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황순원 소설의 설화성과 월남민의식 연구 -「땅울림」을 중심으로-

        방금단 돈암어문학회 2023 돈암어문학 Vol.43 No.-

        황순원은 현대의 금기설화를 만들기 위해 「땅울림」을 창작하게 되었다고 작품에 밝히고 있다. 황순원은 전전세대(戰前世代) 특유의 역사인식을 하고 있다는 점에서, 태평양전쟁과 한국전쟁이 우리 민족의 삶을 해체시키는 원인으로 작용하고 있음을 형상화하기 위해 금기설화를 창작하고자 한다. 현대 금기설화로 명명한 「땅울림」에는 세 가지의 금기설화(중국, 일본, 한국)와 두 가지의 전쟁(태평양, 한국)과 관련된 삽화를 수용하고 있다. 황순원은 작품에 수용된 금기설화와 삽화를 중심으로 소설을 창작하는 과정을 전면적으로 노출하고 있어서, 작가의 창작방법을 살펴볼 수 있다. 황순원은 해방기에 월남한 작가이다. 그는 이북에서 지주계급이었기 때문에 자진해서 월남한 이후에, 오히려 좌파 잡지에 글을 기고하는 행보를 보인다. 이러한 점으로 인해 그는 보도연맹에 가입하는 등의 일련의 사건을 겪으면서 소서사로 작품의 변모과정을 거치게 된다. 월남 작가로서 남한의 반공주의가 득세하던 시기에 문학적 검열이라는 기제에서 자유롭지 못한 것도 하나의 이유였을 것이다. 따라서 황순원의 작품에서 남북한 현실을 비판하는 내용은 찾아보기 어렵다. 그러나 황순원의 마지막 소설인 「땅울림」에는 남북한 현실을 비판하는 월남민의식이, 작품에 수용된 설화와 삽화를 중심으로 발현되고 있어서, 이를 논의할 것이다.

      • KCI등재

        황순원 소설 「필묵장수」의 드라마적 변용 연구

        방금단 돈암어문학회 2020 돈암어문학 Vol.37 No.-

        Hwang Sun-Won’s novel ‘Seller of pen and ink’ was dramatized as a TV literature ‘Seller of pen and ink’. Based on this fact, I will argue about different and same factors between two versions of ‘Seller of pen and ink’ to investigate a common feature of two works. Old man Seo walks with a limp because of polio, and sells pen and ink to keep his life on the road. The novel ‘Seller of pen and ink’ tells about the joys and sorrows of old man Seo’s life. Novel ‘Seller of pen and ink’ is a good source which connotes writer’s consciousness after Korean War. because the author Hwang Sun-Won reflects his writer’s suffering from accommodation to South Korea society and his weary life as a stranger to character’s life in his novel. A lot of Hwang Sun-Won’s novels were turned into movies from 1960s to 1970s, but the novel ‘Seller of pen and ink’ had not been filmed. In 1983, it adopted to TV drama. It shows several facts that new military regime found their characteristics as a literature drama in this novel and they could put their political idea into this novel. This study will investigate the aspect of transition through comparison between opposed characters and descriptive conversion of novel ‘Seller of pen and ink’ and TV drama ‘Seller of pen and ink’. Also, it discusses a meaning of TV drama ‘Seller of pen and ink’ by analyzing symbolic image of colors. 이 글은 황순원의 소설 「필묵장수」가 동명의 제목을 가진 TV문학관의 <필묵장수>로 변용되었던 것에 착안하여, 두 작품의 접점을 찾아 공통점과 차이점을 논의하려고 한다. 소설 「필묵장수」는 풍병(소아마비)으로 다리를 저는 서 노인이 삼십 평생을 필묵장수로 유랑하면서 연명하는 삶의 애환을 다루고 있다. 소설 「필묵장수」는 한국전쟁 이후의 작가의식을 엿볼 수 있는 좋은 자료에 해당된다. 이북이 고향인 황순원이 남한 사회에 편입하는 과정에서 겪은 작가적 고난과 월남민으로서 남한에 정착해야 하는 고달픔이, 작중 인물의 삶에 반영되고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필묵장수」는 1960-70년대에 영화로 제작되지 못했지만(황순원의 소설은 박정권 시기에 많은 작품이 영화화 됨), 1983년도에 드라마로 제작되었다. 박정권 시기에 영화로 제작되지 못한 「필묵장수」가 신군부 정권에서 드라마로 제작되었다는 것은, 소설 「필묵장수」가 신군부 정권에서 추구하는 문예드라마로서의 특징에 부합되는 내용일 뿐만 아니라 정치적 목적을 담을 수 있는 좋은 재료에 해당되었기 때문이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이 글은 소설 「필묵장수」와 TV문학관의 <필묵장수>의 서사적 변용과 대립되는 인물의 비교를 통하여 담론의 변화양상을 살펴보고, 색의 상징이미지를 분석하여 TV문학관 <필묵장수>가 의미하는 바를 논의할 것이다.

      • KCI등재

        매체 전환에 따른 ‘황순원 소설’의 변용연구 영화, TV드라마, 애니메이션, 만화를 중심으로

        방금단 성신여자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9 人文科學硏究 Vol.39 No.-

        ‘Hwang Sun Won’s Novel’ is a center of phenomenon which novels are transformed various medias, but it is excluded related discussions. In 1960s and 1970s, ‘Hwang Sun Won’s Novel’ was transformed to cinema, and a number of ‘Hwang Sun Won’s Novel’ TV drama increased more than cinema from 1980s. Novel 「Rain Showers」 was produced from 1970s, and it is steadily transformed in 2000s. There are two reasons why ‘Hwang Sun Won’s Novel’ is transformed to various medias by having close relationship with Korean political purpose. First, medias used literary epic between popular appeal and accepting literary authority by giving distance from military government’s political situation. Second, ‘Hwang Sun Won’s Novel’ was chosen as a good materials that can connote political situations and ideologies in various medias by dramatization. The basic elements which ‘Hwang Sun Won’s Novel’ is produced to various medias are a popular aspect, condensed and concise writing style, neutral ideology and atemporal aspect. I will investigate Novel 「Rain Showers」, because it is not only to transform cinema and TV drama, but also to show the basic elements of ‘Hwang Sun Won’s Novel’. ‘황순원 소설’은 다양한 매체로 변용되어 작품화되는 현상의 중심에 서 있었지만, 이와 관련된 논의에서 배제되어 왔다. ‘황순원 소설’의 영화적 변용은 1960 1970년대 주로 이루어졌으며, 1980년대부터는 영화보다 TV드라마로 많이 제작되었다. 또한 소설 「소나기」도 1970년대부터 제작되었으며, 2000년대에 들어와서도 꾸준히 변용되고 있다. ‘황순원 소설’은 한국의 정치적 목적과 밀접한 관련을 가지며 다매체로 변용된다. 그 이유를 두 가지 관점으로 바라볼 수 있다. 첫째, 군부집권 시기의 정치적 상황에서 거리를 확보함으로서, 문예의 권위를 수락하는 충실성과 대중성 사이에서 문예의 ‘서사’를 적극적으로 활용하였다. 둘째, 각색에 의해서 다매체에 정치적 상황과 이데올로기를 담을 수 있는 좋은 재료로 ‘황순원 소설’이 선택되었다라고 본다. 이러한 ‘황순원 소설’이 다매체로 변용되어 제작되는 기본 요소에는 무시간성, 중립적인 이데올로기, 간결하고 응축된 문체 그리고 대중적 요소를 꼽을 수 있다. 영화나 TV드라마 이외에도, 꾸준히 주목받고 있는 <소나기>에 ‘황순원 소설’의 기본 요소가 잘 드러나기 때문에 이를 살펴보려고 한다.

      • KCI등재후보

        황순원 소설 「과부」의 영화적 변용 연구

        방금단 돈암어문학회 2017 돈암어문학 Vol.32 No.-

        This paper aims to review a common feature and a difference by finding the point of contact changed to “widow by the Cho, Mun-jin’s movie with the same title as Hwang, Sun-won’s novel, ”Widow”. In Hwang, Sun-won’s novel, “Widow”, the life of young widow, which has been lived with accepting it her destiny to subordinate herself to the family and to be sacrificed with conventionality. This novel was produced in the movie over 3 times, and therefore it is judged that it is a very popular characteristic work. All 3 movies had almost same contents, the Cho, Mun-jin’s movie, “widow”, which we are now reviewing in this paper, has keeping the same thematic consciousness, and was produced latest among 3 movies periodically. Nevertheless, the Cho, Mun-jin’s movie showed more strong Confucian discourse, and therefore much more concrete discussion are needed. Differently from the novel, various types of commercial elements as like sex, love, and lust, etc were expressed in the movie “widow” Of course, this has a deep relation to the production trend of the movie prevailed at that time. In 1978 when the movie “widow” was produced, a movie to take a woman as the main subject of the movie was developed as a mainstream. Because the movie has strategically shown a sensuality that the medium TV can not handle, after the movie “winter’s woman” Such kinds of trend can be caught in the movie “widow”, and therefore It is duly reviewed and analyzed. At first, the novel, “widow” is different from the movie, “widow” in the expression aspect in accordance with the difference of medium, in spite of their common feature, “description”. Accordingly, it is in this paper to compare and analyze the change of the description and their characters, and to discuss the symbol images in the movie and the expression aspect of discourse. Even though the expression type of the discourse was adopted from the novel, it was disclosed by means of the narration structure and the difference among all the characters differently from the novel. So, I try to discuss such kind of trends at the oppositive view point between each female and male character. Also, a sincere attention was paid that the movie built the discourse by the difference of the medium differently from the novel and therefore I try to analyze the reasons why songs and images in the movie really enhance the thematic consciousness differently from the novel by analyzing the songs and images in the movie. 이 글은 황순원의 소설 「과부」가 동명의 제목을 가진 영화 조문진의 <과부>로 변용된 접점을 찾아 공통점과 차이점을 살펴보려고 한다. 황순원 소설 「과부」는 유교의식에 의해 가문에 종속되고, 인습의 의해 희생되는 것을 숙명처럼 여기고 살아가는 ‘소년과부’의 삶을 다루고 있다. 이 소설은 세 번이나 영화로 제작된 만큼 대중적인 요소가 강한 작품이다. 세 편의 영화가 내용적인 면에서 동일하나 이 글에서 살펴보는 조문진의 <과부>가 소설과 같은 주제의식을 갖고 있는 동시에 시간적으로도 제일 늦게 제작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유교의식이 더 강화되는 담론을 드러내고 있어서 구체적인 논의가 필요하다. 영화 <과부>에는 소설과 다르게 대중적이면서도 상업적인 요소인 성, 사랑, 욕망 등이 표현되고 있다. 이는 당시 영화의 제작 경향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파악된다. 영화 <과부>가 제작된 1978년도에는 여자를 주제로 한 영화가 주류를 이루고 있었다. 영화 <겨울여자> 이후에는 TV가 소화할 수 없는 관능성을 영화에서 전략적으로 사용하고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점이 <과부>에서도 보이므로 이를 살펴보려고 한다. 소설 「과부」와 영화 <과부>는 서사라는 공통적인 특성에도 불구하고 매체의 차이에 따라 표현되는 양상이 다르다. 이에 따라 서사의 변화와 인물 등을 비교분석하고, 영화에서의 상징이미지와 담론의 구현 양상을 논의하려고 한다. 담론의 구현 양상은 소설을 차용했지만 소설과 달리 각색된 영화의 서사구조와 인물의 차이에 의해 드러나고 있다. 이러한 점을 각기 여성인물과 남성인물의 대립적인 차원에서 논의하려고 한다. 또한 영화가 소설과 달리 영상이라는 매체의 차이에 의해 담론을 생성하고 있음에 주목하여 영화에서의 노래와 이미지를 분석하여 소설과 달리 주제의식이 강화되는 원인을 분석하려고 한다.

      • KCI등재

        오정희 소설 『새』의 아동과 공간성 연구

        방금단 건국대학교 GLOCAL(글로컬)캠퍼스 동화와번역연구소 2022 동화와 번역 Vol.44 No.-

        이 글은 오정희 소설 『새』의 배경이 되는 공간을 중심으로 작중인물의 의식이 내ㆍ외부적인 요소와 어떻게 직ㆍ간접적으로 연관되면서 의미를 생산해내고 있는지 살펴보려고 한다. 오정희 소설 『새』는 가정과 사회에서 외면당하고 있는 아이들의 비극적인 생활이 서사화 되어 있다. 이 소설 속의 어린 화자는 영악해서 자신을 둘러싸고 벌어지는 어른들의 위선적이고 폭력적인 행위들을 다양한 관점에서 답습하거나 침묵할 뿐이다.『새』에서 사건의 근원은 가부장의 폭력에서 시작되나 모성의 부재로인해 아이들이 처한 부정적인 현실은 더욱 도드라져 보인다. 어린 화자가 계속해서 엄마를 찾고자 공간을 전전하는 과정에서 아이들은 긍정적인 모성을 만나기 힘들기 때문이다. 모두가 아이들의 모성이 되기를 거부하기 때문이다. 거부된 삶을 살아나가야 하는 아이들은 선택권이 없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어린 화자가 내적성장을 이루어내는 것이 소설 『새』이다. 아이들이 욕망하는 것은 폭력을 이겨낼 수 있는 힘과 즐거운 집에서 사는 것이다. 그렇지만 아이들의 소망은 이루어지지 않는다. 따라서 이 글에서는 아이들이 처한 현실을 공간의 유형에 따라 살펴보고자 한다. 공간에 따라 의미를 분석하는 것은 복합적이고 애매한 구조로 서사화 되는 『새』를 제대로 읽어내는 방법이기 때문이다.

      • KCI등재후보

        황순원의 전후 소설 연구

        방금단(Bang Keum-Dan) 돈암어문학회 2008 돈암어문학 Vol.- No.21

        황순원은 그동안 순수문학 작가로 인식되어 왔다. 그러나 본고에서는 전후에 창작된 황순원의 소설이 역사적 현실과 거리를 두는 듯하면서도 실제로는 사회, 역사적 상황에 민감하게 반응하고 있다는 것에 주목하고자 한다. 황순원의 『잃어버린 사람들』은 전후에 창작되고 발표된 소설이다. 『잃어버린 사람들』에는 다섯 편의 작품이 수록되어 있는데, 이 작품들은 서로 다른 배경을 갖고 있지만, 이 소설들이 전후에 창작되었다는 것과 황순원이 월남민이라는 것이 서로 상관관계를 갖고 작품 안에서 실현되고 있다. 그리고 이러한 것은 추방자의 삶과 실향민 의식, 공동체 삶의 붕괴에 따른 위기의식, 자아의 욕망과 통과제의라는 소제로 나누어 황순원의 삶과 연계해서 살펴보기로 한다. 또한 작가 황순원이 『잃어버린 사람들』을 통해 전후 현실을 불안과 공포가 가득한 위기의식으로 생각하고 있음도 연구해보고자 한다. Hwang, Soon-Won has been recognized as a pure literature novelist in the meantime. But, in this thesis, this researcher tries to study that this novel by Hwang, Soon-Won was created with social and historical consciousness. “Lost People” by Hwang, Soon-Won is a novel created and announced after war. In “Lost People”, 5 pieces of works are being recorded. Then, these works have mutually different background. But, this researcher tries to notice that these novels were created after war and that Hwang, Soon-Won is a north Korean refugee are being realized in work with correlation. And, this researcher tries to examine this by classifying into life of exile and consciousness of people who lost hometown, crisis consciousness attendant upon collapse of community life, desire of self, and pass offer in connection with life of Hwang, Soon-Won. In addition, this researcher tries to study that novelist, Hwang, Soon-Won is thinking about postwar actuality with crisis conscious-ness to be filled with uneasiness and fear through “Lost People”.

      • KCI등재

        황순원 소설 『소나기』의 매체의 변용에 따른 서사성과 상징이미지 비교 연구

        방금단(Bang, Geum-dan) 건국대학교 스토리앤이미지텔링연구소 2017 스토리&이미지텔링 Vol.13 No.-

        이 글은 황순원의 1953년도 문학작품인 「소나기」를 원천으로 하여 그동안 영상으로 제작된 1978년도의 영화 <소나기>, 1987년도의 TV 베스트셀러극장 <소나기>와 2005년의 HDTV 문학관의 <소나기>를 연결해서 논의해보려고 한다. 동명의 제목을 갖고 있는 영상 매체의 <소나기>는 소설「소나기」의 기본적인 서사를 다루고 있어서 우리에게 익숙한 내용으로 보편적인 정서를 불러일으키기에 적합하다. 이런 특성 때문에 「소나기」는 영상매체로 변용될 때 우리에게 익숙한 것 같지만, 늘 새로운 ‘소나기’로 이야기가 변용되어 다가온다. 따라서 이 글에서는 황순원의.소나기.를 원천으로 하여 영상으로 제작된 3편의 <소나기>는 시간차와 연출자의 의도에 따라 공통적인 서사가 각 영상매체마다 새로운 차이를 갖고 있으며, 3편의 <소나기> 또한 각기 다른 상징이미지로 의미를 만들고 있어서 구체적으로 어떻게 형상화되는지 비교하는 장을 마련하였다. This paper aims to discuss Shower, a literature work written in 1952, by connecting Shower, a movie in 1978, Shower, one of the best seller theater in 1987 and Shower, HDTV literature theatre in 2005, which have been produced as image until now. Because the shower using media of image which had the same subject was handling the basic epic of novel, Shower, it is very appropriate to arouse an universal emotion with a very familiar contents. Though when Shower is transformed to the media of image, it is very familiar to us due to such a characteristic, it is also always transformed to a new shower and come near to us. Accordingly, it is compared through the above-mentioned showers in this paper how the original shower by Hwang Sunwon is concretely transformed:3 types of shower produced by the image media on the base of Shower by Hwang Sunwon have shown according to the time gap and the intention of the directors that the common epic (narration) had new difference in compliance with each media of image, and also created different image of symbol to one another as its meaning.

      • KCI등재

        전후 소설에서 여성 인물의 형상화 연구

        방금단(Bang Geum-Dan) 돈암어문학회 2006 돈암어문학 Vol.- No.19

        Point of sameness of 『Precipice of Mythology』 and 『Blank Map』 is that they are the novels to have will to have to face and resist negative actuality. This will appears into the form of refusal for normal actual order and it is revealed with the method of self-torment for herself who is a part of negative actuality. So, it is revealed as decadent and distorted style. These two novels are forming 3 kinds of meaning classes to be meaning of war, resistance for ruling authority, and prospect toward future. But, in spite of this point of sameness, these works have each distinction. Then, it means that formalization of female to be seen in work in accordance with the distinction of sex of author is different. While Jinyoung in 『Precipice of Mythology』 coped with selling her sex actively through going-out to wander about street for earning money for living for a day, Yoon Joo in 『Blank Map』 copes with that two males share her sex passively in the space to be house that patriarchal order exists. In addition, the discrimination is conspicuous in that these two works are acquiring the prospect nature of post actuality. While Jinyoung in [Precipice of Mythology] acquires ‘art and love' which is her desire, wandering about street as the prospect toward future, [Blank Map] is acquiring prospect with the maternity of Yoonjoo to get out of home. By this, it can be seen that author set prospect toward future on maternity but that it is the life to premise the sacrifice of female person who will live in postwar poor actuality.

      • KCI등재

        황순원 소설의 주체적 여성의 형상화와 공간성 의미 분석

        방금단(Bang, GeumDan) 돈암어문학회 2021 돈암어문학 Vol.39 No.-

        본고에서는 황순원 소설이 ‘주체적인’ 여성인물을 형상화할 때 ‘성(性)을 상업화하고 있는 ‘공간’을 배경으로 하고 있는 것에 착안하여, 이를 당대의 역사적 상황을 바라보는 작가의식과 함께 규명하려고 한다. 작가는 하위주체인 여성인물의 삶에 미시적으로 스며들어 그녀들의 삶을 굴절시키고 훼손시킨다. 또한 여성인물의 삶에 아무런 가치판단도 개입시키지 않으며 온갖 종류의 비극을 보여줄 뿐이다. 황순원은 전전세대의 작가의식과 월남민으로서의 경험을 가진 것 없이 ‘몸’으로 감내하고 살아가는 여성인물의 삶에 반영한다. 그렇기 때문에 여성인물의 주체적 행위와 삶의 방향성은 작품이 창작된 시기별로 다르게 의미화 된다. 본고에서와 같이 여성인물의 서사를 새롭게 해석하면 ‘성(性)’을 상업화하는 ‘공간’은, 황순원이 역사적 사실을 사실화하는 하나의 배경이었으며, 훼손된 현실에서의 불만과 위기의식을 표출하는 상징적인 장소였음을 알 수 있다. 여성인물은 자기 결정권에 의해 ‘불행한 삶’ 혹은 ‘죽음’을 선택하는 것으로 역사적 상황에 대한 저항성을 극대화 하고 있기 때문이다. 황순원 소설이 사상에 있어서 중립적이라는 논자들의 평가가 있기는 하지만, 작가는 한국의 역사적 상황에 민감하게 반응하고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여성인물의 서사에, 한국의 굴곡진 역사와 시대적 상황을 어떠한 내용으로 상징화하고 있는지 살펴보고, 이를 작가의 삶과 연계해서 논의하려고 한다. This research invastigates to establish writer consciousness about the historical situation of that time, based on the fact that Hwang Soon-won’s novel is set in a “space” that commercializes sex when it portraits an “1ndependent” female character. The writer distorts and damages the lives of female characters who are subordinate subjects, microscopically permeating their lives. It also denies involving any value judgment in the life of a female character, only showing allsorts of tragedies. Hwang Soon-won depicts the life of a female character who pays “body” for her life, reflecting experience as a North Korean refugee in the entire generation and the writer consciousness of war generation who undergoes the Pacific War and Korean War. Therefore, the subjective behavior and direction of female characters’ lives have different meanings depending on when the works were created. As in this research, if the narrative of female characters has a new interpretation, space where commercializes sex is one of the backgrounds that Hwang Soon-won makes historical events real, and it is a symbolic place for expressing dissatisfaction and a sense of crisis in damaged reality. That is why the female character maximizes resistance to historical situations by choosing “unfortunate life” or “death” from her right to self-determination. Some critics say that Hwang Soon-won’s novel is neutral in thought; the writer seems to react sensitively to the Korean historical situation. Therefore, I will examine how female characters’ narratives embody Korea’s curved history and the situation of the times and discuss them connecting with the writer’s life.

      • KCI등재

        황순원 소설에서의 모성성과 훼손된 아동이미지 연구 -「별」, 「왕모래」, 「안개구름끼다」를 중심으로-

        방금단 ( Geum Dan Bang ) 건국대학교 동화와번역연구소 2015 동화와 번역 Vol.29 No.-

        황순원은 한국 문단에서 중간파적인 입장을 고수하는 이력과 문학세계를 갖고 있는 작가이다. 그러나 황순원은 현실과 유리된 예술지상주의자는 아니다. 황순원의 주요 작품 연보를 그 제작 시기와 연관시켜 볼 때 그가 항상 당대의 역사와 사회적 상황에 민감하게 반응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사실들이 아동을 대상으로 하고 있는 소설에도 드러나고 있다. 황순원이 작가로서 현실에 대한 적극적 저항을 할 수 없었던 당대의 내외적 조건이 그로 하여금 부정적인 현실을 파국적으로 드러낼 수 있는 방법으로써 가장 순수한 ‘아동’을 훼손된 이미지로 전환시켰던 것으로 보인다. 별 , 왕모래 , 안개구름끼다 를 기반으로 훼손된 아동이미지를 통해 전달 하려고 한 작가의식을 연구하려고 한다. 아동은 한국만의 역사적 상황에 따라 점점 더 동심이 철저하게 파괴되는 것으로 드러나고 있다. 이 세 소설의 아동은 모두 9살부터 모성성을 찾는다. 황순원 소설에서 모성성은 다층적으로 해석될 여지를 갖고 있다. 황순원 소설에서의 모성성을 찾는 아동들은 고아의식을 드러냄과 동시에 정주하기 위해 절대적인 모성성을 찾아 헤맨다. 그러나 아동들은 기다려온 모성성을 만나지 못했을 때 절대적인 믿음과는 반대로 비틀어지고 위태롭고 위악적인 죽음의 양상을 보여준다. 이는 모성성으로 감싸 안을 수 없는 인간 세계가 얼마나 황폐할 수 있는지를 단적으로 보여주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Hwang Sun Won is a writer whose career and literature view is to keep the standpoint of neutral in the Korean literary world, but is never a member of the art for art school isolated from the reality. It is known that the chronological record of Hwang Sun Won`s main works is connected with its own working time, he always shows a sensible reaction to that time`s history and social circumstance, and of course, such kind of facts a exposed in his works of which the object are children. Because Hwang Sun Won is as the standing point of the writer under that time`s internal condition not to have him offer a positive resistence to the reality, he attempted to transfer the purest juveniles to the damaged image by means of an arrangement for him to catastrophically disclose the negative reality. Eye try to study his consciousness as writer to show through the damaged juvenile image on the base of his works as like "Stars", "Coarse Sand" and " Under a stratus". It is shown that children`s innocence have been thoroughly destructed in accordance with the Korean historical situation. As well-known, all the children in these 3 works have searched the maternal love since 9 years old. The maternal love shown in Hwang Sun Won`s works has some rooms to be interpreted by multi-level. All the children to look the maternal love for in his works do not only disclose the identification of orphan by themselves but are also wandering here and there to look an absolute maternal love for to have their own fixed stay. However, the children, when they don`t have a chance to meet the maternal love they hope to have, are driven to the contrary phase to show they are crooked, hazardous, and severely slander. It is concluded that they show directly how much the human world not to cover with the wonderful maternal love can be devastat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