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중 길상 문양을 이용한 여성 스카프 디자인 선호도 연구

        백곤,이성원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022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ol.28 No.3

        스카프 어원은 프랑스어의 ‘Escarpe(장식 띠 또는 멜빵)’와 ‘Escreppe(순례자의 짐 보따리 또는 지갑)’에서 파생되었다.1)스카프는 일상적으로 많이 사용되는 의류 액세서리로 어깨, 머리, 목에 착용하며 목을 따뜻하게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물질 문화가 풍부해짐에 따라, 스카프산업의 발전이 점점 주목받고 있다. 스카프는 목장식에서, 착용하는 의류의 전체적인 장식과 코디의 기능으로진화했으며, 여성 착용자의 미적 취향과 생활 수준을 보여줄 수 있다. 스카프의 디자인은 전통문화와 현대 미술의 영향을 받는다. 콘셉트와 디자인 스타일이 다양하며표현 수법 또한 다양하다. 나라, 문화, 연령에 따라 선호하는 콘셉트나 문양이 다르다. 본 연구는 한국과 중국의 ‘복(福)’과 ‘수(壽)’의 길상문양을 스카프에 활용한 것을 연구 대상으로 하여, 관련 자료를 분석하고 정리하였다. 첫째, 스카프의 정의를 정리하고, 에르메스(HERMES) 스카프의 사례에대해 분석하였다. 둘째, 한⋅중 ‘복’과 ‘수’의 길상 문양이 스카프 디자인에서 활용되는 사례를 알아보았다. 셋째, 한국과 중국 여성 소비자의 구매 행동, 스카프의 디자인 선호도, ‘복’과 ‘수’ 문양 스카프 선호도의유사점과 차이점을 비교⋅분석하였다. 마지막으로 도출된 데이터를 이용하여 소비자의 마음을 사로잡을수 있는 스카프를 디자인하고자 했다. 또한, PHOTO SHOP을 사용하여 스카프를 90X90cm와 55X180cm, 두 가지 크기로 디자인하였다. 본 연구는 비교 분석을 통해, 스카프에 대한 한국과중국 여성 소비자의 구매 행동, 스카프의 디자인 선호도, ‘복’과 ‘수’ 문양 스카프 선호도의 유사점과 차이점을 도출하였다. 스카프를 디자인함으로써, ‘복’과 ‘수’ 의 길상 문양을 재해석하고, 향후 관련 연구 분야에대한 중요한 기초 데이터를 제공하였다.

      • KCI등재

        홈 인테리어 디자인 중 펀(FUN) 디자인이 청년층의 정서적 반응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백곤,이성원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023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ol.29 No.2

        The recent development of science and technology and the abundance of material culture have brought convenience to the lives of young people. However, a series of changes, such as accelerating life patterns and increasing work stress and economic burden, have also caused a lot of anxiety and negative emotions for young people. Young people began to show interest in happy lives, pleasant feelings, and new things. For them, the living space became a haven. However, young people in this era are no longer satisfied with the most basic functions of living space, and they are hoping for better feelings and happiness in life through the home interior design of living space. In addition, “fun”, “pleasant”, and “healing” home interior designs can bring physical comfort, pleasant emotions, and psychological satisfaction, which can affect the emotional response of young people. Home interior products include bedding, curtains, sofas, cushions, carpets, and wallpaper. The FUN design of home interior design can reflect the tastes, emotional needs, and self-requests of young people. This study is to study the effect of fun design of home interior design on the emotional response of young people. First, through previous studies, the concept of FUN and the characteristics of FUN design were reviewed and summarized, and through analysis of the case of the Seoul Living Design Fair and the Busan Furniture Fair, three attributes of FUN design were obtained. Second, a hypothesis on the effect of FUN design on emotional response was established and objectively analyzed. Third, 260 young people aged 20-29 living in Seoul and Busan (202 valid questionnaires) were selected and distributed, and 202 valid questionnaires were collected. According to the results of data analysis after collecting the questionnaire, deviance, infantility, and inversion all had a positive (+) effect on the emotional response of the youth group. Through this study, we hope that by identifying the problems facing home interior design products, designers can understand that home design products can no longer satisfy daily needs and bring positive emotional value through design. In addition, through this study, it is intended to provide better theoretical reference materials for future home interior design research on the emotional response of young people. 근래의 과학기술의 발전과 물질문화의 풍요로움은젊은이들의 삶에 편리함을 가져다주었다. 하지만 삶의패턴이 빨라지고 업무 스트레스 및 경제적 부담이 가중되는 등의 일련의 변화는 청년층에 많은 불안과 부정적인 감정을 안겨주기도 했다. 청년층은 행복한 삶, 즐거운 기분, 새로운 것에 관심을 보이기 시작했다. 이런 그들에게 생활공간은 안식처가 되었다. 그러나이 시대의 젊은이들은 더이상 생활공간의 가장 기본적인 기능에 만족하지 않고, 이들은 생활공간의 홈 인테리어 디자인을 통해 자신들의 감정을 좋게 하고 삶의 행복을 바라고 있다. 또한, “재미있는”, “즐거운”, “치유되는” 홈 인테리어 디자인은 신체적 편안함, 즐거운 감정 및 심리적 만족을 가져올 수 있으므로 청년층의 정서적 반응에 영향을 줄 수 있다. 홈 인테리어 제품으로는 침구, 커튼(Drapery), 소파(Upholstery), 쿠션(Cushion), 카페트(Carpet), 벽지 등이 있다. 홈 인테리어 디자인의 펀(FUN) 디자인은 청년층 삶의 취향, 정서적 요구 및 자기 요구를 반영할수 있다. 본 연구는 홈 인테리어 디자인의 펀 디자인이 청년층 정서적 반응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는 것이다. 첫째, 선행연구를 통해서 펀(FUN)의 개념과 펀(FUN) 디자인의 특징에 대해 고찰하여 정리하고, 서울 리빙디자인페어 및 부산가구박람회 사례에 대한분석을 통해, 펀(FUN) 디자인의 일탈성, 유아성, 반전성의 세 가지 속성을 얻었다. 둘째, 펀(FUN) 디자인이 정서적 반응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가설을 세우고, 이를 객관적으로 분석하였다. 셋째, 서울과 부산에 거주하는 20-29세 청년 260명(유효한 설문지 202개)를선정하여 설문지를 배포하였고, 유효한 설문지 202부를 회수하였다. 설문지를 회수한 후 데이터 분석을 진행한 결과에 따르면, 일탈성, 유아성, 반전성이 모두청소년 집단의 정서적 반응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 현재 홈 인테리어 디자인 제품이당면한 문제점을 파악하여, 디자이너가 홈 디자인 제품이 더이상 일상의 욕구를 만족시킬 뿐만 아니라, 디자인을 통해 긍정적인 감성적 가치를 가져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기를 바란다. 또한, 본 연구를 통해향후 홈 인테리어 디자인이 청년층 정서적 반응에 대한 연구에 있어 보다 나은 이론적 참고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