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초등학교 사회과 ‘실천적’ 통합교육의 원리 탐색

        배영호(Bae, YoungHo)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8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8 No.24

        본 연구의 목적은 사회과 실천적 통합의 정당성과 그 의미를 밝히고, 기존의 사회과 통합관이 가진 한계를 극복하기 위한 초등학교 사회과의 실천적 통합교육의 원리를 제시하는 데 있다. 기존의 사회과 통합 담론은 기본적으로 사회과 지식의 구조에 기반을 둠으로써 실천 세계와의 소통과 보다 더 생산성 있는 통합 담론으로의 확장에 한계를 갖고 있었다. 이러한 한계를 넘어서는 것은 우선 실천 세계가 사회과 구조적 지식보다 존재론적으로 더 선차적인 세계이며 구조의 무한한 여백이 존재하는 문 제의 장임을 확인하는 데 있다. 실천적 사회과 통합은 지식 구조의 전체성보다 사회과 내외적 요소들과의 연결의 가치를 우선시하고 범교과적이고 미시적 규모에서의 연결을 중시한다. 또한 사회과 실천적 통합은 그것이 연결되기 전의 것과 다른 새로 운 지식 내러티브나 수업을 창출해낸다는 점에서 생산성을 가진다. 사회과 실천적 통합을 위해 초등학교 교사는 가급적 같은 학년 또는 학년군을 여러 해 중임함으로써 교육과정에 대한 실천적 경험을 축적할 필요가 있고, 교사 스스로 사회과를 전경 으로 하여 다양한 요소들과의 연결을 통해 자신의 지식을 확장하고 이를 교육과정과 연결하여 관련된 자료를 모아나가는 노력을 해야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larify the legitimacy and the meaning of practical integration in Social Studies education of elementary school and to explore the principles of practical integration to overcome the limitation of existing integration in Social Studies. There are limitations on making connections with practical real-worlds and on extending to the discourses of more productive integration because existing discourses of integration in Social Studies education are basically based on the structure of knowledge of Social Studies. Practical real-worlds are the foundations of structural knowledge of Social Studies in the ontological dimension and there are many latent things which go beyond the bound of structural knowledge. These ideas are the starting points for going beyond the limitations of existing discourses of integration in Social Studies education. Practical integration in Social Studies education places the worth of connections with elements from inside and outside of Social Studies above the completion of knowledge structure and attaches importance to the connections on a small scale and in cross-curricula. Practical integration in Social Studies education has productivity because it creates the new and different knowledge narratives and flows of Social Studies class. It is necessary for elementary school teachers to accumulate the practical experiences of curriculum for practical integration in Social Studies education by teaching one or two grades for many years. And it is necessary for teachers to expand their knowledge by connecting to various resources and to make an effort to collect the data which can be used in integrated Social Studies education.

      • KCI등재

        ‘문제의 장’에 기반을 둔 사회과교육을 위한 TV 뉴스의 활용

        배영호(Bae, YoungHo) 한국사회과교육연구학회 2018 사회과교육 Vol.57 No.4

        본 연구의 목적은 사회과가 추구하는 사회 현상에 대한 인식과 관련하여 기존의 구조적 지식이 가지고 있는 한계를 지적하고 사회적 실재가 구조적 지식에 대해 가지는 존재론적 선차성에 대한 논의를 바탕으로 TV 뉴스가 그러한 한계를 극복하는 대안이 될 수 있음을 밝히는 데 있다. 사회과 구조적 지식은 학생들로 하여금 사회 현상을 해석할 수 있도록 하는 개념적 도구를 제공해 준다. 그러나 지식의 구조가 가진 일방성과 경직성으로 인해 사회라는 실재를 이루고 있는 복잡다단하고 미시적인 차이들과 시간에 따른 지식 구조 자체의 변화 측면을 포섭하지 못하는 한계를 가지고 있다. 이러한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본 연구는 실재로서의 사회가 구조적 지식에 대해 가지는 존재론적 선차성을 정당화하고 이를 ‘문제’와‘해’의 구도로 바라보았다. 이에 따라 사회의 실재를 다양한 내러티브가 생산될 수 있는 문제의 장으로 개념화 하고 그러한 내러티브들이 생산되는 곳으로서 TV 뉴스에 주목하였다. TV 뉴스는 구조적 지식의 구체적 사례로서 또는 그것을 벗어나 사회와의 활발한 소통을 가능하게 함으로써 사회 현상에 대한 적절한 인식과 관련하여 사회과 본연의 역할을 더욱 적극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oint out limitations of the existing structural knowledge for awareness of social phenomena, and to clarify that TV news can be an alternative for overcoming these limitations through discussion of the ontological relationship between reality and knowledge. This study justified the notion that the reality of society is prior to structural knowledge in the ontological dimension, and saw these two sides related as ‘problems’ and ‘answers’. According to this idea, structural knowledge is based on the reality of society and the reality of society becomes the field in which various narratives can be produced. This study gives an eye to the TV news because it presents narratives which are produced from the reality of society. TV news could be utilized as specific cases of structural knowledge or could make students communicate with the reality of society beyond the structural knowledge. It could more forcefully emphasize the main objective of social studies education, which is to make students properly aware of social phenomena.

      • KCI등재

        사회과 지식생산적 글쓰기의 의미와 유형, 지도 원리

        배영호(Bae,Youngho) 한국사회과교육연구학회 2016 사회과교육 Vol.55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오늘날의 사회 및 지식관의 변화를 배경으로 하여 우리의 사회과교실이 기존의 사회과의 구조적 지식에 대한 이해, 분석, 적용 등이 중심이 되는 수동적인 지식 학습의 틀을 벗어나, 적극적이고 능동적인 지식 ‘생산’의 패러다임으로 변화되어야 한다는 취지 아래 이를 구현할 핵심적 도구로서 사회과 글쓰기의 생산적 의미와 유형, 주제, 지도 원리 등을 탐색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먼저 사회과교실에서 생산되는 지식을 맥락적이고 상황적 성격의 내러티브적 지식으로 규정하고 ‘생산’의 의미를 창의성이나 수월성의 차원보다는 다원성과 민주성의 차원에서 의미화하였다. 그리고 글쓰기가 갖고 있는 지식 생산의 의미와 읽기와의 연계 지도의 필요성을 논의하고, 국어과적 연구결과에 대한 참조를 통해 이차원적 틀에 의한 사회과 지식생산적 글쓰기의 유형화를 시도하였다. 또한 사회과의 다양한 분과영역들에서 가능한 지식생산적 글쓰기의 주제들을 탐색하고 사회과 및 국어과의 선행 연구들을 바탕으로 이를 수업에서 구현하기 위한 일반적인 지도 원리를 도출하여 예시적인 수준에서나마 간단한 수업설계안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지식 생산의 측면에 초점을 둔 사회과적 글쓰기의 실천적 이론 형성을 위한 시론적 성격의 것으로서, 향후 여기에서 시도된 사회과 글쓰기의 유형화, 국어과 연구 결과들과의 연계, 일반적 지도 원리의 적절성 등에 관한 보다 세밀하고 진척된 보완적 논의와 글쓰기의 실천 과정을 통한 현실적합성 확보가 아울러 이루어져야 하는 과제를 안고 있다. Changes in society and perspective of knowledge today suggest that our social studies education go beyond passive knowledge learning in which understanding, analyzing and applying about structural knowledge of social studies hold the central place, and change into knowledge-productive paradigm. This can be effectively implemented by means of social studies writing.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productive meaning, types, and principles of guidance of social studies writing. To achieve this, this study has defined knowledges producted in social studies classroom as narrative knowledges which have contextual and situational traits, and has explained the signification of production in view of pluralism and democracy rather than creativity or excellence. And then this study has discussed the knowledge-productive value of writing, and has discussed the necessity of guiding related to the reading, and has attempted to classify the types of writing by two-dimensional framework based on the reference to studies on the classification of texts in the korean subject. And then this study has explored the themes of productive writing in the various fields of social studies, and has developed the general principles of guidance based on studies in social studies and korean subject for practice of writing in social studies instruction, and has suggested instructional design of social studies writing at an suggestive level. This study has attempted to theorize about practice of social studies writing focused on knowledge production at an approximate level. So it is necessary to argue advanced, sophisticated and supplementary discussions, and secure appropriateness for field application through the practice of writing education which has discussed in this study.

      • AI 기반 5G 무선망 최적화 기술 연구

        배영호(Youngho Bae),이경준(Kyoungjun Lee),성유석(Yusuk Sung),김진욱(Jinwook Kim),곽도영(Doyoung Kwak) 한국통신학회 2021 한국통신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21 No.6

        본 논문은 5G 무선망의 품질 및 운용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 KT 에서 연구 중인 AI 기반 5G 무선망 최적화 기술들에 대해서 소개하고 5G 무선망 최적화의 시작점이라고 볼 수 있는 5G 무선 신호 수신 세기(SS-RSRP: Synchronization Signal Reference Signal Received Power) 예측을 AI 를 사용하여 수행하는 방법을 소개한다. 또한, AI 를 사용하여 예측한 신호 세기와 실제 측정치와의 비교를 통해 AI 기반 예측치의 정확도를 검증하였다. 본 논문에서 사용한 AI 기반 수신 신호 세기 예측 방법은 타 전파 모델 대비 정확도가 높고 신속한 연산이 가능하여 향후 5G 안테나 설계 지능화 사업에서 활용될 예정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