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준 카네코(Jun kaneko) 도자색채의 표현성에 관한 연구-'MA(In-between, 間)' 사상을 중심으로-

        방창현,이헌국 한국기초조형학회 2013 기초조형학연구 Vol.14 No.5

        This paper aims to do a research on the inherent concept 'MA' through the expressiveness of color of Jun Kaneko's ceramic works. 'MA' is the concept from the indigenous religion of Japan, Shinto ideology influenced by Korean folk beliefs and Buddhism. This paper inquire into how the concept 'MA' is expressed visually in his artworks by minutely analyzing his works by periods, and compare Zen Buddhism and Taoism with the concept of 'MA', keeping track of the original concept of 'MA'. This paper also focuses on the pattern that western aesthetics which lied against oriental aesthetics had been grafted with them during the de-constructivism in postmodernism period, analyz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aesthetics of de-constructivism and the concept of 'MA'. In conclusion, on the surface the formative principle of color of Kaneko's works was under the influence of Western art trend, but intrinsically oriental concept 'MA'. ‘MA' is the spiritual space(Shinto), paradoxical aesthetics that represent 'void' through 'color'(Taoism), and creates 'empty space'(Zen Buddhism), de-construct the meaning-oriented system(De-constructivism). 본 논문은 준 카네코 도자색채의 표현성에 관한 연구를 통해서 작품에 내재되어있는 ‘MA’ 사상을 연구하는데 목적이 있다. ‘MA’는 한국의 토속 신앙과 불교에 영향을 받은 일본의 토속 종교인 신도에서 나온 개념이다. 본 연구는 카네코의 시기별 작품을 분석하면서 MA의 개념이 어떻게 시각적으로 표현되는지 고찰한다. 그리고 신도의 ‘MA’의 개념을 추적하면서 신도의 원류가 되는 선불교의 ‘공사상’과 도교의 ‘도道’를 'MA'의 견지에서 비교분석한다. 또한 동양미학과 대립항에 존재해왔던 서양미학이 20세기 중반 포스트모더니즘의 해체주의에 와서 동양철학과 접맥되는 양상을 주목하고, 서양의 해체주의 미학과 준 카네코의 'MA' 개념과의 연관성을 살펴본다. 결론적으로 준 카네코 도자색채의 표현성은 표면적인 면에서는 서양의 미술 사조의 영향으로 추상표현주의, 색면추상, 미니멀리즘의 형식을 지니지만, 내재적인 면에서는 동양의 ‘MA'사상에 영향을 받았다. ‘MA’는 영적인 공간(신도)이자, 색色을 통해서 공空을 나타내려고 하는 역설의 미학(선불교)이고, 무의 공간의 창조(도교)하고, 의미중심체계를 해체시키는(해체철학) 의미를 지니고 있다.

      • KCI우수등재SCOPUS

        유기태양전지의 개발현황

        방창현,박근희,정동근,채희엽,Pang, Chang-Hyun,Park, Keun-Hee,Jung, Dong-Geun,Chae, Hee-Yeop 한국진공학회 2007 Applied Science and Convergence Technology Vol.16 No.3

        Currently, the alternative energy is one of the critical issues because of exhaustion of petroleum resources and its high cost. The solar cell is considered as the one of the promising alternative energy. And the solar cell can be classified to inorganic solar cell and organic solar cell. Although the efficiency of organic solar cell is very lower than the that of inorganic solar cell, organic solar cells have many advantages including low process cost, high transmittance, color variation, and flexibility. For these reasons, organic solar cells have the potential in low cost solar cell market that is challenging for inorganic solar cells. Recent researches of organic solar cell is concentrating on enhancement of efficiency, lifetime, and stability to order to commercially use. Working principles and the development issues of organic solar cells are discussed in this paper.

      • KCI등재

        한국 현대 도자미술에서 ‘오브제’ 용어의 오용에 관한 연구

        방창현 한국기초조형학회 2018 기초조형학연구 Vol.19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sider the misuse reason of 'Objet' used in contemporaryceramic art and to suggest the alternatives. For this, the advanced research has done closeanalysis on the characteristics of Objet art that appears in western art history. As a result, I couldunderstand that Objet art have stand with revolt to traditional art which reenact the subject, andthat it have evolved to the direction that tears down the binominal boundary of art that is madeby human's reality's life and phantom. In addition, I could know that even though the meaning of'Objet' is changing according to the author's concept or the location of era, using a terminology ofirrational 'Ceramic Objet' or 'Objet' in Korea only in the trend of modern art, where the boundarybetween ceramic art and fine arts is breaking apart, is only adding chaos in the field of theoryand criticism. Based on this, the cases that are misused in Korea have been considered focusedon the Nam Mi-kyung's Doctoral Dissertation 「A study on the development patterns ofcontemporary pottery objet」 and the case in Japan with Shin Na-kyung's Thesis 「Abstractproblems in the function and aesthetic expression of crafts: Focused on Objet Pottery」, Moreover,the research was conducted through Glen Adams's 『thinking through craft』 to identify themeaning of 'Objet' used in English-speaking country. For the outcome, the reason of Objet'smisuse became clear into two. First, as the Korean critics and ceramist like Nam Mi-kyung andHong Ji-soo translated the 'object' used in English speaking country as 'Objet' in French, itbecame the main reason of mistranslation from a voluntary translation. The second was alsofound to be the historical scars that have been indiscriminately accepted from Japanese criticssuch as Haramura June and Onagamigawa since the mid-20th century. To solve this problem, Itried to come up with a new alternative to the term 'object' that is misused using the term'Super-Objects' proposed by American crafts critic Lewis Mazanti. 본 연구는 한국의 현대도예에서 사용되고 있는 ‘오브제’의 오용의 원인을 고찰하고 그 대안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한 선행연구에서는 서양 미술사에 등장하는 오브제 미술의 특징을 면밀히 분석하였다. 그 결과오브제미술은 대상을 재현하는 전통미술에 반기를 들고 인간의 현실의 삶과 환영이 만드는 예술이라는 이분법적인 경계를 허무는 방향으로 진화해왔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오브제’의 의미는 작가의 개념이나, 시대와 장소에따라 변화하고 있지만, 비기능적인 조형도자와 순수미술의 경계가 무너지고 있는 현대미술의 추세 속에서 비합리적인 ‘도자 오브제’ 혹은 ‘오브제’라는 용어를 한국에서만 이용하는 것은 이론과 비평의 분야에서 혼란만 더욱 가중시키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를 바탕으로 한국에서 잘못 사용되고 있는 사례를 남미경의 박사논문 「현대 도자오브제의 발전양상에 관한 연구」와 일본에서의 사례를 신나경의 논문 「공예의 기능과 미적 표현에서 추상의 문제:오브제도예를 중심으로」를 중심으로 고찰했다. 또한 영어권 국가에서 사용되는 ‘오브제’의 의미를 파악하기 위해서 글렌 아담스의 『thinking through craft』통해 연구하였다. 결론적으로 오브제의 오용의 이유는 두 가지로 판명되었다. 첫째는 남미경과 홍지수와 같은 한국의 비평가들이나 도예가들이 영어권에 쓰는 ‘object’를 단순히 불어로 ‘오브제’라고 번역하면서 자의적으로 해석한 한데서 오는 오역이 주된 원인이었다. 둘째는 20세기 중후반부터 하마무라준이나 오나가미가와 같은 일본 비평가들의 설익은 도자이론을 무분별하게 수용되어온 역사적 상흔에도 기인함을 알 수 있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미국의 공예 비평가 루이스 마잔티가 제안한 수퍼 오브제(Super-Objects)라는 용어를 통해 오용되는 ‘오브제’ 용어의 새로운 대안을 마련하고자 했다.

      • KCI등재

        공예와 테크놀러지의 변증법적 융합에 대한 연구 - 도자공예의 ‘석고 캐스팅’을 중심으로

        방창현 한국기초조형학회 2020 기초조형학연구 Vol.21 No.5

        The myth of dissonance on handicrafts and technology has a long history. Especially with the advent of 3D printers, which are considered the vanguard of the fourth revolution in the 21st century, discourse on craft and technology began to be reignited. Thus, while studying the 18th century British ceramic industry, 19th century art and crafts movement, 20th century Bauhaus, 20th century studio craft movement, and ceramic craft in the era of 21st century 3D printer, this paper tried to find the dialectical fusion of craft and technology in the plaster casting technology of ceramic crafts. In particular, he considered the origin of plaster casting technology, which had been overlooked in the field of ceramic crafts under the discourse of mass production in the modernist era, and sought to discover the characteristics of convergence beyond the dichotomous confrontation between craft and industry, hands and machinery, and the past and the present. To this end, the literature study was centered on books on ceramic crafts written by William Morris, Adrian Porti, Larry Shiner, and Bernard Leach, while empirical examples were centered on potters who used slip casting in the Australian potter's journal "Ceramics: Art & Perception." In conclusion, ceramic crafts have already enabled mass production of ceramics from the development of tool techniques such as spinning wheels and casting since B.C., and this pro-technological tendency has led to the development of new plaster casting through the Wedgewood pottery studios in England in the 18th century and the Bauhaus era in the 20th century. The pottery workshop, which used plaster casting technology, became the most practical field for the convergence of craft and industry declared by Gropius during the Bauhaus period, which served as an important opportunity to mark the beginning of modernism design. Also, 21st century craftsmen using 3D printers and plaster casting are modern images of medieval craftsmen William Morris had idealized. This showed that the two opposing concepts of craft and technology coexist, and that plaster casting technology is at the center. 수공예와 테크놀러지에 관한 불협화음의 신화는 지난한 역사를 지니고 있다. 특히 21세기 4차 혁명의총아로 평가받고 있는 3D 프린터의 등장과 함께 공예와 테크놀러지에 대한 담론은 재점화되기 시작했다. 이에 본 논문은 18세기 영국 도자산업, 19세기 예술공예운동, 20세기 바우하우스, 20세기 공방공예운동, 21세기 3D 프린트 시대의 도자공예를 연구하면서, 공예와 테크놀러지의 변증법적 융합을 도자공예의 석고 캐스팅 테크놀러지에서 찾고자 했다. 무엇보다 모더니즘 시대에 대량생산이라는 담론아래 그 중요성이 간과되어 왔던 석고 캐스팅 테크놀러지의 연원을 고찰하면서 공예와 산업, 손과 기계, 과거와 현재라는 이분법적 대립을 넘어 융합적 특성을 발견하고자 했다. 이를 위해 윌리엄 모리스, 에이드리언 포티, 래리 샤이너, 버나드 리치가 저술한 도자공예와 관련된 서적 중심으로 문헌연구를하고, 실증적 사례는 호주의 도예 저널 『Ceramics: Art & Perception』에 실린 슬립 캐스팅을 이용하는 도예가들을 중심으로 하였다. 결론적으로 도자공예는 이미 기원전부터 물레와 캐스팅과 같은 도구테크놀러지의 발달로 도자기의 대량생산을 가능하게 했고, 이러한 친테크놀러지 성향은 18세기 영국의 웨지우드 공방과 20세기 바우하우스 시대를 거치면서 새로운 석고 캐스팅의 발달로 이어졌다. 무엇보다 석고 캐스팅 테크놀러지를 이용하던 도자공방은 바우하우스 시대 그로피우스가 천명한 공예와산업의 융합에 가장 실천적인 분야가 되어 모더니즘 디자인의 시작을 알리는 중요한 계기가 되었다. 그리고 3D 프린터와 석고 캐스팅을 이용하는 21세기 도예가들은 윌리엄 모리스가 이상화했던 중세장인의 현대적 모습이라 할 수 있다. 이를 통해서 도자공예는 공예와 테크놀러지라는 대립된 두 개념이 공존하고 있었으며, 그 중심에는 석고 캐스팅 테크놀러지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 KCI등재

        3D 프린터를 이용한 ‘석고 몰드 캐스팅’ 사례에 관한 연구 - 실용도자공예를 중심으로

        방창현 한국융합학회 2021 한국융합학회논문지 Vol.12 No.3

        20세기 후반에 등장한 3D 프린터는 21세기에 들어와 4차 산업혁명의 핵심 분야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메이커 운동의 핵심 장비이자 21세기 새로운 가내수공업의 시발점인 3D 프린터는 여전히 낮은 출력 속도와 한정된 필라멘트 재료로 대량생산의 한계를 드러내고 있지만, 최근 도자 공예가들의 3D 프린터 사용은 기하급수적으로 늘고 있다. 하지 만 과거 공예사에서 지난하게 반복되어 온 공예의 경전과 새로운 기술과의 불협화음을 타계하는 방법의 일환으로 본 연구는 3D 프린터를 이용하는 ‘석고 캐스팅’ 기법에 주목했다. 이에 세계 도자 공예분야에서 활발히 석고 기법을 개발해 작가만의 디자인에 적용하고 있는 도예가 토니 한센, 위베 반 간스베크, 제이드 크롬프톤, 류희도의 캐스팅 기법을 분석 한 후 효과적인 3D 모델링 방법과 3D 프린터를 이용하는 최적의 슬립 캐스팅 방법의 사례를 제시함으로써 3D 프린터 와 공예의 융합을 위한 접점을 찾고자 했다. 3D printers, which emerged in the late 20th century, have become a key part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in the 21st century. Although 3D printers, the key equipment of the maker movement and the starting point of the new cottage industry in the 21st century, still reveal the limitations of mass production with low output speed and limited filament materials, the use of 3D printers by ceramic craftsmen has recently increased exponentially. However, as part of a way to overcome the discord between craftsmanship and the new technology, which has been repeated over and over in the past in craft history, the study focused on the 'plaster mold casting’ technique using 3D printers. Therefore, after analyzing casting techniques of Tony Hansen, Webe van Gansbeck, Jade Crompton, and Ryu Hee-do, the potters who actively developed gypsum techniques in the world's ceramic crafts field and applied them to their own designs, I tried to find the point of convergence between 3D printers and ceramic crafts by presenting examples of effective 3D modeling methods and optimal slip casting methods using 3D printers.

      • KCI등재

        현대 도자미술의 ‘내러티브’에 관한 연구- 연구자의 도자 작품을 중심으로 -

        방창현 한국도자학회 2017 한국도자학연구 Vol.14 No.2

        The discourses on the dilemma of contemporary ceramic art haven't been finished yet. During the last half century in which the specificity of ceramic art has made itself alienated from the mainstream of fine art, the solutions that Garth Clark, Howard Risatti, Bruce Metcalf, Larry Shinner, and Glenn Adamson have suggested contradicted themselves or returned to the starting point being attracted into the history of traditional craft. This research suggests the alternatives through the narrative arts that returned in the late 20th century, diagnosing the problems of contemporary ceramic art as the excess of aestheticism and indiscriminate acceptance of narrowish Greenberg's modernism. As the research method, literature research was conducted centering on Bruce Metcalf's 「Replacing the Myth of Modernism」, Cragg Owens' 『The Art of Art History: A critical Antholog y』, Glenn Adamson's 『Thinking through craft』and Ronald Schleifer's『Rhetoric and Death-The language of Modernism and Postmodernism Discourse Theory』and the artist to be analyzed for empirical cases was conducted centering on researcher's artworks. The characteristics of researcher's artworks are categorized into 'Thanatos', 'metaphor', 'black humor', and 'body' through the analysis. Firstly, 'Thanatos' is a consistent theme in the researcher's artworks that Freud mentioned as death impulse. 'Thanatos' can be interpreted into the return of 'the repressed' or the indulgence in trauma. Secondly, 'Metaphor' is a rhetoric that refers to one thing by mentioning another thing. The meaning of the researcher's artworks are conveyed indirectly through the swine's emotion. Thirdly, 'Black Humor' connotes disapproval that overthrows institutions and customs through satire and humor. Fourth, 'Body' refers to the body art that attracted the most attention because of the influence of postmodernism in the late 20th century. The swines' body in the researchers' artworks is the venue of criticism on Cartesian metaphysics. These new languages in the researcher's artworks are important elements of the narrative art sublating aestheticism and modernism, and this paper will be expected to contribute to the diversity of ceramic art. 현대 도자미술의 딜레마에 관한 담론은 아직 끝나지 않았다. 도자미술만의 특수성들이 오히려 순수미술에서 더욱 소외되는 상황을 야기했던 지난 반세기 동안 가뜨 클락, 하워드 리자티, 멧 칼프, 래리 쉬너, 글렌 아담스 등이 제시한 해결책들은 스스로의 모순에 빠지거나, 전통 공예라는 역사의자장에 끌려 다시 원점으로 회귀하는 양태를 보여 왔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현대 도자미술의 문제점을 전통 공예가 추구했던 유미주의의 과잉과 협소한그린버스식 모더니즘의 무분별한 수용으로 진단하고, 그 대안으로 20세기 후반에 복귀한 내러티브미술을 통해 제시하고자 한다. 연구방법은 부르스 멧칼프의 「Replacing the Myth of Modernism」, 크렉 오웬스의 『The Art of Art History: A critical Anthology』, 글렌 아담슨(Glenn Adamson)의『Thinking through craft』와 로날드 슈라이퍼의 『Rhetoric and Death-The language of Modernism and Postmodernism Discourse Theory』를 중심으로 문헌 연구를, 실증적 사례를 위한분석대상은 본 연구자의 작품을 중심으로 했다. 이를 통해서 분석한 본 연구자의 내러티브 작품의특징은 ‘타나토스’, ‘은유’, ‘블랙 유머’, ‘몸’으로 분류되었다. 첫째, ‘타나토스’는 프로이트가 언급한 죽음에 관한 충동으로 연구자의 작품 전체를 관통하는 일관적인 주제이다. 타나토스는 문명사에 가려진 억압된 것들의 회기이자 트라우마의 탐닉으로 해석할 수 있다. 둘째, ‘은유’는 원관념을 효과적으로 전달하기 위한 보조관념을 등장시키는 수사법이다. 연구자의 작품에서 인간의 감정을 직설적으로 나타내지 않고 보조관념인 돼지를 통해서 비유적으로 표현된다. 셋째, ‘블랙 유머’는 카니발 그로테스크의 가장 핵심적인 언어로 풍자와 해학을 통해서 제도와 관습을 전복시키려는 함의를 지니고 있다. 넷째, ‘몸’은 20세기 후반 포스트모더니즘의 영향으로가장 주목받은 신체미술을 의미한다. 연구자 작품 속에 등장하는 돼지의 몸은 모더니즘의 데카르트적 형이상학에 대한 비판의 장이다. 연구자의 작품에서 발견되는 이러한 내러티브의 언어들은공예적 유미주의와 모더니즘의 형식주의를 지양한 새로운 시각언어로서 도자미술 표현의 다양성에기여하기를 바란다.

      • KCI등재

        현대 도자미술의 ‘미디어 내러티브’에 관한 연구

        방창현 한국기초조형학회 2019 기초조형학연구 Vol.20 No.6

        This paper examines the changes in media concepts in 20th-century art history and analyzes the characteristics of media revealed in the works of fine art artists who use clay or ceramics as media to establish identity and autonomy unique to ceramic art in contemporary art. Literature Research for research methods include the theorists such as Marshall McLuhan's 『Understanding of Media』, Clement Greenberg's 『Art and Culture』, Larry Schinner's 『The Invention of Art』, and Rosalind Kraus's 『Navigating in the North Sea』, 『Art in the Post-Medium Conditions』. who deal with the media, and the selection of analytical targets for empirical cases was based on the art magazine ‘Art in Culture’ published between 2010 and 2019, and the American Ceramic Art Archives ‘CFile–Contemporary Ceramic Art + In Design’, which focused on artists who use clay and ceramics as their medium. In conclusion, Shim Moon-seop and Anna Maria Maiorino developed their works through the narrative of the media itself, which is based on the media theory of Marshall McLuhan. Lee Seung-taek and Choi Hae-ri used the virtual fictional story as a 'technical support', and it was found that Ai Weiwei met Rosalin Kraus's theory by applying historical social narratives out of the material dimension of ceramics. Third, the narratives of fine art artists who use clay or ceramics tended to focus mainly on the symbolism, physical properties, and historical characteristics of the media such as ceramics and clay. Through this research, “narrative through media,” which is easily overlooked by ceramic artists, will further strengthen the identity and autonomy of ceramic art and contribute to delivering the subject matters to the audience more closely and logically. 본 논문은 20세기 미술사에 나타난 미디어 개념의 변화를 고찰하고, 흙이나 도자를 미디어로 이용하는 순수미술 작가들의 작품에서 드러나는 미디어의 특징을 분석함으로써 현대미술 속에서 도자미술만이 가지는 정체성과자율성을 확립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방법은 마셜 맥루한의 『미디어의 이해』, 클레멘트 그린버그의 『예술과 문화』, 래리 쉬너의 『The Invention of Art』, 로잘린드 크라우스의 『북해에서의 항해, 포스트-매체 조건시대의 미술』와 같이 매체를 다루는 이론가들을 중심으로 문헌연구를 했고, 실증적 사례를 위한 분석대상 작가선정은 2010년에서 2019년 사이에 발간된 미술 잡지 『Art in Culture』와 미국의 도자미술 아카이브즈 ‘CFile –Contemporary Ceramic Art + Design’에서 흙과 도자를 매체로 이용하는 작가들을 중점적으로 했다. 결론적으로 심문섭과 안나 마리아 마이오리노는 흙이 지니고 있는 미디어 자체의 내러티브를 통해서 작품을 전개시켰고, 이들의 작품은 미디어의 메시지보다는 미디어의 존재론적 특징이 더 큰 의미를 지닌다는 마샬 맥루한의미디어 이론과 유사함을 발견했다. 이승택과 최해리는 가상의 허구적 이야기를 ‘기술적 지지체’로 사용했고, 아이 웨이웨이는 미디어의 의미를 도자라는 물질적 차원에서 벗어나 역사적 사회적 내러티브를 적용함으로써 로잘린드 크라우스의 이론에 부합함을 알 수 있었다. 셋째, 흙이나 도자기를 이용하는 순수미술 작가들의 네러티브는 주로 도자와 흙이라는 미디어의 상징성, 물성, 역사성에 집중된 경향이 드러났다. 이번 연구를 통해 도예작가들이 쉽게 간과하기 쉬운 ‘미디어를 통한 내러티브’는 도자미술의 정체성과 자율성을 더욱 공고히 하면서작품의 주제의식을 관객들에게 더욱 치밀하고 논리적으로 전달하는 데 기여하리라 생각한다.

      • KCI등재

        21세기 현대 도자조각에 등장한 선사상의 조형언어에 관한 연구

        방창현 한국기초조형학회 2019 기초조형학연구 Vol.20 No.6

        21세기 세계 도자미술에 “언어를 의심하고, 개념으로 사유하는 것을 불신”하는 새로운 경향이 나타나기 시작했다. 본 연구의 목적은 도자미술에 나타난 이러한 선사상의 특징을 분석하고, 선사상이 어떤 조형언어로 표현되는지 연구하는 것이다. 아울러 이러한 조형언어가 21세기 도자미술에 어떤 의미성을 지니고 있는지 고찰하고자한다. 연구방법은 한병철의 『선불교의 철학』과 아베 마사오, 히사마쯔 신이찌의 『선과 현대철학: 선의 철학적자리매김은 가능한가?』를 중심으로 문헌연구를 하고, 실증 사례를 위한 분석 작가 선정은 21세기 대표적인 도예잡지, 인터넷 아카이브즈, 도예서적에서 선사상을 표현하는 작가들 중심으로 했다.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서양의 순수미술 작가들이 동양에서 수입된 선을 직접 체험하고 연구하면서 자신만의 조형언어로 체화한 것과달리, 도자조각가들의 조형언어는 동아시아의 선불교 사상이 예술을 비롯한 다양한 장르에서 수용되고 발전되어 옴으로써 동양과 서양의 담론들이 혼융되어 나타난 현상이라 할 수 있다. 둘째, 21세기 도자조각에 등장한선사상은 선문답, 불립문자, 연기, 무심, 직관이었고, 작품에 표현된 조형언어는 즉흥성, 파격, 우연성, 모호성, 해방감, 자연성, 비결정성, 자의성이었다. 셋째, 도예가들이 선사상을 표현하는 주된 방식은 린다 로페즈, 매튜멕코넬, 엔더스 루월드처럼 ‘오브제화’된 조각 작품을 이용하거나, 토마스 슈미트와 조나단 메쓰처럼 흙과 유약이 지닌 물성을 이용하는 것이었다. 이것은 21세기 도자미술이 개념적으로나 형식적으로 더욱 다양한 양상을보여주고 있음을 나타내는 중요한 특징이라 할 수 있다. 본 논문의 의의는 도자역사, 재료학, 기술에 편중된 현대 도예의 상황에서 도자조각과 선불교라는 종교사상과의 통섭을 통해 다양한 담론을 제시한데 의미가 있다. In the 21st century world ceramic art, a new tendency began to emerge, "disbelief in doubting language and thinking in concep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zen ideology appearing in contemporary ceramic art and to study what formative languages are used. In addition, this paper examines what meaning the formative language has in 21st century ceramic art. The research method includes literature research focusing on Han Byung-chul's 『Philosophy of Zen Buddhism』 and Masa Abe and Shinichi of Hisamatsu’s 『Zen and Contemporary Philosophy: Is the Philosophical Positioning of Zen Possible?』, and selecting the artists for the case study focuses on the ceramic artists who expressed their idea based on zen ideology introduced in the representative pottery magazine, internet archives, and pottery books. The conclusion is as follows. First, unlike the fine art artists who have experienced and studied Zen, ceramic artists’ formative languages are a phenomenon that the discourses of the East and the West are mixed while East Asian Zen-Buddhism has been accepted and developed in various genres, including art. Second, the Zen ideology that appeared in 21st century ceramic sculptures was Zen dialogue, not to build scriptures, dependent arising, indifference, and intuition, and the formative languages expressed in the works were improvisation, breakaway, contingency, ambiguity, liberation, naturalness, amorphousness, and arbitrariness. Third, the main way in which ceramic artists express zen ideology was to use the sculptures as ‘objects’ like Linda Lopez, Mathew McConnell, and Anders Ruwald or to use the physical properties of clay and glaze like Thomas Schmidt and Jonathan Mess. This is an important feature that shows that the 21st century ceramic art shows more diversely conceptually and formally. The significance of this paper is to present various discourses through the consilience of ceramic sculpture and Zen Buddhism in the context of modern ceramics focused on ceramic history, material science, and technolog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