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베이비부머 집단을 위한 보행 운동용 스마트 워킹웨어의 디자인 방향 연구

        반현성 ( Hyunsung Ban ),황수정 ( Sujung Hwang ),김신혜 ( Sinhye Kim ),이주현 ( Joohyeon Lee ) 한국감성과학회 2018 감성과학 Vol.21 No.3

        본 연구는 고령에 접어들고 있는 베이비부머 집단의 보행 운동용 스마트 스포츠웨어 및 스포츠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수용태도를 분석하고 베이비부머 집단의 특성에 맞는 스마트 워킹웨어 및 연동 애플리케이션 개발방향을 제시하는 것이다. 연구 방법은 조사연구로 설문지법을 사용하였으며 측정 도구는 기존 스마트 스포츠웨어와 스포츠 애플리케이션의 디자인, 기능성 사용성에 대한 수용태도를 묻는 문항 등으로 구성되었으며, 조사대상은 50세 이상 65세 미만의 베이비부머 집단을 대상으로 진행됐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베이비부머 소비자들은 스마트 스포츠웨어의 기능 및 성능안전성에 대해 긍정적으로 인식하나 관리 및 내구성에 대한 우려가 있어 스마트 스포츠웨어의 내구성 및 편의성 개선방향 및 사후 처리에 대한 고려가 필요하다. 스포츠 애플리케이션의 경우 새로운 정보를 얻을 수 있는 교육적인 기능으로 인식하며, 인지용이성 및 접근성에 대해 젊은 세대에 비하여 어려움을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베이비부머 소비자의 보행운동용 워킹웨어의 디자인 및 기획 방향으로는 ‘일반 스포츠웨어 디자인의 일상적 디자인’, ‘소비자의 선호가 반영된 기능’, ‘관리의 편의성 및 내구성을 높인 디자인’ 등을, 보행운동용 애플리케이션의 기획 방향으로는 ‘쉬운 스포츠 애플리케이션 구성’, ‘교육적 운동 콘텐츠 구성’ 등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aimed to analyze consumers' acceptance of sports applications and smart sportswear to better design technology-enhanced walking exercise wear for the Baby Boomer generation based on their cohort characteristics. A questionnaire with items related to acceptance of existing smart sportswear design, functionality, and usability as well as existing sports application design, functionality, and usability was sent to consumers aged 50-65. Of 163 questionnaires distributed, 150 were used for analysis. The results showed that middle-aged consumers were aware of smart sportswear's functional stability, but were concerned about care, durability, and convenience. Middle-aged consumers were also aware of sports applications as educational functions for obtaining new information. Additionally, they found sports applications to have lower perceived convenience and accessibility relative to the young generation, highlighting the need for simple instructions and explanations for sports application planning. Based on these results, we propose “Everyday design for general sportswear,” “Functions based on consumer's preference,” “Enhanced design for durability and management convenience” for designing and planning walking exercise wear for middle-aged consumers, and “Convenient application organization” and “Educational exercise contents” for application planning for walking exercises.

      • KCI등재

        표면적 변화에 기반한 입체적 웨어러블 호흡수 센서의 가능성 탐색

        이승표,반현성,이주현 한국감성과학회 2018 감성과학 Vol.21 No.1

        This study suggests the sensing method of the Three-dimensional respiration rate sensor based on surface area changes, and exploring the design direction of the three-dimensional breathing sensor and the design orientation of the garment. To achieve this, two types of three-dimensional respiration rate sensor were produced, and the study of the dummy and the subjects studied. The studyⅠ investigated the possibility of measurement of the threedimensional respiration sensor by the study variables of the sensor type and speed of respiration. The studyⅡ proposes a suitable type of sensor for each of the three measuring positions in addition to the study variables in the studyⅠ. To evaluate accuracy, reproducibility, and reliability of the three-dimensional respiration rate sensor, the BIOPAC was used to measure the respiration rate simultaneously with the three-dimensional respiration rate sensor. Through all these results of the experiment, it explored the possibility of measurement of the three-dimensional respiration sensor for the dummy. It also proposed a suitable type of sensor by measuring the respiration rate for the human body. 본 연구에서는 센서의 표면적 변화에 따른 입체적 호흡수 센서의 센싱 방식을 제안하고, 직물 기반의 입체적 호흡수센서의 성능 평가 및 의복에 적용할 수 있는 디자인 방향성을 탐색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입체적 구조의 차이에따라 2가지 유형의 입체적 호흡수 센서를 제작하고 더미와 인체 대상으로 연구를 실시하였다. 연구Ⅰ은 더미 대상실험으로 센서의 유형 및 호흡 속도의 연구변인에 의해 입체적 호흡수 센서의 측정 가능성을 탐색하였다. 연구Ⅱ는7명의 20대 남성을 대상 실험으로 연구Ⅰ의 연구변인 이외에 3개의 측정 위치별 적합한 유형의 센서를 제안하였다. 입체적 호흡수 센서의 정확도, 재현성, 신뢰도를 평가하기 위해, 의료기기 분야의 대표적 웨어러블 호흡수 센서인 BIOPAC을 사용하여 입체적 호흡수 센서와 동시에 호흡수를 측정하였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통해 더미 대상으로입체적 호흡수 센서의 측정 가능성을 탐색하였으며, 인체 대상으로 호흡수를 측정하여 측정 위치별 적합한 유형의 센서를 제안하였다.

      • 스마트 피트니스웨어를 위한 운동 흥미의 동인분석

        박서연,반현성,이주현 한국감성과학회 2017 춘계학술대회 Vol.2017 No.-

        본 연구는 20~30대 여성을 대상으로 스마트 피트니스 웨어에 관련된 운동 흥미의 동인을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에 거주하는 20~30대 여성 4명을 대상으로 심층면접을 실시하여 운동참여, 운동흥미, 운동지속을 위한 동인을 살펴보고 이에 관련된 스마트 피트니스 및 스마트 피트니스웨어의 설계방향을 도출하였다. 심층면접의 자료를 대상으로 범주분석(Domain analysis)을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 스마트 피트니스에 관련된 운동흥미의 동인들을 도출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도출된 운동흥미의 동인들을 기반으로 하여 스마트 피트니스와 스마트 피트니스웨어의 수집 및 설계방향을 제시하였다. 이 연구는 2017년도 BK21플러스 사업(연세대학교 의류환경학과)에 의하여 지원되었음. This work was supported by the Brain Korea 21 Plus Project of Dept. of Clothing and Textiles, Yonsei University in 2017.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