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우수등재

        ‘마음 밖’이라는 은유

        배식한(Sik Han Bae) 한국철학회 2015 철학 Vol.0 No.124

        은유 문장은 마음 밖 독립적 존재에 대응하는 고유의 의미를 갖는가? 즉, 과학 진술처럼 은유 진술도 실재 세계의 진리를 밝혀주는 기능을 하는가? 그런데 예든, 아니오든 그 대답은 은유 진술일 수밖에 없다. 이 대답에 포함된 “마음 밖 독립적 존재”라는 표현은 비공간적 대상인 ‘마음’에 공간적 속성인 ‘밖’을 적용한 은유이기 때문이다. 이 글은 은유적으로 표현된 이 긍정/부정의 대답을 은유 이론에 근거해 어떻게 정합적으로 이해할 수 있는지 알아보려 한다. 자기지시성을 지닌 이 대답을 검토하는 작업은 불가분의 두 물음, 즉, 은유와 실재 간의 관계는 무엇이고, 실재라는 ‘마음 밖 존재’의 본성은 어떠하냐는 물음에 동시에 답하는 무엇보다 효과적인 방법이 될 것이다. 필자는 먼저 은유에 대한 고전적 비교 이론, 블랙의 상호작용론, 데이비슨의 막대기론, 레이코프-존슨의 인지기능론이 이 대답에 어떻게 적용될 수 있는지 살펴보고, 데이빗슨과 레이코프-존슨 이론의 종합을 시도한 후, 그 종합에 기반해 ‘마음 밖’의 은유적 의미를 해명해보겠다. Does a metaphor have its own peculiar meaning that corresponds to beings out there independently of the mind? This question asks an answer about whether a metaphorical statement uncovers the real world as much as a scientific one does. Whether the answer is “yes” or “no”, it must be a metaphorical statement because its component expression, “being out there independently of the mind” is a metaphor in that a spatial property, ‘being out there’ is attributed to the non-spatial subject, ‘the mind’. This paper is to examine how to interpret coherently the positive or negative answer put in metaphorical words in terms of various metaphor theories. Examining this plainly self-referential answer can be said to be one of the most effective ways to deal with the two inseparable problems, that is, the problem of the relation of metaphor and reality, and the problem of the nature of reality as ‘being out there outside the mind’. First, I will scrutinize the meaning of the answers in terms of ancient comparison theory, M. Black’s interaction view, D. Davidson’s stick theory and Lakoff-Johnson’s cognitive disposition theory of metaphor(conceptual metaphor theory), second, try to build a theory that amounts to a synthesis of Davidsonian theory and Lakoff-Johnsonian theory, and, third, propose a possible meaning of the metaphorical expression, “being out there outside the mind” on the basis of my synthetic approach.

      • KCI등재

        대학 글쓰기 교육과 대입 논술의 상관성 모색

        배식한(Bae Sik-Han) 한국리터러시학회 2011 리터러시 연구 Vol.- No.3

        본 논문은 대입 논술과 대학 글쓰기 교육이 구체적으로 어떤 차이점을 갖고 있으며, 그래서 대입 논술을 거쳐서 대학에 들어온 학생들을 위한 대학의 글쓰기 교육은 어디에 초점을 맞추어야 하는지에 대한 답을 모색하고자 한다. 말하자면 둘 간의 적절한 역할 분담을 위해 필자는 먼저 대학생이 기본적으로 갖추어야 할 글쓰기 능력이 무엇인지를 구체화하고, 이 능력의 함양에 대입 논술이 어디까지 기여하는지를 살펴보고, 이 한계를 염두에 둔 대학 글쓰기 교육의 방향을 찾고자 한다. 결론을 말하자면 필자는 교양과정에서 이루어지는 대학 글쓰기 교육은 “세계의 올바른 모습에 대한 원리적 사고와 그 결과물의 언어적 표현”을 목표로하여야하며, 이를 위한 세 원칙으로 대학의 교양 글쓰기 교육은 첫째, 대입 논술과 달리 새로운 주장과 창의적 가설을 과감하게 시도하게 해야 하며, 둘째, 특정 전공에 치우친 글쓰기 양식의 이른 습득으로 사유의 가능성을 차단해서는 안 되며, 셋째, 학생들이 원리적인 차원에서 사유하고 그 결과를 보편적 언어로 표현할 수 있는 기회를 최대한 제공해 주어야 한다는 점을 강조하였다. 아울러 이 원칙을 구현하기 위한 하나의 방법으로 가설 연역법의 절차에 따르는 글쓰기 훈련을 제안하고 있다. This paper is trying to find out the differences between argumentative writing test for collage entrance and academic writing education for freshmen, and then establish the correct directions of the latter. First, I’ll make clear the purpose of academic writing education, second, examine the educational pluses and minuses of argumentative writing test for collage entrance, and third, suggest the right directions of writing education for freshmen which is complementary to the minuses. In conclusion, I’ll urge that the goal of writing education of universities be “fundamental and correct understandings of our world and its linguistic expressions”, and to achieve the goal, academic writing education make freshmen (1) attempt original opinions and hypotheses. (2) have open minds which are not imprisoned by majororiented education and so can accept various possibilities of human thinking, and (3) embody the habits of ‘thinking in principle and expressing in universal’. And finally I’ll suggest the education of academic writing using Hyperthetico-Deductive Method as a efficient method of teaching.

      • KCI우수등재

        진리, 진실, 참

        배식한(Sik-Han Bae) 한국철학회 2005 철학 Vol.84 No.-

        영어의 'truth'나 독일어의 'Wahrheit'는 우리말로 '진리', '진실', '참'으로 번역된다. 하지만 우리말에서 진리, 진실, 참은 문맥에 따라 다른 의미로 사용된다. 따라서 서로 바꿔 쓸 경우 어색해지는 경우가 허다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 세 개념의 차이를 철학적으로 천착한 연구는 매우 드물다. 다만 백낙청 교수의 몇 편의 글에서 진리와 진실을 구분하는 것을 볼 수 있을 뿐이다. 그는 진리와 진실을 구분하고서, 진리는 인문학과 예술이 진실은 과학이 추구하는 것이라고 주장한다. 하지만 나는 그와 정반대로 전자는 과학이, 후자는 인문학과 예술이 추구하는 것임을 보이겠다. 또 그는 'truth'에 대한 분석철학자들의 이론들을 평가절하하고 있는데, 나는 그의 평가절하가 잘못임을 보이고, 한 걸음 더 나아가 분석철학의 '진리론' 이 사실은 참말에 대한 이론이며, 참말 이론이 '진리'에 대한 가장 설득력 있는 이론임을 보이겠다.

      • KCI등재

        실재론 논쟁의 공허함에 대해 -진단, 처방, 대안-

        배식한 ( Sik Han Bae ) 성신여자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3 人文科學硏究 Vol.31 No.-

        The claims that we should go beyond the field of realism-vs.-nonrealism debates are increasing but only considered as an opinion rather than inducing a radical change in the discussion of this area. To overcome this situation, we should (1) identify precisely what kind of realism debate is empty, (2) point out exactly where we begin to fall into this empty debate, and (3) show definitely what we would picture after being extricated from the empty discussion. This paper is going to suggest a method of going beyond those empty realism/nonrealism debates that satisfies these three conditions. This will be a full packaged program that comprises diagnosis, prescription, and an alternative. And to conclude, what is empty is the realism debates based on ``trans-empirical Subject``, the falling begins with excessive application of a concept and ends with complex question fallacy, and lastly my alternative picture is a minimal realism.

      • KCI등재후보

        학술적 글쓰기를 위한 읽기, 생각하기, 글쓰기 수업 모듈

        배식한 ( Sik Han Bae ) 한국작문학회 2010 작문연구 Vol.0 No.10

        이 글은 요약, 논평, 학술에세이 쓰기로 진행되는 성균관대학교의 <학술적 글쓰기> 강좌에서 독립적으로 구현될 수 있는 수업 단위를 추출하고 이를 모듈화하는 방안을 제안하고자 한다. 이러한 모듈화가 의미 있는 것은 <학술적 글쓰기> 수업의 핵심 단계인 요약, 논평, 에세이 쓰기가 대학교에서 이루어지는 모든 교육과 연구의 공통 기반을 훈련하는 필수 과정이기 때문이다. 대학 글쓰기 교육의 완성은 글쓰기 과목에서만 아니라 교양 및 전공과정의 모든, 아니면 적어도 대다수 수업에서 글쓰기가 동반될 때 이루 어질 것이다. 하지만 이를 위한 구체적인 수단과 전략은 마련되지 않은 채 정체된 상태로 있다. 필자는 <학술적 글쓰기>의 세부 과정에 대한 모듈화가 이러한 정체 상황을 깨고 전진할 수 있는 좋은 디딤돌이 될 수 있다고 생각한다. 이 글에서는 먼저 (1)모듈의 의미와 모듈식 수업의 특성을 알아보고, (2)성균관대학교 <학술적 글쓰기> 강좌의 특징과 이로부터 단계적으로 개발해 나갈 수 있는 가능한 수업 모듈들을 찾아낸 다음, (3) 글쓰기를 전공 영역으로 확산시키는 데 적절하다고 생각하는 모듈의 형태를 요약문 쓰기 모듈, 논평문 쓰기 모듈, 학술에세이 쓰기 모듈을 통해 구체적으로 제시하도록 하겠다. This paper is trying to suggest the way in which we can extract independent instruction units from the Academic Writing course given by Sungkwunkwan University and make them instructive modules. It is significant to develop instructive module from the course, because three elements of the Step-up Writing Program of the course, that is, summary, comment and essay writing are common and necessary grounds of all practices, studies and researches conducted in university. The completion of the education of academic writing consists in its ubiquitous permeating into all kinds of subjects, whether it is major or liberal. But we are lacking in ability without having any realistic mean and strategy. I think that those modules suggested by me become a springboard for breaking the inability and achieving the completion. In this paper, you can find (1) the meaning of module, (2) the characteristics of Academic Writing course given by Sungkyunkwan University and possible modules that could be developed by the course, and (3) the concrete contents of summary writing module, comment writing module, and academy essay writing module which are best fit to spread intensive reading, thinking and writing experiences over major subjects.

      • KCI등재

        논증과 논증행위

        배식한(Bae, Sik-Han) 서울대학교 철학사상연구소 2011 철학사상 Vol.42 No.-

        효과적인 비판적 사고 교육을 위해서는 논증에 대한 형식 논리학적 분석보다는 논증행위 자체에 대한 분석에 치중해야 한다는 견해가 커지고 있다. 필자는 ‘논증(argument)에서 논증행위(argumentation)로’의 이러한 중심 이동이 가져올 효과와 한계를 점검하고자 한다. 이를 위한 본 논문의 전략은 논증행위 이론들로부터 확보될 수 있는 논증 및 논증행위 평가의 규범들을 최대한 뽑아내서 그것들을 비판적 사고 교육 과정에 적용시킬 때 전개될 모습을 구체화해보는 것이다. 필자는 먼저 논증에서 논증행위로의 중심 이동의 동기들을 페렐만과 올브레히츠-티테카, 툴민, 비형식 논리학의 논의를 중심으로 정리하고(II), 이들의 이론들로부터 형식 논리학적 타당성 규범을 대신할 논증행위 평가의 규범과 절차들을 얼마나 이끌어낼 수 있는지를 살펴볼 것이다(III). 그리고 마지막으로, 이렇게 뽑아낸 여러 규범들을 종합하는 하나의 모델을 만들고, 이를 비판적 사고 교육에 적용했을 때 나타날 구체적 모습을 형식적 논리학적 접근 모델과의 대조를 통해 살펴봄으로써, 논증행위 이론들의 성과들이 비판적 사고 교육에 기여할 수 있는 정확한 위치를 구체화시켜보겠다(IV). The methods of critical thinking education in Korean universities have made a considerable change from concentrating on formal, logical analyses of arguments to focusing on informal, dialectical interpretations of argumentation over the last 20 years. I attempt to examine and evaluate the effects and limits of this ‘shift from argument to argumentation’. My strategy is to extract the norms for evaluating arguments or argumentations from theories of argumentations to the greatest extent possible at first and then to apply those norms to educational processes for critical thinking. Finally I show the concrete roles they play as regards improvements in critical thinking ability. This paper begins with a survey of the early stages of the change by concentrating on three main streams: the work of C. Perelman and L. Olbrechts-Tyteca, the work of S. E. Toulmin, and the informal logic movement (II). This paper then scrutinizes how many norms which can be substituted for formal logical validity we can extract from these streams (III). The paper ends by formulating a synthetic model which integrates the extracted norms, applying the model to the critical thinking process, and illustrating the concrete roles it plays in creating improvements in critical thinking (IV).

      • KCI등재

        참은 탐구의 목표인가? -참의 두 얼굴-

        배식한 ( Sik Han Bae ) 서강대학교 철학연구소 2014 철학논집 Vol.36 No.-

        미니멀리즘의 세찬 흐름 속에서 참이 실질적 속성을 갖는다고 주장하기가 버거운 것이 최근의 현실이다. 하지만 이런 상황에 꿋꿋이 맞서, 참이 실질적 속성을 가질 수밖에 없음을 역설하는 이들이 있는데 이중 대표적인 인물이 데이빗슨이다. 그에 따르면 참은 하나의 언어가 어떻게 기능하고, 그 언어의 문장이나 표현들이 어떻게 지금과 같은 의미를 갖게 되었는지를 알기 위해 없어서는 안 되는 개념이다. 참은 의미 이해, 즉 해석의 출발점에서 실질적인 역할을 담당하는 핵심적인 개념이다. 하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데이빗슨은 참이 규범임을, 그리고 탐구의 목표임을 부정한다. 참은 의미 이해의 출발점이기는 하지만 탐구의 목표는 아니라는 것이다. 하지만 나는 이 글에서 의미 이해의 출발점으로서의 참의 얼굴과 탐구의 목표로서의 참의 얼굴, 이 두 얼굴이 동시에 성립할 수 있음을 보이고자 한다. 이를 위한 나의 논증은 참에 관한 빌그래미의 견해에 상당부분 의존하고 있으며, 이점에서는 크게 새로울 것이 없다. 다만 이 논문이 의의가 있다면 그것은 빌그래미의 이론을 매개로 이해의 출발점으로서의 참과 탐구의 목표로서의 참이 하나로 묶일 수밖에 없으며, 그런 점에서 데이비슨의 견해는 한계가 있음을 보여준 것이라고 나는 생각한다. 이 글은 각기 다른 이유로 참이 탐구의 목표가 될 수 없다고 주장하는 미니멀리즘, 데이빗슨, 로티의 견해를 차례로 살펴보고, 다음으로 참이 탐구의 목표라고 주장하는 빌그래미의 견해를 정리한 후, 마지막에 다시 데이빗슨으로 돌아와 그가 놓친 것이 무엇인지를 알아볼 것이다. It is more and more difficult for the substantive theory of truth to stand up against the powerful theory of minimalism about truth. But we can find a few persons who urge that truth can not help but have a substantive property, including Donald Davidson. According to him, the concept of truth is an indispensible theoretical term in any conceivable theory of meaning aiming to describe how a language functions and how its sentences and other expressions are thereby determined as having the meanings that they have. That is, the concept of truth is an essential one that plays a central role at the starting point of interpretation. Nonetheless, Davidson accepts neither that truth is a norm nor that it is a goal of inquiry. But I will argue that the face of truth can exist both as a starting point of understanding and as a goal of inquiry. My claim is not so much creative in that fundamental arguments are fully dependent on Bilgrami``s point of view about truth. However, I believe it is significant to show that Bilgrami``s theory can be used as a mediation for combining the truth as a starting point of interpretation and the truth as a goal of inquiry, and then to expose the limitations of Davidson``s separation of the two truths. This paper will look into Minimalist, Davidson``s, and Rorty``s theories of truth in turn which commonly insist that truth can``t be a goal of inquiry with different reasons. Futhermore, I will summarize Bilgrami``s theory which holds the opposite position to these three persons and return to Davidson to say what he had missed.

      • KCI등재
      • KCI우수등재

        철학적 분석의 의미와 한계

        배식한(Sik Han Bae) 한국철학회 2017 철학 Vol.0 No.130

        분석철학이 중세 스콜라철학의 길을 답습하지는 않을까? 명제, 의미, 지시 등에 관해 집요하게 논의했던 중세의 문헌들처럼 분석철학의 전문적 작업들도 근친번식의 악순환에 빠져 결국 고립과 망각의 길을 자초하고 있는 것은 아닐까? 이 글은 이러한 우려를 낳는 분석철학의 학문지상주의적 경향과 ‘초형이상학화’에 대해 그 원천을 추적해보고자 한다. 내가 주목하는 것은 분석철학 특유의 문체와 논증 전개 방식, 그리고 그것의 뿌리가 되는 ‘분석’이라는 방법이다. 나는 그 병폐들이 ‘분석’이라는 방법과 긴밀하게 관련되어 있다고 생각한다. 이 글은 분석이 자신의 방법과 목적을 변화시키는 과정에서 어떻게 초형이 상학화가 일어났는지를 역사적으로 고찰할 것이다. 그리고 그 흐름을 되돌리고 분석철학의 지적 생산성과 현실 연관성을 높이기 위해 논증과 형이상학에 대해 새로운 시각을 가질 것을 제안하고자 한다. Does analytic philosophy follow the path of medieval scholasticism? Like the medieval literatures that had persistently discussed proposition, meaning, reference, etc., are not the professional works of analytic philosophy falling into the vicious cycle of the inbreeding and eventually leading to the path of isolation and oblivion? This essay attempts to trace the origin of scholasticism and ‘meta-metaphysicalization’ of analytical philosophy that leads to such concerns. What I pay attention to is the unique style of analytical philosophy and its distinctive way of deploying arguments, and finally the method of analysis as their root. I think those vices are closely related to the method of analysis. I will look historically at how meta-metaphysicalization occurred in the process of analysis changing its own methods and purposes. I will suggest that we have a new perspective on argument and metaphysics in order to reverse the trends and increase the intellectual productivity of analytical philosophy and its relevance to reality.

      • KCI등재후보

        신체화된 마음, 은유, 진리

        배식한 ( Bae Sik Han ) 성신여자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8 人文科學硏究 Vol.38 No.-

        도널드 데이빗슨은 ‘개념 틀’과 ‘경험적 내용’의 이원론을 경험주의가 전제하는 세 번째도그마라고 지적하면서, 이 이원론은 세계에 관한 우리의 믿음이 전적으로 틀릴 수 있다는 잘못된 생각에 빠져들게 만들므로 폐기되어야 한다고 논증한 바 있다. 물론 이 논증이 성립하려면 우리가 전면적인 잘못을 범하는 것이 불가능하다는 것이 먼저 확인되어야 한다. 데이빗슨은 이를 귀류법으로 증명한다. 그 반대, 즉 전면적인 잘못이 가능하다고 가정하면 이해를 위한, 그리고 어떤 것이 잘못이라고 판정하기 위한 기반 자체가 붕괴되며, 따라서 어떤 이해도, 어떤 잘못의 지적도 불가능하게 된다는 불합리한 결론이 뒤따르므로 이 가정은 잘못이라는 것이다. 그렇다면 이런 소극적 방법이 아니라 적극적 방법으로 전면적 잘못의 불가능성을 논증할 수는 없을까? 다시 말해 우리의 인지 과정이 어떤 식으로 작동하기에 그런 전면적인 잘못의 가능성이 차단되는지, 그 기제를 보여줄 수는 없을까? 이 글은 바로 이 의문에 하나의 답을 제공하고자 한다. 필자는 바렐라와 톰슨, 로쉬의 창제주의와 레이코프와 존슨의 은유 이론을 결합함으로써, 전면적인 잘못이 불가능할 수밖에 없는 우리 인지의 기제를 자세히 밝혀주고, 이것이 진리 개념에 어떤 변화를 요구하는지 짚어볼 것이다. Donald Davidson criticized the dualism of ‘conceptual scheme’ and ‘empirical content’ as the third dogma of empiricism. He argued that this dualism should be abandoned because it makes us misunderstand that our beliefs about the world could be totally wrong. To establish Davidson’s above-mentioned argument, it must be first confirmed that it is not possible for us to make a full-fledged mistake. Davidson did well to demonstrate this by reductio ad absurdum, that is, by showing that its denial would be followed by an absurd conclusion: If we were to be totally wrong, we would lose all the bases for understanding and determining what was wrong, and eventually, all our understanding and judicial capabilities of fault would have been lost. These two successive applications of reductio ad absurdum are quite persuasive but still lacking wide acceptance because the picture we can adopt as an alternative after discarding the dualism is still opaque. Cannot we argue the impossibility of all-out mistakes in a positive way, not such a negative way? In other words, cannot we show the mechanism that reveals how our cognitive processes work to block the possibility of such total error? The current article intends to provide an answer to this question. By combining F. Varela, E. Thompson, and E. Rosch's enactivisim with G. Lakoff and M. Johnson's metaphor theory, I will elaborate on the mechanism of our cognition that blocks total error. Furthermore, I will also investigate on what kind of change this elaboration requires in the concept of truth.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