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역사수업 원리로서 ‘감정이입적 역사이해’의 재개념화 필요성과 방향의 모색

        방지원 한국역사교육학회 2014 역사교육연구 Vol.- No.20

        Since the mid-1990s, with codification of the theories of history teaching methods, historical empathy has proven itself as the principle of learning activity based on the epistemology of history. Highly varied history classes based on empathy have been practiced in middle and high schools. Teacher’s beliefs in history education, characteristics of students, themes of learning were the reasons for the variations. Local studies about historical empathy and it’s educational application have focused on cognitive aspects; reasoning activities with historical sources, contextual understanding why the behavior of historical character and so on. But Many teachers have combined cognitive and the affective elements of historical empathy positively in their classes. Just from this gap between theory and practice, we may begin to seek for new possibilities of historical empathy as principle of learning activity in history classes. Some recent theoretical research and studies in U.S. history education, which stress the potential of historical empathy as principle of democratic civic education, may provide a lot of implications to us. Especially, Linda S. Levstik and Keith C. Barton actively have appreciated the affective aspects and factors of historical empathy as one of the core parts in historical inquiry. Their opinions are helpful to explain and put a value to ‘empathy based practices’ of enthusiastic history teachers who want to teaching history meaningfully. Lately, even in our country korea, many teacher and pedagogists became interested in school history as a core subject for democratic civic education. And now, it’s keenly necessary to redefine the roles and functions of historical empathy as principle of learning activity for cultivating virtues of democratic citizens. 1990년대 중반 이후로 역사과 수업이론의 체계화가 진전되면서 감정이입적 역사이해는 역사학의 특성에 기초한 앎의 방식으로, 수업방법의 ‘역사교과화’를 뒷받침하는 원리로 자리매김했다. 감정이입적 이해에 기초한 역사수업은 다양하게 전개되었는데, 교사의 역사교육관, 학생 특성, 학습 주제에 따라 학습 결과나 강조점이 다르게 나타났다. 국내의 연구에서 감정이입적 이해는 인지적 추론과정, 탐구과정을 중심으로 정의되었다. 그런데, 실제 수업 장면에서 교사들은 추체험이나 공감 등의 정서적 요소를 인지적 과정과 적극적으로 결합시켰다. 바로 이 간극으로부터 역사수업 이론으로서 역사적 감정이입의 새로운 가능성을 발견할 수 있다. 한편, 역사교육이 다원적 민주사회의 공공선(common good)을 증진하는데 기여할 것을 주장하는 Barton과 Levstik은 감정이입적 역사이해가 시민적 덕성을 기르는데 유효한 원리가 될 수 있음을 강조하면서, 기왕의 인지적 탐구과정을 강조했던 데서 벗어나, 공감 등의 정의적 요소를 적극적으로 결합시킬 것을 제안하였다. 인지적 감정이입의 측면을 ‘관점인식’(perspective-recognition)으로, 정의적 측면을 ‘관심’(caring)으로 재개념화한 Barton과 Levstik의 견해는, 국내의 수업실천 사례들에서 발견되었던 이론과의 간극을 발전적으로 해소하고, 감정이입적 이해가 역사교육에 기여할 새로운 방향과 가능성을 모색하는데 유용한 시사점을 제공한다. 감정이입적 역사이해는 인지 탐구 과정과 정서적 요소가 적절한 긴장관계를 유지하며 결합될 때, 수업원리로서 가능성을 확장할 수 있다. 두 가지 측면이 결합된 감정이입적 이해는 학생들의 자발적 흥미에 기초한 역사탐구의 원리가 될 수 있으며, 학습자를 역사 탐구의 주체로 세우는 가운데 역사의식의 형성에 기여하고, 나아가 민주적 행위주체로서 성장하는 데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초등 역사교육에서 국가주의와 애국심 교육

        방지원 한국역사교육학회 2016 역사교육연구 Vol.- No.26

        By installing the subjects of ‘National History’ in the 3rd national curriculum, Nationalist historiography in elementary history education clearly reveal the look of ethno-national standing to justify the Yushin dictatorship. The friendly Dictatorship ethno-national narrative won a public authority as one of structures of knowledge in korean history, through the 4th and 5th national curriculum. In order to allow students to cultivate a sense of pride of the country and nation, ‘National History’ highlighted the characteristics of the Korean history, A long history of about 5000 years, cultural achievements, overcoming the national crisis. Based on national pride, ‘National History’ have tried to keep internalized nationalistic beliefs for students. It was the core idea of those, that states absolutely, it is more important than any individual, in all cases. This doctrine had given legitimacy to the domineering government of that day, and agreeably granted it the status of ‘Social studies’ has delivered more directly to the nationalistic values. Thi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the state decided everything, and the people obey this. Responsibilities and duties of citizens precedes the fundamental rights. This is the very essence of nationalistic education forcing students to accept themselves norms of obedience to their state. So, the way out of nationalistic education is to assist students to grow up themselves citizens to think and act independently, not to obey to state power blindly. Urgent need is to develop textbooks and curricula for various and active history class exploring the roles of the democratic state in promoting peace and human rights. Another thing we should not neglect is the importance of democratic classroom culture. In this respect, overcoming nationalistic education, discussion and debating methods in classroom are should be stressed again, because they are based on critical and independent thinking of Individual student consistently. 초등학교 ‘국사’의 역사인식이 국민형성 교육을 넘어, 권위주의 독재를 합리화하는 국가주의적 인식으로 넘어간 때는 제3차 교육과정 시기였다. 이때 형성된 민족-국가 서사는 제4차, 제5차교육과정을 거쳐 국정교과서의 형식을 빌려 공적 권위를 지닌 ‘국사의 체계’가 되었다. 주제별 생활사를 통해 당시의 정부를 역사적 전통의 계승자로 위치시키고, 국난극복과 문화적 성취로 빛나는 민족과 국가의 내력을 강조함으로써 국가에 대한 자긍심을 길렀다. 국가가 없으면 민족도 없고, 민족이 없다면, 나, 개인도 있을 수 없다는 국가주의적 인식이다. <사회>는 더욱 직접적으로 국가주의적 가치를 전달하고 내면화하도록 했다. 결정 주체인 국가와 이에 순종하는 국민, 기본권에 앞서는 ‘국민’의 책임과 의무가 그 내용이다. 현행 2009 교육과정에 의한 <사회>의 정치 관련 내용에서는 인권과 다원적 관점 등 민주적 가치를 강조하는 쪽으로 변화하였으나, 한국사 내용은 국가와 민족 중심의 서사를 유지하는데다, 현대사 서술에서 퇴보하였다. 국가 권력이 나서 특정한 집단의 주장을 교과서에 반영하는 국정교과서의 폐단을 극단적으로 보여주는 사례라 하겠다. 국가주의 교육의 본질은 국가와 국민의 관계를 지배-복종의 규범으로 정의하고 이를 전파하는데 있다. 학생들이 국가가 국민에 의해서 구성된다는 것을 스스로 깨닫고, 국가를 구성하는 주체로서의 권리와 책임을 다하려는 태도를 취한다면, 고민 없이 현존 질서에 순응하고자 노력하고, 사회 문제에 눈을 감는 ‘순종적인 국민’이 되지는 않을 것이다. 이에 국가를 상대화하여 인식하고, 민주국가의 역할을 인권과 평화의 보장이라는 차원에서 다양하게 상상하는 수업이 가능하도록 교육과정과 교과서를 개발하도록 노력해야 한다. 자기 생각을 주장하면서도 다른 이들과 소통하는 방법을 배우는 토론 수업, 질문을 제기하고 스스로 탐구하는 수업 또한 국가주의 교육을 넘어서기 위한 실천으로 그 의미를 다시 새겨보아야 한다.

      • KCI등재

        대졸자의 첫 취업 과정에서의 진로결정 자기효능감과 진로정체감의 자기회귀 교차지연 효과

        방지원,유성경 한국청소년상담복지개발원 2016 청소년상담연구 Vol.24 No.2

        This study examined reciprocal relationship between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and career identity of university students from graduation to first vocational choice. This study used 125 students who were seniors at 1st data collection, 112 who graduated at 2nd data collection period, and 137 who got employed or went to a graduate school at 3rd data collection. This study used CDMSES-SF(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Scale-Short From) and VIS(Vocational Identity Scale) for measuring their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and vocational identity. For data analysis, ARCLM(Autoregeressive cross-lagged modeling) was performed to test longitudinal reciprocal relationship. The results were as below: 1)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and career identity were significantly stable over time. 2) Career decision making self efficacy predicted subsequent career identity and career identity predicted subsequent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too. Thus, we can see the reciprocal relationship between career decision- making self-efficacy and career identity. As the cross-lagged effects of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on career identity from T2 to T3 was the highest compared to other times, to focus on the career decision-making self- efficacy around university graduation period for the career intervention could be more effective. 본 연구는 대학 졸업 후 첫 취업 과정에서 진로결정 자기효능감과 진로정체감이 어떻게 변화하고 상호작용 하는지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한국 여대생들의 일가족 다중역할에 대한 계획 변화의 종단연구’자료 중 1차 설문시기에 대학 4학년, 2차 설문시기에 대졸자, 3차 설문 시기에 취직 혹은 대학원 진학한 137명을 추려 사용하였다. 진로결정 자기효능 감 척도와 진로정체감 척도를 사용하고, 자기회귀 교차지연모델(ARCLM)을 사용한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졸업 후 1년 내 진로 결정 과정에서 진로결정 자기효능감과 진로정체감 모두 시간의 경과에 따라 안정적으로 유지되었다. 둘째,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과 진로정체감의 교차지연 효과가 모든 시점에서 유의하게 나왔다. 셋째, 2차 년도의 진 로결정 자기효능감이 3차 년도의 진로정체감에 미치는 영향력이 가장 크게 나타나 진로 결정 자기효능감이 졸업 후 실제 직업 선택 시기에 진로정체감에 선행적 인과성을 갖는 다고 볼 수 있다. 본 연구는 3년에 걸친 종단 자료를 이용하여 기존 횡단연구에서 진로 정체감이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에 영향을 주고,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이 진로정체감에 영 향을 준다는 결과를 확인하고 더 나아가 시간의 흐름에도 두 변인이 상호작용 함을 확인 하였다는데 의미가 있다.

      • KCI등재후보

        감정이입적 이해에 따른 초,중,고등학교 역사수업 방안

        방지원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06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6 No.1

        학습자를 중심에 둔 교수 학습 활동을 위해서는 교과 내용을 이해하는 학습자의 사고 과정이 수업 진행 과정에 체계적으로 반영되어야 한다. 그리고 역사교육에서 감정이입적 이해는 다양한 수업활동의 원리가 될 수 있다. 이 글에서는 학습자가 역사를 이해하는 방식으로서 감정이입이 갖는 주요 특징을 정리하였다. 이어서 역사 수업을 전제로 역사적 감정이입의 구성 요소를 행위자와 행위 상황으로 구분하였다. 다음으로 초․중․고등학교 역사수업에서 감정이입적 이해를 도입할 경우, 단순한 이해에서 좀 더 복잡한 이해 수준으로의 단계별 적용이 가능하도록 행위자와 행위 상황을 계열화하였다. 그리고 역사적 감정이입에 바탕을 둔 수업 방식인 역사신문 제작학습을 초․중․고등학교 각 단계에 따라 차별화하여 실천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였다. 이를 통하여 학습자의 이해방식을 중심으로 역사 수업을 구성하고 실천할 수 있는 방안을 구체화하고자 하였다. The process of historical understanding of students is essential for the learner-centered history teaching. Pupils accept the contents of history course meaningfully through learning activity, based on the historical understanding. Historical Empathy is a good illustration for it. And it plays an important role as a principle of history in the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earch for the history teaching plan which grounds on historical empathy. For this, the fundamental and distinctive feature of historical empathy will be arranged. Next, supposing classroom activities, various doers in historical events and situations of doings are to be sequenced considering pupil\ s understanding of their complexity. Then, this study will attempt to classify and sequence the various activities and their distinctive qualities of making history newspaper in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history classroom.

      • KCI등재

        스마트 컨트랙트 취약점 탐지 도구 동향 분석

        방지원,최미정 한국통신학회 2022 KNOM Review Vol.25 No.1

        As the popularity of blockchain technology recently increased, interest in smart contract which is a related technology is also rising. Smart contract is a program that automatically executes a contract when the transaction contents and execution conditions written without an intermediary are satisfied on the block chain network. With reduced burden on brokerage fees and convenience, smart contracts are expected to be effective in various fields. However, in proportion to the increase in the popularity of smart contracts, the risk of exposure to vulnerabilities increased, and there were cases of financial loss due to actually exploiting of the vulnerabilities. In order to prevent such abuse cases, research on vulnerabilities and its detection in source code is being actively conducted. This paper introduces the typical vulnerabilities that programmers developing smart contracts should consider when writing codes. It also analyzes various detection tools to solve vulnerabilities. 최근 몇 년간 블록체인 기술에 대한 인기가 높아짐에 따라 관련 기술인 스마트 컨트랙트에 대한 관심도 부상하고 있다. 스마트 컨트랙트는 블록체인 네트워크상에서 중개자 없이 작성된 거래 내용과 실행 조건이 충족되면 자동으로 계약을 수행되는 프로그램으로 중개 수수료에 대한 부담 감소와 편리성으로 다양한 분야에서 사용될 수 있는 효율성이 기대받고 있다. 하지만, 인기에 비례하여 취약점에 노출되는 위험이 증가하였고, 실제로 취약점을 악용하여 금전적으로 손실을 입는 사례들이 발생하였다. 이러한 악용 사례들을 예방하기 위해서 취약점에 대한 연구와 소스코드의 취약점을 탐지하는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본 논문은 스마트 컨트랙트를 개발하는 프로그래머가 코드를 작성할 때 고려해야 할 대표적인 취약점들에 대해 소개하고, 이를 해결하기 위해 연구된 다양한 탐지 도구에 대해 분석한다.

      • KCI등재

        블록 전파 시간 단축을 위한 비트코인 네트워크 이웃 연결 알고리즘 개선

        방지원,최미정 한국통신학회 2020 KNOM Review Vol.23 No.1

        Bitcoin is an electronic money that does not rely on centralized institutions such as banks and financial institutions, unlike the world's paper currencies such as dollar, won, euro and yen. In Bitcoin network, a block with transaction details is generated by mining, and the message that the block has been created is broadcast to all participating nodes in a broadcasting method to secure reliability through verification. Likewise, the mining and block propagation methods in the Bitcoin network are greatly affected by the performance of the P2P network. For example, in the case of mining, the node receiving the reward for mining varies depending on whether the block is first mined in the network and the proof of mining is propagated faster. In this paper, we applied local characteristics and Round-to-Trip(RTT) measurement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existing neighbor connection method and block propagation method performed in Bitcoin network. An algorithm to improve block propagation speed is presented. Through experiments, we compare the performance of the improved algorithm with the existing algorithm to verify that the overall block propagation time is reduced. 비트코인은 일반적으로 사용하고 있는 달러, 원화, 유로, 엔화 등 세계적인 종이 화폐와 달리 은행과 금융기관 등과 같은 중앙 집중 기관에 의존하지 않는 암호화폐이다. 비트코인 네트워크에서는 채굴(mining) 작업으로 거래 내역이 담긴 블록을 생성하고, 블록이 생성되었다는 메시지를 모든 참여 노드에게 브로드캐스팅(broadcasting) 방식으로 전파하여 검증을 통해 신뢰성을 확보한다. 이와 같이 비트코인 네트워크에서 채굴과 블록 전파는 P2P 네트워크의 성능에 크게 영향을 받는다. 채굴의 경우 네트워크 내에서 먼저 채굴을 진행하고, 더 빠르게 채굴에 대한 증명을 전파하는지에 따라 보상을 받는 노드가 달라진다. 본 논문에서는 비트코인 네트워크에서 수행되는 기존의 이웃 연결 방식과 블록 전파 방식에 대한 문제점을 지역적인 특성과 RTT(Round-To-Trip) 값 측정을 적용하여 블록 전파 속도향상을 위한 개선 알고리즘을 제시한다. 실험을 통해 개선 알고리즘과 기존 알고리즘의 성능 비교하여 전반적인 블록 전파 시간이 감소한 것을 검증한다.

      • YOLO 를 활용한 무인 항공기 검출에 관한 연구

        신성훈(Shin Sung Hoon),류영빈(Ryu Yeong Bin),허제(Heo Je),오혁준(Oh Hyuk Jun) 한국통신학회 2022 한국통신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22 No.2

        본래 군사용 목적으로 연구되기 시작했던 무인항공기는 최근 들어 민간 분야까지 영역이 확대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무인항공기를 실시간으로 검출할 수 있는 딥러닝 기술을 연구했다. 95%의 정확도로 검출을 하는 결과를 보여주었으며, YOLO 모델을 사용해서 연구를 진행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