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표준국어대사전》의 북한어 처리와 문제점

        방영심(Bang Young-Sim) 한국사전학회 2005 한국사전학 Vol.- No.6

        This study is to point out problems with the North Korean entries, proverb and idioms in 《The Standard Korean Dictionary》. 《The Standard Korean Dictionary》 defines 'the North Korean language' as 'entries missing from existing South Korean dictionaries among entries in North Korean 《The Chosun Language Dictionary》'. However, many Chinese words and words concerned with custom have possibility of being included in the South Korean language, and many entries classified as the North Korean language is now being used as a technical terms in South Korea. Therefore, we need more careful and thorough classification. Also, the dictionary is explaining different language marking rules, for example 'ㅅ', between South Korea and North Korea as 'North Korean corresponding South Korean'. However, is technically, it should explain as 'North Korean language marking', but not the North Korean language because it's a problem of language marking rules. Also, as for North Korean proverb and idioms, there are many proverb and idioms that are just slighty different in a way of suggesting method, so actually, they are hard to regard as different ones from South Korean proverb and idioms. For instance, 'a home left for a long time without person to take care of (South Korean saying)' and 'a house left without person to take care of (North Korean saying)' are not completely different proverb, but just a slightly different way of entering on the dictionary. In addition, I could find cases that some North Koreans are defined directly without corresponding South Korean word or explained as a part of North Korean saying or idiom, but actually those North Korean words are being used in South Korea too. 'Poverty breeds strife' is classified as North Korean language, but 'When poverty comes in at the door, love flies out of the window', 'Poverty breeds strife' are currently being used in South Korea, as well. Like this, a number of North Korean entries, proverb and idioms in 《The Standard Korean Dictionary》 are classified as North Korean language without gong through a careful investigation on South Korean documents. As a result, the dictionary led to more confusion about the North Korean language. We need to examine documents more thoroughly and classify them as South Korean entries, proverb and idiom.

      • 한국어 상(喪), 장례(葬禮) 언어의 의미장과 화행

        방영심 ( Bang Young-sim ) 세명대학교 지역문화연구소 2019 지역문화연구 Vol.18 No.1

        이 논문은 한국어 상(喪), 장례(葬禮) 언어의 의미장의 체계와 화행의 특징을 살펴보았다. 한국어 상(喪), 장례(葬禮) 언어의 의미장은 어종(語種)에 따라 분류하면 대부분이 한자어임을 알 수 있었다. 상(喪), 장례(葬禮)가 누구나 겪는 보편적인 행사임에도 불구하고 고유어가 아니라 한자어들로 구성되어 있다는 것은 의례 자체가 중국의 영향을 받았을 뿐만 아니라 그 행사가 가지는 매우 높은 의례성 때문이라고도 해석할 수 있다. 의미에 따라서는 [장례 거행성], [임종 전 의식 거행성], [초상 공지성], [울음 소리], [상주 위로성]과 [애도성] 등의 의미성분에 따라 체계화할 수 있었다. [장래 거행성]은 다시 주체에 따라, 시신의 유무에 따라, 시신의 이동성에 따라, 간소성에 따라 분류할 수 있었으며 대부분 ‘치르다’와 연어구성을 이루었다. [임종 전 의식거행성]은 종교에 따라 다시 분류할 수 있었으며, [초상 공지성]은 불특정인에게 공지하느냐 특정인에게 공지하느냐에 따라 분류할 수 있었다. [울음소리]는 상(喪), 장례(葬禮) 당사자의 울음이냐 조문자의 울음이냐로 나눌 수 있었고, 슬픔을 극대화하는 표현들과 결합관계를 이루는 특징이 있었다. 한국어 상(喪), 장례(葬禮) 화행의 특징으로는. 대화의 쌍에서 시작 화행이 언어적으로 나타나지 않고 비언어적으로 나타난다는 특징을 가장 먼저 들 수 있었다. 이에 따라 대응 화행으로 이루어지는 위로 화행이 상(喪), 장례(葬禮) 화행에서는 언어적으로 가장 먼저 나타나는 빈도가 높다는 특징이 있었다. 상주의 화행에서는 ‘한탄 화행’, ‘원망 화행’으로 슬픔을 대신하는 것도 특징적이었다. 또한 ‘슬프다, 힘들다’와 같은 명시적 감정형용사가 발화되지 않는다는 특징도 있었다. 조문객의 대응 화행은 ‘공감하기’, ‘안심시키기’, ‘의례적인 표현’, ‘격려하기’ 등 특징적인 전략을 통한 위로 화행이 이루어진다. 특히 ‘뭐라 위로의 말씀을 드려야 할지 모르겠습니다’, ‘어떡하냐’, ‘어쩌냐’와 같은 표현이 의례적으로 관용표현처럼 사용되고 있었다. This paper presents an investigation into the system of the semantic field and the characteristics of speech acts in the mourning and funeral language of Korean. When the mourning and funeral language of Korean is classified according to the word types for the semantic field, it falls into the category of Sino-Korean words in most cases. Even though mourning and funerals are universal events to everyone, the mourning and funeral language is comprised of Sino-Korean words instead of native ones, which indicates that the ceremonies were not only influenced by China, but also hold very significant formality as events. As for their meanings, they can be systemized according to the semantic components including "holding a funeral," "holding a ritual before death," "announcement of mourning," "sound of cries," "consolation for the chief mourner," and "condolences." The semantic components of "holding a funeral" can further be classified according to the subject, the presence of the body, the travel of the body, and simplicity. Most of them are in collocation with "holding." Those of "holding a ritual before death" can further be classified according to religion. Those of "announcement of mourning" can further be classified according to announcement to unspecific people or certain people. Those of "sound of cries" can further be classified according to the cries of the persons directly involved in the mourning or funeral or those of mourners. They are characterized by their combination with expressions to maximize grief. As for the characteristics of mourning and funeral speech acts in Korean, the starting speech acts in dialog pairs are non-verbal instead of verbal. Condolence speech acts as corresponding ones thus record the highest frequency of coming first verbally in mourning and funeral speech acts. In the chief mourner's speech acts, "speech acts of lamentation and resentment" replace grief. There are no speech acts for expressive emotional adjectives such as "sad" and "hard." Mourners' corresponding speech acts are usually comprised of condolence ones based on a characteristic strategy including "sympathy," "reassurance," "ceremonial expression," and "encouragement." Such expressions as "I don't know how to express my condolence," "What are you going to do?" and "How come this happened?" are used ceremonially as idiomatic expressions.

      • KCI등재

        핵심역량 기반의 비교과 프로그램 성과 분석 연구

        방영심(Young-Sim Bang),전영옥(Young-Ok Jeon),송인성(In-Seong Song)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4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4 No.13

        목적 본 연구에서는 역량 기반 설문문항을 적용한 교과연계 글쓰기 클리닉의 만족도 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비교과 프로그램이 대학의 핵심역량 강화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자 한다. 이와 함께 현재의 역량 기반 비교과 프로그램의 성과 분석의 문제점을 파악하고 개선 방향성을 제안하고자 한다. 방법 이를 위하여 S대학교 교과연계 글쓰기 클리닉에 참여한 학생들을 대상으로 한 만족도 조사를 분석하였다. S대학교 교과연계 글쓰기 클리닉은 <사고와표현> 교과와 연계한 프로그램으로서, 해당 수업을 수강하는 학생들이 학술적 글을 작성하는 데 도움을 주는 개별 지도 과정이다. 2022학년도 이전까지의 만족도 조사는 대학 핵심역량과 연계되어 있지 않아서 비교과 프로그램이 핵심역량 향상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해 측정할 수 없었다. 이에 S대학교의 핵심역량과 연계한 문항을 개발하여 2022학년도 2학기 만족도 조사를 실시하고, 일부 문항을 수정한 후 2023학년도 1, 2학기의 만족도 조사를 실시하였다. 결과 2022학년도 2학기, 2023학년도 1, 2학기 만족도 조사 결과, 교과연계 글쓰기 클리닉이 S대학교의 모든 핵심역량을 함양하는 데 도움이 되었다는 결과가 도출되었고, 그 가운데 ‘윤리실천역량’, ‘전문지식탐구역량’의 함양 점수가 높게 나왔다. 이는 <사고와표현> 수업 과제인 ‘학술적 글’을 대상으로 했기 때문에 나타난 현상으로 파악되며, 글쓰기 클리닉의 대상이 되는 글의 종류와 클리닉 과정에서 교수자들의 점검사항 등에 따른 영향으로 볼 수 있다. 결론 S대학교의 사례를 분석한 결과 비교과 프로그램이 대학의 핵심역량을 함양하는 데 기여한다는 것은 분명하지만, 대학이 설정하고 있는 핵심역량을 모든 프로그램에 일괄적으로 적용하는 것은 문제가 있어 각 프로그램의 특성을 반영하여 적용할 것은 제안한다. 또한 대학의 핵심역량과 글쓰기 역량을 어떻게 연계하여 성과 관리에 도입할 것인지가 앞으로의 과제가 될 것이다.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termine the impact of extra-curricular program on strengthening core competencies of universities, based on the results of a satisfaction survey of the writing clinic using competency-based survey questions. In addition, this study seeks to present problems and improvement plans in the performance analysis of the current competency-based extra-curricular program. Methods For this purpose, a satisfaction survey was analyzed among S University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the writing clinic. The S University writing clinic is a program linked to the university writing class called <Thoughts and Expression>, and is an individual instruction course that helps students taking the class write academic writing. Satisfaction surveys prior to 2022 were not linked to university core competencies, so it was not possible to measure the impact of extracurricular program on improving core competencies. For this reason, we developed questions linked to S University's core competencies and conducted a satisfaction survey in the second semester of 2022. After finding problems and revising the questions, we conducted and analyzed a satisfaction survey in the first and second semesters of 2023. Results The results of the satisfaction survey showed that the writing clinic was helpful in cultivating all of S University’s core competencies, and among them, the cultivation scores for ‘competence in practicing ethics’ and ‘competence in exploring professional knowledge’ were high. This result is understood to be a phenomenon that occurred because the target was ‘academic writing’, which was an assignment in the <Thinking and Expression> class, and was influenced by the type of writing that was the target of the writing clinic and the instructors’ inspection points during the clinic process. Conclusions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case of S University, it is clear that extra-curricular program contribute to cultivating the university’s core competencies, but it is problematic to uniformly apply the core competencies set by the university to all programs. Therefore, it is suggested to apply it selectively, focusing on competencies with high suitability. In addition, how to link the university's core competencies and writing competencies and introduce them into performance management will be a future task.

      • KCI등재

        다음(DAUM)포털뉴스 댓글의 비난화행 연구

        방영심 이화어문학회 2021 이화어문논집 Vol.54 No.-

        이 논문은 인터넷포털사이트 다음(DAUM)의 뉴스댓글에 나타나는 비난화행의 특징을 분석한 것이다. ‘비난화행’은 사이버공간에서 빈도 높게 나타나는 경향이 있다. 가상공간에서 특정, 불특정 상대에게 말하고 싶은 대로 감정을 표출하는 언어적 행위가 부정적, 과격하게 나타나는 것이다. 뉴스댓글의 ‘비난화행’은 양이 많다는 것뿐만 아니라 ‘욕설+비아냥+분노’ 등이 복합적으로 사용되어 강화된다는 특징도 있다. 2020년 12월 23일~27일까지 다음(DAUM) 첫 화면의 뉴스기사에 대한 댓글의 특징은 다음과 같다. 첫째, 비난의 방향이 매우 다양하다. 기사에 나오는 주요 인물, 부차적 인물, 제삼자를 비난할 뿐만 아니라 기자, 신문사에 대한 비난도 자주 나타난다. 둘째, 비난화행의 하위유형으로는 ‘비아냥, 모욕, 비방, 질책, 분노, 조롱, 악담, 실망’ 등이 다양하게 나타난다. 셋째, 두 개 이상의 하위유형을 복합적으로 사용하며 강화하는 현상을 보였다. 먼저, 2개~3개의 하위유형을 복합적으로 사용하여 비난을 강화하고, ‘아이디’도 비난하기를 강화하는 데 사용한다. This paper analyzes the characteristics of Criticism Speech Act in news comments appearing on the internet portal website DAUM. ‘Criticism speech’, which tends to appear frequently in cyberspace, is a negative and extreme manifestation of verbal behavior in virtual space in which the emotions are freely expressed towards specified or unspecified people. Not only is ‘criticism speech’ in the news comments prevalent, but it is also characterized by a combination of ‘curse + sarcasm + anger’ etc. to increase in intensity. The characteristics of the comments in the news articles on DAUM's main page from December 23 to December 27, 2020 were found to be as follows. First, the direction of criticism varied widely. A range of criticisms were directed towards journalists and newspaper companies, as well as key figures, secondary figures, and third parties mentioned in the articles. The subtypes of the criticism speech included the various elements of ‘sarcasm, insults, slander, reproach, anger, ridicule, malediction, disappointment’, and so on. Also, there were cases in which two or more subtypes were used in combination to increase in intensity. Initially, two to three subtypes were used in a combination to strengthen criticisms, and 'ID' was also used to reinforce such criticism.

      • KCI등재

        결혼이주여성의 시어머니에 대한 한국어 공손표현 양상

        방영심 이화어문학회 2015 이화어문논집 Vol.37 No.-

        This study is the research on the aspects of a marriage migrant woman's polite expression in Korean towards her mother-in-law. A marriage migrant woman is a special Korean learner. Also, they also get to be placed as a status of a daughter-in-law who serves parents-in-law, together with the position of a Korean's wife and mother. This study looked in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use of their polite strategies in special relations between a mother-in-law and a daughter-in-law through EBS Program monitoring. As a result, first, this study discovered a characteristic that marriage migrant women use the strategy in a bid to minimize conflicts and collisions that might be caused by the difference in language and culture, and to make the relations smooth through the use of strategies putting emphasis on intimacy rather than the use of honorific speech based on hierarchy. As an example, they are found to repetitiously use an informal appellation like 'Mom', or to use a 'Talk-down' style which is commonly used in close relations. The use of a 'Talk-down' style is understood as a strategy of emphasizing a sense of closeness other than they are not taught to use a 'Haeyo'(polite) style and 'Hapsho'(honorific) style. A speaker, who used to use a 'Talk-down' style towards her mother-in-law, shows the appearance of converting her speech to a Haeyo style(polite style) in the utterance for a request. This can be judged as the use of the strategy of upgrading the honorific speech to a hearer in the act that could bring disgrace on the other party. Also, in the utterance like this, they are found to use the words like 'Just', and 'For a moment' that alleviate the burden of the other party. Second, this study found out that there existed a characteristic of using the strategy of an aggressive explanation of a situation in relation to a request or criticism. In case of Koreans, an avoidant type is conspicuous in the speech act of rejection because they tend to hesitate to do a flat rejection, whereas a marriage immigrant woman was found to aggressively use not only the situation explanation strategy but also the strategy of alleviating the loss of face by converting the 'Talk-down' style to a 'Haeyo' style (polite style). Together with this, this study found that they were also aggressively using the respect strategy, such as 'Praising' and 'Greeting'.; however, it's almost rare to find 'Indirect Speech Act' which is mentioned in relation to politeness in a marriage migrant woman's conversation. 본고는 결혼이주여성의 시어머니에 대한 한국어 공손표현 양상을 살펴보았다. 결혼이주여성은 한국의 가정이라는 공간으로 편입되는 특수한 한국어 학습자이다. 남편의 부인, 자녀들의 어머니라는 지위와 함께 시부모를 모시는 며느리의 지위에도 놓이게 된다. 고부간이라는 특별한 관계에서 그녀들이 어떻게 공손 전략을 활용하는지 EBS 다문화 고부열전을 통해 그 특징을 살펴보았다. 첫째, 위계에 의한 높임법 사용보다는 친밀감을 강조하는 전략을 활용함으로써 언어와 문화의 차이로 인해 생길 수 있는 갈등과 충돌을 최소화하고 관계를 원만하게 하려는 전략을 활용한다는 특징이 나타났다. ‘엄마’라는 비격식적인 호칭을 반복적으로 사용하거나, 친밀한 관계에서 사용하는 반말체를 활용하는 것이 그 예라고 할 수 있다. 반말체를 사용하는 것은 해요체와 합쇼체를 교육받지 못해서가 아니라 친밀감을 강조하려는 전략으로 이해된다. 시어머니에게 반말체를 사용하던 화자는 요청 발화에서는 해요체로 전환하는 모습을 보인다. 이는 요청과 같이 상대방의 체면을 손상시킬 수 있는 행위에서 상대경어법의 등급을 높이는 전략을 활용하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또한 이와 같은 발화에서는 ‘좀, 잠깐’ 등과 같이 상대방의 부담을 완화해주는 어휘를 사용한다. 어휘적 차원의 공손 표현을 사용하지는 않지만 ‘-는데’, ‘-네요’ 와 같은 일부 어미만을 한정적으로 활용하기도 한다. 그러나 피동형이나 선어말 어미 ‘-겠-’ 등은 활용하지 않았다. 둘째, 요청이나 비난에 대해 상황을 적극적으로 설명하는 전략을 사용한다는 특징이 있었다. 한국인은 거절을 어려워하여 거절화행에서 회피형이 두드러지는데 결혼이주여성은 이와 달리 상황설명 전략을 적극적으로 활용할 뿐만 아니라 반말체를 해요체로 전환하여 체면 손상을 완화하는 전략을 사용하고 있었다. 이와 더불어 칭찬하기, 인사하기와 같은 공경 전략도 적극적으로 활용하고 있으나 공손과 관련하여 거론되는 ‘간접화행’은 결혼이주여성의 담화에서 찾을 수 없다.

      • KCI등재후보

        한국어 부사형어미 ‘-게’의 확장에 관한 통시적 고찰

        방영심 이화여자대학교 한국문화연구원 2008 한국문화연구 Vol.14 No.-

        이 글은 형용사 어간과 결합하는 부사형어미 ‘-게’의 통시적 확장 방향과 특성, 그에 따른 공시적 현상을 살펴본 것이다. 부사형어미 ‘-게’는 중세 국어 시기에 동사 어간과 결합하여 사동문을 형성하는 구문에서 가장 먼저 출현하여 형용사 어간으로 확장된다. 형용사 어간에 결합하는 ‘-게 다’ 구문은 대칭형용사, 소유․소재형용사, 심리형용사들에서 가장 먼저 출현하는데 이들 형용사들은 척도, 결과를 상정할 수 없다는 공통점을 지닌다. 동사 어간과 결합한 ‘-게 다’ 사동 구문에서 획득된 [결과성]의 자질이 결과의 의미를 지니지 못하는 형용사 부류와 가장 먼저 결합하는 것은 동사에서 형용사로의 확장이 보충적 작용이었음을 의미한다. 형용사 어간과 결합하여 사동 구문을 형성하는 ‘-게’는 피동문을 형성하는 ‘-게 외다’ 구문으로 그 세력을 넓혀 가는데, 이는 피동문이 사건을 결과 상태로 초점을 가져가는 구조이기 때문이라고 볼 수 있다. 사동과 피동 구문에서 생산적으로 사용되던 ‘-게’는 19세기를 거치고 현대 국어에 이르면서 거의 모든 형용사와 결합하면서 [결과성]을 나타내게 되었고 정도성을 지닌 형용사와의 결합에서는 [정도성]의 의미 자질을 획득하게 되었다. 형용사 내에서의 확장은 유사성에 근거함을 알 수 있다. This paper examines the diachronic expansion and characteristics, and the subsequent synchronic condition of the adverbial ending “-ge”, attached to adjective stems. The adverbial ending “-ge” first appeared in the Korean language during the Middle Ages, in causative constructions attached to verb stems, then its usage was expanded to adjective stems. Constructions like “-ge hada” were first conjoined with possessive, symmetrical and psychological adjectives, the common factor of which is that they cannot assume the scale and consequence of a phenomenon or thing. The fact that the result-descriptive nature generated by the conjunction of causative constructions like “-ge hada” and verb stems was first attached to those adjectives of no result-descriptive ability shows that the expansion from the verb form to the adjective form was a supplementary process. The reason “-ge” in causative constructions then developed into the passive form of “-ge doeda” is because passive constructions shift the focus to the resulted condition. Through the 19th century and unto the present language, the adverbial ending “-ge” productively used in causative and passive constructions came to be conjoined with almost every adjective, to describe or signify the result of a phenomenon, and also gained the semantical nature of gradability when conjoined with adjectives containing gradability. This suggests that its expanded usage within the category of adjectives was based on similari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