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 KCI등재
      • KCI등재

        대구 2·28민주운동

        배규성(BAE, Kyu Sung) 동아시아국제정치학회 2011 국제정치연구 Vol.14 No.1

        February 28, 1960 in Daegu, a milestone democratic movement in the modern history of South Korea happened. The instruction of the Sunday school to hinder erection campaign of opposition party, made eight high school students to protest the coup protests, which eventually collapsed Rhee Seungman" dictatorship. So far, little discussions on the 2?28 Democratic Movement of Daegu were made, while 3?15 Masan Movement and 4?19 revolution have been mentioned a lot. As the breaking point of dictatorship, the first student" Movement after the establishment of ROK, 2?28 Democratic Movement of Daegu should be evaluated fairly for the historical significance. In 2000, the society for the 2?28 Movement for Democracy was established as a Corporation. Then, along with Memorial erected(1990), Memorial Park opened(2004), Memorial Hall is being promoted. After the Reform Bill on Democracy Foundation(2009) was passed, 2?28 Democratic Movement of Daegu gained official legal status and honor the spirit of the democratic movement to succeed to the future generations. For the past 50 years, 2?28 Democratic Movement of Daegu was silent and lacked the public attention for the characteristic of pure student"s movement, the regional characteristics of TK, and the lack of political intention. Now it"s time to rethink and succeed the spirit of the democratic movement.

      • KCI등재

        북극권 쟁점과 북극해 거버넌스

        배규성(Bae Kyu Sung) 21세기정치학회 2010 21세기 정치학회보 Vol.20 No.3

        With the race to develope natural resouces and new passage as a result of accelerated melting of sea ice and glaciers in the past two years, the Arctic marine environment has reached a crisis point. It is now time to consider creating the Arctic Regime by the adoption of a regional seas agreement and by the establishment of a fully-fledged international organisation to address marine environmental issues of global concern. Relations between the Arctic Rim states are by no means as negative as many people believe. More generally, it should be noted that there is already a considerable amount of cooperation in the Arctic. The vision of military conflict or a battle for territory and resources is wholly imaginary. In addition, there is a firm legal structure providing a solution for many Arctic issues with a potential for much more. The principles and rules for establishing maritime boundaries and the outer limits of the continental shelf are set out in the LOSC as the Constitution for the Oceans, and all of the states involved are pursuing those routes. The Arctic Rim states, sharing a common ocean(the Arctic) and common challenges already cooperate to a considerable extent to protect the environment and marine ecosystem. And there also exist the relevant principles and precedents. The last thing to do left for the Arctic states is to find the political will to go one step further to organise and consolidate their efforts in a new regional seas agreement and a future plan for sustainable development in the Arctic.

      • KCI등재

        북극해의 항해의 자유: 문제와 쟁점

        배규성 ( Bae Kyu Sung ) 배재대학교 한국-시베리아센터 2023 한국시베리아연구 Vol.27 No.2

        ‘항해의 자유(freedom of navigation)’는 그로티우스에 의해 시작되었고, 두 차례의 세계대전과 세 차례에 걸친 UN의 해양법 회의를 거쳤다. 오늘날 북극해에서의 ‘항해의 자유’ 문제는 유엔 해양법 협약(UNCLOS)의 존중 및 그 해석과 관련된 국제법적 분쟁의 주제가 되었다. 쟁점은 북서항로와 북방항로의 법적 지위뿐만 아니라 영해 기선을 그리는 방법, 해협을 통과하는 레짐, 제234조(결빙지역)의 해석과 배타적 경제수역 내 항해의 자유(freedom of navigation) 제한에 관한 것이다. 북극권 국가들 중 주로 캐나다, 그리고 좀 덜한 정도로 러시아가 ‘항해의 자유’와 일치하지 않는 것으로 인정될 수 있는 법률을 채택했다. 북극해에서 ‘항해의 자유’ 원칙을 확고히 옹호하는 국가는 미국이다. 다른 북극권 국가인 덴마크, 핀란드, 아이슬란드, 노르웨이 및 스웨덴의 관행과 입장은 유엔 해양법 협약(UNCLOS), 선박으로부터의 오염 방지 국제협약(MARPOL) 및 해상 인명 안전 국제협약(SOLAS)의 조항을 따른다. 북극해 항해 문제에 대한 모든 북극권 국가와 전체 국제 사회의 입장을 통합하는 중요한 단계는 강제적인 폴라 코드(Polar Code)를 채택하는 것이었다. 북극해에서의 항해의 발전 전망과 관련하여 중요한 점은 선박의 항해로 인한 북극 환경의 손상 가능성이 항해의 발전을 중단시킬 수 없다는 것이다. 북극해를 통과하는 해로는 유럽과 아시아 사이의 거리를 크게 단축시키고, 수에즈 운하 또는 파나마 운하를 통한 운송에 비해 항해 시간이 짧아지고, 연료가 절약되고, 온실가스 배출량이 적은 경제적 이점이 명백하다. 또한 아시아 국가, 특히 중국뿐만 아니라 한국, 일본, 인도의 입장에서 북극해 항로의 이용은 경제적, 전략적 지정학적 이유로 중요해졌다는 점이다. 결과적으로 북극해에서 항해의 자유 원칙을 유지하는 것은 북극권 국가들의 문제일 뿐만 아니라 국제 사회 전체의 주요 글로벌 문제가 되었다. 이런 상황에서 북극해에서의 항해의 자유를 유지하고 보장하는 것에 대한 특히 미국과 같은 해양 강국들의 주장과 압력이 증가할 것이며, 항해의 자유를 제한하고자 하는 특히 캐나다와 러시아의 정책과 행동은 점점 더 강력해질 수 있어, 북극해 항로에서의 항해의 자유 쟁점은 논쟁과 갈등의 대상이 될 것이라고 예측할 수 있다. ‘Freedom of navigation’ was initiated by Hugo Grotius, and went through two World Wars and three UN Conferences on the Law of the Sea. Today, the issue of ‘freedom of navigation’ in the Arctic Ocean has become the subject of international legal disputes concerning the respect and interpretation of the United Nations Convention on the Law of the Sea (UNCLOS). The issues are related to the legal status of the Northwest Passage and the Northern Sea Route, as well as how to draw the territorial sea baseline, the regime to pass through the strait, the interpretation of Article 234 (ice-covered area), and restrictions on freedom of navigation within the exclusive economic zone. Among the Arctic countries, mainly Canada, and to a lesser extent Russia, have adopted laws that could be recognized as inconsistent with “freedom of navigation”. The United States is a firm advocate for the principle of “freedom of navigation” in the Arctic Ocean. The practices and positions of the other Arctic countries, Denmark, Finland, Iceland, Norway and Sweden, follow the provisions of the United Nations Convention on the Law of the Sea (UNCLOS), the International Convention on the Prevention of Pollution from Ships (MARPOL) and the International Convention on the Safety of Life at Sea (SOLAS). An important step unifying the positions of all Arctic countries and the entire international community on the issue of Arctic navigation was the adoption of a compulsory Polar Code. An important point with respect to the prospects for the development of navigation in the Arctic Ocean is that the potential damage to the Arctic environment caused by the navigation of ships cannot stop the development of navigation. A sea route through the Arctic Ocean significantly shortens the distance between Europe and Asia, and the economic advantages of shorter voyage times, fuel savings and lower greenhouse gas emissions are obvious compared to transportation via the Suez or Panama Canal. In addition, from the perspective of Asian countries, especially China, as well as Korea, Japan, and India, the use of the Arctic Sea route has become important for economic and strategic and geopolitical reasons. As a result, maintaining the principle of freedom of navigation in the Arctic Ocean has become a major global problem not only for Arctic countries but also for the international community as a whole. In this context, there will be increasing assertions and pressures from maritime powers, especially the United States, to maintain and ensure freedom of navigation in the Arctic Ocean, and policies and actions, particularly from Canada and Russia, to restrict freedom of navigation will become increasingly strong. Therefore, it can be predicted that the issue of freedom of navigation in the Arctic Ocean will be the subject of intense debate and conflict.

      • KCI등재후보
      • KCI등재

        러시아 북방 토착 소수 민족의 법적 권리: 법적 규범과 현실

        배규성 ( Bae Kyu Sung ) 배재대학교 한국-시베리아센터 2020 한국시베리아연구 Vol.24 No.1

        ‘러시아 북방 토착(원주) 소수 민족’은 그동안 역사적 관행, 관습법상의 권리, 현행 헌법과 법률상의 권리와 지위, 국제적 원주민 레짐의 지원 등을 통해 그들의 조상이 소유한 영토에서 그들의 전통적인 삶의 방식과 경제활동을 유지하며, 그들의 전통 문화와 언어와 지식을 계승하고 유지할 수 있었다. 그러나 현재 개발을 중시하는 러시아 정부의 정책 방향으로 볼 때, 그들이 이러한 다양한 방식으로 자신을 보호할 기회가 제한을 받는다면, 미래에는 다양한 종류의 복잡한 삶의 상황이 그들에게 발생할 수 있다. 왜냐하면 러시아 북방 소수 원주민들이 사는 영토가금, 우라늄, 수은, 석유, 가스 및 석탄 등에만 국한되지 않는 물과 나무와 동식물계를 포함하는 풍부한 천연자원을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 최근 입법을 통해 법적 권리를 개선하고 토착문화에 대한 존중을 강조함에도 불구하고, 국제법의 일반적인 토착(원주)민 관련 기준과 러시아 북방 토착 소수 민족의 실제 상황 사이에는 상당한 차이가 있다. 본 논문은 이러한 갭을 강조하며, 실질적인 토착 소수 민족의 법적 권리 보장과 현황을 분석할 것이다. 최근의 경향처럼 러시아 정부가 토착 소수 민족의 권리 보호와 문화 보존에 대한 정치적 의지가 부족하고, 자원 중심의 국가 경제 개발에 중점을 둔다면, 토착 소수 민족에 대한 차별적인 패턴을 유지하고, 소수민족 지역 사회에 영향을 미치는 결정에 대한 지역 사회의 참여를 줄이며, 토지 및 자원의 이용에 대한 권리의 제한 또는 위반을 연장하며 궁극적으로 토착 소수 민족의 생존을 위협할 수 있다. The Indigenous Numerically Small Peoples of the North, Siberia, and Far East of the Russian Federation were able to practice their traditional way of life and economy in the territory owned by their ancestors and to inherit and maintain their traditional culture, language and knowledge through historical practices, customary law rights, current constitutional and legal rights and status, and support of international regimes for the aboriginal peoples. However, if they have limited opportunities to protect themselves in various ways by the direction of the policy of the Russian government, which focuses on development rather than conservation, they will be confronted with various kinds of complex life situations in the future. This is because the territories inhabited by them have abundant natural resources, including water, wood and flora and fauna, as well as gold, uranium, mercury, oil, gas and coal. Despite recent legislations improving legal rights and emphasizing respect for the indigenous cultures, there a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international standards of indigenous rights and their real situation in the North of Russia. This paper highlights these gaps and analyzes the actual rights and status of the Indigenous Numerically Small Peoples of the North of Russia. As the recent trends show, if the Russian government lacks the political will to protect the rights and culture of indigenous minorities and focuses on the development of a resource-driven national economy, it will maintain a discriminatory pattern for the indigenous minorities, reduce their involvement in decision-making affecting the indigenous community, extend restrictions or violations of the indigenous rights to use land and resources, and ultimately threaten the survival of the indigenous peoples.

      • KCI등재

        동북아 해양 레짐의 가능성: 이론과 현실

        배규성(Kyusung, Bae) 영남대학교 독도연구소 2013 독도연구 Vol.- No.14

        최근 동아시아 지역의 해양 도서 분쟁은 불신과 경쟁으로 특징 지워진 이 지역을 위기로 몰고 가고 있다. 잠재적으로는 국가 발전의 원동력이 될 해양(EEZ와 대륙붕) 자원에 초점이 맞춰져 있지만, 외형상으로는 해양 영토의 보전과 국가안보의 확보라는 형태를 띤 쟁점들이 동아시아 국제관계의 핵심적 과제로 떠올랐다. 그 결과 해양 쟁점이 아시아 지역안보의 최우선 과제로 떠올랐다. 그러나 해양 레짐은 이런 갈등을 완화하고 협력에 대한 믿음을 창출한다. 아시아 지역의 확고한 다자간 해양 레짐의 부재는 수용가능하고 관련 당사자들 모두에게 이익이 되는 레짐을 발전시키기보다 현상유지를 통해 얻을 수 있는 보상과 위기와 손실과 이익을 고려하는 민족국가들의 정치적 계산을 반영하고 있다. 아시아 국가들은 단지 아직까지 어업자원의 관리와 해양 환경보호에 초점을 맞춘 다자간 해양 레짐의 심각한 필요성을 충분히 인식하지 못하고 있다. 종합하면, 이런 상황은 특별하고(ad hoc) 특정쟁점에 전문적인(issue-specific)다자간 해양 레짐 건설의 발전적 과정을 강력하게 요구하고 있다. 그런 과정을 동북아 지역으로 이동시키려면, 관련 당사국들은 동북아 다자간 해양 레짐의 목적과 원칙을 논의하기로 합의해야 한다. 해양관할권의 확장과 관련하여, 몇몇 어업에 대한 양자간 협정이 이미 재협상되고 있다. 그것들은 양자간 협정들을 조정하고 그런 레짐에 지역의 모든 국가들을 포함시킴으로서 종합적인 지역 협정의 무대와 기초를 형성한다. 비록 진보가 더디긴하지만, 다자간 대화가 이런 과정을 가속화시킬 수 있다. 동해의 환경보호레짐 건설은 이런 가속화 과정의 좋은 예가 될 수 있다. Recently, Maritime issues including territorial conflicts around the islands between China and Japan, Korea and Japan, are rising to the forefront of Asian security concerns. The Northeast Asia is characterized by historical distrust and competitions. Security concerns which are seemingly directly related to the territorial integrity and national security, in fact focused to the natural resources in EEZ and Continental Shelf. But maritime regimes can constrain conflict and create confidence in co-operation. In Northeast Asia, there are no multilateral maritime regimes, owing to the political calculations of the rewards and risks and losses and benefits regarding of developing regimes by the states. Northeast Asia is simply not yet sufficiently aware of the need for maritime regimes that focus on the management of fisheries resources and maritime environmental protection. All and all, this situation demands a strong issue-specific evolutionary multilateral maritime regime. To meet this demand, the parties concerned might agree to begin discussing objectives and principles for multilateral maritime regimes in Northeast Asia. Indeed, with extension of jurisdiction(EEZ and Continental Shelf), several bilateral agreements on fisheries have already been renegotiated. They could set the stage and construct the basis of more comprehensive regional agreements or maritime regime. Although progress has been slow, a multilateral dialogue could make the road to wider regional agreements or maritime regime. The building of an environmental protection regime for the East Sea will be a good example.

      • KCI등재

        북극 이사회 내 국가 행위자와 비국가 행위자 간의 정치적 역학관계: 고위급 관료와 과학 행위자 그룹(워킹 그룹)을 중심으로

        배규성 ( Bae Kyu Sung ) 배재대학교 한국-시베리아센터 2021 한국시베리아연구 Vol.25 No.1

        본 논문은 북극 거버넌스의 핵심인 북극 이사회가 다양한 행위자들간의 권력관계와 관련 규범, 대표성 및 위계질서에 의해 어떻게 특징 지워지는지를 보여주고자 했다. 본 논문에서는 북극 거버넌스에서 과학 행위자들이 국가 행위자들과의 관계에서 달성한 일종의 권위를 이해하기 위해 북극 이사회 내 고위급 회의에서 고위급 관료(SAOs)와 과학 행위자 간의 경쟁 및 상호작용 프로세스를 검토했다. 서로 다른 종류의 행위자들 사이에서 어떻게 책임의 선이 그어졌는지에 대한 이러한 연구는 다양한 행위자들 간의 권력관계와 관련 규범, 대표성 및 위계질서 등에 대해 종합적으로 생각할 수 있도록 해줄 것이다. 종합하면, 누가 북극 거버넌스, 북극 이사회를 대표하는가? 무엇이 그들의 권위를 만드는가? 에 대한 대답은 북극 거버넌스의 큰 틀 내에서 상호 복합적으로 작용하는 다양한 행위자들 간의 다면적 다수준적 협력 구조에 달려있다. 북극 이사회의 정책적 발전은 워킹 그룹에 의해 수행된 과학적 의제 설정 및 과학적 증거 수집에 크게 의존하며, 그들의 기여는 다른 정책 분야 참가자들에 의해 신뢰 되고 적극적으로 활용된다. 그러나 국가 행위자인 회원국 고위급 대표들(SAOs)과 비국가 행위자인 ‘영구회원기구들(PP)’ 모두는 자신들의 권위적인 지위, 특히 오래 지속된 사무국과 직원이 있는 반독립적 워킹 그룹에 대항하여 정치적인 행위자로서 자신들의 권위적인 지위를 확보하려고 노력하고 있다. 이것은 주로 북극 이사회를 대변하는 사람들의 차원을 따라 발생하며, 특히 누가 북극권을 대표하여 비북극권 기구나 회의에서 발언할 것인가? 그리고 누가 전 세계 청중들에게 증거에 기반한 정책적 결론을 작성하고 전파할 것인가? 에 대한 논쟁에서 특히 명백하게 나타난다. 회원국들과 ‘영구회원기구들’ 모두 북극과 북극 원주민들을 대표하여 발언할 수 있는 지리적, 국가적, 민족적 뿌리를 둔 중복되는 권위를 주장한다. 이러한 것들은 과학 행위자가 가져올 수 있는 전문 지식 기반의 권위 행사를 뛰어넘는다. 다시 말해서, 북극 정책 분야가 과학적 인풋을 필요로 하지만, 정책 분야는 가장 성공적인 권위의 행사가 주권과 국가적 논리에 뿌리를 둔 명백하게 정치적인 것으로 여전히 유지되는 방식으로 발전해 왔다는 것이다. This paper aims to show how the Arctic Council, the core of Arctic governance, is characterized by power relations and related norms, representations, and hierarchies among various actors. In this paper, the process of interaction between state-scientific actors at SAOs (Senior Arctic Officials) meetings of the Arctic Council will be reviewed in order to understand the kind of authority that scientific actors (WGs, Working Groups) achieve in their relationship with state actors in Arctic governance. This study of how the lines of responsibility are drawn between different kinds of actors will allow us to think comprehensively about the power relations and related norms, representation and hierarchies among various actors in the Arctic Council. Taken together, The answers to ‘who represents the Arctic Council?’, ‘what makes their authority?’ rest on a multi-faceted, multi-level mechanism of cooperation between various actors interacting within the broad framework of Arctic Council. The Arctic Council's policy development relies heavily on scientific agenda setting and scientific evidence collection carried out by the WGs, whose contributions are trusted and actively utilized by other policy sector participants. However, both the representatives of the member states as state actor and the ‘Permanent Participants (PP)’ as non-state actor are themselves political actors who are trying to secure their authoritative status against especially semi-independent WGs with long-standing secretariat and staff. This occurs mainly along the level of those representing the Arctic Council, especially in debates over ‘who will speak on behalf of the Arctic Circle in non-Arctic organizations or conferences?’ and ‘who will draw and disseminate evidence-based policy conclusions to a global audience’. Both member states and ‘Permanent Participants (PP)’ assert a redundant authority with geographic, national and ethnic roots to speak on behalf of the Arctic and Arctic indigenous peoples. These go beyond the expert knowledge-based authority that scientific actors can bring. In other words, while the Arctic policy field requires scientific input, the policy field has evolved in a way in which the most successful exercise of authority remains clearly political, rooted in sovereignty and national logic.

      • SCOPUS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