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레위기 13-14장의 차라아트( תערצ )를 통한 Covid-19의 이해와 선교적 과제

        배춘섭(Bae, Choonsup) 신학지남사 2020 신학지남 Vol.87 No.3

        본 논문의 목적은 코로나(Covid-19)로 인해 선교적 제약을 받는 상황 속에서, 레위기 13-14장의 차라아트( תערצ )를 통해 Covid-19를 신학적 관점으로 이해하고 향후 교회의 선교적 과제를 제안하는 데 있다. Covid-19 팬더믹 이후 선교지를 비롯한 국제사회는 급격한 변화가 나타났다. 많은 국가들이 국경을 봉쇄했다. 그리고 각 나라마다 사회적 갈등과 경제적 침제 및 정치적 고립 등의 현상들이 나타났다. 먼저 구약성경 레위기 13-14장의 차라아트는 오늘날 Covid-19과 질병의 성격과 신학적 관점에서 비슷한 유사성을 갖는다. 무엇보다도, 레위기의 차라아트는 단순히 인간 죄에 대한 하나님의 심판이라기보다는, 제사법으로서 ‘정결함’이라는 하나님과의 관계회복에 중점을 둔다. 이것은 차라아트가 인과론에 근거한 인간범죄에 대한 하나님의 심판이 아니라, 하나님이 택한 백성을 구원하시기 위해 주권적으로 사용하시는 도구로서의 질병임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욥기는 인간이 당하는 재난이 죄에 대한 하나님의 심판이 아니라, 하나님의 주권적 영역에 달려있음을 드러낸다. 물론 Covid-19는 현대인에게 다양한 방식으로 해석될 여지가 있다. 왜냐하면 오늘날 세계관은 각 문화와 인종마다 매우 다양 방식으로 분화되었기 때문이다. 하지만 Covid-19은 하나님의 통치와 무관할 수 없다. 오히려 Covid-19은 하나님의 구원작정을 위한 섭리의 일환으로 해석된다. 그러므로 저자는 다음의 세 가지를 제안한다. 첫째, 교회의 선교적 과제는 최우선적으로 선교적 교회로서 본질적 회복(Ontological Recovery)해야 한다. 둘째, 이런 회복에 힘입어 교회는 전염병으로 인해 재난에 처한 자들을 왕성하게 돕고 섬겨야 한다. 마지막으로 교회는 국경봉쇄와 사회적 격리(quarantine) 속에서도 네트워크 사역을 강화함으로써, Covid-19의 역경 앞에서도 전혀 굴하지 않고 하나님의 구원하심을 믿고 복음전파 사역에 더욱 충실해야 한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understand Covid-19 from a theological perspective through leprosy( תערצ ) shown in Leviticus 13-14 and proposing future missionary tasks for the church amidst the current climate of being limited in our missions work due to Covid-19. Since the outbreak of Covid-19, there have been many abrupt changes in the global society including various missions’ fields. Numerous countries closed down their borders and each country was wrought with social conflicts, economic depression, and political isolation. Firstly, leprosy shown in Leviticus 13-14 of the Old Testament is similar to the characteristics of Covid-19 from a theological perspective. More than anything, leprosy in Leviticus, rather than being the judgment of God on humankind’s sin, is focusing on restoring humankind’s relationship with God through a rite of ‘cleansing’. This means that leprosy is not a causational judgment on God’s part due to human sin but rather a tool that God uses to save His chosen people as a steward. For example, Job reveals that calamities that befall on humans is not God’s judgment but instead is within the sovereignty of God. Of course, Covid-19 can be interpreted in a plethora of ways by the contemporary man because each culture and race has a very unique and different worldview. However, Covid-19 cannot be unrelated to God’s rule and reign. Rather, Covid-19 should be interpreted as a part of God’s providence for the salvation of humankind. Therefore, the author proposes following three things. Firstly, the ontological recovery as a missionary church should be the first and foremost missionary task for the church. Sencondly, based on such recovery, the church should actively help and serve those who have been affected by this contagious disease. Lastly, the church must strengthen its networking ministry amidst closing borders and social quarantine and fight against the disaster of Covid-19, staying faithful to God’s salvation and spreading the good news all the more actively.

      • KCI등재

        영적 전쟁에 관한 개혁주의 입장에서의 평가-전략적 차원의 영적 전쟁(Strategic-Level Spiritual Warfare)을 중심으로

        배춘섭 ( Choonsup Bae ) 한국개혁신학회 2016 한국개혁신학 Vol.51 No.-

        본 논문은 ``전략적 차원의 영적 전쟁``의 신학적 쟁점들을 개혁주의 입장에서의 평가하기 위함이다. 소위 ``제 3의 물결``은 오순절과 은사주의 운동을 계승한 성령운동이다. 이전의 두 물결처럼, 제 3의 물결(the third wave)은 성령의 은사를 수반하여 기적활동과 사단과의 능력대결을 통한 승리주의로서의 하나님 나라의 확장을 지향한다. 그러나 제 3의 물결에서 주장되는 "SLSW"는 선교학적 측면에서 반드시 재고해야 할 신학적 쟁점들이 있다. SLSW의 긍정적 측면에도 불구하고, SLSW의 약점은 선교학적 측면에서 여러 가지 나타난다. 첫째는 성경해석이 매우 상황적이다. 둘째는 너무 개인의 능력대결에 치중한 나머지, "선포된 복음의 능력"(power of Kerygma)을 축소시킨다. 셋째, 비기독교적 세계관의 요소들이 다분하다는 점이다. 결론적으로 SLSW의 신학적 쟁점에 관한 평가에서 ``사단의 정체``, ``귀신들림``, ``땅 밟기``와 ``귀신축사``의 개념들은 의심할 여지없이 성경적 관점에서 용납 될 수 없다. 그러므로 본 연구는 SLSW으로서 능력대결에 참여하는 것을 전적으로 지지하지는 않는다. 오히려 개혁신학의 관점에서의 영적 전쟁은 성경의 권위를 인정하며 하나님께서 선교 사역들의 유일한 주권자가 되신다는 "하나님의 선교"(Missio Dei)를 강조한다.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evaluate theological arguments regarding the ``Strategic-level Spiritual Warfare``(SLSW) from a perspective of the Reformed Theology. The so-called ``the third wave`` is a spiritual movement, which is originated from the Pentecostal and Charismatic movements. As the first two waves do, the third wave also pursues an expansion of the kingdom of God based on the triumphalism through miracle activities and ability competitions against divisions with the spiritual gifts of the Holy Spirit. However, the SLSW proposed in the third wave carries some theological arguments that must be reviewed for their missiological aspects. In spite of some positive aspects of SLSW, fatal weaknesses of it is still found from various aspects of missiology. Firstly, its interpretation on the Bible is too contextual. Secondly, the weight is put so much on the ability competition of individuals that the power of Kerygma is underweighted. Thirdly, there are too much non-Christian elements involved. The conclusion of above evaluation on the theological arguments in SLSW is that the concepts of ``territorial spirits``, ``demon-possession``, ``pray-walks`` and ``exorcism`` will not be, without any question, tolerated from a biblical perspective. Thus, this study does not entirely support participating power encounter as SLSW. In fact, it acknowledges authority of the Bible from the perspective of Reformed Theology and emphasizes "Missio Dei," in which God becomes the unique sovereign in mission works.

      • KCI등재후보

        포스트모더니즘 시대의 선교적 해석학의 중요성

        배춘섭(Bae Choonsup) 개혁신학회 2021 개혁논총 Vol.55 No.-

        본 논문은 포스트모더니즘의 해석학적 위기로 인한 선교적 해석학의 중요성을논의하는 데 목적이 있다. 역사적으로 모더니즘의 도전은 선교신학의 급진적인 변천을 가져왔고, 아울러 포스트모더니즘적 인식론은 선교신학의 축을 담당하는 성경해석학에 상당한 영향을 끼침으로써 다양한 선교적 해석학의 구조(Framework) 를 양산했다. 특별히 독자반응 비평의 해석학은 독자가 경험을 통해 얻은 ‘실제’(reality)를 본문(Text)에 의미를 부여하고 해석함으로써 본문의 최종의미를 완성하는데, 이것은 원저자의 의도와는 달리 본문을 독자의 요구에 따라 자의적으로해석된다. 이런 해석방식은 성경을 해석할 시 지나치게 개인의 주관적 해석을 수용함으로써 원저자인 하나님의 의도를 무시하고, 통일성 있는 성경의 진리를 거부한다. 이런 성경해석학에서의 독자반응 비평은 보수적, 급진적 비평가들의 입장이 존재한다. 전자는 성경의 의미를 해석하기 위해 역사비평과 성경의 원어연구를 존중한다. 반면 후자는 성경을 해석 시 저자의 개입을 원천적으로 차단하고 독자의 주관적인 해석을 적극 수용한다. 결국 독자반응 비평으로 빚어진 성경해석의 위기는궁극적으로 성경의 권위의 훼손시킨다는 데 달려 있다. 따라서 저자는 포스트모더니즘의 시대의 선교신학은 반드시 성경의 권위를 인정한는 성경해석학으로부터비롯되어야 한다고 주장한다. The aim of this paper is to discuss the importance of missional hermeneutics due to the hermeneutical crisis of postmodernism. Historically, the challenges of modernism have led to radical changes in mission theology, and postmodernist epistemology has exerted a significant impact on biblical interpretation, an axis of mission theology, resulting in many different frameworks of missional hermeneutics. In the hermeneutics of reader-response criticism, in particular, the final meaning of the text is completed when the reader takes the ‘reality’ obtained through experience and gives meaning to the text. This implies that the text is interpreted arbitrarily according to the reader’s request, unlike the original author’s intention. This method of interpretation ignores the intention of God, the original author, by overly accepting individual subjective interpretation when interpreting the Bible, and thus rejects the truth of the unified Bible. Reader-response criticism in such biblical hermeneutics is subject to the opinions of conservative and radical critics. The former respects historical criticism and studies in the original language of the Bible in order to interpret the meaning of the Bible. On the other hand, the latter fundamentally blocks the author’s intervention in interpreting the Bible and actively embraces the subjective interpretation of the reader. The crisis of biblical interpretation is ultimately in the undermining of the authority of the Bible. Therefore, this paper argues that mission theology in the postmodern age must come from biblical hermeneutics that recognizes the authority of the Bible.

      • KCI등재

        피터 와그너의 영적 전쟁론에 관한 성경해석학적 평가 - 다니엘 10장 13절을 중심으로 -

        배춘섭 ( Choonsup Bae ) 한국개혁신학회 2019 한국개혁신학 Vol.62 No.-

        본 논문은 피너 와그너(C.P. Wagner)가 ‘전략적 차원의 영적 전쟁’(Strategic level spiritual warfare)을 지지하기 위해 인용한 단 10장 13절이 개혁주의적 관점에서 오류임을 논증한다. 그는 바사의 군주(□)를 ‘지역 악령’으로 해석한다. 전통적으로 □는 두 유형으로 해석되었다. 하나는 □를 인간 통치자(human commander)로 이해하는 것이고, 다른 주장은 □를 천상적 존재(celestial being)로 해석하는 것이다. 전통적으로 종교개혁자인 칼빈(Calvin)은 □를 역사적인 인간 통치자로 보았다. 그러나 단 10장 13절에서 □는 천상적 존재로도 해석될 가능성이 여전히 존재한다. 왜냐하면 다니엘 10장은 문학적 병렬(Literary parallelism)로 인해 ‘역사적인 사건’과 ‘초연적인 사건’이 독특한 방식으로 엮어 있기 때문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단 10장 13절은 □의 이해와는 관계없이 와그너의 SLSW를 지지하지 않음을 보여준다. 이유는 다음과 같다 첫째, 다니엘은 SLSW를 위해 지역 귀신의 이름을 불러가며 전투기도와 중보기도를 하지 않았다. 둘째, 가브리엘 천사가 다니엘을 찾아와 전쟁 소식을 전해주기까지 다니엘은 영적 전쟁에 관해 전혀 몰랐다. 마지막으로, 다니엘은 그 당시 캄비세스(Cambyses)가 성전재건을 방해할 때 하나님께 기도했다. 그러므로 단 10장 13절은 SLSW의 정당성을 입증하지 않는다. This paper argues that C.P. Wagner’s reference to Daniel 10:13 to support ‘Strategic Level Spiritual Warfare’ is false from the perspective of Reformed theology. He interprets Prince of Persia(□) as a ‘territorial spirit’. Traditionally, this term is interpreted in two ways. In the first interpretation it is understood as a human commander, while in the second interpretation it is understood as a celestial being. The religious revolutionary Calvin traditionally interpreted □ as a historic human commander. However, in Daniel 10;13 there remains plenty of room for □ to be interpreted as a celestial being. This is due to Daniel 10;13 being written in a unique form of literary parallelism that intertwines ‘historic events’ with ‘supernatural events’. However, notwithstanding the debated interpretation of □, Daniel 10:13 does not support Wagner’s SLSW. The following are the reasons why. Firstly, Daniel did not use a territorial spirit’s names for combative and intercessory prayer for SLSW. Secondly, Daniel did not know anything about spiritual warfare before the angel Gabriel came to him carrying the news of war. Lastly, Daniel prayed to God when Cambyses interfered with the rebuilding of the Temple. Therefore, Daniel 10:13 does not prove the validity of SLSW.

      • KCI등재

        선교를 위한 이주의 성경적 고찰과 적용

        배춘섭 ( Bae Choonsup ) 한국개혁신학회 2024 한국개혁신학 Vol.81 No.0

        본 논문은 아시아에서 급증하는 이주민을 위한 복음전도를 위해 이주에 관한 성경적 고찰과 교회의 총체적 선교사역들을 논의한다. 오늘날 아시아에서 다른 아시아 권역으로 이주하는 사람들의 수치는 날로 증가하고 있다. 이런 급격한 이주의 이유에는 경제적, 정치적 그리고 사회적 요인들이 있으며, 최근 혁신적 과학문명은 이를 더욱 가속화하고 있다. 특별히 이주민에 관해 연구할 때 구약성경에서의 게르(□)는 매우 특별한 의미를 지닌다. 게르는 이방인이지만 이스라엘에 수용되어 함께 야웨 신앙을 지닌 자들이다. 신약성경에서 게르는 개종자(προσήλυτος), 이방인(πάροικος), 나그네(γειώρας) 등으로 번역되었는데, 이는 하나님의 은혜로 돌봄을 받으며 하나님 나라를 소망하는 종말론적 신앙을 지닌 그리스도인을 의미한다. 그러므로 교회는 하나님의 구속적 관점에서 이주민을 향해 다음과 같은 선교적 자세를 지녀야 한다. 첫째, 교회는 이 땅에서 잠시 머무는 이주민의 정체성을 갖고 오직 복음전도에 힘써야 한다. 둘째, 교회는 하나님의 사랑으로 이주민을 환대하고 총체적 사역들을 감당해야 한다. 끝으로, 교회는 이주민과 현지인 간에 사회적 통합을 위한 사역을 실천해야 한다. 궁극적으로 저자는 이주민 선교를 통해 이주민을 선교의 객체가 아닌 주체로 삼을 것을 제안한다. 그렇게 함으로써, 그는 복음의 증인으로서 이주민의 역-선교(reverse mission)를 통해 아시아를 비롯해 세계 복음화를 이뤄야 함을 주장한다. This thesis discusses a biblical examination of migration and the church’s holistic missionary outreach to evangelize the rapidly growing migrant population in Asia. Today, the number of people migrating from one part of Asia to another is increasing every day. There are economic, political, and social reasons for this rapid migration, which has been accelerated by the recent revolutionary scientific civilization. When studying migrants, in particular, the Ger(□) has a very special meaning in the Old Testament. who is a Gentile but has faith in Yahweh to be accepted into Israel. In the New Testament, Ger is translated as proselytes(προσήλυτος), strangers(πάρ οικος), and sojourners(γειώρας), which means that they are Christians with eschatological faith who are looked after under God’s grace and are hoping for the kingdom of God. Therefore, the church should have the following missionary posture towards migrants from God’s redemptive perspective. First, the church should recognize its identity as a migrant temporarily residing on the earth and endeavor to evangelize. Second, the church should welcome migrants with God’s love and undertake holistic outreaches. Finally, the church has to practice the ministry for social integration between migrants and natives. Ultimately, the author proposes to consider the migrants as a subject rather than an object of mission through migrant missions. In doing so, he argues that migrants, as witnesses to the gospel, should be engaged in reverse missions to evangelize the world including the Asia.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