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부모가 인식한 청소년 자녀의 스마트폰 사용문제와 사용지도 경험 연구

        배주미 ( Joo Mi Bae ),조은숙 ( Eun Suk Cho ),조영미 ( Young Mi Cho ),김경은 ( Kyung Eun Kim ) 한국가족관계학회 2015 한국가족관계학회지 Vol.20 No.1

        With the rapid provision of smartphones to Korean adolescents, more attention is being given to the parental role in the healthy smartphone usage of their children. Through interviews with five parent focus groups (22 participants) divided by age and gender of their offsprings, this study found out the experiences of the parents regarding their offsprings’ smartphone usage and their parenting experiences. The results were categorized into ‘negative effects of smartphone usage’, ‘perceived factors of children``s overuse of smartphones’, ‘their parenting experiences’, ‘difficulties of their parenting’, and ‘suggested effective parenting methods to deal with adolescent smartphone usage’. Based on the results, the authors suggest the importance of parenting methods, which can enhance intimacy and adolescents’ autonomy and self-motivation in regulating their smartphone usage.

      • KCI등재

        남자 중학생의 기질과 지각된 부모의 양육행동이 반사회적 행동경향에 미치는 영향

        배주미(Bae Joo-Mi)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008 한국청소년연구 Vol.19 No.2

        본 연구는 청소년의 기질, 지각된 부모의 양육행동이 남자 중학생의 스트레스 반응을 통해 반사회적 행동경향에 영향을 끼치는지를 살펴보기 위해 서울과 경기도의 2개교 남자 중학생 1, 2학년 638명에서 설문을 실시하여 최종 611명의 자료를 분석하였다. 을 분석한 것이다. 상관 분석 결과, 반사회적 행동경향과 가장 관련이 높은 변인은 자극추구의 기질이었으며, 스트레스에 대한 수동적 반응(수동관여, 수동비관여)도 유의미한 상관을 보였다. 구조방정식 모형검증 결과, 자극추구 기질과 부모양육의 직접 영향과 스트레스 반응 중 수동적 반응의 간접 효과가 모두 유의미하였다. 그리고 기질과 부모양육이 반사회적 행동경향에 직접 영향을 끼치는 경로와 스트레스 반응을 매개하여 영향을 끼치는 경로를 모두 가정하는 부분매개모형의 적합도가 가장 양호하였다. 이 결과에 대한 연구의 제한점과 시사점이 논의되었다. The primary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influence of temperament, perceived parenting behaviors, stress responses (active coping and passive reactions) and the mediating effects of stress responses on antisocial behavior. A total 611 adolescents were administered a self-reporting exercise; the measures of Junior Temperament Character Inventory(JTCI), the Parental Bonding Instrument(PBI), the Korean Youth Self Report(YSR), and the Responses to Stress Questionnaire(RSQ). The results indicated that novelty seeking were the most important variable associated with antisocial behavior. Novelty seeking and perceived parental over-control, care and passive response were also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antisocial behavior. The results of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revealed that novelty seeking and perceived parental behaviors had both direct effects and indirect effects which in turn were mediated by passive responses to antisocial behavior. The findings of this study suggested that novelty seeking, perceived parenting behaviors and high passive responses were risk factors for antisocial behavior and the influences of temperament. Moreover, it was also found that perceived parenting behaviors on antisocial behavior might partially depend on the levels of stress responses in adolescence. Based on these results, implications of the present study were discussed.

      • KCI등재

        취약 아동청소년 자립지원 정책 및 서비스에 대한 현장전문가 델파이 조사

        배주미(Bae Joo-Mi),김영화(Kim Young-Hwa),김범구(Kim Bum-Goo),정익중(Chung Ick-Joong)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011 한국청소년연구 Vol.22 No.3

        본 연구에서는 취약 아동청소년에 대한 통합적, 체계적 자립지원 방안을 모색하기 위한 탐색적 연구를 위하여 취약 아동청소년 자립지원에 필요한 정책 및 서비스에 대한 델파이조사를 실시하였다. 현장전문가를 대상으로 진행된 델파이 조사에서는 총 72명의 현장전문가가 참여하였으며, 향후 취약 아동청소년의 자립을 지원하기 위하여 가장 필요한 정책 및 서비스를 제안하고, 이에 대한 중요도를 평가하였다. 그 결과 14개 항목 75개의 문항의 자립지원 정책 및 서비스가 요약되었으며, 정책적 측면에 있어 자립지원 정책강화, 자립지원 관련 데이터베이스 구축, 사후관리 강화, 자립지원 실무자 전문성 강화와 처우개선, 자립정착금 지원의 개선, 주거공간 지원 확대와 개선, 법률 및 의료 지원 강화, 친부모 관련 대응 강화 등이 제시되었다. 이와 함께 자립지원 서비스와 관련하여 자립준비 프로그램의 체계적 구축 및 운영, 심리정서적 지원 강화, 진로탐색 및 진로설계 서비스의 강화, 학업지원의 강화, 사회기술 역량 함양, 경제교육 강화 등의 내용이 제안되었다. 이러한 결과에 따라 본 연구의 시사점과 한계점이 논의되었다. This study sought to analyze both the types of policies and social services needed to ensure the ability of disadvantaged youth to lead independent lives by means of Delphi research. Seventy two experts from residential care, grouphomes, foster care, shelters, local counseling centers and alternative schools provided detailed feedback on policies, services and measures they regard as necessary to enable and support successful independent living on the part of disadvantaged youth. These results produced a number of important suggestions; 1) there is a clear need to strengthen the policy on adolescents as it relates to independent living, 2) there is a need to develop a database system which includes information on self-reliance, 3) enhancing the provision of follow-up services is reqired, 4) there is a need to develop the expertise of care givers, 5) improvements need to be made to the independent living financial support system, 6) more residential facilities need to be made available, 7) affordable legal and medical support is required, 8) help and support in dealing with the problems with biological parents is needed, 9) a systematic self-reliance preparation programs need to be established, 10) any initiatives in this area need also to provide intensive psychological intervention services, 11) a comprehensive system for career development for professionals in this field needs to be put into place, 12) disadvantaged youth require the provision of systematic support for the improvement of their academic and overall educational outcomes, 13) support needs to be given to assist in the development of their social skills, 14) training in their money management skills needs to be provided.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were also discussed.

      • KCI등재

        지연성 운동장애와 양성, 음성 정신분열병 환자에서의 인지기능 장애

        유범희,김지혜,배주미,이강욱,우종민,김승태 大韓神經精神醫學會 1998 신경정신의학 Vol.37 No.1

        저자들은 정신분열병 환자에서 양성, 음성 증후군에 따라 각각 특징적으로 어떤 인지기능의 장애를 보이는지 알아보며, 또 지연성 운동장애의 존재 여부가 인지기능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조사해보고자 지연성 운동장애 환자 31명과 대조군 32명에게 PANSS 검사를 시행하였고, 인지기능 검사로는 KWIS 검사와 Grooved Pegboard test, Trail making test A/B, Wisconsin card sorting test, Wecshler memory scale을 시행하였다. 그 결과 다음과 같은 성적을 얻었다. 1) KWIS 지능검사상 이해 소검사에서 양성 증후군 환자들이 음성 증후군에 비해 우수한 수행도를 보였으며 빠진 곳 찾기 소검사에서는 지연성 운동장애가 없는 집단이 있는 집단에 비해 우수한 수행도를 보였다. 2) Trail making test A형에서 양성 정신분열병 환자 집단이 음성 정신분열병 환자 집단에 비해 전반적으로 빠르고 효율적인 수행을 보였다. 3) 그밖의 다른 인지기능 검사상에서는 양성, 음성 정신분열병과 지연성 운동장애 유무에 따른 검사 결과의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결론적으로 음성 증후군 환자들의 경우 양성 증후군에 환자들에 비해 실행 기능과 같은 전두엽 기능의 장애와 기억 능력의 저하가 좀더 분명하게 나타나 음성 증상과 인지기능 장애 사이에 통계적으로 의미있는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지연성 운동장애의 경우는 음성 증후군과 함께 나타날 때만 현실 검증력, 주의력의 저하가 두드러져서 지연성 운동장애 자체만으로 인지기능의 장애가 유발된다고 보기는 어려웠다. Objective : The goal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cognitive dysfunctions in positive and negative schizophrenic patients and investigate the effect of tardive dyskinesia on cognitive dysfunctions in them. Methods : Thirty two schizophrenic patients with tardive dyskinesia and thirty two schizophrenic patients without tardive dyskinesia as a control group were selected from psychiatric inpatients at a lunatic asylum and the cognitive dysfunctions of these patients were assessed with some neuropsychological tests including KWIS test, Grooved Pegboard test, Trail making test A and B, Wisconsin card sorting test, and Wechsler memory scale test. From these patients, we classified eighteen schizophrenic patients as a positive syndrome group and twenty five patients as a negative syndrome group with positive and negative syndrome scale and compared the results of neuropsychological tests between these two groups. Results : Patients without tardive dyskinesia showed better performances than those with tardive dyskinesia on picture completion subtest of KWIS. Positive schizophrenic patients showed better performances than negative schizophrenic patients on comprehension subtest of KWIS and trail making test A. Conclusion : Negative schizophrenic patients showed frontal lobe dysfunction and more memory impairment than positive schizophrenic patients. In conclusion, negative syndrome of schizophrenia is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cognitive dysfunctions although tardive dyskinesia is no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