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본회퍼와 레비나스의 타자성 연구- 다문화사회의 책임윤리를 중심으로
배경임 한국국제문화교류학회 2017 문화교류와 다문화교육 Vol.6 No.4
This study intends to analyze the otherness as one of the philosophy and ethics norms required in the multicultural era. After examining the notion of otherness in general, I examine the interpretation of Bonhoeffer 's theology and Levinas' philosophy of otherness. We examine the ontology of the other and the methodology toward others, and try to derive implications for multicultural society from the viewpoint of ethics and responsibility ethics of others. The theologian Bonhoeffer and the philosopher Levinas emphasized the commonness of the other. It is the theological proposition and the otherness of Bonhoeffer that Christians and churches must be for others as Christ has for others. The otherness of Levinas, who looks at the other's face and proposes an ethical human being who accepts the other as it is and welcomes the other, establishes a self-responsible ethics of others. The otherness and responsibility ethics of Bonhoeffer and Levinas, the other-centered view, will provide implications for coexistence and communication with others in a multicultural society. There is a lack of paradigm on how to deal with others and establish relationships in multicultural society. If the value that a multicultural society should aim for is a coexistence and communication with a multicultural person who is a socially weak person, the basis of philosophical principles and ethical responsibility that makes it possible is the other. I would like to present a paradigm for a better multicultural society by contrasting Bonniefer and Levinas with ethical issues related to otherness. 본 연구는 다문화시대에 필요한 철학과 윤리 규범 중 하나로써 타자성을 해석하고자한다. 일반적으로 통용되는 타자성에 대한 개념을 알아본 후에, 본회퍼의 신학과 레비나스의 철학 중 타자성에 대한 해석을 살펴본다. 타자에 대한 존재론과 타자를 향한 방법론을 검토하고, 타자의 윤리와 책임윤리의 관점에서 다문화사회에 대한 함의를 도출하고자 한다. 신학자 본회퍼와 철학자 레비나스는 공통적으로 타자성을 강조했다. 그리스도가 타자를 위해 사신 것처럼 그리스도인과 교회 역시 타자를 위한 존재가 되어야 한다는 것이본회퍼의 신학적 명제이자, 타자성이다. 타자의 얼굴을 들여다보며 타자를 있는 그대로받아들이고 환대하는 윤리적 인간을 제안하는 레비나스의 타자성은 자아가 타자와 맺는타자 지향적인 책임윤리를 정립하고 있다. 본회퍼와 레비나스의 타자 중심적 관점인 타자성과 책임윤리가 다문화사회에서 타자와의 공존과 소통을 위한 함의를 줄 것이다. 다문화사회에서 타자를 어떻게 대하고 관계맺어야 할지에 대한 패러다임이 부족하다. 다문화사회가 지향해야 할 가치가 사회적 약자인 다문화 타자와의 공존과 소통이라면, 그것을 가능하게 하는 철학적 원리와 윤리적책임의 기초는 타자성이다. 타자성에 관련된 윤리적 과제를 중심으로 본회퍼와 레비나스를 비교 대조하면서 보다 나은 다문화사회를 위한 하나의 패러다임을 제시하고자 한다.
3D 게임에서 '비행' 행위에 대한 사용자의 반응 연구 : 3D MMORPG Aion을 중심으로
배경미,김규정,김인섭 한국게임학회 2012 한국게임학회 논문지 Vol.12 No.6
본 연구는 3D게임의 완성도와 사용자의 플레이 욕구를 높이기 위해 다양한 몰입요소들 중 사용자 이동시스템을 서비스하고 있는 게임에서 이동수단의 하나인 '비행' 행위에 따른 사용자의 심리적 반응을 분석하였다. 게임 내 이동시스템 종류인 포탈, 탑승물, 소환, 추적 등의 사용자 이동 구도를 살펴보고, 비행시스템이 존재하는 게임에서 사용자들에 미치는 영향과 기준을 통해 Aion 게임을 대상으로 객관적인 설문통계 방법을 이용하여 비행 이동이 사용자들에게 심리적으로 미치는 영향과 요인들에 대해 분석하였다. 그렇게 분석된 결과를 토대로 게임에서의 비행 이동이라는 요소, 각 게임 별 비행 이동시스템 구조와 각 배경그래픽이 게임 사용자의 심리적 행동이나 반응 요소, 사용자가 게임 속 가상세계의 지형에 따른 비행을 하고 싶은 충동성, 비행 시스템에 대한 사용자의 의존성 그리고 비행과정에서의 비행 행동과 배경이 되는 가상세계의 표현 수준에 따른 몰입감(沒入感) 등의 특징을 밝혀낼 수 있었으며, 이용시간, 연령층, 레벨에 따라 비행행동 반응에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This research aimed to analyze the way of how flying movement system and background graphic in MMORPG, which provides movement system, influences on users' psychological behavior in order to enhance user's participation and the completion level of 3D game. This research also analyzed the difference between the user's response to the flying movement and other movement structure in game such as things to board, summons, portal, chase, and etc. With this comparative analysis, this study could clarify the characteristics of the user's desire to fly according to the virtual world' topography in game, the necessity of flying movement for fast movement, the dependence of user on flying system, the immersion according to behavior in process of flying, and expression level of virtual world, and etc. The survey through the case research of MMORPG Aion selected for this research showed flying movement system can have suitable quality by applying users' playing time and absorption in flight process, users' impulse following game level, and users' need to fly as a convenience of flying properly.
신학대학교 다문화강좌 운영 실태 및 방향 탐색 - 개신교 신학대학 및 대학원을 중심으로 -
배경임 한국국제문화교류학회 2020 문화교류와 다문화교육 Vol.9 No.5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actual condition of multicultural education lectures in the theological university and Seminary and to suggest the direction of multicultural education for the theological students. For this purpose, the study examined whether the multicultural classes were opened for 57 Protestant university and theological Seminary authorized by the Ministry of Education & Human Resources Development, and selected five seminaries, and analyzed the contents of the multicultural education lectures operated in the school by dividing them into multicultural knowledge, multicultural attitude, and multicultural skills from the perspective of cultivating multicultural competence. The results of the analysis showed that the following implications were derived: First, most of the multicultural education lectures that were operated in the university and theological Seminary were conducted in the dimension of international understanding education. In the future, multicultural education of the university and theological Seminary needs to be expanded to intercultural understanding education based on interculturalism. Second, most of the contents of the lecture focused on cultivating multicultural knowledge. Multicultural competence to be cultivated through multicultural education includes not only multicultural knowledge but also multicultural attitude and multicultural skills, so the contents of education should be supplemented evenly. Third, it is necessary to provide a step-by-step multicultural education customized to the characteristics of pre-pastors who are religious leaders. In order to strengthen the multicultural capacity of theological students as pre-pastors,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 specialized area of differentiated multicultural education customized to theological students by interconnecting the specificity of theology and pastoral ministry and multiculturalism. 이 연구의 목적은 신학대학교에서 운영되고 있는 다문화강좌의 실태를 분석하고, 신학생을 위한 다문화교육의 방향을 제시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하여 교육부 인정 57개 개신교 신학대학교를 대상으로 다문화강좌 개설여부를 확인하고, 그중 5개 신학대학교를 선정 해당 학교에서 운영되었던 다문화강좌의 교육 내용을 다문화 역량 함양의 관점에서 다문화 지식, 다문화 태도, 다문화 기술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다음과 같은 시사점을 도출할 수 있었다. 첫째, 신학대학교에서 운영되었던 다문화강좌는 대부분 국제이해교육의 차원에서 진행되고 있었다. 향후 신학대학교의 다문화교육은 상호문화주의에 입각한 상호문화이해교육으로의 확장이 필요하다. 둘째, 강의내용의 대부분이 다문화 지식을 함양하는 것에 초점이 맞추어져 있었다. 다문화교육을 통해 함양해야 할 다문화 역량에는 다문화 지식뿐만 아니라, 다문화 태도, 다문화 기술의 영역도 포함되므로, 이를 고루 갖출 수 있도록 교육내용이 보완되어야 한다. 셋째, 종교 지도자인 예비목회자의 특성에 맞춘 단계적 다문화교육이 필요하다. 예비목회자로서의 신학생의 다문화 역량강화를 위해서는 신학과 목회의 특수성과 다문화를 상호 연계하여 신학생에 맞춘 차별화된 다문화교육의 전문영역을 구축할 필요가 있다.
배경임,김기훈,양성연,이순희,권수경,정수진 대한내분비학회 2005 Endocrinology and metabolism Vol.20 No.1
Primary squamous cell carcinoma of the thyroid gland is an extremely rare case to observe and represents less than 1% in all the primary thyroid malignancies. Normally, squamous epithelium is absent in the thyroid gland and presently; its origin is believed to arise from metaplasia of follicular epithelium. Cancer has very aggressive clinical behavior and a very poor prognosis with survival rates of less than 1 year. The best chances of survival have been achieved with complete resection followed by postoperative radiotherapy. Recently, we came across a case of 80-year-old woman with primary squamous cell cacinoma of the thyroid gland present in the background of Hashimoto's thyroiditis. The patient had swelling in the anterior neck portion from the past 20 days. On physical examinaton, 3×3cm2 hard and fixed ill defined mass was detected in the right lobe of thyroid. Repeated fine needle aspiration biopsy of the thyroid revealed the presence of carcinoma. Apparently, Palliative thyroidectomy was performed after 3 months of diagnosis. During operation, the tumor was revealed as a mass of 100mm in diameter and infiltrated the surrounding muscles, trachea and other soft tissue in the neck. After the operation, the patient's condition deteriorated and ultimately after 5 months of her initial visit, she died due to respiratory failure 저자들은 최근 갑상샘 질환의 기왕력이 없는 고령의 환자에서 전경부 종물을 주소로 내원하여 세침세포흡인 검사에서 정확히 조직형을 진단하지 못한 상태로 보존적 치료로 경과 관찰 중 급속히 진행하여 주위 조직 침범 및 기도 폐쇄를 일으키고 약 6개월 생존 후 사망한 갑상샘의 원발성 편평세포암종 환자를 1예 경험하였기에 문헌 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다문화교육 분야의 연구동향에 대한 네트워크 분석: 동시출현단어의 시계열 분석중심으로
배경임,Bae, Kyungim 중소기업융합학회 2021 융합정보논문지 Vol.11 No.10
본 연구는 다문화교육 연구분야에 대한 연구동향 파악을 목적으로 키워드 네크워크 분석을 통하여 지식구조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2002년부터 2020년까지 KCI(한국학술지인용색인)에 등재된 논문들의 키워드를 대상으로 출현 빈도수가 6회 이상인 동시출현단어의 네트워크 분석을 통해 다문화교육의 연구동향과 지적구조를 파악했고 시계열 분석으로 연구변화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1시기(2002년-2010년)는 다문화사회, 다문화주의가 연구중심이었고 2시기(2011년-2015년)는 다문화가정, 세계화, 교사교육이 추가로 출현되었으며, 3시기(2016-2020)는 다문화수용성, 다문화감수성, 다문화효능감 등이 새롭게 나타났다. 지난 19년간 한국사회에서 다문화교육 연구동향는 이론적 연구에서 실증적 연구로 연구주제가 변했고, 다문화교육 내용도 분야별, 대상별로 구체화되고 확장되었음을 확인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