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Capability for China’s Intervention by Sea in the Total War on the Korean Peninsula in 2049—By Using Scenario Planning Methodology

        배학영,한정경 한국국방연구원 2024 The Korean Journal of Defense Analysis Vol.36 No.1

        What will be the pattern of China’s maritime intervention by the year 2049, and what capabilities will be necessary for such an intervention? This paper aims to propose a force development strategy based on an evaluation of our naval capabilities in comparison to China’s by 2049. It intends to address the gap in force development studies that have predominantly focused on threats from the North’s nuclear and conventional armed conflict, as well as on defense innovation within the framework of Defense Innovation 4.0. Two methodologies will be employed to forecast the enemy’s future capabilities. The first is scenario planning, which involves assuming a specific future in detail and predicting patterns of engagement using probable assumptions among various possible futures. This approach allows for the depiction of a detailed future when writing scenarios. The second methodology is static comparative analysis, which involves a quantitative comparison to identify capabilities we need to develop. Despite its limitation in symmetrical comparison and not accounting for the multi-dimensional complexity of battle, this method provides a relatively straightforward way to infer future warfare capabilities. The value of this paper is threefold. Firstly, it establishes a benchmark for understanding the level and pattern of China’s potential maritime intervention in the Korean Peninsula by 2049. Secondly, it serves as a foundational logic for future force development planning. Thirdly, it offers insights into the necessary force adjustments in response to future engagements with China that could significantly alter the strategic balance to our disadvantage.

      • KCI등재후보

        스마트 군함 무선네트워크 구축 발전방향 - 시범사업 결과를 중심으로 -

        배학영 한국방위산업학회 2021 韓國防衛産業學會誌 Vol.28 No.1

        본 논문은 군이 4차 산업혁명을 전력에 도입한 “스마트 군함 시범사업”의 결과를 중심으로 앞으로 보다 발전된 군함 내 스마트 환경구축의 발전방향을 제시하고 있다. 해군은 4차 산업혁명기술을 군에 접목하여 미래 전장환경에 최적화된 군 건설 의 필요성을 인식하고 스마트 군함 무선네트워크 구축사업을 국방 “U-실험” 사업으로 추진하였다. 양만춘함에서 시범사업을 진행하면서 앞으로 발전시켜야 할 부분이 많이 t식별되었다. 현재의 시범사업의 내용의 설명과 분석을 통해 네 가지 발전방향 을 제안하고자 한다. 첫째, 기존 시스템과의 연동문제이다. 기존의 국방망, 함내・외통신, 함내・외방송 등과 어떻게 연동을 할 것인지에 대한 많은 고민이 필요하다. 둘째, 추가적인 기술의 적용이다. 현재는 무선네트워크 기술을 이용하여 LTE 단독망 구축이 주인 사업이지만, Digital Twin, IoT, VR/AR 등의 추가적인 4차산업혁명 기술을 적용을 정책적으로 검토해야 한다. 셋째, 어디까지 확장을 할 것인가의 문제이다. 현재는 단위함에 대해서만 무선네트워크를 구축하지만 이를 육상의 군항지구 및 지휘시설과도 연동해야 한다. 넷째, 총수명주기적 관점에서 사업을 진행해야 한다. 4차 산업혁명과 관련된 기술의 라이프 사이클(Life Cycle)이 매우 짧다. 사업이 시작함과 동시에 다음 세대의 기술로 이전이 시작되는 기술이 많다. 초기사업비용이 들더라도 다음 세대 기술적용이 용이한 인프라 구성이 중요하다. “누구도 가보지 않았지만 가야하는 길” 그것을 시도하는 것 이 시범사업의 정신이다. 군함에 무선네트워크 구성을 시작으로 함정내에 보다 효과적인 체계통합이 이루질 수 있는 연동망 이 구축될 수 있을 것이다. The Navy tries to adopt 4th industrial revolution technology for her force development. One of these endeavors is a “Smart Battleship”. This program has been conducted as one of U-Experimental Programs. Suggestions have been found for better smart working environment on board because this was a pilot program. This article introduces the “Smart Battleship” program and suggests for future better smart environment program in the Navy. The suggestions will be following. First, the independent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should links with pre-existing systems such as military intra-net, ship’s broadcasting system, ship’s communication system etc.. Second, additional cutting-edge technology should be applied to the smart ship environment such as Digital Twin, IoT, VR/AR etc.. Third, we need to consider what other commanding-posts should be linked to expand its network. The major goal of the program is to construct wireless communication environment in the ship. But we should expand the range from ships to all navy sites such as ports, fleet command, navy headquarter etc.. Fourth, we should plan the program in the perspective of total life cycle management. Even if the sunk-cost is high, the room for upgrade should be added in the first place. This is the way where nobody has walked. But, we should go for the place at the end of the road where nobody conquers.

      • KCI등재

        한국형 유령함대(무인원격함대) 운용개념 및 전력 발전방향

        배학영 한국방위산업학회 2022 韓國防衛産業學會誌 Vol.29 No.2

        The United States leads the maritime unmanned system under name of “gohst fleet program”. The U.S.‘s concept of ghost fleet may seem effective for future maritime security environment for every country. But it wouldn’t be the same because of a different security/operational environment.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develop the concept of the Korean Ghost Fleet in line with our security/operational environment. In this paper, the concept of K-Ghost Fleet operation was presented under two seperated time categories, peacetime and emergency/wartime, so that we can identify the required capabilities. Unlike the United States, South Korea is equipped with small UAV/USV/UUV on a mother ship rather than a medium/large maritime unmanned system. Seperated small UAV/USV/UUV will be on board for patrol mission during peacetime and they will be launced for a composite warfare to respond to various threats and neutralize enemies. The roadmap for K-Ghost Fleet will b e laid out in a three-stage(short-term, medium-term, and long-term). First, it plays an auxiliary role in manned ships in the short term. Second, it will b e a system that can be operated as a MUM-T(Manned and Unmanned Team) in the medium term. Third, the ghost fleet will replace manned ships in the long term. This paper studies the operation concept and force development direction of the Korean ghost fleet. For futher research, I suggests a specific year in the roadmap of force development, more required specification in detail, and research on whether it is recognized as a navy ship by international law. 미국을 중심으로 해양무인체계가 발전하고 이를 실제 작전 수준에서 운용하는 개념이 체계화되고 있다. 세계 최고의 기술과 자본이 결합된 미국의 이러한 전력개념은 미래지향적으로 보일 수 있으나 우리의 안보/작전환경이 다른 국가의 개념을 그대로 받아들이는 것은 비효율적이다. 그래서 우리의 안보/작전환경에 부합하는 한국형 유령함대의 개념발전이 필요하다. 본논문에서는 유령함대를 평시와 유사시/전시로 나누어 운용개념을 제시하고 거기서 도출된 요구능력을 바탕으로 전력발전개념을 제시하였다. 우리나라는 미국과는 달리 중/대형 해양무인체계 보다는 유령함대모함에 UAV/USV/UUV를 탑재하여 평시에는 1개의 함정으로 경계임무 위주로 운용을 하다가 전시가 되면 복합전 위협에 대응하기 위해 분리된 상태에서 진형을 이루어 다양한 위협에 대응 및 적을 무력화시키는데 운용한다. 이러한 유령함대를 3단계(단기, 중기, 장기)의 로드맵을 가지고, 단기적으로는 유인전력의 보조적 역할을 수행, 중기적으로는 단위 해양무인체계를 통합해서 운용 가능한 체계의 발전, 장기적으로 유인전력과 대등한 능력을 바탕으로 유인전력을 대체하는 유령함대의 건설이다. 본 논문은 한국형 유령함대의 운용개념및 전력발전방향에 한정된 범위를 연구하여 발전방향에 있어서 구체적인 연도를 제시, 구체적 요구성능 제시, 국제법적으로유령함대의 군함으로 인정여부에 대한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 KCI등재

        “해양기반 기동형 3축체계” 전력발전 방향

        배학영 한국방위산업학회 2023 韓國防衛産業學會誌 Vol.30 No.1

        This paper makes suggestions on the force development of the “maritime-based Maneuvering 3K”. Various effective maritime-based alternatives have been proposed for the efficient construction of the three-axis system by making the most of the advantages of maritime-based power in the overall context of the current Yoon Suk Yeoln government’s “Korean three-ax is system.” Based on the reflected power of the maritime-based three-axis system to date, the additional power to be supplemented is as follows. Additional reflection of AGS-Ⅲ, combat UUVs, tactical surface-to-surface guided missiles, ship-to-surface guided missiles, and self-destructive UAVs is needed to reinforce hitting capabilities with Kill-Chian reinforcement. KAMD needs KDX-Ⅲ Batch-Ⅰ performance improvement to convert to a maritime platform for KAMD, and additional ballistic missiles-Ⅱ (L-SAM-based) and AGS-Ⅳ for missile tracking are needed. KMPR currently has no maritime-based power, and special infiltration ships should be added to support the stealth penetration of special forces as reinforcement power that can retaliate without detecting. 본 논문은 “해양기반 기동형 3축체계”의 능력(전력) 발전방향에 대하여 제언을 하고 있다. 현재 현 정부의 “한국형 3축체계”의 전체적인 맥락 속에서 해양기반 전력의 장점을 최대한 활용하여 3축체계의 효율적 구축을 위해 다양한 효과적 해양기반 대안을 제시한 것이다. 현재까지의 해양기반 3축체계의 반영 전력을 기준으로 추가적으로 보완해야 하는 전력은 아래와같다. Kill-chian 보강전력으로 정보수집을 위해 해양정보함-Ⅲ, 전투용 UUV, 타격능력 보강을 위해 전술함대지유도탄(소요수정), 함대지탄도유도탄, 함탑재장거리자폭용UAV 등의 추가 반영이 필요하다. KAMD는 KAMD용 해양 플랫폼으로 전환을위해 KDX-Ⅲ Batch-Ⅰ 성능개량이 필요하며, 신형 국산함정용 탄도탄요격미사일 운용을 위해 함대공유도탄-Ⅱ (L-SAM 기반), 미사일 추적을 위한 해양정보함-Ⅳ 등이 추가로 필요하다. KMPR은 현재 해양기반 전력은 전무한 상황이며 보강전력으로 특수전전력의 은밀침투를 지원할 수 있는 특수침투정, 특수전지원함이 추가되어야 하며, 고위력 SLBM을 통해 발사원점이발각되지 않는 응징적 보복이 가능한 재래무기의 확보가 필요하다.

      • KCI등재

        국방우주력 발전을 위한 해상기반 우주영역인식체계 활용방안 연구

        배학영,김주형,임종수 한국방위산업학회 2022 韓國防衛産業學會誌 Vol.29 No.1

        In the era of space exploration, all-round efforts at the national level for the development of space power are continuing. Until now, Korea's space situation awareness has been led by three institutions: the Korea Astronomy & Space Science Institute, the Korea Aerospace Research Institute, and the Republic of Korea Air Force. So far there has been no discussion on maritime-based space awareness system. Currently, these institutions have raised the level of awareness of the space situation around the Korean Peninsula to a significant level through their own efforts. However, land-based space situation awareness that covers only over the Korean Peninsula reveals various limitations. First, omnidirectional search is impossible, and second, land-based radar requires high power for long-distance search, so there is an adverse effect on the human body due to high-power radio wave radiation. Third, since it is operated in a fixed position, it is less efficient than the radar operated at sea, so it is vulnerable to a surprise attack from the enemy. Contrary to the limitations of land-based SDA assets, sea-based SDA assets have the following advantages. First, it can be free from the burden of infrastructure construction, and second, it is not necessary to construct additional facilities for the radar system, so it is possible to reduce costs in connection with the facility construction problem. Third, the mobility of the detection coverage is guaranteed as it is not fixed in maritime usage. Such maritime-based SDA power can utilize the assets already possessed by the navy, and there are parts that need to be newly developed for better SDA in the future. Compared to the ground-based SDA system, which is difficult to properly build and requires a lot of budget, utilizing the 10 Aegis and KDDX ships that the Navy will have in the 2030s could be a very attractive option for the reinforcement of space power in Korea, where resources and time are limited. 우주대항해시대를 맞이하여 우주력 발전을 위한 국가 차원의 전방위적 노력이 계속되고 있다. 지금까지 우리나라의 우주영역인식은 한국천문연구원, 항공우주연구원, 공군의 세 개 기관 주도로 이루어져 해상기반 우주감시에 대한 담론자체가 없었다. 현재 이들 기관은 각자의 노력으로 한반도 주변에 대한 우주영역인식의 수준을 상당한 수준으로 높여 왔다. 하지만 한반도 위만을 바라보는 육상기반 우주영역인식은 다양한 한계를 드러내고 있다. 첫째, 전방위 탐색이 불가하며 둘째, 육상기반레이더는 장거리 탐색을 위해 높은 출력이 필요하므로 고출력의 전파 방사에 따른 인체 악영향이 있다. 셋째, 고정된 위치에서 운용하기 때문에 해상에서 운용하는 레이더보다 효율성이 낮아 적으로부터의 기습공격에 취약하다. 이러한 육상기반 우주감시자산의 제한점에 반해 해상기반 우주감시자산은 다음의 장점이 있다. 첫째, 기지건설에 따른 부담에서 자유로울 수 있고둘째, 레이더 감시체계 구축을 위한 추가 시설건설이 불필요하여 시설문제와 연계하여 비용절감이 가능하다. 셋째, 해상용은고정이 되지 않아 탐지 범위의 유동성이 보장된다. 이러한 해상기반 우주영역인식 전력은 해군이 이미 보유하고 있는 자산을활용할 수도 있고, 앞으로 보다 나은 우주영역인식을 위해 새로이 발전시켜 나가야 하는 부분도 있다. 위의 장단점에서도 소개되었지만 하나를 제대로 구축하기도 힘들고 예산도 많이 소요되는 지상기반 우주감시체계에 비해, 해군이 2030년대에 보유하게 될 이지스함과 차세대 한국형 이지스구축함(KDDX) 함정 10여 척을 우주영역인식에도 활용하는 방안은 자원과 시간이 한정된 우리나라의 우주력 건설을 위한 매우 매력적인 선택이 될 것이다.

      • KCI등재

        함정 성능개량을 통한 전력 발전 방안 연구 - 양만춘함 성능개량을 중심으로 -

        배학영 한국방위산업학회 2020 韓國防衛産業學會誌 Vol.27 No.1

        대한민국 해군 최초로 수상함 전투체계성능개량사업(2019.1월-2020.8월)이 실시되었다. 지금까지는 함정을 한번 건조를 하면 주기적인 창정비를 통해 성능을 유지하다 선령(보통 30년)이 다하면 퇴역시켜 예비역으로 활용하였다. 하지만 30년간 최초에 설계된 전투체계를 사용하는 것은 기술의 라이프 사이클이 짧아진 4차산업혁명시대에 작전요구능력을 만족시키기에 부족하게 되었다. 이러한 필요성의 인식에서 성능개량은 시작되었고, 소요반영에서 실제 사업까지 이르게 되었다. 양만춘함은 전투체계 성능개량 및 창정비를 동반한 사업의 선도함정으로써 많은 시행착오와 극복의 과정을 거치게 되었다. 이렇게 생긴 노하우를 후속함 및 각 관련 사업부서에 전파되기를 바라는 마음에 논문을 작성하게 되었다. 양만춘함 성능개량을 통해 최초 로 시행된 전투체계성능개량 사업의 발전방향을 아래의 8가지를 제시하였다. ① 이원화된 사업관리 개선 ② 성능개량 관련 표준시행절차(SOP) 작성 및 규정반영 ③ 설계단계에서 승조원 의견 반영 ④ 전투체계성능개량 범위 확대 ⑤ 성능개량 및 창 정비 해외수출 모델 개발 ⑥ 성능개량 및 창정비 동시 외주 ⑦ 근무지원 시설 추가 건축 필요(군 내에서 사업 진행시) ⑧ 신규 소요제기 시 성능개량 포함 소요제기이다. 앞으로 전력건설의 새로운 방법으로 정착될 성능개량 사업의 발전에 제도적 개선 으로 보다 효율적이고 발전적인 성능개량사업에 기여하기를 바란다. ROK Navy had decided to conduct a combat system improvement as a new way of naval force development to meet future required operational capability, availability, reliability. Unlike pre-existing life cycle of battleship without considering the short life cycle of military technology, combat system improvement is inevitable for modern warfare. However, it needs more institutionalization because combat system improvement is conducted with a depot maintenance for more availability for the first time. I suggest eight development of battleship improvement. ① integrated process management between combat system improvement and depot maintenance, ② setting up standard operational procedure for improvement, ③ reflection of crew member's opinion at the design stage, ④ expanding the range of improvement, ⑤ exporting the know-how as a new business model, ⑥ outsourcing both improvement and depot maintenance, ⑦ building more work support facility, ⑧ requiring improvement in the first place. I hope that the suggestions contribute the institutionalization of improvement in the Navy.

      • KCI등재

        우주전장시대 해군력 발전방향

        배학영 ( Hackyoung Bae ) 국방대학교 안보문제연구소 2021 국방연구 Vol.64 No.2

        새로운 전장의 확대는 새로운 군(공군, 우주군 등)을 만들기도 하지만 기존의 군의 새로운 변화를 강요하기도 한다. 우주가 새로운 전장으로 등장하고 확대되면서 해군도 그 역할 및 능력에 있어서 새로운 길을 고민해야 할 시기가 되었다. 우주전장시대에 해군력 발전방향에 대해 기존 능력 확대와 새로운 능력 확보의 한 차원과 해전 능력 향상과 합동 능력 지원이라는 두 가지 측면에서 8가지 능력(해양감시능력, 해양공격능력, 탄도탄 감시/요격능력, 우주자산 공격능력, 우주감시로부터 회피, 우주공격으로부터 회피, 우주전장인식능력, 우주발사체 지원능력)을 제시하였다. 8가지 제안된 능력에는 기존 장기계획에 포함된 내용도 있으나 대부분이 아직 개념연구도 이루어지지 않은 새로운 능력들이다. 이 논문을 시작으로 앞으로 해군력에 있어서 쫓아가는 발전(Fast Follower)이 아닌 선도형 발전(First Mover)의 초석이 되기를 기대한다. 또한 우주전장 시대에 국방부 차원에서 해군을 어떻게 운용할 것인가 관한 정책·전략·전력·작전 구상에 사전 연구로써 기여할 것이다. New security domains compel us to initiate a new force and to innovate pre-existing services. The expansion of space as a security domain leads the navy to think about new capabilities in the space era. This proposes eight capabilities in these two aspects: 1) whether there are pre-existing capabilities or not, 2) whether this is more advantageous for naval capability or joint force capability. These two aspects suggest eight future navy capabilities in the space era: MDA (Maritime Domain Awareness), Attack from space to maritime, BMD (Ballistic Missile Defense), ASAT (Anti-Satellite Weapon), Stealth from space, Protection from space attack, SDA (Space Domain Awareness), Support for satellite sea-launch. These suggestions include pre-existing plans and new capabilities that the navy can take from concept to dynamic asset. This paper will be a preliminary study for future naval force development plans in the space era.

      • 위성정보를 활용한 해양영역인식(MDA) 발전 방향

        배학영 ( Hackyoung Bae ) 한국해양안보포럼 2024 한국해양안보논총 Vol.7 No.1

        우주가 신화의 공간이 아닌 인간의 활동영역으로 등장한 것이 반세기가 훌쩍 넘은 이 시점에서 우주자산(위성)을 이용한 국가와 그렇지 않은 국가 사이에 많은 차이를 만들어 내고 있다. 또한 해양에서도 이미 함정이 항구를 떠나면서 우주자산의 도움이 없이는 아무것도 할 수 없는 시대가 도래하였다. 이렇게 우주가 해양의 한 부분으로 편입이 되어 활용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해양영역인식(MDA)에 있어서는 그 활용도가 체계적이고 못한 것이 현실이다. 특히, 한반도에서는 NLL 주변의 해양경계문제, 주변국과의 해양경계획정 협상, 해외작전의 증가, 한미 미사일 지침 해제로 인한 우주산업의 폭발적 증가 등 해양인식영역에 우주자산의 이용을 확대해야 하는 필요성이 증가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기존의 다양한 상업용 위성의 정보를 어떻게 이용할지를 우선 제시한다. 그리고 위성 정보들을 어떻게 융합하여 우리가 원하는 정보를 생산해 내는 알고리즘과 체계를 구축방안을 제시하였다. 이 논문을 시작으로 앞으로 안보적 측면에서도 우주자산을 이용한 해양영역인식의 확대에 대한 관심과 발전이 있기를 기원한다. More than half a century has passed since the space emerged as an area of human’s activities, rather than a space of myths, creating a lot of differences between countries that use space assets and those that do not. Also, in the ocean, an era has arrived, in which ships must get help from space assets since the moment they leave port. Despite the fact that the space has been incorporated and utilized as a part of the ocean, the reality is that recognizing the ocean domain is not systematic and not effective. In particular, on the Korean Peninsula, it is necessary to use space asset for MDA for maritime boundary issues around the NLL, negotiation of maritime boundaries with neighboring countries, an increase in overseas operations, and an explosive increase in the space industry due to the lifting of the ROK-U.S. missile guidelines. In this paper, we propose how to use the information of various pre-existing commercial satellites. Additionally, we suggest algorithm to integrate satellite information to produce information we need. We hope this paper initiates interest and development in the expansion of maritime domain awareness using space assets from a security perspective in the future.

      • KCI등재

        미·중간의 지정학적 해양패권경쟁과 한국의 안보전략

        배학영(Bae, Hack-Young) 한국해양대학교 국제해양문제연구소 2022 해항도시문화교섭학 Vol.- No.27

        인도·태평양전략은 이름에서 알 수 있듯이, 인도·태평양(해양)을 중심으로 한 지전략(Geostrategy)이다. 그러나 지금까지의 미·중경쟁을 주제로 인도 태평양전략을 연구한 논문들은 많은 부분을 미 중의 두 강대국 간의 다양한 분야(정치, 경제, 군사 등)의 국제관계 혹은, 미·중의 국내정치적인 측면에서 다루고 있다. 지전략의 출발은 해당 지역의 중요성, 전략적 가치에서 출발해야 제대로 된 전략을 도출할 수 있다. 그러나 국제정치적 수준에서 다루다 보니 인도·태평양 자체의 중요성에 대해서는 간과한 면이 있다. 이 논문은 인도·태평양을 지전략으로 정의하고, 해당 지역의 전략적 가치를 해양 측면에서 분석하고 있다. 인도·태평양의 중요성을 인구, 지역경제블럭, 해양관할권, 심해 저자원, 원유수송로 등의 해양적 관점에서 제시하였다. 미국은 이렇게 중요한 인도·태평양에서 미국과 중국은 충돌할 가능성은 날로 높아지고 있다. 특히, 미국은 인도·태평양사령부를 중심으로 3가지 노력선(Prepareness, Partnership, Promoting a Networked Region) 구현을 위해 다양한 노력을 경주하고 있다. 중국, 또한, 해양실크로드 건설을 위해 인도·태평양을 중심으로 전세계 해상교통로 확보에 집중하고 있다. 이렇게 미·중간의 경쟁이 지전략적인 가치가 높은 인도태평양지역에서 심화되면서 우리에게도 중요한 인도·태평양의 안전이 위협받고 있다. 하지만 인도태평양 지역(특히, 동·남중국해)가 왜 우리에게 중요한지 우리의 산업구조를 통해 구체적으로 제시하고, 만일 미중 갈등으로 인해 해상교통로가 마비되면 우리에게 어떠한 영향을 미칠지를 제시하고자한다. 또한, 주변국과 해양경계획정이 되지 않은 상황에서 보다 넓은 해양영토확보를 위해 인도·태평양 지역은 매우 중요하다. 이러한 미 중 갈등, 미국의 인도·태평양전략과 군사적 활동, 인도·태평양의 우리에게 중요성 등을 고려하여 앞으로 미·중 경쟁 속에서 우리가 마주할 다양한 양자택일의 해양에서 이슈에 대해 우리 국익이 최대가 되는 방안을 선택할 수 있는 고민이 필요하다. As its name suggests, the Indo-Pacific Strategy is a geostrategy centered on the Indo-Pacific(Ocean). However, many of the scholars that have studied the U.S. Indo-Pacific strategy on the subject of the U.S.-China competition so far deal with international relations and domestic politics of the U.S. and China. The start of the geo-strategy must start from the importance of the region and strategic values to derive a proper strategy, but the importance of the Indo-Pacific itself has been overlooked as it is handled at the international political level. This paper defines the Indo-Pacific Strategy as a geostrategy and analyzes the strategic value of the region from the maritime perspective. The importance of the Indo-Pacific Ocean was presented from the marine perspective of population, regional economic blocks, maritime jurisdiction, deep-sea resources, and crude oil transport routes. The United States is making various efforts to implement three lines of effort (Preparance, Partnership, Promoting a Networked Region) centered on the Indo-Pacific Command. This Indo-Pacific is also important to us. Due to Koreas industrial structure, it relies heavily on imports of raw materials and exports of final products through the sea. Therefore, the maritime transportation route itself is very important. In addition, the Indo-Pacific region is very important to secure a wider marine territory in the absence of a agreement on maritime delimitation line with neighboring countries. Considering the U.S.-China conflict, the U.S. Indo-Pacific strategy and military activities, and the importance of the U.S.-China competition to us, it is necessary to consider how Korea can choose various policy options to maximize national interest in the futur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