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정신과 간호사의 업무 스트레스 측정을 위한 도구 개발 연구

        배정이,Bai, Jeong-Yee 대한간호협회 1989 대한간호 Vol.28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the baseline data for -developing the occupational stress measurement tool for Psychiatric nurses Working in the hospital. 135 staff nurses in psychiatric unit of 11. hospital were participated during the period from August 1 to August 20, 1988. Though the pretest and literature review a questionnaire was coristructed with 88 stressors which were experienced by the psychiatric nurses in the hospital. Subjects were given instruction to rate 1~6 likert type scale according to the level of stress experienced by each stressor described. Reliability of the tool was tested by Cronbach's Alpha and the reasult was ${\alpha}=0.94871$. Factor analysis was applied to organize 88 items together: As the result, 14 factors were obtained. The factors were; 1) Administration problem 2) Work overload 3) Role conflict as a profession 4) Lack of professional knowledge and skill 5) Conflict with nurses 6) Conflict with other health teams 7) Conflict in nurse-clint relationship 8) Conflict with supervisor 9) Conflict with suborinate 10) Low reward 11) Scheduling probrem 12) Inappropriate physical environment 13) Staff inadequate 14) Inadequate of equipment.

      • 간호대학생의 자살생각 관련요인 - 지각된 스트레스, 우울, 자아존중감 및 회복탄력성 -

        배정이,김윤정,김은하,김현경,김현정,박승언,신지나,안영신,전유현,전하진,정유정,정희안,강세현,김한나,엄주환,오세은,이지은,이현정 국가위기관리학회 2020 국가위기관리학회보 Vol.9 No.1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자살생각 관련변수 간의 관계를 분석하여 대상자의 자살예방 및 정신건강증진 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시도되었다. 연구의 대상자는 B광역시에 소재한 I 대학의 간호대학생 이며, 자료수집기간은 2016년 9월 21일부터 2주간에 걸쳐 시행되었다. 연구도구로는 일반적 특성 외 지각된 스트레스, 우울, 자아존중감, 회복탄력성 및 자살생각으로 구성된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하였 다. 연구결과 간호대학생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자살생각의 차이는 대상자의 종교 여부, 지각된 대인 관계, 전공만족도, 학교생활 만족도, 학업성적 및 경제상태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자살생각은 지각된 스트레스, 우울과는 양의 상관관계, 자아존중감, 회복탄력성과는 음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간호대학생의 자살생각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검증한 결과, 자아존중감이 대상자의 자살생 각을 12.2% 설명하였다.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간호대학생의 자살생각을 감소시키고 건강한 대학생활 을 영위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는 자아존중감을 높일 수 있는 프로그램의 개발과 적용이 이루어져야 겠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ain the suicidal ideation of nursing students. This study was conducted from September 21, 2016 to October 4, on 283 nursing students of I University in B city.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WIN 20.0 program. The suicidal ideation of nursing students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perceived stress (r=.28, p<.001) and depression (r=.27, p<.001), a negative correlation with self-esteem (r=-.34, p<.001) and resilience (r=-.28, p<.001). A stepwise reg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to examine the factors affecting suicidal ideation of nursing students. Self-esteem was significant predictor of suicidal ideation, and this variable accounted for 12.2% of suicidal ideation. This study was to find out the relationship between suicidal ideation related variables of nursing students and to provide basic data for management and prevention of suicidal ideation. Self-esteem of nursing students was most important variable related to suicidal ideation.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develop a plan that can effectively to improve self-esteem.

      • KCI등재

        부산광역시 낙상 실태조사

        배정이(Jeong Yee Bae)(裵井이),조성일(Seong Il Cho)(曺成一),안덕현(Duk Hyun An)(安德賢) 위기관리 이론과 실천 2011 Crisisonomy Vol.7 No.5

        본 연구의 목적은 부산광역시 시민들의 낙상 현황과 실태를 분석하고 문제점을 파악하여 시민들의 낙상 사고를 예방하기 위한 프로그램 개발과 정책수립에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것이다. 부산광역시 시민의 낙상 발생 현황을 파악하기 위하여 통계청 사망원인 통계연보와 3개의 응급의료센터의 손상자료 및 부산광역시 16개 구군을 대표하는 17,088가구의 53,744명을 대상으로 역학조사를 실시하였다. 95% 신뢰수준 하에서 오차한계 ±4.0%로, 본 연구 결과는 국가통계(승인 번호 : 통계협력과 09007)로 승인받았다. 자료수집기간은 2009년 5월부터 6월까지 약 2개월간에 걸쳐 훈련된 조사원들이 가정을 직접 방문하여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연구 목적에 따라 SPSS WIN 17.0을 이용하여 분석하였으며, 빈도와 백분율로 조사하였다. 분석결과 부산광역시 시민들의 원인별 손상사망률은 자살(62%), 운수사고(21%), 낙상(11%) 순으로 나타났으며, 낙상 사망률은 노인층에서 가장 높았고 남성(16.1명)이 여성(5.7명)보다 더 높았다. 부산광역시 낙상사망률(6.4명)은 전국 평균(5.0명) 보다 높았고, 서울특별시와 6개 광역시 중 가장 높았다. 손상유형별 내원율은 낙상이 20.3%로 가장 높았으며 여성, 남성 모두에서 가장 높았다. 낙상으로 인한 응급의료센터 내원율을 연령별로 비교한 결과, 노인층이 30.1%로 가장 높았으며 여성은 모든 연령층에서 낙상으로 인한 내원율이 가장 높았고, 남성은 성인층과 장년층을 제외한 모든 연령층에서 낙상이 가장 높은 내원율을 보였다. 최근 부산시민의 인구 중 아동의 비율은 감소하는 반면, 노년층의 인구증가로 안전취약계층이 급증하면서 낙상으로 인한 사망률로 경제적 손실이 증가하고 그로 인한 사회 경제적 부담이 가중되고 있다. 이에 정부와 관련기관 및 단체는 낙상예방을 최우선 과제로 두고 실효를 거둘 수 있는 근거중심의 안전증진사업 개발 및 보급을 위하여 노력해야 할 것이다. Fall accidents are an important cause of death and disability. They also have enormous financial implications. This study aims to report the incidence of falls in Busan. Methods: A descriptive study has been conducted. Overall, 53,744 men and women from general population were recruited in Busan. Data collected was analyzed descriptive statistics SPSS/WIN 17.0. Results: Injury statistics show that in Busan, suicide ranks highest followed by traffic accidents, fall, drowning, homicide and others. Compared to other cities, Busan now ranks first in highest fall accident rates. This is why Busan and its people exclaimed the profound need for safety measures. The most prominent injury morbidity indicator is falls. Falls occur most commonly in the elderly group and infants. This high number shows that it is a major health problem that must be addressed by accident and falls prevention programs. Conclusion: To reduce the alarming rate of falls and related excessive mortality and morbidity, efforts must be made to detect persons at risk of falling and to prevent or reduce the frequency of falls. This study gave a very useful and important data to prepare accident prevention program and to prepare accident prevention strategies.

      • KCI등재후보

        청소년 자살 관련 중재현황, 전략 및 연계방안

        배정이,이승연,이영선,최영민,조인희 대한의사협회 2013 대한의사협회지 Vol.56 No.2

        In this paper, the current status of adolescent suicide prevention and intervention are addressed,including areas related to medicine, counseling, mental health nursing, social welfare, and education. Many preventive efforts and intervention programs have been developed and implemented, but the results have been mostly minimal or unfruitful and many problems arose. First, there is a lack of epidemiological research and developmentally appropriate data on adolescent suicide. Thus evidence-based research on adolescent suicide necessary to make important decisions regarding prevention strategies and the allocation of budgets and human resources is not available. Second, there are only a handful of experts with an appropriate level of education and training. Current suicide prevention efforts are performed as a part of crisis intervention, but only a few persons know how to do so effectively. Finally, a good networking and referral system among each area of service is needed. One of the most important issues might be balancing the levels of service available to each subject and to provide a proper, systematized intervention and continuous crisis management services. In order to create an effective networking and referral system among several service providers for adolescent suicide prevention, we need robust support from the Korean government and local communities.

      • KCI등재

        재난심리지원 전략 개발을 위한 홍수 피해자의 경험분석

        배정이,김희현,박현주,신화령,홍희정,손혜숙 위기관리 이론과 실천 2015 Crisisonomy Vol.11 No.9

        본 연구는 홍수피해의 재난을 경험한 자를 대상으로 그들의 경험을 이해하고 우리나라 심리지원 전략개발을 위한 방안을 마련하는데 기초자료를 제시하고자 시도 되었다. 자료수집방법으로는 심층면담과 관찰법을 사용하였고 연구 참여자는 총 12명이었다. 면담질문은 “홍수 피해의 과정에서 있었던 경험을 말씀해 주십시요”라는 포괄적인 질문으로 대화를 시작하였고 자료가 포화상태에 도달할 때까지 반복적으로 자료를 수집하였다. 면담시간은 참여자별로 2∼3회 진행되었고 1회 면담에 소요된 시간은 평균 2∼3시간 정도이다. 자료 분석방법은 Colaizzi(1978)가 제안한 현상학적 연구방법에 따라 그 경험을 분석하였으며 분석결과 본 연구에서 나타난 재난피해자들의 경험은 생전 처음 재난을 경험함, 몸만 빠져나와 불편한 생활, 고통스러움, 재 피해에 대한 불안, 복구 및 보상, 지지, 주변을 돌아볼 여유와 감사함 7가지 범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 밝혀진 재난피해자들의 경험을 토대로 실무에서 재난이나 재해, 사고 후 성장을 도울 수 있는 중재 프로그램의 개발 및 수행이 필요하고, 재난이나 재해 후 재적응을 돕기 위하여 이전의 재난 경험자들을 대상으로 심리적인 변화와 적응에 관한 연구가 필요하며, 간호계 뿐만 아니라 교육계 전반으로 재해 및 재난에 대한 사전, 사후 교육의 확산이 이루어지고, 좀 더 다양하고 활발한 연구 활동을 통한 교육 매뉴얼이 개발되어야 할 것이다. 아울러 본 연구는 자연재해 경험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로서 재해 및 재난 이후 심리적 지원을 위한 전략개발에 중요한 기초자료가 되기를 기대한다. Based on the understanding of the experiences among the victims of flood disasters in Busan, this study intends to provide the fundamental data for designing strategies for psychological support for them. The data were collected through in-depth and unstructured audio-taped interviews of 12 flood disaster victims over a one-year period, asking about their experiences during the disaster. The Colaizzi's method was used for a phenomenological analysis of the interview data, which put their experiences into seven different categories: first-time experience in a flood disaster, discomfort with life without necessities, pain, anxiety about re-disaster, recovery and compensation, support, sympathy and gratitude. The findings from this study suggests the development and implementation of a mediation program to help the disaster victims overcome the impacts of the accident or disaster, as well as the widespread adoption of pre- and post-disaster education programs throughout the nursing and education professions. Further studies can provide valuable resources for post-disaster programs including the training manual.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