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아동 및 청소년기에 경험한 정서적 학대가 초기 성인기의 신체화 증상에 미치는 영향: 정서 인식의 어려움과 신체 귀인의 매개 효과

        방유진 ( Yujin Bang ),장재홍 ( Jeahong Jang ) 사단법인 아시아문화학술원 2021 인문사회 21 Vol.12 No.6

        본 연구는 아동기에 경험한 정서적 학대와 초기 성인기의 신체화 증상 간의 관계에서 정서 인식과 신체 귀인의 작용 기제를 통합적으로 탐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초기 성인기 연령에 해당하는 345명을 대상으로 정서적 학대 척도, 감정표현 불능증 척도, 증상 해석 질문지, 신체화 증상 척도를 실시한 뒤 구조 방정식 모형을 검증하였다. 분석 결과, 아동기의 정서적 학대는 정서 인식의 어려움과 신체 귀인을 각각 매개하여 신체화 증상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하였다. 그리고 정서 인식의 어려움과 신체 귀인의 순차적 이중 매개 효과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는 아동기의 정서적 학대 경험과 초기 성인기의 신체화 증상 간 간접 경로를 검증하였다는 점에서 중요한 의의를 지닌다. 또한, 본 연구는 정서 자각 수준 모델에 기반하여 신체화 증상에 대한 개념적 이해를 넓혔다는 점에서도 의의가 있다. The present study aimed to examine the effect of childhood emotional abuse on somatization in early adulthood and investigate the integrated model on emotional awareness and somatic attribution. The study sample consisted of 345 young adults and they completed the Korean Emotional Abuse Scale, Toronto Alexithymia Scale, Symptom Interpretation Questionnaire, and Somatic Symptom Scale. After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difficulty with emotional awareness and somatic attribution mediated the effects between childhood emotional abuse and somatization in early adulthood, respectively. In addition, results showed that difficulty in emotional awareness sequentially mediated the effect of somatic attribution. Findings of this study could have important implications, as it verifies the indirect pathway between emotional abuse and somatization symptoms. This study could also broaden the current conceptualization of the emotional awareness model in explaining somatization.

      • KCI등재

        2022 개정 교육과정 ‘문법’ 영역에 대한 비판적 검토

        방유진(Yujin Bang) 우리말교육현장학회 2023 우리말교육현장연구 Vol.17 No.1

        본 연구는 2022 개정 교육과정 ‘문법’ 영역에 대한 비판적 검토를 통해 기존 교육과정의 한계가 어떻게 해소되었는지를 살펴 개정 교육과정이 향후 개정 교육과정의 개발에 의미 있게 활용되는 것을 목적으로 수행하였다. 이를 위해 먼저 2015 교육과정에 관한 선행 연구를 검토하면서 개정 절차와 결과 차원, 문법 영역 차원, 문법 영역의 특정 내용 차원으로 나누어 검토하였다. 또한 교육과정 개발에 대한 국어과 내부의 요구들도 확인하였다. 다음으로 개정 교육과정의 개정 절차와 과정을 검토하고 최종안 연구를 바탕으로 내용 체계 관련 쟁점, 성취기준 쟁점으로 나누어 내용을 검토하였다. 개정 절차에 관하여는 국어과 내․외부의 의견 수렴 과정을 확대하였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으나 실질적인 효과를 높이는 방안의 마련이 필요해 보인다. 내용 체계 관련 쟁점은 이전 교육과정에 비해 개선된 점이 많으나 성취기준 관련 쟁점의 보완은 여전히 과제로 남았다. 개정 교육과정이 이미 고시되었으므로 교과서 개발 차원과 교사 차원에서 성취기준 간 불균형을 해소하고 학습자 부담을 줄이는 성취기준 재구성이 필요하다고 제언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ritically review the “grammar” area of the 2022 revised Korean language curriculum and to use the results to provide valuable suggestions for the development of the next revised curriculum. First, prior research was reviewed to confirm the critical opinions of the 2015 revised curriculum. Next, to verify whether the issues in the 2015 curriculum were resolved, the content system and achievement standards of the 2022 Revised Curriculum were investigated. The Findings indicated that the process of collecting opinions during the revision process was followed, but alternatives were needed for such a procedure to function well. And it showed that while the content system has improved significantly compared to the current curriculum, issues related to achievement standards continue to be challenges to be addressed. Therefore, it is suggested that the achievement standards should be reorganized to reduce the burden on learners in terms of textbooks and class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