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배정이,조성일 국가위기관리학회 2011 국가위기관리학회보 Vol.3 No.2
본 연구는 서울특별시 및 6개 광역시 중에는 가장 높은 손상사망율을 보이고 있는 부산시를 지금까지의 선례 없는 대규모로, 최 단기간인 3년내 국제안전도시로 성공적으로 공인받기 위하여 공인 전략을 수립하고 연차별 사업내용을 도출함으로써 사업 모델과 실천방안을 마련하고자 시도되었다. 본 연구를 통하여 부산 시민들의 실질적인 안전증진에 이바지할 수 있는 사업으로 추진하기 위한 근거중심의 구체적인 프로그램으로 도출될 수 있는 접근 전략도 모색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WHO 공인기준에 근거한 부산광역시 특성화 전략을 수립할 수 있는 방안을 연차별로 도출하였고, 부산광역시의 손상지표를 도출하고, 국가통계로 승인받음으로서 신뢰도 높은 손상지표를 도출하였다. 또한 안전관련 사업을 총체적으로 파악하고, 부산광역시청, 구·군청, 경찰청, 교육청 등 시 기관과 시민단체로 구성된 안전전문가의 네트워크을 구축하였으며, 모든 연령과 계층, 특히 노인과 어린이, 저소득층의 취약 계층을 위한 안전사업을 우선적으로 추진함으로써, 부산시민의 시정에 대한 신뢰가 증진될 수 있는 계기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배정이(裵井이),정상태(鄭尙泰),손혜숙(孫惠淑),염석란(廉釋蘭),박현주(朴賢周),조성일(曺成一) 위기관리 이론과 실천 2012 Crisisonomy Vol.8 No.1
본 연구는 부산시민의 안전의식 및 행태를 조사하고, 안전사고 예방을 위한 기초자료조사로서, 부산광역시 총 17,088가구를 연구대상가구로 계통표본 추출하여 조사 하였으며, 연구방법은 대상가구를 직접 방문, 면접방식으로 조사표를 작성하거나 조사표를 배부 후 대상자가 직접 작성하고 회수하였다. 신뢰도는 95%신뢰수준 하에서 구군별 오차 한계 ±3.0% point로 한 자료를 토대로 안전의식 및 행태를 조사하였다. 분석 결과, 노인인구의 안전의식은 교통안전과 가정 내 안전에서 다른 연령층보다 낮은 인식도와 낮은 실천율을 나타내 안전에 취약계층임을 드러냈다. 특히, 교통안전에서 노인이 운전을 하거나 보행을 할 때 안전 수칙에 대한 교육 및 홍보는 시급하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부산시민 전체를 대상으로 한 안전의식 증진 교육과 안전사고를 예방하는 참여 교육 등의 프로그램의 개발 및 보급과 함께 노인인구에 대한 손상예방과 안전증진을 위한 정책 제정 노력이 필요하다.
초등학생의 안전사고 실태 및 예방전략에 관한 조사 연구
배정이 한국아동간호학회 2002 Child Health Nursing Research Vol.8 No.4
-Key concept : Child Accident, Safety, Prevention
간호대학생의 자살생각 관련요인 - 지각된 스트레스, 우울, 자아존중감 및 회복탄력성 -
배정이,김윤정,김은하,김현경,김현정,박승언,신지나,안영신,전유현,전하진,정유정,정희안,강세현,김한나,엄주환,오세은,이지은,이현정 국가위기관리학회 2020 국가위기관리학회보 Vol.9 No.1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자살생각 관련변수 간의 관계를 분석하여 대상자의 자살예방 및 정신건강증진 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시도되었다. 연구의 대상자는 B광역시에 소재한 I 대학의 간호대학생 이며, 자료수집기간은 2016년 9월 21일부터 2주간에 걸쳐 시행되었다. 연구도구로는 일반적 특성 외 지각된 스트레스, 우울, 자아존중감, 회복탄력성 및 자살생각으로 구성된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하였 다. 연구결과 간호대학생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자살생각의 차이는 대상자의 종교 여부, 지각된 대인 관계, 전공만족도, 학교생활 만족도, 학업성적 및 경제상태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자살생각은 지각된 스트레스, 우울과는 양의 상관관계, 자아존중감, 회복탄력성과는 음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간호대학생의 자살생각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검증한 결과, 자아존중감이 대상자의 자살생 각을 12.2% 설명하였다.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간호대학생의 자살생각을 감소시키고 건강한 대학생활 을 영위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는 자아존중감을 높일 수 있는 프로그램의 개발과 적용이 이루어져야 겠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ain the suicidal ideation of nursing students. This study was conducted from September 21, 2016 to October 4, on 283 nursing students of I University in B city.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WIN 20.0 program. The suicidal ideation of nursing students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perceived stress (r=.28, p<.001) and depression (r=.27, p<.001), a negative correlation with self-esteem (r=-.34, p<.001) and resilience (r=-.28, p<.001). A stepwise reg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to examine the factors affecting suicidal ideation of nursing students. Self-esteem was significant predictor of suicidal ideation, and this variable accounted for 12.2% of suicidal ideation. This study was to find out the relationship between suicidal ideation related variables of nursing students and to provide basic data for management and prevention of suicidal ideation. Self-esteem of nursing students was most important variable related to suicidal ideation.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develop a plan that can effectively to improve self-estee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