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직무특성요인과 직무몰입 및 조직몰입과의 관계

        裵聖鉉(Seung-Hyun Bae) 영남대학교 산경연구소 2001 영상저널 Vol.9 No.-

        본 연구는 조직구성원이 맡고 있는 담당직무의 특성에 따라 동기부여 및 조직의 성과나 조직에 대한 태도가 달라질 수 있다고 하는 Hackman과 Oldham의 직무특성 이론을 교사를 대상으로 타당성을 검증해 보았다. 지금까지 직무특성이론은 다양한 조직과 직종을 대상으로 검증되었고 이론의 타당성에 대한 연구가 많았다. 본 연구의 결과 직무의 핵심특성인 기능다양성, 과업정체성, 과업중요성, 자율성 피드백 등은 직무의 동기부여 정도를 나타내주는 직무몰입에는 모든 요인이 중요하였고 비교적 높은 관계를 보여주었다. 그 가운데서도 자율성, 피드백은 대단히 중요한 요인이었다. 그러나 조직에 대한 구성원의 태도라고 할 수 있는 조직몰입에는 직무특성요인 5가지 중 담당직무의 의미를 결정해주는 기능다양성, 과업정체성, 과업중요성 등은 상대적 비중에서 유의한 설명변수가 되지 못했다. 조직헌신, 몰입, 애착에는 성장욕구강도, 자율성, 피드백 등이 중요한 요인이었고, 모든 선행연구에서 공통적으로 제시하는 근무년수도 유의한 변수이었다. 직무특성요인 중 자율성과 피드백은 직무몰입, 조직몰입 모두 대단히 중요한 요인이었다. 이는 곧 교사직종의 경우에도 임파워먼트를 가질 수 있는 직무설계가 중요하다는 의미이다. 직무특성요인과 조직몰입과의 관계에서 직무몰입은 직무특성요인 5가지 차원 모두에서 부분 매개 역할을 했다. 이같은 결과는 직무설계의 방향에서 중요한 시사점을 얻을 수 있다.

      • KCI등재

        인적특성변수 및 상사부하 교환관계(LMX)와 조직구성원 태도와의 관계에서 심리적 계약 위반의 매개효과

        배성현(Seung-Hyun Bae),정기준(Ki-Jun Jung) 한국인사관리학회 2007 조직과 인사관리연구 Vol.31 No.1

          본 연구는 인적특성변수인 긍정적 성향, 부정적 성향, 공정민감성 및 사회적 교환관계를 바탕으로 하는 상사부하 교환관계(LMX)와 심리적 계약 위반과의 관계를 검증하였고, 심리적 계약 위반은 조직구성원의 태도변수인 이직의도와 조직시민행동에 어떤 관계가 있는가도 검증하였다. 그리고 이들 선행변수와 결과변수인 조직구성원의 이직의도와 조직시민행동 간의 관계에서 심리적 계약 위반의 매개효과를 공분산구조분석을 통해 검증하였다. 본 연구 결과에 의하면 긍정적 성향은 심리적 계약 위반과 유의한 부의 관계, 공정민감성은 심리적 계약 위반과 유의한 정의 관계를 보여주었다. 그러나 부정적 성향은 심리적 계약 위반과 직접적인 관계는 없었다. 상사부하 교환관계가 좋을수록 심리적 계약 위반과는 부의 관계를 보여 주었다. 그리고 긍정적 성향, 공정민감성 및 상사부하 교환관계와 구성원의 태도변수인 이직의도와 조직시민행동과의 관계에서 심리적 계약 위반은 모두 매개효과를 보여 주었다. 특히 공정민감성은 심리적 계약 위반을 통해서만 이직의도에 영향을 주는 완전매개효과를 보여 주었다.   This study examines the relationship between personal traits (positive affectivity, negative affectivity and equity sensitivity) and the leader-member exchange(LMX), which is based on the social exchange theory, and the psychological contract breach. It is also investigated what effects the psychological contract breach has on the member attitude variables such as the intent to leave and the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OCB). The mediating effect of the psychological contract breach is tested by the covariance structure analysis in the relations between the antecedent variables of the positive and the negative affectivity and the equity sensitivity and the outcome variables of employees" intention to quit and the OCB.<BR>  The results show that the positive affectivity bears a significantly negative relation to the psychological contract breach, while the equity sensitivity has a significantly positive relation to it. The negative affectivity is, however, not directly related to the psychological contract breach. In addition, high quality in the LMX is in a negative relation to the psychological contract breach. The psychological contract breach has been found to have a mediating effect in the relations between the positive affectivity, the equity sensitivity and the LMX and the member attitude variables such as the intent to leave and the OCB. Particularly, in the relation between the equity sensitivity and employees" intent to leave, the psychological contract breach has a full mediating effect.

      • 폭력예방교육의 효과성 증진방안 연구: 남성참여자를 중심으

        이미정,장미혜,김영택,동제연,홍연주 한국여성정책연구원(구 한국여성개발원) 2021 한국여성정책연구원 연구보고서 Vol.2021 No.-

        Ⅰ. 서 론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폭력예방교육이 급속히 확대되었지만, 남성 인식 변화에 대한 초점을 맞춘 교육에 큰 관심을 기울이지 못했음. 여성폭력 가해자가 대다수가 남성이고 사회화를 통해 형성된 폭력적 남성상에 대한 남성 주도적 성찰이 요구됨에 따라 폭력예방교육을 통한 남성 인식 개선 및 교육 효과성을 증진이 중요한 과제로 등장함. 폭력예방교육은 남성 중심적 왜곡된 섹슈얼리티에 대한 인식 변화시키는 중요한 수단이기에, 이와 관련된 남성의 인식과 수용도를 점검하고 효과성 제고 방안을 모색하는 것이 필요함. ○본 연구에서는 폭력예방교육과 관련된 남성의 교육 경험과, 섹슈얼리티 및 성폭력에 대한 인식을 조사하였음. 이를 위해 공공기관 종사자 대상 설문조사와 수강자 남성 대상의 심층면접을 실시함. 이에 추가하여 예방교육 강사 대상의 심층면접을 통해 남성 수강자 태도와 수용도에 대한 의견을 수집하였음. 수집된 자료 분석을 통해서 남성 수강자의 교육 효과성과 관련된 문제의 지점을 확인하고 관련 정책 개선방안을 제시하였음.

      • KCI등재

        변혁적 리더십과 다차원적 신뢰 및 다중 조직몰입과의 관계 연구

        배성현(Bae Seung Hyun),채순화(Chae Sun Hwa) 한국산업경영학회 2004 경영연구 Vol.19 No.2

        본 연구는 최근 많이 연구되고 있는 변혁적 리더십과 다차원신뢰 및 다중 조직몰입과의 관계를 연구하였다. 기존연구는 변혁적 리더십과 신뢰, 변혁적 리더십과 조직몰입 등의 관계는 개별적으로 연구된바 있으나 본 연구에서는 이들의 관계를 통합연구 하였다. 특히 신뢰와 조직몰입에 대해서는 기존연구들과는 달리 최근의 연구성과를 도입하여 다차원적 신뢰와 다중조직몰입 개념을 적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변혁적 리더십의 하위요인은 모든 유형의 신뢰에 높은 정의 관계가 있었다. 변혁적 리더십 요인 중 지적자극은 모든 유형의 신뢰 형성에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음이 밝혀졌다. 모든 신뢰 유형과 다중 조직몰입과의 관계에서도 모두 유의한 정의 관계가 있었다. 이 같은 결과에서 보면 신뢰는 어떠한 조직몰입 형성에도 긍정적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다중 조직몰입 즉 감정적 몰입, 지속적 몰입, 규범적 몰입 모두에 계산적 신뢰가 가장 중요한 영향요인 이었다. 이 결과는 계산적 신뢰는 수준과 밀도가 낮은 신뢰이기 때문에 이러한 신뢰가 모든 조직몰입에 기초가 된다는 것은 조직 신뢰의 기초가 매우 취약할 수 있는 결과다. 이 결과는 우리나라 조직의 신뢰형성의 취약성 때문인지 표본의 특성이 반영된 것인지는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한 부분이다. 변혁적 리더십 하위요인 중에서 특히 지적자극은 모든 유형의 조직몰입에 가장 중요한 요인이었다. 따라서 리더의 역할 중 지적자극의 중요성을 알 수 있다. 끝으로 변혁적 리더인 경우 감정적 몰입 형성에는 신뢰의 매개역할이 상대적으로 적었으나 규범적 몰입 형성에는 모든 신뢰가 반드시 개재되어야 한다는 결과를 얻었다. This study examines the relationship among transformational leadership, different forms of trust, and three-component commitment. Extant studies examined the relationship between transformational leadership and trust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ransformational leadership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separately. This study examines the relationship among the three concepts. In particular, this study puts emphasis on the recent research findings with regard to different forms of trust and three-component commitment instead of relying on past research concerning trust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The results of the study show that the subordinate factor of transformational leadership is significantly positively related with all types of trust. The results also indicate that intellectual stimulation plays important role in the formation of all types of trust. All types of trust exhibited significantly positive relationship with three-component commitment. The results imply that trust has affirmative influence in the formation of all types of organizational commitment. Calculus-based trust was found to be the most influential factor on all types of organizational commitment, i.e., affective commitment, continuance commitment and normative commitment. Since calculus-based trust represents lower level and density, the research finding that this trust constitutes the base of all kinds of organizational commitment could have been induced as a result of the weakness of the base of organizational trust. The results call for further research on the effect of the weakness in organizational trust formation and on the effect of sample characteristics with respect to the research findings. Among the subordinate factors of the transformational leadership the intellectual stimulation was found to be the most important factor to influence all types of organizational commitment. The mediation effect of trust was less noticeabl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ransformational leadership and affective commitment formation. However, all types of trust exhibited important mediation eff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ransformational leadership and normative commitment formation.

      • KCI등재

        조직공정성과 조직결과변수간의 관계에서 심리적 주인의식의 매개효과 및 부정적 성향의 조절효과

        배성현(Bae, Seung Hyun),김영진(Kim, Young Jin),김미선(Kim, Mi Sun) 한국인적자원관리학회 2010 인적자원관리연구 Vol.17 No.4

        본 연구는 조직공정성 유형인 분배공정성 및 절차공정성이 심리적 주인의식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고 이어 심리적 주인의식이 조직결과변수인 조직시민행동, 조직몰입, 직무긴장과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그리고 조직공정성인 분배공정성과 절차공정성이 조직결과변수인 조직시민행동, 조직몰입, 직무긴장과의 관계에서 심리적 주인의식이 이들 관계를 매개하는지를 분석하였다. 20개 기업 700명의 종업원을 대상으로 실증적으로 조사한 결과 분배공정성 및 절차공정성은 심리적 주인의식과 각각 유의한 정의 관계를 보여주었다. 심리적 주인의식은 조직시민행동, 조직몰입과는 각각 유의한 정의 관계, 직무긴장과는 유의한 부의 관계를 보여주었다. 그리고 조직공정성과 조직결과변수 간의 관계에서 심리적 주인의식은 모든 변수들 간에 관계에서 매개효과를 보여 주었다. 마지막으로 조직공정성과 심리적 주인의식 간의 관계에서 부정적 성향의 조절효과를 분석하였는데 절차공정성은 부정적 성향과 상호작용하여 심리적 주인의식을 조절해 주었다. 이들 결과에 대한 의미가 논의 될 것이다.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s of organization justice, specifically distributive and procedural justices, on psychological ownership. It also analyzed the relationship between psychological ownership and organizational outcome variables, such as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OCB),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job strain, to find whether psychological ownership had a mediating role in the relationship. An empirical study conducted with 700 employees at 20 companies found that psychological ownership had a significant positive relationship with distributive justice and procedural justice respectively. Psychological ownership had significant positive relations with both OCB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while having significant negative relations with job strain. Further, psychological ownership had mediating effect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organization justice and all the organizational outcome variables. Lastly, the analysis of moderating effects of negative affectivity (NA) in the relationship between organization justice and psychological ownership found that the interaction of procedural justice with NA had a moderating effect on psychological ownership. The significance of these findings will be discussed.

      • KCI등재

        정서적 성향과 심리적 주인의식이 조직몰입 및 직무긴장과의 관계에서 일중독의 영향

        배성현(Seung-Hyun Bae),박태경(Tae-Kyung Park),김훈석(Hun-Seok Kim) 한국산업경영학회 2012 經營硏究 Vol.27 No.4

        본 연구는 일중독의 선행변수로서 정서적 성향과 심리적 주인의식을 채택하여 일중독과의 관계를 연구하였고, 일중독의 결과변수로서 조직의 긍정적 측면인 조직몰입과 부정적 측면인 직무긴장과의 관계를 연구하였다. 20개 기업 699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첫째 일중독에 대한 개인 성격변수의 영향을 확인할 수 있었다. 정서적 성향 즉 긍정적 성향과 부정적 성향은 일중독과 높은 관계를 보여 주었는데 특히 긍정적 성향이 일중독과 좀 더 관계가 높았다. 둘째 부정적 성향과 일 강박관념과의 관계에서 두 가지 상반된 논리 즉 동기부여에서 좌절 이론 즉 부정적 성향은 과업수행 시 동기부여를 감소시킬 것이라는 주장과, 부정적 성향은 부정적 정보를 더욱 민감하게 받아들이기 때문에 자아-존중감을 지키기 위해 일에 대한 강한 내적충동을 가질 것이라는 주장에서 후자가 좀 더 설득력이 있는 결과를 얻었다. 셋째 심리적 주인의식이 일중독의 중요한 선행변수가 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특히 심리적 주인의식은 일향유감과 높은 관계를 보여주었다. 넷째 일중독의 하위변수인 일 강박관념은 조직몰입 및 직무긴장 모두 정의 관계를 보여주었다. 일 강박관념은 조직성과에 긍정적인 역할을 할 수 있으나 직무스트레스가 함께 증가한다는 의미다. 일향유감은 조직몰입을 증가시키고 직무긴장을 감소시키는 역할을 하여 조직성과에 매우 중요한 요인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This study examines the relationship between workaholism and its antecedent variables which are set up as affective disposition and psychological ownership. It also explores the relationship between two outcome variables of workaholism, namely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job strain which are considered as positive and negative aspect of an organization respectively. By analysing the data collected from 699 people of twenty companies, the present study obtains the findings as follows. First, the effect of personality variable on workaholism is verified. Especially, affective disposition including both positive and negative disposition is closely associated with workaholism, and the degree of association is much higher in positive disposition. Second, of the two conflicting hypotheses, one that negative disposition reduces motivation and the other that negative disposition is sensitive to negative information and activates internal pressure of work drive for the preservation of self-esteem, the latter proves to be the more convincing hypothesis. Third, psychological ownership is found to be an important antecedent variable of workaholism. Finally, while work drive is likely to positively affect organization performance, job strain should be judiciously controlled lest it should be heavily imposed. Work enjoyment is also ascertained to play a positive role in organization performance. These findings on workaholism are expected to serve as both theoretical and practical points of reference in organization performance.

      • KCI등재
      • KCI등재

        목표지향성 및 사회적 지원과 교육훈련 전이 간 관계에서 교육훈련 동기의 매개효과에 대한 연구

        배성현(Bae, Seung Hyun),안성익(Ahn, Seong Ik),김승호(Kim, Seung Ho),정남군(Jung, Nam Goon) 한국인적자원관리학회 2013 인적자원관리연구 Vol.20 No.5

        지금까지 교육훈련 연구는 크게 두 가지 흐름이 있다. 하나는 교육훈련을 실시하는 기업의 관점 에서 교육훈련 성과를 높이기 위해 교육과정, 방법, 강사, 내용과 같은 시스템적 접근이 있고, 또 하나는 피훈련자의 관점에서 교육훈련 성공을 위한 연구의 흐름이 있다. 후자는 주로 피훈련자의 교육훈련 동기가 교육훈련 성과를 좌우 할 수 있다는 가정 하에 이를 잘 설명할 수 있는 다양한 변수들에 대한 연구가 있다. 본 연구는 후자의 관점에서의 연구이고 지금까지 연구된 바로는 교육훈련 동기를 설명하는 변수를 크게 나누면 인적특성 변수와 상황특성 변수로 구분할 수 있다. 그 가운데 교육훈련 동기를 설명하는 인적 특성변수의 연구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특히 이 가운데 목표지향의 개념이 학습에 배우 중요한 개념이므로 교육훈련에 적용 연구할 필요성이 특히 강조된다. 그러나 우리나라에서는 이와 관련한 연구가 매우 적다. 또한 사회적 지원이 교육훈련 동기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는 상이한 관점이 존재하고 규명되어야 할 부분이 존재한다. 이와 같은 관점에서 본 연구는 피훈련자의 인적특성인 목표지향과 조직의 상황적 특성인 사회적 지원이 교육훈련 동기에 미치는 영향과 교육훈련 동기가 교육훈련 성과변수인 교육훈련 전이와의 관계를 연구하였다. 그리고 목표지향 및 사회적 지원과 교육훈련 전이와의 관계에서 교육훈련 동기의 매개 효과를 연구 하였다. 나아가 교육훈련 연구는 조사방법의 한계가 항상 존재한다. 본 연구는 독립변수와 매개효과가 종속변수에 미지는 효과를 보다 엄격 하게 검증하고 설문지법의 한계인 동일방법편의를 줄이기 위해, 준실험설계 방식으로 설계하여 교육훈련 전과 교육훈련 후로 나누어 2번에 걸쳐 자료를 수집 하였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622명을 예상으로 자료를 수집하여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첫째 학습목표 지향과 과시성과목표 지향은 교육훈련 동기와 정의 관계 동료지원은 교육훈련 동기와 정의 관계를 얻었다. 그러나 회피성과목표 지향과 상사지원은 교육훈련 동기와 관계가 없었다. 교육훈련 동기는 교육훈련 성과변수인 교육훈련 전이를 잘 설명해주고 있다. 그리고 학습목표지향과 과시성과목표 지향 및 동료 지원과 교육훈련 전이와의 관계를 교육훈련 동기가 유의하게 매개역할을 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교육훈련 동기의 선행변수로서 학습목표 지향 동료 지원이 매우 중요할 뿐만 아니라 교육훈련 동기가 교육훈련 성과를 위해 매우 중요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상사지원이 교육훈련 동기를 설명하지 못하는 것은 매우 주목 되는 결과다. 본 연구는 이러한 결과의 의미를 논의할 것이다. 그리고 본 연구 결과는 교육훈련 동기 연구의 중요성을 다시 한번 확인해 주는 결과라고 할 수 있다. In the global competitive environment, most firms agree that the investments on human capital are the core of competitive strategy. For the development of human capital in firms, proper and intensive employees training are indispensable. Most firms believe that effective employee training will enhance employees' KSA (knowledge, skill, and Attitude) and employees' KSA enhanced through training will strengthen their competitive advantages. In this vein, firms pay a lot of interest to employee training and actually invest on employee training. Nonetheless, still remains the doubt that the employees who finished the training course and return to their job will really perform better than before. Only when managers have the confidence that employee training has effect on employees' job performance, they will continue the investment on employee training. Against this backdrop, we investigated the antecedents of learning transfer. Previous studies on the antecedents of training effective mainly adopted the training motivation as dependent variable. It is true that trainees' training motivation is really important. However, what matters for managers who should take care of organizational performance is whether the training program may help employees' performing jobs. To investigate the actual training effectiveness not in educational institute but in the field', we adopted learning transfer. Furthermore, we collected data two times; we collected the data about antecedents and mediators before the training program and the data about the consequence (that is, learning transfer) from the same raters. The first reason to collect data twice is to investigate more precisely the influence of the antecedents on the learning transfer. The second reason is to prevent the possibility of common method bias that is caused when the same raters answer the antecedents and con sequences at the same time. On the base of previous studies on employee training, we adopted goal orientations (learning goal orientation, performance prove goal orientation, and performance avoidance goal orientation) and social supports (supervisor support and coworkers support) as antecedents. We expected that goal orientations as trainee' characteristics and social supports a organizational context will influence the learning transfer. Reflecting on the previous studies, training motivation plays very important role in the training effectiveness. Even though training provider and training media are good, the trainees without training motivation neither can absorb the training nor can achieve learning transfer. Hence, we expected that training motivation will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two antecedents and learning transfer. For the empirical test, we collected data from 692 raters who were participating in actual employee training programs. As said previously, data were collected twice. The data of goal orientation, social supports, and training motivation were collected before training program and the data of learning transfer were collected after training program. Excluding the insincere answers, we included 622 answers for analysis. For the hypothesis tests, we adopted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 and used AMOS 16.0 for statistical package. The results of structural equation model analysis are as followings. First, training motivation showed significant effect on learning transfer. Second, only Learning goal and performance prove goal orientation out of the 3 sub-dimensions of goal orientation showed significant effects on training motivation. Third, only coworker support out of 2 kinds of social supports showed significant effects. Fourth, training motivation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learning goal orientation and learning transfer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performance prove goal orientation. Fifth, training motivation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coworker support and learning transfer.

      • 경영자 혁신능력 관점의 중소기업 혁신모델

        김승호(Seung Ho Kim),배성현(Seung Hyun Bae),전인(In Jun),손강호(Kang Ho Son) 한국창업학회 2014 한국창업학회 Conferences Vol.2014 No.3

        It needs to enhance on the usefulness through reconsideration to relationship among innovative competency, innovation and performance from the CEO s competencies Perspective as an origin of innovation, This study analyzed structural relation among the configuration of CEO s innovative DNA, types of innovation and multi-dimensional performances by empirical survey from the SMEs. The empirical results find that discovery DNA has positive effects on the technological and financial performance, operating DNA on the market performance. The internal pacing between discovery DNA and operating DNA has holistic effects on the all of three type s performance. We have implications from the study that CEO exerts to promote for equilibrium based on discovery DNA and complementary to operation DNA for successful general firm s performances. In terms of theoretical perspectives, it provides to specific competencies contents and developmental direction in the ex post CEO s learning and efforts and has implication for overcoming the limits of past theories related to CEO s competency such as entrepreneurship theory and manager role theor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