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장식에 의한 도자표현 사례연구 - 엘리자베스 프리츠(Elizabeth Fritsch)의 작품 세계를 중심으로

        배선아,박중원 한국기초조형학회 2020 기초조형학연구 Vol.21 No.5

        This study aims to shed light on the world of works by Elizabeth Fritsch, a contemporary European artist who wanted to present a new meaning of decorating as an expression of pottery. It consists of learning about the background of Elizabeth Fritz's work and sorting and analyzing the creative decorative expressions shown in her work by time. To support this, we considered the location of the decoration that evolved in modern art and looked at the background and meaning of 'decorative' as a way of expression in modern European art. In the 20th century, he looked at the "gi" from a unique perspective in the flow of European ceramic art and attempted an in-depth analysis of the works of Fritz, who built his own territory with unique decorative expressions. The conclus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n modern pottery, it was confirmed that decoration has media potential beyond craftsmanship. Second, Fritz tried to express a conceptual metaphor using a physical material called clay. She tried to use clay as a means of expression to present a unique approach to decorating. Third, the patterned expression of musical rhythm showed the expandability of the area of ceramic surface decoration. Fourth, Fritz tried to reinterpret metaphysical thinking in ceramic expression through images created from the interaction of the body and the plane. Through this study, it was confirmed that decoration started from the aesthetic surface desire to beautify the object, but now it can have three-dimensional functions beyond this, and that clay is open to possibilities as a tool of visual experience beyond just the category of materials. We hope this study will be understood as a special case of extensive decoration and will be used as a literature material for subsequent researchers. 본 연구는 도자표현으로서 장식의 새로운 의미를 제시하고자 하였던 유럽의 현대도예작가 엘리자베스프리츠(Elizabeth Fritsch)의 작품세계를 장식표현의 측면에서 새롭게 조명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 엘리자베스 프리츠의 작품배경에 대해 알아보고 그녀의 작품에서 보이는 창의적 장식표현을 시기별로분류 및 분석하는 것으로 구성되었다. 이를 뒷받침하기 위해 현대미술에서 진화된 장식의 위치를 고찰하였으며, 유럽의 현대도예에서 표현방식으로서 ‘장식’의 발생배경과 의미에 대해 살펴보았다. 20세기유럽 도자예술의 흐름에서 ‘기’를 독특한 시각으로 바라보고 고유의 장식표현으로 자신만의 영역을 구축한 프리츠 작품의 심층적 분석을 시도하였다. 본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현대도예에서 장식은 공예성을 넘어 매체적인 가능성을 가지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둘째, 프리츠는 ‘점토’라는 물리적재료를 이용해 개념적 은유를 표현하고자 하였다. 그녀는 표현의 수단으로 ‘점토’를 이용해 장식에 관한 독특한 접근방식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셋째, 음악 리듬의 패턴화된 표현은 도자표면장식 영역의확장가능성을 보여주었다. 넷째, 프리츠는 입체와 평면의 상호작용에서 창출된 이미지를 통해 형이상학적인 사고를 도자표현으로 재해석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장식은 대상을 아름답게 하기 위한미의 표면적 욕구에서 출발했지만, 현재는 이를 넘어 입체적인 기능을 가질 수 있음을, 또한 점토가단순히 재료라는 범주를 넘어 시각적 경험의 도구로서 가능성이 열려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가 광범위한 장식에 관한 특별한 사례로 이해되길 바라며, 후속 연구자들을 위한 문헌적 자료로 활용되길 바란다.

      • KCI등재후보

        기술기반 STEAM 교육이 중학생의 기술적 태도에 미치는 영향

        배선아 대한공업교육학회 2011 대한공업교육학회지 Vol.36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verify the effects of the technology-based STEAM education on attitude toward technology of middle school students. The following null hypothesis was stated for the purpose of the study. There is no significant differences of attitude toward technology of middle school students before and after applied the technology-based STEAM education in sub-elements ① interest in the technology, ② technology's gender role, ③ technology's importance and influence, ④ accessibility to technology, ⑤ technology and school curriculum, ⑥ technology-related career, and ⑦ technology and creative activity. One-Group Pretest-Posttest Design was applied to 'After-school' activities of ○○ middle school for this experimental research. The data were collected and interpreted statistically by paired samples t-test using SPSS(ver. 15) at the .05 level of significance.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First, the technology-based STEAM education was effective in raising technological attitude of middle school students. Second, the technology-based STEAM education was effective in enhancing attitude of middle school students on interest in technology, technology's gender role, technology's importance and influence, technology and school curriculum, and creative activity. Third, the technology-based STEAM education was not effective in improving attitude on accessibility to technology and aspiration to technology-related occupation of middle school students. 이 연구는 기술기반 STEAM 교육이 중학생의 기술적 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영가설을 설정하였다. 기술기반 STEAM 교육을 적용하기 전과 후의 중학생의 기술적 태도는 ①기술에 대한 흥미, ②기술의 성 역할, ③기술의 중요성과 영향, ④기술 접근 용이성, ⑤기술과 학교 교육과정, ⑥기술 관련 진로, ⑦기술과 창의적 활동과 같은 하위 요소에서 차이가 없을 것이다. 가설을 검증하기 위하여 ○○중학교 3학년 31명을 대상으로‘방과후 학교’ 활동에‘단일집단 사전 사후검사 설계’모형을 적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유의도 .05 미만의 수준에서 대응표본 t-검증 실시하여 분석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기술기반 STEAM 교육은 중학생의 기술적 태도를 높이는데 효과적이었다. 둘째, 기술기반 STEAM 교육은 중학생의 기술에 대한 흥미, 기술의 성 역할, 기술의 중요성과 영향, 기술과 학교 교육과정, 창의적 활동에 관한 태도를 높이는데 효과적이었다. 셋째, 기술기반 STEAM 교육은 중학생의 기술 이해와 접근, 기술과 관련한 직업의 추구 정도에 관한 태도를 향상시키는데 효과적이지 못했다.

      • KCI등재

        디자인 씽킹 기반의 체인지메이커 교육 프로그램 개발

        배선아 대한공업교육학회 2024 대한공업교육학회지 Vol.49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changemaker education program based on design thinking. In order to achieve the objectives, the study was developed an education model, which serves as the basic framework for a changemaker education program based on design thinking, and then was developed a changemaker education program based on design thinking according to the developed education model.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study was developed a changemaker education model based on design thinking that reflects the complementary roles and differentiated characteristics of design thinking, maker education, and changemaker education based on th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between them. Second, the study also was developed a changemaker education program based on design thinking for a total of 15 sessions for 5th to 6th graders of elementary school under the theme of ‘Our safe school that you and I create together.’ The program was developed to help students act as leaders of change to solve public problems and build the capabilities of changemakers who can cope with the future society and lead changes in it. Third, the developed education program was structured to enable students to develop tool utilization capabilities through the convergence of digital and analog making activities and the use of various materials and tools. The program was designed to assist them in developing product design and manufacturing capabilities and digital technology capabilities by fabricating devices to solve school safety issues. The program also aimed to help them develop digital citizenship by sharing the fabricated devices and by engaging and practicing together in creating lasting changes. Fourth, the program was designed to be applied by adjusting education time depending on the level of the learner, the scope and depth of learning content, and the progress of the project. 이 연구는 실과 기술 영역에 적합한 디자인 씽킹 기반의 체인지메이커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데 목적이 있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디자인 씽킹 기반의 체인지메이커 교육 프로그램의 기본 틀이 되는 교육 모형을 개발하였고, 이후 개발한 교육 모형에 따라 디자인 씽킹 기반의 체인지메이커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디자인 씽킹 과정, 메이커 교육 모형, 체인지메이커 교육 모형을 분석하여 실과 기술 영역에 적합하도록 산출물 제작과 사회적 가치를 모두 강조하는 모형으로 개발하였다. 둘째, ‘너와 내가 함께 만드는 안전한 우리 학교’ 주제를 중심으로 초등학교 5~6학년 학생을 위한 총 15차시의 디자인 씽킹 기반의 체인지메이커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학생이 변화의 주체로서 공공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행동하고, 미래 사회에 대처하여 미래 사회의 변화를 이끌어갈 수 있는 체인지메이커의 역량을 함양할 수 있도록 개발하였다. 셋째, 개발된 교육 프로그램은 디지털 메이킹 활동과 아날로그 메이킹 활동의 융합, 다양한 재료와 도구의 사용을 통해 도구 활용 역량을 함양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학교 안전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장치 제작을 통해 제품 설계 및 제작 역량, 디지털 기술 역량을 함양하며, 제작된 장치를 공유하고 지속적인 변화를 만드는 데 참여하고 함께 실천할 수 있도록 구성하여 사회의 발전과 변화를 일으키는 사회적 참여와 실천 태도를 함양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넷째, 학습자의 수준, 학습 내용 범위와 깊이, 프로젝트 진행 정도에 따라 교육 시간을 가감하여 적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

      • KCI등재

        디자인 씽킹 기반 발명교육 직무연수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배선아 한국기술교육학회 2020 한국기술교육학회지 Vol.20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invention education in-service teacher training program based on design thinking, and apply the program to verify its effects. The study was divided into two parts, of which the first part involves developing the program and the second with verifying its effects. The program was developed in 3 steps including preparation, development, and improvement. The effects of the program were verified by using a‘one-group posttest only design’to analyze the satisfaction of and effects on 21 teachers who participated in the job training program for invention education.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invention education in-service teacher training program based on design thinking was composed of 30-hours training program for in-service teachers. It is possible to select and use different levels of IT tools and practical materials, and to partially adjust the training duration by learner levels. Second, based on the themes of the seven standards of school safety, the developed program involved a storyline of completing missions of‘develop a school safety protection device! based on the design thinking process using information technology. The program is unique as it is a training program with themes and storyline and three-stage missions, and consists of technology and inventions that will lead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Era, such as robots, AI, and IoT. Third, the subject teachers were found to be greatly satisfied with the program applied. It was also found that the content of the program had a high field applicability. Fourth, the analysis of the level of improvement between before and after applying the program showed that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improvements in all aspects of the level of interest in invention (understanding invention education), level of participation in invention activities (practice of invention education), level of invention-related knowledge, and class attitude. 이 연구는 디자인 씽킹 기반의 발명교육 직무연수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개발한 프로그램을 적용하여 효과를 검증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프로그램 개발 연구, 효과 검증 연구로 구분하여 수행하였다. 프로그램 개발은 준비, 개발, 개선의 3단계 절차에 따라 진행되었다. 효과 검증은 발명교육 직무연수에참여한 교사 21명을 대상으로‘단일집단 사후검사’설계를 적용하여 프로그램만족도와 효과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디자인 씽킹 기반 발명교육 직무연수 프로그램은 현직교사 대상의 30 차시 연수 프로그램으로 개발되었다. 학교급, 학습자 수준에 따라 IT 도구 및실습재료의 수준별 선택과 활용이 가능하고, 실습시간을 부분적으로 조정 가능하도록 하였다. 둘째, 개발된 프로그램은 학교안전(7대 표준) 테마를 바탕으로 IT 기술을 활용하여 디자인 씽킹 과정에 따라‘학교안전 지킴 장치를 발명하라!’는 미션을수행하는 스토리텔링으로 구성되었다. 테마와 스토리가 있는 연수 프로그램, 3 단계 미션 수행, 로봇 ․ AI ․ IoT 등 4차 산업혁명 시대를 주도할 기술과 발명을연계하여 구성한 연수 프로그램이라는 특색이 있다. 셋째, 개발된 프로그램을 적용한 결과 프로그램에 대한 교사의 만족도가 높았으며, 프로그램 내용의 현장 적용 유용성도 높게 나타났다. 넷째, 개발된 프로그램 적용 전과 후의 발전정도를 분석한 결과, 발명교육 이해, 발명교육 실천, 발명 관련 지식 및 태도 수준 모두 상승했으며 통계적으로도유의미한 효과가 있었다.

      • KCI등재

        초등예비교사의 일반 교수효능감과 실과 교수효능감 비교 연구

        배선아 한국실과교육학회 2012 한국실과교육학회지 Vol.25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s between general teaching efficacy and practical arts teaching efficacy of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 To achieve the purpose of the study, 400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 were selected by purposeful sampling.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summarized as following. First,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general teaching efficacy and practical arts teaching efficacy of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 Practical arts teaching efficacy was lower than general teaching efficacy. Second, In case of male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ut female's practical arts teaching efficacy was lower than general teaching efficacy. Third, In case of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 who are majoring in science track at university,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whereas, in case of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 who nonscience track majors at university, practical arts teaching efficacy was lower than their general teaching efficacy. Fourth, In case of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 who majored in liberal arts at high school, practical arts teaching efficacy was lower than their general teaching efficacy. Fifth, A freshman and sophomore's practical arts teaching efficacy was lower than their general teaching efficacy. Lastly, In case of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 who wasn't taken practical arts subjects as an elective, practical arts teaching efficacy was lower than their general teaching efficacy. 이 연구는 초등예비교사의 일반 교수효능감과 실과 교수효능감 사이에 차이가 있는지를 검증하고, 이를 토대로 실과 교수효능감 향상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수행되었다. 이러한 목적을위해 초등예비교사 400명을 표집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자료를 분석하였다. 이 연구에서 얻어진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예비교사의 일반 교수효능감과 실과 교수효능감과 사이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초등예비교사의 실과 교수효능감이 일반 교수효능감보다 낮았다. 둘째, 성별 변인에 따라 분석한 결과, 남학생은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으나 여학생은 실과 교수효능감이 일반 교수효능감보다 낮았다. 셋째, 대학 심화 전공 계열 변인에 따라 분석한 결과, 자연계열 학생은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으나 비 자연계열 학생은 실과 교수효능감이 일반 교수효능감보다 낮았다. 넷째, 고등학교 계열 변인에 따라 분석한 결과, 이과 출신 예비교사는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으나 문과 출신 예비교사는 실과 교수효능감이 일반 교수효능감보다 낮았다. 다섯째, 학년 변인에 따라 분석한 결과, 1, 2학년은 실과 교수효능감이 일반 교수효능감보다 낮았고 3, 4학년은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 여섯째, 실과 선택과목 수강 경험 변인에 따라 분석한 결과, 실과 선택과목 수강 경험이 있는예비교사는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으나, 실과 선택과목 수강 경험이 없는 예비교사는 실과 교수효능감이 일반 교수효능감보다 낮았다.

      • KCI등재후보

        공업계열 전문계 고등학교 활동 중심 STEM 교육프로그램 개발 모형

        배선아,금영충 한국실과교육연구학회 2009 實科敎育硏究 Vol.15 No.4

        이 연구는 공업계열 전문계 고등학교의 전문교과와 과학, 기술, 공학, 수학 교과 내용의 통합을 알아보고, 활동 중심 접근에 의한 STEM 교육프로그램의 개발 모형을 제안함으로써, 최근 통합교육의 화두인 STEM 교육과 이를 위한 교육프로그램 개발에 기여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 연구는 STEM 교육과 교육과정 개발 모형, 교육프로그램 개발 모형과 관련된 문헌을 고찰하여 공업계열 전문계 고등학교 활동 중심 STEM 교육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개념 모형과 절차 모형을 개발하였다. 연구 결과 개발된 개념 모형은 STEM 교육 탐색, 활동 중심 통합, 활동과제별 교육목표, 내용, 방법, 평가로 이루어졌다. 절차 모형은 준비, 개발, 개선 단계로 구성하였으며, 15 단계의 세부단계로 구성하였다. 개발된 모형은 활동 중심 통합 방식을 적용한 모형으로서 통합교육 연구에 의미를 가지며, 중등직업교육기관을 위한 최초의 STEM 교육프로그램 개발 모형으로서 STEM 교육 연구에 큰 의미를 갖는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development model of activity-centered STEM education program in Industrial Technical High School through review of literature about STEM education, curriculum development models, and educational program development models. The result of the study, the development model consisted of conceptual model and process model. The conceptual model consisted of STEM education exploration, activity-centered integration, and each activity task include educational goals, contents, methods, and evaluation. The process model was composed of preparation, development and improvement and divided into 15 detail stages. The study of development model based on activity-centered integrative method was firstly conducted in the study. Furthermore, it is meaningful that the developed model as the first STEM education program development model for institution of secondary vocational education.

      • KCI등재후보

        공업계열 전문계 고등학교 화공 분야의 STEM 교육에 대한 화공교사의 인식과 요구

        배선아,금영충 대한공업교육학회 2010 대한공업교육학회지 Vol.35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urvey and analyze the recognition and demands of chemical industry teachers for STEM education of Chemical Industry area in Industrial Technical High School and mail surveys were conducted for 373 chemical industry teachers at 45 schools offering chemical industry courses across the nation. The following were found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First, although chemical industry teachers understood positively the necessity of STEM education, they showed low levels of recognition on STEM education. Second, the rate of the chemical industry teachers who had experience in applying STEM education was low. The biggest difficulty in applying STEM education was due to a lack of STEM education programs, followed by the difficulty in preparing STEM educational materials, and a lack of instructional methods for STEM education. Third, chemical industry teachers required to improve fundamental ability, enhance job skills, education closely related to real life, and interesting education according to the direction for STEM education. Fourth, chemical industry teachers demanded unit operation, followed by process control, manufacturing chemical, industrial chemical, and chemical analysis with regard to the contents to study STEM education. Fifth, chemical industry teachers asked for the integration centering activities related real life, followed by the integration focusing on thema related to real life, the integrating centering student's needs and interests, and the integration focusing on issues according to the appropriate integration methods for STEM education. Sixth, chemical industry teachers required creative design/problem solving ability, followed by fundamental ability, job skills,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 skills with regard to the ability to develop through STEM education. Lastly, chemical industry teachers demanded the development and distribution of STEM education, teacher's recognition and attitudes towards STEM education, teacher's training for STEM education, the distribution of reference materials and etc in order to stimulate STEM education. 이 연구는 공업계열 전문계 고등학교 화공 분야의 STEM 교육에 대한 화공교사의 인식과 요구를 조사· 분석하기 위해 수행된 것으로, 전국에서 화공 분야 학과가 설치된 45개 학교에 재직 중인 373명의 화공교사를 대상으로 우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화공교사는 STEM 교육의 필요성에 대하여 긍정적으로 공감하고 있었으나 STEM 교육에 대한 인식은 전반적으로 낮았다. 둘째, STEM 교육을 적용한 경험이 있는 화공교사의 비율이 매우 낮았다, STEM 교육 적용에 대한 어려움은 STEM 교육프로그램이 없기 때문으로 인함이 가장 높았으며, STEM 교육 자료 준비의 어려움, STEM 교육에 대한 이해 부족, STEM 교육 실현을 위한 교수-학습 방법 부족 순으로 나타났다. 셋째, 화공교사는 STEM 교육의 교육방향에 대하여 기초능력 향상, 직무능력 향상, 현실생활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교육, 흥미 있는 교육 순으로 요구하였다. 넷째, 화공교사는 STEM 교육을 위해 연구해야할 내용에 관하여 단위조작· 공정제어, 제조화학, 공업화학, 분석화학 ·순으로 요구하였다. 다섯째, 화공교사는 STEM 교육에 적합한 통합 방식에 관하여 현실생활과 관련한 활동 중심의 통합, 현실생활과 관련한 주제 중심의 통합, 학생의 필요와 흥미 중심의 통합, 문제 중심의 통합 순으로 요구하였다. 여섯째, 화공교사는 STEM 교육을 통해 함양해야 할 능력에 관하여 창의적인 설계/문제해결 능력, 기초능력, 직무능력, 대인관계 능력 순으로 요구하였다. 마지막으로 화공교사는 STEM 교육 활성화를 위해 STEM 교육프로그램 개발 및 보급, STEM 교육에 대한 교사의 의식과 태도, STEM 교육에 대한 교사 연수가, 참고자료 보급 등이 이루어져야 함을 요구하였다.

      • KCI등재

        피지컬 컴퓨팅을 활용한 메이커 교육 프로그램 개발

        배선아 대한공업교육학회 2023 대한공업교육학회지 Vol.48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maker education program utilizing physical computing. To achieve such purpose, the study developed a maker education model utilizing physical computing through analysis of literature on physical computing and maker education, and based on the developed model, developed a maker education program utilizing physical computing. The study consisted of three steps of preparation, development and improvement.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maker education model was developed to emphasize the utilize of a physical computing tool as a means to realize ideas, so that maker education utilizing physical computing works beyond learning the functions of the tool and coding education. Second, the maker education program developed consisted of a total of 22 sessions under the theme of “Project for Smart and Unlimited Transformation of Life Products.” The program was to ensure smooth integration of analog making activities and digital making activities, and the possibility of unlimited transformation and smart functions of life products were expanded. Third, the maker education program developed was configured to ensure cultivation of material competency and digital citizenship promoted in the maker education. Fourth, hours of education could be increased or decreased according to the level of learners, range and depth of learning contents, progress of the project, and additional optional activities.

      • KCI등재

        메이커 교육 프로그램이 초등 예비교사의 창의적 문제해결력에 미치는 효과

        배선아 한국기술교육학회 2023 한국기술교육학회지 Vol.23 No.3

        이 연구는 메이커 교육 프로그램이 초등 예비교사의 창의적 문제해결력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초등 예비교사를 위한 메이커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개발한 메이커교육프로그램을 적용하여 효과를 검증하였다. 메이커 교육 프로그램 개발은 준비 단계, 개발 단계, 개선 단계의 절차에 따라 수행되었으며, 효과 검증은 초등 예비교사 1학년 학생 20명을 대상으로단일집단 사전 사후검사 설계를 적용하여 수행되었다. 수집된 자료는 유의도 .05 미만의 수준에서대응표본 t-검정을 실시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메이커 교육 프로그램은‘생활 속 불편함을 개선하는 장치를 만들어라!’는 주제를 바탕으로 인공지능과 IoT 로봇을 활용한메이커톤 활동으로 개발되었다. 총 15차시 교육 프로그램으로 개발되었으며, 인공지능과 IoT 로봇기초 학습 활동이 이루어지는 사전 팅커링하기, 초등 예비교사 스스로 삶과 연계된 생활 속의 불편한 문제를 발견하고 해결책을 찾아 장치를 제작하는 메이커톤 활동을 통해 창의적 문제해결력을함양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둘째, 개발된 메이커 교육 프로그램은 초등 예비교사의 창의적 문제해결력 향상에 통계적으로도 유의미한 효과가 있었다. 셋째, 개발된 메이커 교육 프로그램은 초등예비교사의 창의적 문제해결력 하위 요인인 문제발견 및 분석, 아이디어 생성, 실행계획, 실행, 설득및 소통의 모든 요인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효과가 있었다. 이를 토대로 초등 예비교사를 위한지속적인 메이커 교육의 확대가 필요하며, 메이커 교육을 위한 다양한 강좌 및 프로그램 개발 등이필요함을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verify the effects of maker education programs on the creative problem-solving ability of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 For such purpose, maker education program for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 was developed, and its effect was verified by applying such program. The development of the maker education program was carried out in the preparation, development, and improvement steps, and the verification of its effect was carried out by applying the pretest-posttest design with a single group targeting 20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 in their freshman year.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conducting a matching sample t-test at a significance level below .05.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maker education program was developed through Make A Thon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and IoT robot under the subject of ‘Build a device that improves inconvenience in life!’ It was developed as a 15-hour education program, and the program was designed to cultivate creative problem-solving ability through pre-tinkering including basic learning activities of artificial intelligence and IoT robots and Make A Thon activities allowing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 to discover inconvenient problems in life and find solutions to create devices. Second, the developed maker education program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improving the creative problem-solving ability of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 Third, the developed maker education program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all sub-factors of creative problem-solving ability of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 including problem discovery and analysis, idea generation, action planning, execution, persuasion, and communic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