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AAC 사용 경험에 기반한 당사자 및 주변 관련인의 위치 및 상황 기반 AAC에 대한 요구 분석

        백경랑,김경양,박은혜,김영태 한국보완대체의사소통학회 2023 보완대체의사소통연구 Vol.11 No.1

        Background and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AAC(Augmentative and Alternative Communication)-related experiences and needs, including AAC users and stakeholders (family members and experts), and to focus on the needs of ‘location- and situation-based AAC’ for the current usage of AAC and its future development directions. Method: The focus group interview (FGI) method was used to conduct face-to-face and online interviews. The contents of FGI were analyzed according to the systematic analysis process and grounded theory methodology . Results: The study findings were categorized into two main themes: positive and negative. In positive theme, use experience(location & situation of use of AAC used) and funtional improvement(location-related suggestion, situation-related suggestion) were suggested. In negative theme, use experience(AAC device, common perception) and functional requirement(device-related requirement, symbol-related requirement) were suggested in addition to awareness improvement(awareness about AAC user, awareness of AAC user). Conclusion: First, AAC development should expand the participation of AAC users and stakeholders to reflect the needs of consumers and improve the difficulties of AAC previously used. Second, when developing AAC, various characteristics of AAC users should be considered. Third, AAC awareness improvement and AAC necessity education should be provided. 연구목적: AAC 사용자와 주변 관련인를 대상으로 AAC 관련된 경험 및 요구를 살펴보며, AAC의 현재 사용 실태 및 이후 발전 방향을 위치, 상황 기반 AAC에 대한 요구 중심으로 살펴보고자 한다. 연구방법: 포커스 그룹 인터뷰(FGI) 방법을 사용하여 대면 및비대면 면담으로 진행하였으며, 체계적 분석 절차 및 근거이론 분석법을 적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긍정, 부정의 두 가지 주제로 구분되었다. 긍정 주제에서는 기존 AAC 사용 경험(기존 AAC 사용 위치 및 상황) 및 위치, 상황 기반 AAC의 기능 향상을 위한제안(의사소통 위치에 대한 제안, 의사소통 상황에 대한 제안), 부정 주제에서는 기존AAC 사용 경험(AAC 기기 측면, 사회적 분위기 측면) 및 위치, 상황 기반 AAC 관련 기능 개선을 위한 요구사항(위치, 상황 기반 AAC의 기기 개발 요구사항, 위치, 상황 기반AAC의 상징 관련 요구사항), AAC 사용에 대한 인식 개선(AAC 사용자에 대한 인식, AAC 사용자의 인식)에 따라 분석되었다. 결론: 첫째, AAC 개발은 AAC 사용자 및 주변관련인의 참여를 확대하여 수요자의 요구를 반영하고, 기존 AAC의 어려움을 개선하고자 해야 한다. 둘째, AAC 개발 시, AAC 사용자의 다양한 특징을 고려해야 한다. 셋째, AAC 인식 개선 및 AAC 필요성 교육이 이루어져야 한다.

      • 스포츠의류 마찰음 정보 제공에 따른 인터넷 구매자의 감성평가

        백경랑,조길수 한국감성과학회 2009 춘계학술대회 Vol.2009 No.-

        This study investigates the perception of different fabrics by consumers when provided with a video clip with rustling sounds of the fabric. We utilized sportswear products that are currently on the market and evaluated the emotional response of internet shoppers by measuring the physiological and psychological responses. Three kinds of vapor-permeable water-repellent fabric were selected to generate video clips each containing the fabric rustling sound and images of exercise activities wearing the sportswear made of the respective fabric. The new experimental website contained the video clips and was compared with the original website which served as a control. 30 subjects, who had experience to buy clothing online, took part in the physiological and psychological response to the video clip. Electroen-cephalography (EEG) was used to measure the physiological response while the psychological response consisted of evaluating accurate perception of the fabric, satisfaction, and consumer interest. When we offered video clips with fabric``s rustling sound on the website, subjects answered they could get more accurate and rapid information to decide to purchase the products than otherwise they do the shopping without such information. However, such rustling sounds somewhat annoy customers, as proved psychological and physiological response. Our study is a critical step in evaluating the consumer``s emotional response to sportswear fabric which will promote selling frequency, reduce the return rate and aid development of new sportswear fabric further evolution of the industry.

      • KCI등재

        VSD를 활용한 AAC 중재가 CCN을 지닌 사람의 의사소통 능력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메타분석 연구

        백경랑,최윤정,김영태 한국지체.중복.건강장애교육학회 2022 지체.중복.건강장애연구 Vol.65 No.4

        연구목적: 본 연구는 메타분석을 통해 Visual Scene Displays(이하 VSD)를 활용한 보완대체의사소통(이하 AAC) 중재가 복합적인 의사소통 요구(이하 CCN)를 지닌 사람의 의사소통 능력 향상에 대한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2010년부터 2022년 5월까지 출판된 논문을 검색하고, 연구 선정 기준에 부합하는 19편의 단일대상연구설계 논문을 선정하였다. 각 회기당 자료점을 수치화하여 Tau-U 효과크기를 산출하였고, R studio version 4.2.0를 통해 메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VSD를 활용한 AAC 중재를 통해 CCN을 지닌 사람의 의사소통 능력 향상은 큰 효과크기(Tau-U=0.9426)를 보였고, 통계적으로 유의한 결과로 나타났다. 조절효과 분석 결과, 중재목표별 효과크기는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연령 및 또래 참여여부별 효과크기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결론: VSD를 활용한 AAC 중재는 전 연령대 CCN을 지닌 사람의 의사소통 능력 향상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AAC 애플리케이션 디자인 및 사용성 평가를 위한 성과지표 개발

        백경랑,김경양,박은혜,김영태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2023 Communication Sciences and Disorders Vol.28 No.3

        Objectives: With advancements in scientific and technological progress, various Augmentative and Alternative Communication (AAC) applications (apps) have been developed. AAC users require AAC systems that align with their personal characteristics and needs. AAC performance indicators, which encompass usability evaluation, aim to measure communication effectiveness and satisfaction. These indicators can be utilized to assist AAC users in selecting appropriate AAC systems. The goal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performance indicators that would allow AAC users and stakeholders to evaluate AAC apps from multiple perspectives. Methods: Mobile apps and usability evaluations in prior studies were analyzed to extract keywords. Performance indicator items were developed based on this analysis. Expert validity was evaluated, and a survey of AAC users and stakeholders was done to adjust the number of items included and measure validity and reliability. Results: The analysis of prior studies for the development of performance indicator items was visualized in the form of a word cloud. The reliability assessment of AAC app performance indicators yielded a Cronbach’s α value of 0.9 or higher. Regarding content validity, the expert validity showed an S-CVI of 0.978, while the survey with AAC users and stakeholders resulted in 0.754. Exploratory factor analysis was performed to assess construct validity, revealing that all variables demonstrated a communalities value of 0.4 or higher. The items were categorized into five factors: usability, social communication, user-centered design, adoption, and empowerment. Conclusion: AAC app performance indicators should be user-centered, incorporating diverse perspectives and evaluating various aspects of app usage.

      • SCOPUS

        의사소통장애 상담 교육의 실태 및 필요성 : 교육기관과 임상현장을 중심으로

        백경랑(Kyungrang Baik),임성희(Sunghee Lim),정하은(Haeun Chung),전지혜(JiHye Cheon),모경옥(Kyengok Mo),이은주(Eunju Lee),김영태(Young Tae Kim),임동선(Dongsun Yim),성지은(Jee Eun Sung),심현섭(Hyun Sub Sim)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2021 Communication Sciences and Disorders Vol.26 No.4

        배경 및 목적: 임상현장에서 언어재활사들은 효과적인 언어재활을 위하여 상담을 진행하고 있으나, 상담 교육의 부재로 상담의 어려움을 호소하고 있다. 이에 학교에서의 상담 교과목 개설·운영 및 임상현장에서의 상담 교과목 이수 실태를 알아보고, 교수진과 언어재활사들의 상담 교과목의 필요성 인식을 알아보았다. 방법: 언어재활 관련 학과 교수 66명(대학교 37명, 대학원 29명)과 언어재활사 121명이 온라인 설문조사에 참여하였으며, 양적분석과 질적분석을 함께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결과: 상담 교과목이 개설되어 있는 비율은 대학교 66.7%, 대학원 26.9%로 교과목은 대부분 선택 교과목으로 개설되며, 필수 교과목으로 지정한 경우는 대학교 9.5%, 대학원10.0%로 나타났다. 언어재활사의 29.8%는 재학 중 상담 교과목을 수강한 적이 있으며, 학교 외 기관에서 상담 교과목을 수강한 언어재활사는 18.8%로 나타났다. 상담 교과목의 필요성과 관련하여 ‘매우 필요하다.’고 응답한 대학교수는 66.7%, 대학원교수 55.6%로 나타났다. 질적분석을 통해 살펴봐도 상담과 관련된 어려움을 호소하는 경우가 많은 것으로 보고되었다. 언어재활사의 경우 3-5년차 1급 언어재활사들이 ‘재학 중 상담 교육이 매우 필요하다’고 응답하였다. 영역별로 필요성을 느끼는 영역은 언어발달장애 25.4%로 많았으며, 신경언어장애와 유창성장애는 언어재활 영역에서 차지하는 비율보다 높게 상담 교과목의 개설의 필요성을 평가하였다. 논의 및 결론:교수와 언어재활사들 모두 임상현장에서 상담 교과목이 필요하다고 응답하였다. 따라서 의사소통장애 분야의 체계적이고 적절한 상담교과목의 시행을 제안한다. Objectives: Counseling is an essential component of the treatment of communication dis-orders. Clinicians and students in the field have reported a necessity for the incorporation of counseling courses into speech-language pathology practice. Thu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current status of a counseling curriculum in the field of commu-nication sciences and disorders, and to present the professors’ and speech-language patho-logists’(SLP) perceptions of the counseling curriculum. Methods: A web-based question-naire regarding the current status and need for the counseling curriculum was developed and distributed to professors in undergraduate and graduate programs and to SLPs in clin-ical settings. Responses from a total of 66 professors and 121 SLPs were collected and were used for the analysis. Results: Overall, 66.7% of undergraduate programs and 26.9% of graduate programs offer a counseling course within the department. Also, 100% and 85.1% of professors in undergraduate and graduate programs reported the need for counseling education and training in the field of communication disorders respectively. A strong ma-jority of SLPs (95.7%) also felt counseling courses are needed. By clinical areas, SLPs work-ing in language development disorders reported the highest need (25.4%) for counseling courses, followed by neurological disorders and fluency disorders. Conclusion: The results show that the need for counseling programs was high among professors and clinicians. Thus, the implementation of a systematic and adequate counseling curriculum in the field of communication disorders is suggested.

      • SCOPUS

        A Comparison of Treatment lexicality (Real word, Nonword) in the SSR Intervention for Children with SSD

        백경랑(Kyungrang Baik),강진경(JinKyong Kang),강로원(Rowon Kang),김영태(Young Tae Kim)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2020 Communication Sciences and Disorders Vol.25 No.4

        배경 및 목적: 상호작용적 이야기책 읽기를 활용한 조음중재를 바탕으로 하여 의미 자극어 및 무의미 자극어 훈련 방법을 실시하였을 때, 두 훈련 방법 중 아동의 조음 능력 향상에 더 효과적인 방법을 알아보고자 한다. 방법: 상호작용적 이야기책 읽기를 활용한 조음 중재 안에서 의미 자극어 훈련 방법과 무의미 자극어 훈련 방법을 교대로 실시한다. 결과: 중재 효과, 일반화, 유지에서 무의미 자극어 훈련 방법이 의미 자극어 훈련 방법보다 더 큰 효과를 나타냈다. 논의 및 결론: 첫째, 무의미 자극어 훈련 방법은 다양한 대상자 및 목표 음소에 따라 쉽게 변형하여 적용할 수 있으므로, 대상자의 특성 및 필요에 따라 적합한 중재 방법으로 적용할 수 있다. 둘째, 상호작용적 이야기책 읽기를 활용한 조음 중재는 치료의 중심을 아동에게 둔 중재 방법으로, 아동이 흥미를 갖는 이야기책을 사용하여 반복적으로 상호작용적 이야기책 읽기를 활용한 조음 중재를 한다면 아동이 활동에 흥미를 가지고 적극적으로 참여할 수 있을 것이다. Objectives: This study focuses on finding out which of the two treatments (real word, nonword) is more effective in improving the percentage of consonants correct–revised (PCC-R) of the Children with Speech sound disorders (SSD). Methods: In this study, alternating treatments design (ATD) was used to compare the effect of two treatments. The subjects were 4 children with SSD (5;0-6;0). Subjects took tests about treated and untreated words in baseline, intervention, maintenance phases. In the intervention phase, each subject was trained twice a week for 20 sessions, and if a subject achieved 80% or higher target phoneme PCC-R ending for three consecutive sessions, the intervention program was completed. Additionally, a follow-up survey was carried out four weeks after the intervention program was completed by evaluating the treated and untreated words for three consecutive sessions to assess the maintenance effect. Results: All subjects were found to have a higher improvement in the target phoneme PCC-R in nonword treatment. In the generalization of untreated words, all subjects indicated an intervention improvement rate difference (IRD) in which the nonword treatment was better than the real word treatment. Comparing the effect of treatments in the maintenance phase, three subjects were found to have same effect size (1.00). and participant 2 indicated that the nonword treatment was more effective in maintaining the intervention effect. Conclusion: When the effectiveness of real word and nonword treatment was compared, in intervention effect, generalization and maintenance, the nonword treatment indicated greater effect than the real word treatment.

      • KCI등재

        외국인 어머니의 모국어 특성을 고려한 음운인식기반 읽기 중재가 읽기부진 베트남 다문화가정 아동의 읽기 및 쓰기 능력에 미치는 효과

        김은정,백경랑,김영태 이화여자대학교 특수교육연구소 2022 특수교육 Vol.21 No.2

        연구목적: 음운인식기반 중재를 통해 다문화가정 외국인 어머니의 모국어 특성으로 인해 간섭현상이 나타난 한국어 자소를 재정립하며, 음운인식이 읽기·쓰기 능력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았다. 연구방법: 한국-베트남 다문화가정 읽기부진 아동(16명)을 중재집단(8명), 통제집단(8명)으로 구분하였다.중재는 말소리 인식·분류(1단계)부터 음운규칙 적용하여 읽기·쓰기(5단계)까지 진행되었으며, 중재효과는 집단 간 및 집단 내 사전·사후 평가 결과를 비교하였다. 연구결과: 중재집단과 통제집단 간 읽기·음운조작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중재집단 내 한국어 읽기 능력에서 중재효과가 나타났다. 결론: 첫째, 외국인 어머니의 모국어 음운체계에 따른 간섭현상의 영향을 받은 다문화가정 아동의 취약한 음운인식을 보완하여 읽기 및 음운조작 능력을 도울 수 있었다. 둘째, 다문화가정 외국인 어머니의 모국어 특성을 고려한 연구 및 언어 중재가 필요하다. Purpose: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phonological awareness-based intervention considering the mother tongue characteristics on reading and writing skills. Method: Sixteen school-aged poor readers from Korean-Vietnamese multicultural families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 Intervention was conducted by five-step phases, ranging from speech recognition and classification to reading and writing using phonological rules. Results: The intervention group showed a significantly greater increase than the control group in the phonological awareness and reading scores. Conclusion: Results of the study suggests the intervention to help the children with poor ability by complementing the children’s weak phonological awareness of interference caused by the mother's phonological system in the mother tongue. It suggests that further research considering the mother tongue characteristics of foreign mothers from multicultural families and language intervention based on them are necessary.

      • KCI등재

        언어학적 단위 제시 유형에 따른 청년층 및 노년층 간 동사 재인 수행력 비교

        박지민,백경랑,이영미,김영태,성지은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2022 Communication Sciences and Disorders Vol.27 No.4

        배경 및 목적: 본 연구는 청년과 노년을 대상으로 언어학적 단위 제시 유형 및 질문 유형에 따라 동사 재인 수행력에 차이를 보이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또한 동사 재인 과제 수행력과 신경심리검사 간 관계를 살펴보았다. 방법: 청년 21명과 노년 18명, 총 39명이 본 연구에 참여하였다. 단어와 문장 수준으로 구성된 동사 재인 과제를 실시하였으며 세 가지 질문 유형(제시 동사, 미제시-유관 동사, 미제시-무관동사)에 따라 정반응률을 분석하였다. 결과: 첫째, 노년층이 청년층보다 유의하게 낮은 재인 정반응률을 보였다. 둘째, 언어학적단위 제시 유형과 집단 간 상호작용이 유의하였다. 청년층은 문장에서의 정반응률이 단어에서의 정반응률보다 높았으며 노년층은 단어에서의 정반응률이 문장보다 높게 나타났다. 셋째, 질문 유형 간 주효과가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넷째, 미제시-무관 동사가 정반응 및 미제시-유관 동사와 다른 경향성을 보였다. 마지막으로, 동사 단어 재인 정반응률은 신경심리검사와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다. 논의 및 결론: 노화에 따른 인지적 기능 저하로 인해 노년층의 동사 재인 수행력이 저하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언어학적 단위 제시 유형 및 질문 유형에 따라 재인 수행력의 양상이 다르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인지적 부담이 기억 과정에 미치는 영향을 나타내며 본 연구의 동사 재인 과제가 노년층의 인지 학습 능력을 해석하는 데 활용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 KCI등재

        AAC 매체 유형 및 메시지 오류 유형에 따른 해석 정확도 및 수용도 연구

        최지우,백경랑,김영태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2022 Communication Sciences and Disorders Vol.27 No.3

        배경 및 목적: 본 연구에서는 AAC 매체 유형(하이테크, 로우테크) 및 오류 유형(생략, 대치, 도치)에 따라 메시지 산출 시 의사소통 상대자의 해석 정확도 및 수용도, AAC 사용자에 대한 태도에 차이가 있는지 비교하여 살펴보고자 하였다. 방법: 일상생활 표현을 바탕으로 오류 메시지 스크립트를 구성하여 AAC 매체 유형별로 생략, 대치, 도치 오류 영상을 제작하였다. 연구참여자는 AAC 사용자 가족집단 30명, AAC 무경험자 집단 30명이었으며, 연구참여자는 영상을 시청하고 해석 정확도, 수용도 및 태도에 대한 온라인 설문에 답변하였다. 해석 정확도와 수용도에서의 차이를 확인하기 위해 삼원혼합분산분석을 활용하였으며, 태도의 경우 이원혼합분석을 통해 차이를 분석하였다. 결과: AAC 매체 유형 및 메시지 오류 유형에 따른 메시지 해석 정확도 및 수용도에서 집단 간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으며, 오류 유형에 따른 차이는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해석 정확도에서는 도치, 대치, 생략 오류 순으로 높은 점수를, 수용도에서는도치, 생략, 대치 순으로 높은 점수를 기록했다. AAC 사용자에 대한 태도는 집단 간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논의 및 결론: 연구결과는 AAC를 통한 의사소통이 성공적으로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AAC 사용자에 대한 직접 중재와 의사소통 상대자에 대한 간접중재가 함께 제공되어야 함을 시사한다. AAC 사용자가 생략 및 대치 오류를 최소화하도록 하는 중재와 함께, 의사소통 상대자 교육이 이루어져야 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