 대상으로

        백광호 한국한문교육학회 2005 한문교육논집 Vol.24 No.-

        본 연구는 한자를 배운 지 얼마 되지 않은 학생을 대상으로 미리 도형화된 노트에서 한자 쓰기를 지도하고, 이런 지도 방법이 학생들의 한자 정서력을 실제로 신장시킬 수 있을지 알아보고자 한다. 본 연구를 통해 도형화된 노트가 한자 정서력을 신장시키는 데 효과가 있다는 결론에 이르게 된다면, 현재의 한자 노트 형식을 향후 개선하여 학생들이 어려운 한자 모양(形)을 비교적 용이하게 습득하고, 이를 통해 학생들의 한자 정서 능력을 키우기 위한 하나의 방안을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본 연구에서 특이한 점은 ‘미리 도형화된 노트’이다. 이런 노트의 고안은 재직 중이던 학교에서 학생들의 바르지 못한 한자 글씨를 교정해주기 위한 고민에서 시작되었다. 학생들의 한자 정서를 위해 여러 가지 방법을 도입해 봤지만 매번 효과를 보지 못했다. 그런 중에 칠판 판서를 통해 한자의 기본 글꼴을 가르친 뒤 한자의 기본 글꼴에 맞는 도형을 노트에 미리 그려놓고 거기에 맞춰서 한자를 쓰도록 했더니, 대부분의 학생들이 글씨를 점차 바르게 쓰기 시작하는 효과를 본 적이 있었다. 본 연구에서는 그러한 경험을 바탕으로 도형화된 노트를 활용하여 한자 쓰기 지도를 하면 어떤 효과가 나타날 것인지 알아보는 것을 연구 과제로 삼았다. 연구자는 이를 위해 기존의 한자 노트에 의존하지 않고, 미리 도형화된 한자 노트를 직접 고안하여 연구를 진행하게 되었다.본 연구에서 알아보고자 하는 문제는 다음과 같다.첫째, 학생들은 한자를 쓰는 과정에서 어떤 어려움이 있는가?둘째, 미리 도형화된 노트에서의 한자 쓰기가 한자 정서력을 신장시키는 데 유용할 것인가?본 연구는 현재의 상태를 있는 그대로 관찰하고, 관찰한 것을 자료로 하여 연구자 자신이 분석을 시도하는 현상학적 접근 방법을 사용하며, 질적 연구의 방법을 사용한다.본 연구는 서울의 한 초등학교에서 읽고 쓸 수 있는 한자가 50자 이상 200자 이내의 한자 학습 정도를 가진 학생 가운데 학업 성취도가 비슷한 학생을 남녀 각 2명씩, 총 4명(실험집단 2, 비교집단 2)을 선정하여 2004년 10월 18일부터 2004년 12월 18일까지 2개월간 진행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다음과 같은 점을 알 수 있었다.학생들이 한자를 쓰는 과정에 어떤 어려움이 있나 분석해 본 결과, 한자의 모양(形)을 학습할 때는 점과 획이 복잡하게 엮인 한자뿐만 아니라 비교적 쉽고 간단한 모양이라고 판단되는 한자도 글자의 모양에 대해 자세하고 분명하게 설명해주어야 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고, 또한 모양뿐만 아니라 뜻과 음까지 함께 익히도록 지도해야 효과적임을 알 수 있었다.또한 한자의 자형이 미리 그려져 있는 노트에 한자 쓰기를 연습했을 경우 한자를 바르게 쓰는 능력이 길러지는 효과가 있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즉, 미리 도형화된 노트에서의 한자 쓰기는 한자 정서력을 유의미한 정도로 향상시킬 수 있음을 알 수 있다.본 연구는 단일 연구주제, 단일 자료, 단일 연구자로 이루어졌고 4명의 학생들을 대상으로 하였으므로 전체 학생들에게 일반화하기에는 어려움이 있다. 또한 연구자가 근무하는 학교가 아니기 때문에 연구 기간도 2개월 정도로 제한되어, 보다 객관적인 연구 결과를 산출하기에 시간적으로 부족한 면이 있음을 밝힌다. This research has been conducted about writing Chinese character in figured note and students who have just started to learn Chinese character took part in the conduct of this research. The aim of this research is that if writing in figured note could increase emotions about Chinese character. If the result of this research show that figured note can increase emotions about Chinese character (or any similar conclusions), current Chinese character note form with improvement will make students easily learn difficult Chinese character and it may be an effective method to increase emotions about Chinese character. There are two main aims of this research. First, what kinds of difficulties do students have in writing Chinese character? Second, dose the writing Chinese characters in figured note increase emotions about Chinese character? The researcher choose two male students and two female students who have more than 50 less than 200 Chinese characters (and they all go to the same elementary school which is located in Seoul), research was conducted for two months, 18th Oct 2004 until 18th Dec 2004. The research tells us those new facts. Researcher analyzed what kinds of difficulties students have when they write Chinese character and results showed that Chinese character should be explained more clearly and in detail no matter it is simply one or complicated one with stroke. Moreover, it is effective to learn meanings and pronunciations at the same time. In conclusion, the writing Chinese character in figured note will increase emotions about Chinese character.

      • KCI등재

        漢文科 授業에서의 교육용 콘텐츠 활용 방안

        백광호 한국한문교육학회 2009 한문교육논집 Vol.32 No.-

        As one of methods that enable students to learn Chinese Classics more interestingly, a Sino-Korean Class using educational contents can be considered. Contents for the Sino-Korean education must be accepted from an educational point of view so that students may have an easy access to contents by Chinese literature genre such as Chinese poems, prose, novels, Confucian classics, etc. However, they must be developed so that they can be easily used. The more diversified such edutainment contents becomes, the higher the possibility to provide a Sino-Korean class through educational contents other than a textbook. To the students who have to live in the 21th century knowledge-based information society, an education able to increase their ability to subjectively think, creativity, and problem solving ability, through diverse materials. Especially, in a Sino-Korean subject, efforts must be required that enable increase of the literacy of Chinese characters and classics through utilizing various educational contents. For positive introduction and operation of such class, i) the system of the Sino-Korean educational contents must be put in good order, ii) the archetype of the Sino-Korean educational contents must be developed. 학생들에게 한문을 재미있게 가르칠 수 있는 방법의 하나로 한문 교과의 교육용 콘텐츠를 이용한 수업을 생각할 수 있다. 한문 교육용 콘텐츠는 한시ㆍ산문ㆍ소설ㆍ경서 등 한문학의 장르별 콘텐츠를 학생들이 접근하기 쉽도록 교육적으로 수용하되 중등학교에서 활용하기에 용이하도록 개발되어야 한다. 이러한 에듀테인먼트 콘텐츠가 다양해질수록 교과서 이외의 교육용 콘텐츠를 통해 한문 수업을 진행할 수 있는 가능성을 높일 수 있다. 21세기 지식기반 정보화 사회를 살아가야 하는 학생들에게는 다양한 자료를 통해 창의력, 문제해결능력, 주체적 사고력 등을 키워 줄 수 있는 교육이 필요하다. 특히 한문과에서는 다양한 교육용 콘텐츠를 활용한 수업을 통해 한자·한문 문식성을 신장시킬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이러한 수업을 적극적으로 도입ㆍ운영하기 위해서는 한문 교육용 콘텐츠의 체계를 정비해야 하며, 한문 교육용 콘텐츠의 원형을 개발해야 한다.

      • KCI등재

        言語生活에 나타난 漢字 語彙의 誤謬 硏究

        백광호 한국한문교육학회 2005 한문교육논집 Vol.25 No.-

        There have been many articles recently about the growing problem of college students and people in society who cannot read or write middle school level Chinese characters. With this obstacle in the way, there are many problems arising with the usage of Chinese characters in our everyday language. One of the main reason for this problem is that Chinese characters is offered as an elective course.This research analyzes the problems that arise with the usage of Chinese characters and presents the education system the dire need of Chinese as part our education.This research analyzes the forms of misusage of chinese characters in our everyday lives and ways to solve these as the problem. this research used content analysis as the research method.The researcher gathered information on the topic through related webpages, books and research papers. Depending on the test subject, materials were gathered from newspapers, TV, movies and the internet.I introduce a few examples of misusages of Chinese characters.1) 百聞而不如一見 or 百聞以不如一見 → 百聞不如一見.2) 王附井, 小將, 社稷署, 士氣充電, 不定蓄財者 → 王府井, 少將, 辭職書, 士氣衝天, 不正蓄財者.3) 食以爲天, 啞然窒塞, 正宗, 掘削機 → 以食爲天, 啞然失色, 淸酒, 掘鑿機.We have looked at a few examples of misusage of Chinese characters in our daily language. More cases of misusage was found than we expected and the problems we presented here are only a small portion of the whole. We must find the source of these problems and find the proper solutions to them. A variety of problems can be presented for this but the most important source is in the education system.A) The education of Chinese character should be started at the primary school.B) A change of the personnel heading the education system is necessary.C) Various methods of improving Chinese vocabulary through Chinese classics must be created.D) It is necessary that the concrete researches is positively conducted by those in charge of Chinese character education. 최근 중학교 교육용 한자 수준의 基礎 漢字를 제대로 읽지 못하거나 쓰지 못하는 대학생과 직장인에 대한 소식이 신문에 종종 소개되고 있다. 기초적인 한자도 제대로 읽고 쓰지 못하다 보니, 일상의 언어생활에서 한자한문을 잘못 사용하는 오류를 범하게 된다. 이런 오류가 생기는 원인 중의 하나로 들 수 있는 것은 현재 중고등학교에서 선택 과목의 하나로 한문 교육을 받고 있다는 점이다. 본 연구는 언어생활에 나타난 漢字․漢文 使用의 誤謬에 관한 사례를 분석함으로써 학교 교육에서 한문교육의 필요성을 새롭게 발견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본 연구는 ‘日常生活에서 漢字․漢文의 잘못된 사례는 어떤 類型이 있고, 잘못 사용된 原因과 바르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方案’을 연구 문제로 삼고, ‘內容 分析法’의 연구방법론을 따랐다. 연구자는 주제와 관련된 웹 사이트나 서적, 논문 등을 검색하여, 분석 대상에 따라 신문, TV 프로그램, 영화, 인터넷 등에서 자료를 수집했다. 그리고 아래 표와 같이 수집된 자료를 분류했다. 이상과 같은 분석법에 의해 살펴본 사례는 다음과 같다. 1) 百聞而不如一見 또는 百聞以不如一見 → 百聞不如一見. 2) 過猶不及 : 지나친 것은 모자란 것만 못하다 → 지나친 것은 미치지 못한 것과 같다. 3) 食以爲天 → 以食爲天. 4) 王附井, 小將, 社稷署, 士氣充電, 不定蓄財者 → 王府井, 少將, 辭職書, 士氣衝天, 不正蓄財者. 5) 啞然窒塞, 正宗, 掘削機 → 啞然失色, 淸酒, 掘鑿機. 조사에 들어가기 전에 예상한 것보다, 다양한 오류를 발견하였으며, 여기 소개한 자료는 그중 일부분에 해당한다. 그렇다면 이렇게 한자 어휘를 잘못 사용하는 원인과 바르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방안을 생각해 봐야 한다. 다양한 원인을 導出해 낼 수 있지만, 중요한 원인 가운데 하나를 敎育에서 찾을 수 있겠다. 일상의 언어생활에서 한자․한문을 바르게 사용하도록 가르치는 것은 한문과 교육의 매우 중요한 목표라 할 수 있다. 그런데 연구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한자․한문을 잘못 사용하는 사례가 非一非再하다. 따라서 초․중․고의 한문교육을 강화하는 것이 언어생활에 사용되는 한자 어휘의 오류를 줄이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다음과 같은 방안을 제시하며 이 글을 마치겠다. 1. 漢字 敎育을 初等學校에서부터 실시하는 것이 效果的이다. 2. 敎育 全般을 主務하는 기관의 認識 轉換이 필요하다. 3. 文章을 통해 漢字 語彙力을 향상시킬 수 있는 다양한 전략이 필요하다. 4. 漢文敎育 分野의 硏究를 구체적이면서 실증적으로 수행해야 한다.

      • KCI등재

        “변혁적 역량”과 한문 교사의 역할

        백광호,공민정 한국한문교육학회 2022 한문교육논집 Vol.59 No.-

        The “OECD Education 2030” project presents what competencies students will need in the future and how they should be taught. The task of understanding correctly the “ability” presented in “OECD Education 2030” can be useful in grasping the direction in which future school education should proceed. In this article, I will try to deal with what role Sino-Korean teachers should play, especially in developing the “transformative ability” of their students. According to the “OECD Education 2030 Learning Compass”, students’ competence is enhanced when “prediction-action-reflection” circulates based on student agency and co-agency with peers, teachers, parents, communities. In particular, it emphasizes that students must develop “transformative abilities” such as “creating new value”, “resolving tensions and dilemmas”, and “having a sense of responsibility”. However it is not easy to find way how to connect and apply to Sino-Korean curriculum. “Creating new value” is related to “succession and development of traditional culture”, and “reflection” is also related to the “humanity” domain. However, “having a sense of responsibility”, “resolving tensions and dilemmas”, and “predicting”, and “implementation” are not presented at all, and we will have to explore ways to link ‘transformative abilities’ and the Sino-Korean curriculum’s core competencies of middle and high school in the educational process that will be developed in the future. The role of Sino-Korean teacher is to recognize what is transformative abilities that are necessary to students of future era, to recognize why transformative abilities are needed to be enhanced, to find ways to practice and design lesson plan and evaluation that can develop transformative abilities. 최근 교육계에는 ‘역량’이라는 용어가 자주 등장하는데, 이는 2015년부터 OECD에서 ‘미래 교육과 역량: OECD education 2030’ 프로젝트를 진행하고 있는 것과 무관하지 않다. ‘OECD Education 2030’ 프로젝트는 미래에 학생들에게 필요한 역량이 무엇이며, 어떻게 가르쳐야 할지를 제시하고 있다. 따라서 ‘OECD Education 2030’에서 제시한 ‘역량’에 대해 올바르게 이해하는 작업은 향후 학교 교육이 나아가야 할 방향을 잡는 데에 도움을 줄 수 있는데, 이 글에서는 특히 학생들의 “변혁적 역량”을 키워주기 위해 한문 교사가 어떤 역할을 해야 하는가를 다루고자 한다. ‘OECD Education 2030’에서 학생들이 나아갈 방향으로 제시된 것이 ‘OECD Education 2030 학습 나침반’이다. 이에 따르면, 학생 주도성과 협력적 주도성을 토대로 ‘예측-실행-반성’이 순환되면서 학생들의 역량이 함양된다. 특히, 학생들은 “변혁적 역량”인 ‘새로운 가치 창조하기’, ‘긴장과 딜레마 해소하기’, ‘책임감 가지기’를 키워야 함을 강조하고 있는데, 이를 한문과 교육과정에 적용해보니 접점을 찾기가 쉽지 않다. ‘새로운 가치 창조하기’는 ‘전통문화의 계승과 발전’과 관련되고, '반성’ 또한 ‘인성’ 영역과 관련되는데, ‘책임감 가지기’, ‘긴장과 딜레마 해소하기’, ‘예측’, ‘실행’은 전혀 제시되고 있지 않아, 향후 개발되는 한문과 교육과정에서 중등학교 한문 교과와 ‘변혁적 역량’을 연계할 방안을 모색해야 할 것이다. 한문 교사의 역할은, 학생들에게 필요한 변혁적 역량이 무엇이고 왜 함양해야 하는지를 교사가 먼저 인식하고, 변혁적 역량을 함양할 수 있는 수업과 평가를 설계하고 실천할 방법을 찾는 것이라 할 수 있다. 한문 수업을 통해 학생들의 변혁적 역량을 기르기 위해 교과를 담당하는 교사 자신이 노력해야 할 부분은 무엇인지를 찾고, 교사 스스로 이를 수용하고자 하는 적극적인 의지가 요구된다고 볼 수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