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경제성장이 인프라 지출에 미치는 영향: 미국 주정부와 지방정부를 중심으로

        배수호 ( Suho Bae ) 성균관대학교 국정관리대학원 2012 국정관리연구 Vol.7 No.2

        국가의 경제성장에 따라 국민들의 ‘삶의 질’ 향상에 대한 요구는 증가한다· 이러한 요구는 공공부문에서 인프라(infrastructure) 투자를 통한 보다 양질의 서비스를 제공하도록 하는 것으로 표출된다· 이 연구의 목적은 미국 50개 주를 대상으로 주 단위의 경제발전이 주정부와 지방정부의 인프라 지출에 미치는 영향을 경험적으로 분석한다· 또한 경제발전의 인프라 지출에 미치는 영향을 보다 구체적으로 분석하기 위해 인프라를 물리적 인프라(physical infrastructure)와 지식 인프라(knowledge infrastructure)로 구분하여 추가 분석을 실시한다· 분석을 위한 자료는 미국 50개 주를 대상으로 1997년부터 2000년까지 24년치 시계열횡단면(time-series cross-sectional) 자료를 활용한다· 분석 결과를 요약하면, 주 단위의 경제적 성과는 주민 일인당 인프라 지출에 유의미한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그 영향은 그리 크지 않았다· 또한 경제적 성과가 주민 일인당 물리적 인프라 지출에 미치는 영향이 주민 일인당 지식 인프라 지출에 미치는 영향보다 약 두 배 가까이 크게 나타났다· 이는 상대적으로 주정부와 지방정부가 지식 인프라 보다 물리적 인프라에 대한 지출에 상대적으로 우선순위를 두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반면 경제성장이 주정부와 지방정부의 전체 지출액 중 인프라 지출이 차지하는 비중에는 유의미한 영향을 주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과를 종합하면, 주정부와 지방정부의 예산지출 결정에 있어 사회복지, 공중보건 등 다른 분야에 대한 지출이 인프라 지출보다 우선시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Economic development and growth may induce infrastructure investment and service provision by the public sector· This paper investigates to what degree economic performance affects infrastructure spending at the state and local levels· For further elaboration, it examines the differential impacts of economic performance on state and local spending on different types of infrastructure· For that purpose, infrastructure is classified into two types: knowledge infrastructure and physical infrastructure· Methodologically, it uses the time-series cross-sectional (TSCS) data from 1977 to 2000 in 50 states of the United States· To correct the complex error terms in TSCS data, it employs the ordinary least square (OLS) estimation using the Prais-Winsten procedure and panel-corrected standard errors· Some endogeneity issues are also corrected· Research finds that economic development and growth contributes to the increasing infrastructure spending on a per capita basis by state and local governments; however, its magnitude is not large· When infrastructure spending is disaggregated, economic performance also contributes to the increasing state and local spending on both knowledge and physical infrastructures· In particular, the magnitude of the positive effects on physical infrastructure spending is approximately two times as large as that on knowledge infrastructure spending· However, economic performance has no significant effects on the proportion of infrastructure spending out of the total state and local spending, regardless of whether infrastructure is aggregated or disaggregated· In short, there are level effects of economic performance, but there are no compositional effects· This finding implies that state and local governments increase infrastructure investment and its service provision in responding to the economic growth; yet, they do not consider it as a top priority in comparison with other types of functional areas·

      • KCI등재

        환경정의 관점에서의 지방상하수도서비스 분석

        배수호(Bae, Suho),양준필(Yang, Jun-Feel),홍성우(Hong, Sung-Woo) 한국지방정부학회 2013 지방정부연구 Vol.17 No.4

        본 연구는 지방상하수도서비스가 국민에 가장 기본적인 보편적 공공서비스임에도 불구하고 이에 대한 형평성 문제가 끊임없이 제기되어 오고 있다는 연구문제에 주목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환경자원의 이용과 보전을 통한 편익과 비용이 다양한 행위주체들의 사회학적ㆍ생물학적 불평등구조에 의해 불공정하게 배분되는 것이 환경불평등(environmental inequity) 또는 환경부정의(environmental injustice)라 불린다. 본 연구는 환경자원으로서 물의 이용과 관련한 지방상하수도서비스의 형평성에 대한 연구를 배분적(distributive) 환경정의(environmental justice) 관점에서 지방상하수도서비스가 도시와 농촌 지역 간에 공평하게 골고루 배분되고 있는지를 분석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먼저 환경정의에 관한 이론적 논의를 살펴본 후 분석모형 및 분석방법, 변수의 조작적 정의, 자료 출처 등에 대한 논의를 바탕으로 지방상수도서비스에 관한 4개 변수(상수도 보급률, 상수도요금, 상수도 생산원가, 상수도 요금현실화율)와 지방하수도서비스에 관한 4개 변수(하수도 보급률, 하수도요금, 하수도 처리원가, 하수도 요금현실화율)에 대해 2000년부터 2009년까지 10년치 자료를 활용하여 집단 간 연도별 추세분석, t 검정 등 집단 간 비교분석, 다변량판별분석, 그리고 패널로짓분석 등을 수행하고 있다. 분석결과에 따르면, 일반시인 도시지역과 군단위의 농촌지역 간에 상수도 보급률, 하수도 보급률, 하수도 요금 등의 상하수도서비스에서 상당한 수준의 환경부정의 또는 환경불평등이 나타나고 있는 것으로 추론할 수 있고, 이에 대한 정책적 처방이 필요함을 확인할 수 있다. Although water and sewer services are one of the most crucial services enhancing the quality of life for residents, the issues of environmental injustice regarding the distribution of those services across local jurisdictions has been continuously raised in the Korean contexts. This paper analyzes those issues from the perspective of environmental justice, particularly, distributive environmental justice. The paper focuses on the distributional issues of water and sewer services between cities and rural counties in Korea. To do that, it employs trend analysis, t-test, multi-variate discriminant analysis, and panel logit analysis, using panel data with the 10 years from 2000 to 2009. Empirical results indicate that there exists higher level of environmental injustice between cities and rural counties in, especially, water supply rates, sewer supply rates, and sewer prices.

      • KCI등재

        조선후기 자연재해와 계의 보장 내용 및 수준의 연관성

        배수호 ( Bae Suho ),이항석 ( Lee Hangsuck ),김선애 ( Kim Sunae ) 한국보험학회 2023 保險學會誌 Vol.135 No.-

        조선시대는 전통 농경사회였기 때문에 이상기후 또는 자연재해를 중요하게 인식했다. 조선왕조실록에는 자연재해 관련 기록이 한해(旱害), 수해(水害), 화재(火災), 충해(蟲害), 풍해(風害), 상해(霜害), 지진(地震) 등으로 빈번하게 기록되어 있다. 또 진휼, 휼전, 구휼, 면세, 구황 등 재난 관련 구호 정책과 규모 역시 자주 기록되어 있다. 조선시대는 민본주의를 근본 통치이념으로 채택했기 때문에 민생 구제와 안정은 절대절명의 최우선 정책목표이었다. 따라서 자연재해와 이에 따른 흉년, 기아, 전염병 발생과 같은 위기에 대한 정책적 대응과 노력이 중앙정부와 지방관청에서 다각도로 펼쳐졌다. 재난위기에 대한 대비와 대응은 지역 향촌사회에서도 활발하게 이뤄졌다. 공동체 결사조직인 ‘계(契)’가 전국적으로 각 향촌사회에서 결성되었고, 향촌사회와 공동체 구성원들의 안전, 생존, 기아문제 해결, 전염병 방지 등 사회보장의 성격이 더욱 강화되었다. 이런 경향은 조선후기 소빙기적 징후로 한파, 가뭄, 홍수 등이 빈번하게 발생하게 되면서 더욱 두드러졌다. 향약(鄕約), 동계(洞契), 송계(松契) 등 향촌사회의 결사체 조직들은 주민들로부터 해마다 일정한 규모의 곡식을 걷어 기금을 마련하고 이를 증식하여 이상기후에 따른 흉년과 전염병 창궐에 대비하였다. 이 연구에서는 조선후기 전국 단위의 자료를 활용한 실증분석과 함께, 해주향약, 복내이리송계, 중평 동계, 차우리 동계 등 사례 분석을 통해 계의 사회보장 성격과 특성을 구체적으로 톺아본다. 이는 기후위기 시대의 도래와 함께, 공동체와 지역사회 단위의 복지와 사회보장에 대한 논의는 기후위기에 따른 각종 재해와 재난을 대비하고 대응하기 위해 유용한 실천적ㆍ정책적 함의를 제공할 수 있으리라 본다. 무엇보다도 지역주민과 지역사회 차원에서 자발적인 방재와 보험은 재난의 발생에 따른 대응력과 회복탄력성을 강화할 수 있을 것이다. Gye’s are unique voluntary community associations which were actively formed and operated in traditional Korean communities. Since the late period of Chosun Dynasty in which natural disasters had often occurred across the country, the role and function of Gye as social security and community welfare had been expanded to great extents, which had significantly contributed to the welfare and survival of people. This paper examines the functions of Gye in social security and community welfare by conducting case analyses of the following Gye cases: Haeju Hyangyak, Boknae-Iri Songgye, Jungpyeong Donggye, and Chawoori Donggye. According to the findings in this paper, first, community associations had created and increased community funds and grains for the preparation of disaster and emergency, which thus resulted in successfully utilizing them in quick and effective response to the outbreak of disaster and emergency. Second, they had possessed quite large scale of common assets such as forests, fishing grounds, and rice fields. If necessary, they reduced or nullified part or all of individual member’s debt according to the resolution and social consensus among members. Third, they had prepared for grains, fermented soy source, and medicines for emergency. Fourth, they had taken responsibility for community rituals and festivals, which was successful in forming and strengthening the sense of local identity among members and mobilizing their joint collaborative efforts in all stages of disaster, including prevention, preparation, response and recovery. In short, all these activities and functions conducted and executed by community associations had eventually contributed to community resilience, community welfare, social security and risk management.

      • KCI우수등재
      • KCI등재

        The Performance of Public R&D Investment in Environmental Technologies: The Case of South Korea

        배수호(Suho Bae),도수관(Soogwan Doh) 한국문화융합학회 2020 문화와 융합 Vol.42 No.10

        본 연구의 목적은 트랜스로그 비용함수 기법을 활용하여 환경기술에 대한 공공 R&D 투자의 성과를 분석하는 데에 있다. 주요 분석결과에 따르면, 환경 R&D 프로젝트들의 효율성과 생산성이 대체로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본 연구에서는 논문출판이나 특허등록과 같은 연구성과를 설명하는 과정에서 평균 비용 절감과 효율성 향상을 위해서는 환경 R&D 프로젝트의 규모를 확대할 필요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아울러 환경 R&D 분야에서는 생산성 향상, 비용의 공급탄력성, 규모의 경제, 투입 수요의 교차가격탄력성, 모리시마 대체탄력성의 변이(차이)가 크다는 것을 본 연구에서는 잘 보여주고 있다. This study evaluates the performance of public environmental research and development (R&D) investment, using a translog cost function approach. Empirical findings indicate that environmental R&D projects failed to achieve efficiency and productivity gains. The results of this study also show that the size and magnitude of an environmental R&D project need to be expanded to save average costs and to improve efficiency, when accounting for both measures of output such as the number of peer-reviewed articles and the number of patents obtained. In addition, this study found large variations in productivity gains, supply elasticity of cost and economies of scale, own- or cross-price elasticity of input demand, and Morishima elasticity of substitution across environmental project research areas and across R&D research launching agents.

      • KCI우수등재

        유교사상의 거버넌스에의 실제 효용과 적용가능성에 관한 소고

        배수호 ( Suho Bae ),공동성 ( Dongsung Kong ),정문기 ( Moon Gi Jeong ) 한국행정학회 2016 韓國行政學報 Vol.50 No.2

        오늘날 환경, 재난, 복지와 같은 ‘고약한 문제(wicked problem)’와 집합행동문제(collective action problem)를 해결하는데 국가 주도적 방식이나 시장 주도적인 방식의 실효성에 대한 의문이 제기되면서 거버넌스적 사고와 접근방식에 대한 관심과 기대가 높아지고 있다. 하지만 서구사회의 특수한 역사적 경험과 맥락속에서 발전해온 거버넌스 이론과 접근방식이 한국사회에 성공적으로 정착하기 위해서는 한국사회의 맥락에 대한 이해가 선행되어야 할 것이다. 우리 사회에서 유교사상은 오랜 기간 동안 한국인의 가치관과 태도, 의식 구조, 행동 속에 뿌리 깊게 자리 잡고 있다. 본 연구는 거버넌스의 실제 운영과 관리에 있어 유교사상의 긍정적 측면과 주의할 측면 모두를 고찰하고자 한다. 어떤 사상, 철학, 종교에서든 현실문제에 참여하고 적용하는데 어두운 면과 밝은 면, 즉 긍정적인 요소와 주의 해야할 요소 모두를 갖기 마련이다. 앞으로 우리 사회에 거버넌스 체제 구축 및 운영의 성공가능성을 높이기 위해 유교사상이 내포하고 있는 긍정적 요소들은 적극 고양하는 한편, 주의를 요하는 요소들은 미연에 예방하려는 노력이 개진되어야 할 것이다. 유교사상의 긍정적인 요소로는 유교 공동체주의, 수신론(修身論) ? 특히 성찰성(reflexivity) 및 숙의성(deliberativeness), 자발성(volunteerism) 및 공적 책임성, 공공부문 근무동 기(public service motivation, PSM) -, 중용사상(中庸思想), 화이부동(和而不同), 소통(疏通) 및 소통의 정치, 공론(公論) 및 공론정치(公論政治) 등을 들 수 있다. 한편, 유교사상에 있어 차등적 인간관계론 및 세계 관, 공사관(公私觀)에서 공(公)과 사(私)의 불명확한 경계, 정명사상(正名思想) 및 예사상(禮思想) 등은 거버 넌스의 체제 구축과 실제 운영과정에서 양면성을 가질 수 있으므로 앞으로 주의하여 적용해야 할 것이다. Much attention has been paid to governance as an alternative approach of both government-centered and market-centered approaches in solving “wicked” and collective actionproblems. But since the concept and system of governance has been developed in the context of western history and culture, there have been increasing doubts about whether the governance system can be successfully established and implemented in the context of Korean society.Through its long history, Confucianism has had great influence on Koreans`` attitude and behavior. Thus it is worthwhile to more carefully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Confucian thought and governance. Confucian communitarianism possesses rich elements of both individualism and communitarianism. Confucian self-discipline(修身論, susinron) has such important characteristics of governance as 1)reflexivity and deliberativeness, 2)voluntarism and public responsibility, and 3)public service motivation (PSM). In addition, Confucian concepts such as 1)golden mean(中庸, jungyong), 2)respect for diversity and heterogeneity(和而不同, hwaibudong), 3)communication(疏通, sotong), and 4)public discussion(公論, gongron) can contribute to the establishment and implementation of a governance system in Korean society. But some other elements in Confucian thought should be carefully considered inthe establishment and implementation of a governance system. Examples are 1)no distinct line between public and private spheres, 2)human relations on the basis of differential value, 3)Confucian rectification of names(正名思想, jeongmyung), and 4) great emphasis on formality(禮, ye). In particular, when there is no distinct line between public and private spheres,governance can be misused for attainingprivate goals and interests and thus lead to favoritism, corruption and nepotism. Human relations on the basis of differential value can also promote “bonding social capital” but impede“bridging social capital.”

      • KCI등재

        Explaining State Economic Performance

        Bae Suho(裵壽鎬),Jeong Moon-Gi(丁文基) 한국지방자치학회 2009 韓國地方自治學會報 Vol.21 No.3

        이 연구는 지방정부의 조세와 재정지출이 경제에 미치는 효과를 분석한다. 기존의 많은 선행연구에서는 조세와 재정지출이 경제에 미치는 효과를 각각 분리하여 고찰하였다. 이 연구는 조세와 재정지출을 하나의 분석모형에 통합하며 비선형(non-linear)효과도 측정하였다. 미국 주정부의 1977-2002년까지 5년 단위의 조세와 재정지출 자료를 활용하여 패널분석(dynamic panel model estimation)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조세와 재정지출은 주의 경제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특히 주 및 지방세원들이 주의 경제에 미치는 영향은 비선형적(non-linear) 관계에 있으며, 여러 재정지출부문 중에서 교육부문 지출이 주의 경제에 가장 긍정적인 영향을 끼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가 비록 미국 자료를 사용하였지만, 국제화-지방화의 도전 속에서 지방의 경제발전을 위한 정부의 바람직한 조세와 재정정책과 관련하여 한국에도 적실한 함의를 제공하리라 판단된다.

      • KCI등재

        The Effects of Electricity Price on Business Production and Location

        Byung-Chin Kim(김병진),Suho Bae(배수호) 한국정책분석평가학회 2005 政策分析評價學會報 Vol.15 No.4

          This study examines how business responses to geographical differences in electricity price vary by business characteristics, i.e., whether businesses are relatively heavy users of electricity or not, and whether they are relatively footloose or tied to their current location. It employs a translog production function approach and utilizes 6-digit industry-level yearly data from 1997 to 2001 in the United States.   Empirical findings suggest that in responding to a high price of electricity at their current location, heavy users of electricity, regardless of whether they are relatively footloose or not, try to substitute away from electricity use rather than relocate to a new place where the price of electricity is lower. However, these users cannot substitute enough to maintain their ex-ante rates of return, thus leading to loss of profits and competitiveness.

      • KCI우수등재

        공직윤리와 충(忠)

        최화인 ( Hwoain Choi ),배수호 ( Suho Bae ) 한국행정학회 2015 韓國行政學報 Vol.49 No.3

        현대 공직윤리 연구자인 Terry Cooper에 의하면, 공직윤리란 행정조직에 몸담고 있는 공직자의 공적(公的)인 삶의 양태에 동의를 이끌어내는 가장 중요한 내적 근원이 된다. 그러나 한국사회에서 공직부패로 인한 행정의 위기, 즉 공직윤리의 위기는 행정의 위기이자 공공성의 위기를 야기할 만큼 심각해지고 있다. 행정에 대한 국민의 불신을 해소하기 위해 정부는 공직윤리를 강제할 수 있는 법적 규제와 처벌적 제재를 늘리고 있으며 공직윤리 함양을 통해 내적인 ``공직기강의 확립``에도 힘쓰고 있다. 특히 2015년 초, 박근혜 정부는 새롭게 ``충(忠)``을 공직윤리의 기준으로 요구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공직윤리의 기준으로 유학에서 논의되었던 ``충``의 윤리적·가치적 함의를 살펴보고, ``충``이 현재에도 적용 가능한 공직윤리가 될 수 있는지를 검토해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서 우선 유학에서 논의되었던 ``충``의 두 개념 - 초기 유학에서 이야기되었던 ``충신(忠信)``으로서의 ``충``과 전제국가 성립 이후의 ``충효(忠孝)``로서의 ``충`` - 을 구분하여 논의하고자 한다. 「논어(論語)」를 통해초기 유학에서 공자가 말한 ``충신(忠信)``의 ``충``은 말과 행동, 생각과 언어에서의 일체성, 즉 외면과 내면의 일관성과 신실함을 유지하는 대자적(對自的)인 실천윤리이자, 인간관계 안에서 쌍방향적으로 구현되어야 할 대타적(對他的)인 작동원리였다. 이에 비해 전제 군주 국가가 성립된 이후의 ``충``, 즉 「효경(孝經)「을 통해 이념화된 ``충효``의 ``충``은 ``효``라는 사적 윤리를 공적 윤리로 확대한 것으로 보고, ``효``의 궁극적 완성을 ``충``으로 설정하였다. 이러한 ``충효``의 개념을 통해 군주는 부모와 동일 범주의 윗사람으로, 이성적 판단의 대상이 아니라 무비판적으로 섬겨야하는 당위의 대상이 되었다. 전제군주제 시대에 ``효``와 결합된 ``충효``의 ``충``은 전제국가로서의 통일성과 사회적 안정을 확보하는 데는 적지 않은 이념적 기여를 하였지만, 내면적 수양의 실천윤리이자 쌍방향적 소통과 이해의 윤리였던 초기 유학에서 공자가 말하던 ``충``과는 다른 개념으로 전화되었다. 21세기 공직윤리의 새로운 기준으로 유학의 ``충`` 사상을 고찰해보면, ``충효``로서의 ``충``은 상관에 대한 맹목적·절대적인 복종과 헌신을 우선시하는 일방향적 도덕가치라는 점에서 현대 민주주의 사회에서는 부합하지 않는 개념이다. 오히려 더 과거로 거슬러 올라가 선진유학 시절 공자가 주장했던 ``충신``으로서의 ``충``이, 내외의 일치 및 언행의 일치를 강조하고 쌍방향적 책임성을 담보했다는 점에서 현대 민주적 가치에 부합하며 숙의민주 주의에서 요구하는 숙의성(deliberativeness), 성찰성(reflexivity) 등을 수렴하고 있다. 요컨대 자율적 인간을 전제로 한 21세기 민주사회에서는 ``충효``적 ``충``, 즉 ``옳고 그름``을 논외로 한 맹목적 충성과 헌신이 공직윤리가 될 수 없다. 반면에 수신(修身)을 통해 사회적 신뢰를 높이고 자아의 확장을 통한 역지사지(易地思之)로 공감능력의 확충(擴充)을 요구하는 공자의 ``충``(``충신``과 ``충서``)은 오늘날 공공성의 위기와 행정윤리의 위기를 타개하는 데에, 성찰성과 상호성을 전제하고 있다는 점에서 국가윤리 및 개인윤리에 부합한다고 평가할 수 있다. In early 2015, President Park Geun-hye and her chief of staff, Kim Ki-chun (who eventually stepped down to take responsibility for the discord within the presidential office that followed a controversial document leak in late 2014), in succession, demanded loyalty (忠) as an important ethical standard of public office. Many Korean people felt doubt as to whether it would be appropriate that the core power of the presidential office required loyalty to public officials in a democratic republic of the 21st century, and wondered what kind of loyalty it would be. In this paper, we discuss what loyalty (忠) means, and how Confucian ideas has influenced the philosophical concepts of loyalty in the premodern era. We analyze two concepts of loyalty appearing in the Confucian classics. One is loyalty and sincerity (忠 信), appearing in the Four Books (四書), especially the Analects (論語). The other is loyalty and filial piety (忠孝), appearing in the The Book of Filial Duty (孝經). The former, loyalty and sincerity, means consistency between speech and action, and between inside and outside; namely, sincerity. On the other hand, the latter, loyalty and filial piety, stressingfilial piety to parents, reinforced one-way loyalty to the monarchy rather than reflexivity and mutuality. Which of these two concepts would be more useful and appropriate to restore public spirit in a democratic society?

      • KCI등재

        지속가능개발의 증진을 위한 지역 협력체제 구축: 지역 선도자로서의 대학의 역할과 위상

        문성진 ( Seong Gin Moon ),스테판글라스 ( Stephen Glass ),배수호 ( Suho Bae ) 성균관대학교 국정관리대학원 2012 국정관리연구 Vol.7 No.1

        본 논문은 대학을 지역사회의 “지속가능발전” 증진을 유도하는 중추적지역 행위자로 인식한다. 대학은 지속가능발전을 위해 필요한 혁신을 수업과 연구를 통해 개발, 실천, 그리고 커뮤니티에 확산하는 데 필요한 주요한 자원 (정보, 실천에너지, 그리고 제도적 역량)을 보유하고 있다. 그리고 무엇보다도 기관의 “제도적 네트워크”가 지역 관련당사자들의 지속가능발전에 필요한 협조와 관심을 유도하는 데 중추적 역할을 할 수 있다. 본 논문은 대학이 지역사회에서 지속가능발전 증진에 어떠한 역할을하는 지를 살펴본다. 미시간에 소재한 그랜밸리주립대(Grand Valley State University)의 사례를 통해 지속가능발전에 필요한 교내외 협력실천운동을중심으로 살펴본다. 특히, 협력운동은 교내외 “협력파트너십” 구축을 통한 세가지 차원에서의 지식 집약적 행위로 축약된다. 첫째 단계인 “지식발전”은 교육자료개발, 수업, 연구 포럼과 발표를 통해 이뤄진다. 둘째단계인 “지식 적용”은 지속가능발전에 관련된 교내 실천운동을 통해 이뤄진다. 마지막 단계인 “지식 전이와 확산”은 지속발전에 필요한 축적된지식이 커뮤니티 파트너십이나 협력적 프로젝트를 통해 이전되고 확산을목표로 한다. This paper views universities as primary regional actors who can play a significant role in promoting sustainable community. They have considerable amounts of resources such as knowledge, energy, and institutional capacity to develop and practice innovative ideas associated with sustainability, mainly through teaching, research, and community services. In addition, universities have extensive institutional networks through which local and regional stakeholders are reached out to garner their collaborative efforts and coordinate their interests toward sustainable development (SD). This paper examines how universities can play a major role in promoting sustainable development in their regions. It adopts Grand Valley State University as a case to illustrate their activities associated with sustainability inside and outside its campus. It presents three major stages of knowledge-intensive activity culminated with the forms of collaborative partnerships: (1) knowledge development, which occurs through curriculum development, classes, research forum and presentation, and research and development (R&D); (2)knowledge application, which describes the link between knowledge and practice as presented in sustainable campus activities; and (3)knowledge transfer, which knowledge developed and applied around the university`s campuses is transferred to the community via community partnership and collaboration projec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