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Korean Networks in the CIS

        Ban Byung Yool(반병률) 한국슬라브유라시아학회 2004 슬라브학보 Vol.19 No.2

        이 논문은 고려인이 발행한 신문들의 역사를 소련 시기와 소련붕괴이후 시기로 나누어 소개하고 이들 신문들이 부딪히고 있는 문제들과 미래의 과제를 검토한 연구이다. 소련시절 전지역 고려인들을 상대로 발행되던 신문으로 1937년 강제이주전 러시아원동에서 발간되던 선봉, 강제이주후 카자흐스탄에서 발간되던 레닌기치를 간략히 소개하였다. 이후 현재 독립국가연합(구소련)의 주요 지역인 모스크바, 생 페테르부르그, 프리모르스크, 사할린, 중앙아시아의 타쉬켄트와 알마타에서 발행되는 신문들의 현황과 과제를 살펴보았다. 이들 신문들은 국가의 재정적 지원으로 안정적인 문영을 하던 소련시절과 달리, 자유경쟁체제의 독립채산제로 운영되어야만 상황에 부딪히게 되면서 능력있는 기자들의 사직, 기사의 질 저하, 독자들의 흥미 감퇴와 구독자수 감소, 언어의 문제, 재정문제 등의 문제들에 직면하게 되었다. 이들 현안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한 가장 좋은 방안은 구독자수 증가와 재정안정책의 확보인데, 이 목표는 신문기사 질의 향상과 고려인사회의 핵심잇슈들을 보다 많이 다룸으로써 실현될 수 있다고 제안했다. 이 목표를 달성하기 위하여는 온라인과 오프라인의 긴밀한 정보교환, 기자들간의 긴밀한 네트워크 확립 등을 비롯한 구소련 각지역신문들간의 보다 긴밀한 협력, 각각의 독특한 역사적 지역적 배경을 활용한 특성화와 고유영역 개발의 필요성을 방안으로 제시하였다.

      • KCI등재

        러시아혁명 전후 시기 계봉우(桂奉瑀)의 항일민족운동, 1919~1922 : 기독교 민족주의자에서 사회주의자로

        반병률 ( Ban Byung-yool ) 인하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11 한국학연구 Vol.0 No.25

        계봉우(桂奉瑀, 1880~1959)가 1916년 11월 일제당국에 의해 북간도 하마탕에서 체포되어 국내로 압송되어 거주제한을 받고 있다가 국내를 탈출한 것은 1919년 3ㆍ1운동 이후의 일이다. 3월 1일 당시 계봉우는 남대문 일대에서 3ㆍ1만세시위운동을 직접 목격하였다. 계봉우는 3ㆍ1운동 조직자의 한 사람으로 제2차 만세시위운동의 지휘책임자였던 보성전문학교생 강기덕에게 독립선언서 초안을 작성하여 넘겨주기도 하였다. 1919년 8월경 원산에서 후일 신임 사이토 총독 저격사건의 주역이 되는 강우규의 동지 최자남의 도움으로 블라디보스토크로 망명하는 데 성공하였다. 가족을 만나기 위해 북간도에 간 계봉우는 북간도 국민회의 위촉을 받아 3ㆍ1운동 이후 조직된 북간도 각 단체들의 통합을 위해 노력했으나 성과를 보지 못하였다. 그 후 국민회의 파견으로 임시정부 의정원 의원으로 파견되었다. 철혈광복단 단장으로 선임된 계봉우는 임시정부와 국민의회의 통합을 반대하는 일부 철광단 단원들의 소수의견을 받아들이지 않고 상해로 가서 상해임시정부에 참여하였다. 계봉우는 상해에서 의정원 의원으로 활약하면서 『독립신문』에 러시아와 북간도의 이주사와 민족운동에 관한 글들을 발표하는 등 왕성한 집필활동을 전개하는 한편, 김립의 권유에 따라 고토쿠 슈스이(幸德秋水)의 『사회주의 신수(社會主義 神髓)』를 읽고 한인사회당에 가입하였다. 계봉우가 한인사회당에 입당한 동기는 민족의 완전한 독립과 진정한 자유 그리고 영원하고 안전한 생존권 확보를 위해서는 사회주의혁명밖에 없다고 판단한 때문이었다. 1910년대 독실한 기독교 민족주의자였던 계봉우가 3ㆍ1운동이후 해외로 망명하여 사회주의를 정치적 이념으로 받아들이게 된 것이다. 한인사회당 입당 후 계봉우는 당 기관지인 『자유종』의 주필로 활약하였다. 1920년 9월초 한인사회당이 한인공산당으로 확대ㆍ개편되면서 당에 의해서 계봉우는 김립과 함께 러시아로 파견되었다. 계봉우는 1920년 12월 2일 치타에서 박애, 장도정, 김진, 박창은과 함께5두제로 된 한인부(러시아공산당 중앙위원회 원동부 산하) 위원에 선임되었다. 이후 계봉우는 3인으로 구성되는 한인부 간부회 위원에 선출됨과 동시에 선전선동출판부장에 선임되어 1921년 2월부터 기관지 『노동신문』을 발행하였다. 그러나 국제공산당(코민테른) 동양비서부장 슈미야츠키를 배경으로 하는 이르쿠츠크파의 탄압을 받게 되어, 계봉우는 박애, 장도정, 김진 등 한인부 간부들과 함께 1921년 5월 9일 원동공화국 총사령부에 체포되어 이르쿠츠크로 압송되었다. 이후 5월 22일 이르쿠츠크파 이성, 김철훈, 채성룡으로 구성된 재판부가 내린 판결에서 박애는 8년 징역, 계봉우, 장도정, 김진은 5년 징역을 선고받았다. 이후 이들은 소비에트러시아 제5군단과 동시베리아군대혁명법원에서 열린 제2심에서 감형을 받아 박애 5년 징역, 계봉우, 장도정, 김진은 3년 징역을 선고받았다. 계봉우 등이 석방된 것은 1921년 12월인데 이는 이동휘 등 상해파 고려공산당 대표단이 1921년 가을 모스크바에서 전개한 외교활동 덕분이었다. 계봉우는 1922년 10월에 개최된 고려공산당 통합대회에 북간도 연길현 대표로서 참석하여 상해파의 간부로서 활동하였다. 이 대회에서 계봉우는 새로이 선출된 ‘통합고려공산당’의 중앙간부 10명의 하나로 선출되었다. 그러나 대회는 제3국제공산당(코민테른)이 통합대회로서 승인하지 않았다. 시베리아내전이 종결된 1922년 말 이후 계봉우는 러시아연해주에 머물면서 국내와 만주를 중심으로 전개되고 있던 공산주의운동에서 한발 물러나 있었다. 그리하여 1937년 카자흐스탄 크즐오르다로 강제 이주 되기까지 계봉우는 교육, 집필 그리고 반종교ㆍ무신자운동을 통한 한인사회의 사회주의적 건설과정에 참여하였다. 계봉우의 활발한 집필활동은 그가 원동에서 『선봉』 그리고 카자흐스탄에서 『레닌의 긔치』에 게재된 그의 기고문들을 통해서도 확인할 수 있다. 머리말에서 언급하였듯이, 1936년 1월 28일에 계봉우가 작성한 「리력서」에서 주목되는 것은 ‘교육사업’이나 ‘저작사업’의 경우 1935년까지의 활동이 기록되어 있다. 그러나 ‘민족혁명사업’의 경우에는 1920년 삼월에 베르흐네우진스크로 들어간 사실까지만 기록하였다. 그 이후 시기에 계봉우의 활동이 교육과 문화저술 활동에 치중한 것도 사실이나 1920년 말 이후1922년 말까지 그가 보여주었던 활발한 혁명활동에 비하면 의외라 할 것이다. 1921년~22년의 기간에 그리고 그 이후 얼마 동안 치열했던 동족상잔의 파쟁에 대한 회한과 환멸에서 비롯된 바 적지 않을 것이다. 그가1920년대 전반과 중반 공산주의운동에 관한 일본첩보기록에서도 그의 이름이 적지 않게 나오는 것으로 보면 그가 조선공산주의 운동에 완전히 손을 뗀 것이라고 단언할 수 없다. 그러나 그의 활동의 무게중심이 교육, 언어, 민속, 종교 등의 여러 분야에서 소비에트러시아 한인사회를 사회주의적으로 개조하는 활동으로 옮겨진 것만은 확실하다. 계봉우가 「리력서」를 남긴 1936년 1월 28일의 시점에 주목해 보자. 이때를 전후로 한 시기에 상해파의 핵심인물이었던 김아파나시(1936년 1월24일 피체), 김미하일, 이문현(李文鉉, 1935년 11월 18일 피체), 최태열(崔泰烈, 1935년 11월 4일 피체), 홍파(이민환, 1936년 1월 21일 피체), 박일리야(1936년 1월 21일 피체), 이인섭(李仁燮, 1936년 3월 20일 피체) 등이 체포되고 있었던 상황에서 계봉우는 자신에게 스탈린대탄압의 그림자가 자신에게 닥쳐올 것이라고 예상하였는지도 모른다. 그러나 다행히 그는 스탈란대탄압의 광풍으로부터 살아남았다. It was after the March First Movement that Gye Bong-U had escaped to Vladivostok, Russia. He was at the time under a three-year house arrest by the Japanese in his hometown, Yeongheung, in Hamgyeong Province. He had been arrested at the end of November 1916 by the Japanese in Wangqing Prefecture, Jilin Province, Manchuria, and was deported to Korea. Gye Bong-U participated in the March First Movement in Seoul and drafted Korea’s declaration of independence. Gang Gi-deok, a student of the Boseong College, and the organizer of the second demonstration, had asked Gye Bong-U to prepare it. Gye was eventually successful in escaping to Vladivostok with the help of Choe Ja-nam. Choe Ja-nam would later participate in Gang U-gyu's plot to assassinate government-general Saito Makoto, who had arrived in Seoul station in September 1919. Gye traveled to North Chientao to meet his family in November 1919. There, the National Association of Koreans in North Chientao(Gungminhoe) requested that he persuade key members of various anti-Japanese organizations to unify all Koreans in North Chientao. However, Gye Bong-U was unsuccessful and was instead dispatched by the Gungminhoe to Shanghai to establish a close relationship with the Provisional Government. The Iron-Blood Union (Cheolhyeol Gwangboktan) appointed Gye Bong-U as the head of the Union. Some of the members of the Union opposed him from joining the Provisional Government. Rejecting the opposition, Gye Bong-U decided to go to Shanghai and work as the member of the Korean Provisional Assembly. Gye Bong-U contributed several series of articles to the Dongnip Sinmun (The Independence). In those articles, Gye Bong-U introduced the history of Korean communities in Russia and North Chientao and biographies of Kim Aleksandra, one of the earliest Korean Bolsheviks. By the introduction of Gim Rip, a key member of the Koreans Socialist Party (Hanin Sahoedang) and the chief-secretary of the Provisional Government Cabinet, Gye Bong-U read the book titled ‘The Essence of Socialism’ written by Kotoku Shusui, a famous Japanese anarchist. Upon reading the book, Gye Bong-U concluded that a socialist revolution was the only way to fully achieve national independence, real freedom, and the safe right of existence. Gye Bong-U, who used to be a sincere Christian nationalist, came to adopt socialism. He began serving as the editor-in-chief of the party organ, the Bell of Liberty. The Korean Socialist Party congress held in early September, 1920 changed its name into Korean Communist Party(Hanin Gongsandang) and resolved to dispatch Gim Rip, Gye Bong-U and Yi Han-yeong to Russia. Gye Bong-U, together with Gim Rip went to Chita through Beijing, Ulan Bataar and Verkhne-Udinsk. In December, Gye Bong-U was appointed as one of the five members of the Korean Bureau (Haninbu), which had the objective of organizing a nationwide Korean Communist Party. The Korean Bureau was closely affiliated to the Far Eastern Bureau (Wondongbu) of the Russian Bolshevik Party. Other members of the Bureau included Bak Ae, Jang Do-jeong, Gim Jin, and Bak Chang-eun. Gye Bong-U was also responsible for propaganda, instigation, and publication of the weekly bureau journal, the Nodong Sinmun (Labor Gazette). On May 9, 1921, Gye Bong-U, along with other members of the Haninbu, was arrested by the General Staff of the Far Eastern Republic and was transferred to Irkutsk. All the suppressive actions against Gye Bong-U and his colleagues were designed and initiated by Shumiatskii, the head of the Far East Secretariat of the Comintern and the Irkutsk faction of the Korean Communist Party. Bak Ae was sentenced to five years of imprisonment while Gye Bong-U, Jan Do-jeong and Gim Jin received three year sentences. It was in December, 1921 that Gye Bong-U was released, along with three of his associates due to the diplomacy of the Korean Communist Party (Shanghai faction) delegation headed by Yi Dong-hwi. In October, 1922, Gye Bong-U participated in the Party Congress, which was held in Verkhne-Udinsk with the purpose of founding the unified Korean Communist Party. Though Gye Bong-U was elected to the Central Executive Committee of the Korean Communist Party, Comintern never recognized the Party Congress. Since the end of the Siberian Civil War, Gye Bong-U kept his distance from the Korean Communist movement. Instead, he was active in education, writing and anti-religious movement until the forced deportation of Koreans to Central Asia in 1937.

      • KCI등재

        이범진(李範晉)의 자결(自決) 순국과 러시아와 미주 한인사회의 동향(動向) : 1905년 이후를 중심으로

        반병률 ( Ban Byung-yool ) 인하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12 한국학연구 Vol.0 No.26

        이범진은 일본의 강제적인 한국병합 5개월 후인 1911년 1월 26일 제정러시아 수도인 상트 페테르부르그에서 자결 순국하였다. 그는 러시아짜르니콜라이2세, 고종황제, 그리고 서울에 거주하고 있던 장남 이기종 앞으로 유서를 남겼다. 나라의 멸망과 고종의 권력 상실에도 원수인 일본을 물리칠 수 없고 국권회복의 방책도 없는 상태에서 죽음을 택할 수밖에 없으니 양해해 달라는 내용이었다. 이범진은 자결 3개월 전인 1910년 10월경 러시아연해주 블라디보스토크의 김현토와 미주 샌프란시스코의 신한민보사로 유서와 같은 맥락의 심경을 밝히는 편지와 함께 갖고 있던 재산을 나누어 보냈다. 이범진은 자신의 기부금의 수신자로 블라디보스토크 한인사회에는 청년회와 한민학교 두 기관과 개인 6명(이범윤, 이상설, 유인석, 김현토, 안중근 의사 부인, 민긍호 의병장 부인)에게, 그리고 미주 한인사회에는 신한민보사와 대동보국회, 한인소학교 등 기관과 단체를 구체적으로 거명하였다. 이범진이 명시한 기부금의 수신처를 비교해보면, 우선 그가 청소년교육과 언론활동에 큰 기대를 걸었음을 의미한다. 이는 그가 신한민보사에 보낸 편지에서도 확인할 수 있는 바, 1906년 이후 추구했던 외교활동과 급진적인 의병활동이 모두 실패로 귀결된 상황에서 청년교육과 언론활동 등의 점진적인 활동에서 국권회복의 잠재적 가능성을 찾았음을 의미한다. 러시아 연해주의 경우 특히 기부금의 수신자로 거명된 인물들은 헤이그밀사 사건, 동의회 의병활동, 13도의군, 성명회 등 이범진이 러일전쟁 이후 항일구국운동에서 자신이 지원하고 협력했으며 국권회복의 마지막 희망을 걸었던 항일운동의 동지들이거나, 안중근 부인이나 민긍호 의병장 부인처럼 당시 연해주에 머물고 있었으나 생활고에 어려움을 겪고 있던 항일투사들의 가족들이었다. 이 논문에서는 이범진의 자결과 기부금 송금과 관련하여 1910년 일본의 강제적인 한국병합에서 자결에 이르기까지의 5개월간의 기간에 상트 페테르부르그에서 이범진과 가장 가깝게 지내며 기맥을 통하고 있던 이갑의 역할에 주목하였다. 이갑은 1910년대 3월 이후 고종황제를 수차례 접견하고 러시아황제 니콜라이2세에게 전달하는 밀서의 전달을 책임진 밀사로 선임되어 러시아에 파견되었다. 그리하여 이갑이 국내를 탈출한 이후 칭다오, 상하이를 거쳐 연해주의 얀치허(연추), 블라디보스토크을 지나 상트페테르부르크에 이르는 행적을 밝혔다. 이범진과 이갑의 만남은 1910년 11월경으로 추정되며, 이범진은 이갑을 통하여 고종과 러시아지역 항일세력들의 동향, 특히 한인사회내의 지방파쟁에 대한 자세한 정황을 파악하게 되었다. 특히 이범진은 청년교육의 중요성을 강조한 이갑의 계획에 공감하게 되었다. 또한 주미공사로서 미주의 한인사회에 인연을 갖고 있던 이범진은 안창호 등 공립협회-국민회-대한인국민회의 주요인물들과 밀접한 관계를 맺고 있던 이갑을 통하여 미주 한인사회, 특히 신한민보의 언론활동과 학생양성소 설립 등의 청년교육에 깊은 관심을 기울이게 되었다. 러시아의 지원을 배경으로 하여 기울어가고 있던 대한제국의 국권회복을 위해 외교적, 군사적 항일운동을 전개하던 이범진이 ‘한일병합’으로 인한 절망적 상황에서 새로운 국권회복방안으로 점진적인 교육ㆍ언론활동에 희망을 걸게 된 것이다. 러시아지역은 1906년 이후 일본통치하의 대한제국 정부의 주러 공사직을 박탈당하여 사실상 망명생활에 들어간 이범진이 국권회복운동에 마지막 기대를 걸었던 곳이다. 러일전쟁 이후 연해주에서 전개되었던 항일구국운동이 일본의 강제적 한국병합으로 실패로 돌아가게 되자 이범진은 국권회복에 대한 희망을 상실하였다. 설상가상으로 한인사회에서 전개된 동족상잔의 지방파쟁은 이범진이 더 이상 연해주 지역에서의 구국운동에 대한희망을 접게 만들었다. 미주한인사회에서 이범진은 헤이그 평화회의 파견대표단의 주역으로, 그리고 고종황제의 외교대권수행자로 알려지기도 했다. 자결순국이전 미주 한인사회의 이범진에 대한 평가는 대체로 부정적이었다. 그것은 아관파천의 주역으로 국권을 외세인 러시아에 위탁한 점, 주미공사시절 유학생 등 미주 한인사회를 위해 별다른 활동을 하지 않고 불미스러운 일화을 남긴 점, 합병직전에 권위주의적이며 특권적 행태를 보이고 있던 의병장이 범윤과의 긴밀한 관계 등이 그러한 부정적인 평가의 근거들이었다. 그 배경에는 공화주의적 정치이념을 선호하였던 국민회와 신한민보 등 미주한인사회의 지배적인 정치적 이념에서 비롯된 것으로 고종황제의 충신으로 군주론자였던 이범진에 대한 평가가 좋을 리가 없었다. 그러나 자결순국이후 이범진에 대한 미주 한인사회의 평가는 대한인국민회 기관지인 신한민보의 주도로 긍정적인 방향으로 긍정적으로 바뀌게 된다. 이후 이범진은 국권회복을 위해 투쟁한 순국선열로서 소개되었으며, 청국과 일본에 대하여 남다른 독립정신을 소유했던 인물로 재평가되었다. 이 논문에서는 그동안 학계에서 크게 주목하지 않았던, 순국 전후 이범진이 미국의 신한민보사에 보낸 이범진의 사진, 서신과 시(詩) 등을 게재한 『신한민보』 등의 보도기사 등을 새로이 소개하였고, 이를 통해 사후에 이범진이 1945년까지 미주한인사회에서 어떻게 기념되었는가를 살펴보았다. 이범진의 자결 순국은 항일구국운동의 한 시기가 종결됨을 의미한다. 1904~1905년의 러일전쟁 이후 이범진이 국내의 고종황제와 긴밀히 연락하면서 추진했던 외교적 활동과 무장투쟁 방식의 구국운동은 러시아의 지원과 원조가 필수적이었다. 그러나 러시아가 일본과 사실상의 동맹관계로 들어가게 되고 ‘한일합병’이 체결되면서 이들 항일운동이 좌절되었고, 이범진은 새로운 항일방략을 찾을 수밖에 없었다. 그리하여 이범진은 장기적인 전망 하에서 청년을 교육 양성하는 방안에 희망을 걸었다. 그 동안 추진했던 일련의 구국활동이 모두 좌절된 상황에서 이범진은 자결을 결심함과 동시에 자신의 모든 재산을 러시아연해주와 미주의 한인사회에 기부하였다. 청년양성과 언론활동에 대한 이범진의 희망과 기대가 담겨진 것이었다. Yi Beom-jin committed suicide in St. Petersburg, the capital of Tsarist Russia on January 26, 1911, five months after Japan's forced annexation of Korea. Yi Beom-jin left three draft telegrams (suicide notes) under his bed. One telegram was for the Russian Emperor (Nikolai II), one was for the Korean Emperor Gojong, and the other one was for his first son in Seoul, Korea, Yi Gi-jong. All telegrams had the same content. “Our country has been destroyed and the emperor has lost his place. But we cannot repulse our enemy. It is a sin to live without having any plan to restore our statehood. As I cannot control my great anger any further, I can only choose to commit suicide. I hope you will understand this.” About three months before his sacrificial death, Yi Beom-jin had divided his assets to be donated to the Korean community in Vladivostok in the Russian Maritime Province and to the Korean community in San Francisco in the United States. Yi Beom-jin had paid a lot of attention with great expectation to the two areas particularly since Korea had been robbed of its diplomatic rights by Japan in 1905. With this context in mind, this paper has been written to look at the movements of the Korean communities in the Russian Maritime Province and in the United States around the time of Yi Beom-jin's suicide. Russia and the United States, where Yi Beom-jin worked as a diplomat, also provided important bases for anti-Japanese “save-the-nation” movements during the Empire of Korea. While in the peripheries of Russia and the United States, the two regions were important bases of save-the-nation movements and the following independence movement, as they were the hubs of domestic and overseas anti-Japanese movements. The Russian Maritime Province and Manchuria had advantages as bases for independence movements due to their geographical proximity to the Korean Peninsula, historical connections, and existence of widely scattered Korean compatriots. Compared to these areas, there were not as many Korean compatriots in America. However, the Korean communities in America had significant domestic and overseas independence movements in movement strategies and political ideas because of the country's republican political system and political conditions that allowed relatively freer political activities. Yi Beom-jin mentioned specific organizations and individuals to Kim Hyeon-to, along with 5,000 rubles set for them. They included the Vladivostok Youth Association, the Hanmin Hakkyo (Korean People's School) and six people living in Vladivostok. The individuals designated by Yi Beom-jin as beneficiaries of his donations were related to anti-Japanese save-the-nation movements in the Russian Maritime Province. Yi Sang-seol was involved in the event involving secret messengers sent to the Hague. Yi Beom-yun was involved in the Anti-Japanese Righteous Army movement of the Donguihoe (Comrade's Association), and Yi Beom-yun, Yi Sang-seol and Yu In-seok were involved in the Sipsamdo Eugun (Righteous Army of the 13 Provinces) as well as the Manifesto Association's activities. These three individuals specified by Yi Beom-jim were all leaders of anti-Japanese movements in the Russian Maritime Province. In December, 1910, one month before his suicide, Yi Beom-jin sent 6,000 rubles (3,000 US dollars) to Gungminhoe with a note designating the use and purpose of the donation. The beneficiaries were the Sinhan Minbo (NewKorea), the Daedong Chonghoe, and the Korean primary school in San Francisco. By observing the recipients of Yi Beom-jin's donations, we can see that he had a great desire to further both youth education and media activities - this can be confirmed by his letter sent to the Sinhan Minbo. His final decision to conclude his own life was based on the reality that all kinds of d iverse anti-Japanese activities including diplomatic activity and military measures of the righteous army since 1906 through 1910 had failed. In this paper, the author also pays special attention to the role and activities of Yi Gap, who had kept close relations with Yi Beom-jin from November 1910through January 25, 1911 when Yi Beom-jin committed suicide. Yi Gap had been appointed as a secret emissary to Russia by Emperor Gojong around April or May, 1910. Emperor Gojong gave Yi Gap the special assignment of delivering Gojong's secret letter to Nikolai II. Yi Gap had travelled to Qindao, Shanghai and Vladivostok before he met Yi Beom-jin in St. Petersburg. The Sinhan Mino voiced the public opinion of Koreans in the United States at that time, and expressed deep respect for Yi Beom-jin. In this paper, the author attempts to show how Yi Beom-jin was remembered by introducing and analyzing articles which had been published in the Gongnip Sinbo (The United Korean) and the Sinhan Minbo from 1907 through 1945. Yi Beom-jin was introduced and praised as a national hero who had fought for the sovereignty of Korea. In this paper, the pictures, letters, and poems which were sent by Yi Beom-jin and Yi Gap in 1910 and 1911 to the Sinhan Minbo (NewKorea) are introduced

      • KCI등재

        러시아에서의 안중근의 항일독립운동에 대한 재해석

        반병률(Ban Byung-yool) 독립기념관 한국독립운동연구소 2009 한국독립운동사연구 Vol.0 No.34

        An Jung-geun had stayed in Russia almost for three years from the end of November, 1907 to Octover, 1909. An Jung-geun summarized his activities in Russia briefly as follows: the education of Korean compatriots and righteous army activities(euibyeong, 義兵). The activity which An Jung-geun called the ‘education of Korean compatriots’ in Russia was mainly intended to mobilize young volunteers for the righteous army and to collect military fund for weapons and supplies. An Jung-geun travelled around Korean villages in the Russian Far East and delivered speeches to Korean compatriots, firstly in the winter of 1907~1908 and secondly in the winter 1908~1908. In this sense, An Jung-geun’s educational activities in Russia were not based on the strategy of “wanjin undong(gradual advancement)”, but on the strategy of “keupchin undong(immediate advancemnt).” In Russia, An Jung-geun had advocated and sided with the supporters of the ‘keupchin faction.’ When An Jung-geun went to the Russian Maritime Province, he attempted to organize a righteous army troop with the leadership of Yi Beom-yun. When An Jung-geun came to Russia, he wanted to make Yi Beom-yun’ military force advance to the border area where a well-known righteous amry leader, Hong Beom-do was fighting against the Japanese. An Jung-geun hoped that Yi’s and Hong’s righteous army troops would eventually advance deeply into the Korean peninsula and join the righteous army troop whose leader was Min Geung-ho. However, Yi’s refusal of An Jung-geun’s proposal made An Jung-geun find his own way of mobilizing and organizing a righteous army troop with his sworn brothers, Eom In-seop and Gim Gi-ryong. An Jung-geun and his comrades succeeded in gathering eighty-seven young Koreans who volunteered to join the righteous army. The organization of the Dongeuihoe (同義會, Association of Comrades) was the result of the efforts of An Jung-geun and his comrades. The military attack on border areas where the Japanese military troops were defending was not possible without material and spiritual supports of the Korean compatriots in the Russian Far East. Nevertheless, the military attack on the Russo-Korean border area in the summer of 1908 was a complete failure which left a very negative effects on the Korean communities in Russia and following anti-Japanese national movement in the Russian Far East. It was natural that An Jung-geun could not achieve his goal of gathering righteous soldiers and collecting military funds for the second military attack on the Japanese in Korea. Several factors such as the prohibitive and suppressive policies of the Russian government, the internal factional struggle among Korean euibyeong leaders such as Choe Jae-hyeong and Yi Beom-yun, and Choe Jae-hyeong’s refusal to join the righteous army. It was in the unfavorable atmosphere that An Jung-geun decided to organize the Dongeui Danjihoe(Society of Cut Finger). Although the purpose of the two organizations was to mobilize and organize the righterous army, the sitruation around the organizations were quite different. An Jung-geun’s activities left long-lasting influences on anti-Japanese Korean national activities in the Russian Maritime Province and Manchuria.

      • KCI등재

        러시아(소련)의 대한민국임시정부 인식

        반병률(Byung Yool Ban) 한국외국어대학교 역사문화연구소 2010 역사문화연구 Vol.35 No.-

        Except for the brief period of its inception from 1919 to 1920, Right-wing nationalists controlled the Korean Provisional Government (KPG), focusing their diplomatic activities and other policies on Western Europe and America. Since Korean revolutionaries hostile to the KPG took refuge in the Russian Far East, the KPG engaged in fewer contacts with Soviet Russia than with any other government. In the first years after the founding in 1919 of the KPG, the Korean Socialist Party (Hanin Sahoedang, or Shanghai Faction) and the Korean Communist Party (Goryeo Gongsandang, or Irkutsk Faction) served as conduits for financial aid from the Russian Soviets to the KPG. Through these separate factions, the Soviet government sought to promote revolution in Korea. In return for their financial support to the KPG, the Russians expected the KPG to adopt pro-Soviet policies in Korean operations against Japan. However, since Yi Dong-hwi, the chairman of the Korean Socialist Party, resigned the premiership of the KPG in January, 1921, the KPG leadership tilted decisively toward the United States and Western Europe. At the same time rival organizations emerged to challenge the KPG for control of the Korean independence movement. As a result, in 1924 the Comintern and other agents of the newly consolidated Soviet Union (USSR) abandoned their previous efforts to work with the KPG. The USSR maintained a policy of disengagement from the KPG though the end of the Second World War in 1945. This paper examines how from 1919 to 1924 the agents of the Soviet Government and the Comintern evaluated and understood the KPG based on publications in Russian that Korean delegates and representatives dispatched through the KPG or other Korean revolutionary organizations. These publications indicate that from November 1919 to January 1921 the Soviet government entertained high hopes for achieving its goals because the Shanghai Faction (the Korean Socialist Party, HaninSahoedang) Chairman Yi Dong-hwi served as the Prime Minister of the KPG. His well-known revolutionary activities after the October Revolution to draw support among Korean society in the Russian Far East for the Bolsheviks appealed to the Russian Bolsheviks as they consolidated their control of the Soviet government in the Russian Civil War (1917-1922). Under KPG Prime Minister Yi Dong-hwi, Shanghai Faction (Korean Socialist Party) members Bak Jin-sun and Han Hyeong-gwon, also represented the KPG and stressed in their articles that the KPG favored the Bolshevik control of Soviet Russia. Their analysis of the KPG as a pro-Soviet organization influenced the Soviet government and the Comintern to consider the KPG as a prospective partner against Japanese forces then still fighting the Bolsheviks in Siberia. Consequently, the Soviet government in Russia failed to consider the full range of political activities and the broader membership of the KPG, which led the Soviets to neglect the rise of right-wing leaders who favored the West.Following the withdrawal of Yi Dong-hwi and other Shanghai Faction (Korean Socialist Party) leaders from the KPG after the Yi’s failure in reforming the KPG, the Irkutsk Faction (Korean Communist Party, Goryeo Gongsandang) took control of diplomatic relations between Korean revolutionary forces and such leading Comintern agents in Siberia and the Russian Far East as Boris Zakharovich Shumiatsky (Борис Захарович Шумяцкий, 1886-1938) and Grigori Naumovich Voitinsky (Григорий Наумович Войтинский, 1893-1956). The Irkutsk Faction intentionally disregarded the activities of Korean Socialist Party members including Yi Dong-hwi, giving the Soviet government and its Comintern agents a one-sided and negative view of the KPG. 대한민국 임시정부는 1919-1920년의 초기를 제외하고는 전체적으로 우파적 민족운동가들이 주도하였다. 임시정부의 독립운동노선, 특히 그 외교활동은 친서구(親西歐). 친미(親美)적이었다. 이에 더하여 러시아지역은 임시정부에 대하여 가장 비판적이며 대립적이었던 독립운동세력들의 주활동무대였다. 그리하여 다른 지역에 비하여 러시아지역은 임시정부와 관련이 가장 적은 지역이었다.임시정부 초기에 소비에트정부(1922년말이후에는 소련)나 코민테른(Comintern, 제3인터내셔날, 국제공산당)은 한인사회당과 고려공산당을 통하여 임시정부를 통한 친소비에트적, 볼쉐비키노선에 입각한 한국혁명을 도모하기도 하였다. 그러나 1924년이후 소비에트정부나 임시정부에 대한 초기의 기대와 관심을 거둔 이래 1945년 제2차세계대전이 종결되는 시점까지 임시정부에 대한 입장의 변화를 취하지 않았다. 1919년-1924년의 시기에 소비에트러시아[1923년이후는 소련]나 코민테른(국제공산당) 책임자들은 상해임시정부에 대하여 나름대로의 관심과 기대를 갖고 있었다.그러나 임시정부가 점차 우파 일변도의 독립운동단체로 그 위상이 축소, 약화되어가게 되면서 더 이상 제휴·연대의 대상으로 주목받지 못하게 된 것이다.이 글은 임시정부 초기에 러시아(소련)의 임시정부에 대한 인식이 어떻게 변화하여갔는가를 분석한 글이다. 그리하여 이 글에서는 소비에트정부나 코민테른 책임자들의 상해임시정부에 대한 인식이 어떻게 바뀌어갔는가에 주목하였다. 특히, 상해임시정부에 대한 이들 러시아당국자들의 인식이 임시정부의 파견대표들을 비롯한 한국혁명가들(또는 세력)이 소비에트정부와 코민테른 집행부에 제출한 보고서나 신문, 잡지에의 기고문들에 크게 영향을 받은 점에 주목하였다. 이들 임시정부 파견원들이나 한국혁명가들이 제출한 문건들의 영향으로 소비에트정부나 코민테른 당국자들이 임시정부에 대하여 어떠한 인식을 갖게 되었는가 하는 점을 규명하고자 하였다.러시아의 볼쉐비키당과 소비에트정부가 임시정부에 대하여 가장 큰 관심과 기대를 가졌던 것은 한인사회당의 이동휘(李東輝)가 국무총리로 참여하였던 1919년 11월부터 1921년 1월에 이르는 15개월의 짧은 기간이었다. 그리하여 상해임시정부 초기에 대소외교를 주도했던 한인사회당의 한형권(韓馨權)과 박진순(朴鎭淳)은 상해임시정부 구성원들이 소비에트정부와 볼쉐비키세력에 대하여 우호적인 성향을 갖고 있다는 점을 강조하였다. 임시정부에 참여하고 있던 한인사회당 당원들의 상해임시정부에 대한 평가는 레닌을 비롯한 소비에트러시아와 코민테른의 책임자들에게 큰 영향을 끼쳤고 소비에트정부는 임시정부블 매우 적극적인 제휴상대로 상정하게 되었던 것이다.이는 러시아볼쉐비키들에게 그 항일혁명경력이 잘 알려져 있던 이동휘가 임시정부의 국무총리로 활약하고 있었던 때문이기도 하다.그러나 소비에트정부 지도자들의 상해임시정부에 대한 이러한 평가는 임시정부 구성원들의 친소비에트정부(또는 볼쉐비키세력) 성향을 지나치게 강조한 것이다. 당시 상해 임시정부의 인적구성, 운동노선, 활동내용 등을 볼 때, 이러한 평가는 친미적,친서구적인 우익적 측면이 과소평가되거나 간과된 것이다.이동휘 등 한인사회당 인사들이 상해임시정부에서 탈퇴한 이후, 한인사회당(그리고 상해파 고려공산당)에 대신하여 국제공산당 동양비서부를 상대로 한 대러시아외교를 주도하게 된 이르쿠츠크파 고려공산당은 상해임시정부에 대하여 매우 부정적인 평가를 하였으며, 이는 슈미야츠키(Boris Zakharovich Shumyatsky,1886-1938)와 보이틴스키(Grigori Naumovich Voitinsky, 1893-1956))를 비롯한 시베리아와 원동러시아 지역의 볼쉐비키들이 임시정부에 대하여 부정적인 인식을 갖게 하는데 영향을 끼쳤다. 이러한 평가 역시 상해임시정부의 한쪽 측면을 지나치게 강조한 점에서 편향적이었다고 할 수 있다. 그리하여 이들은 상해임시정부의 우파라 할 수 있는 이승만등 기호출신 양반귀족출신들과 이들의 외교론적 활동에만 초점을 맞추고 한인사회당의 활동을 의도적으로 무시하고 왜곡했던 것이다.이러한 인식은 상해임시정부에 참여한 바 있는 김규식와 여운형, 그리고 대한국민의회의 핵심간부인 한명세가 이끌던 원동민족혁명단체대표회(극동민족대회, 극동피압박민족대회)의 ‘한국대표단’의 상해임시정부 평가에서도 계승되어진다. 그리하여 임시정부는 한국혁명을 대표하는 유일한 민족혁명단체로부터 5개 세력의 하나로 그 위상이 떨어지기에 이르렀던 것이다.

      • KCI등재

        러시아 연해주 지역 항일여성운동, 1909~1920

        반병률(Ban, Byung Yool) 한국외국어대학교 역사문화연구소 2005 역사문화연구 Vol.23 No.-

        이 논문에서는 한말이후 1920년에 이르는 시기에 러시아 연해주지역에서 전개된 민한인여성운동을 살펴보았다. 이시기의 항일한인여성은 대체로 러시아혁명이전에는 여성의 교육함양과 상호부의 성격이 강했고, 러시아혁명이후 특히 3․1운 동이후 민족운동이 크게 활성되면서 여성들도 항일민족운동에 적극 참여하였다. 이 논문에서는 예외적으로 선구적인 볼쉐비키 지도자인 여성혁명가 김알렉산드라를 간략히 소개하였다. 현재 남아 있는 문헌에서 러시아지역의 최초의 여성단체는 블라디보스톡 구개척리에서 1909년 12월 28일에 조직된 자혜부인회 (慈惠婦人會)이다. 이 단체는 여성의 교육함양과 상호부조를 목적으로 하였고, 블라디보스톡 한인사회의 유지인 최봉준, 차석보, 이상운, 이형욱 등 유력인사들의 부인들이 중심인물이었다. 자혜부인회는 1911년 중반 구개척리가 폐쇄되고 한인들이 신한촌으로 이주하게 되면서 여성기독교도들에 의하여 재조직되었다. 자혜부인회에 이어 1913년 6월경 대한여자단이라는 단체가 조직되었는데, 공동출자에 의하여 설립한 상점을 공동운영하여 남은 이익을 한인사회의 공동목표를 실현하는데 사용하고자 하였다. 자혜부인회와 대한여자단은 1914년 4월경 한민학교내 여학생을 위한 교실건축비 모금운동을 계기로‘신한촌 대한부인회’로 통합되었다. 자혜부인회나 대한여자단과 같은 조직을 통한 여성운동에 못지않게 연해주의 한인여성들은 한인학교나 권업회,『권업신문』에 대한 재정적 지원, 헤이그 밀사 이준의 전기간행과 유족후원, 애국지사 이갑의 병치료비 후원 등 한인들의 애국 적인 모금활동에 참여하였다. 러시아 2월혁명 이후 한인사회에서 한인여성들의 참여와 비중이 확대되어갔지만, 전체적인 면에서 이들 여성의 위상이 괄목할 정도로 높아진 것은 아니었다. 예를 들어 앞에서 언급했던 바 1917년 6월에 결성된 고려족중앙총회나 1918년 6월에 결성된 전로한족중앙총회 (全露韓族中央總會)와 같은 전체한인의 대표기구의 결성과정이나 집행간부진 참여에서 배제되고 있었던 것이다. 러시아지역 한인사회에서 단연 주목해야 할 인물은 김알렉산드라 스탄케비치이다. 김알렉산드라는 여성운동가로서가 아니라 탁월한 볼쉐비키로서 러시아극동지역 한인사회에 사회주의를 전파하는데 선구적 역할을 담당하였다. 최초의 사회주의정당인 한인사회당은 보편적 이념으로서의 사회주의 도입과 러시아혁명세력가의 연대를 추구했다. 1919년 3․1운동 이후 블라디보스톡의 신한촌을 비롯한 연해주 각지에서의 독립운동이 크게 고조되었다. 대한부인회는 3․1운동이후 부인독립회로 명칭을 바꾸었는데 애국부인회로 불려지기도 했다. 부인독립회는 각 지방에 지회를 설치하는 등 종전에 비하여 활동을 크게 강화하였다. 부인독립회는 점차 이의순, 채계복, 이혜근, 우봉운 등 간도를 거쳐온 온 젋은 애국적 여성들이 가세하면서 활동이 활발해졌다. 이들 부인독립회 간부들은 국치일기념행사, 3․1독립선언기념행사 등의 한인집회에서 주도적인 역할을 맡았고, 교육활동은 물론 새롭게 고조되고 있던 독립군운동을 적극 후원하거나 직접 참여하기도 했다. 1919년 말부터 1920년 봄에 걸쳐 부인독립회는 미국의 원조를 받아 항일무장투쟁에 대비하여 독립군간호를 위한 간호부양성계획을 추진하기도 했는데, 1920년 봄 현재 50여명의 한인여성들이 단기속성과정에 참여하고 있었다. 1920년 4월 4-5일밤 일본군은 연해주일대의 러시아혁명세력과 한인사회에 대한 대대적인 체포, 구금, 학살을 자행하였다. 일본군이 일으킨 이 4월참변으로 연해주지역의 한인독립운동의 기반이 송두리채 파괴되었다. 블라디보스톡의 주요한인단체 간부들이 일본군의 탄압을 피해 중국이나 러시아농촌지방 또는 아무르 주로 도피하게 되는데, 부인독립회 주요간부들인 이의순, 채계복, 우봉운 등 역시 중국과의 국경지대인 이만의 한인부락인 다반촌으로 도피하였다. 이후 이들 부인독립회 간부들은 이후 상해 또는 국내로 무대를 옮겨 애국적 항일운동을 계속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survey the anti-Japanese activities of Korean Women from 1909 to 1920 in the Russian Maritime Province. Kim Aleksandra is briefly introduced. She was the first Korean Bolshevik and she suggested that Korean patriots overcome their factional struggle based on regionalism to seek cooperative work with Russian Bolsheviks. The first organization of Korean women in Russia was the Jahye Buinhoe (Women's Association for Benevolence) which was organized on December 28, 1909 in Gaecheok-ri (Old Korean Village), a Korean village in Vladivostok. The association aimed to provide more educational opportunities and to promote mutual assistance among Korean women. Key members of the association were wives of influential Koreans living in Vladivostok, such as Choe Bong-jun, Cha Seok-bo, Yi Sang-un and Yi Hyeong-uk. The Jahye Buinhoe was reorganized by Korean women Christians in Sinhanchon (New Korean Village), to which Koreans were forced to move in the middle of 1911. Another Korean women's association called the Daehan Yeojadan (Women's Union of Great Korean) was organized in June, 1913 in Sinahanchon. The Daehan Yeojadan established a big shop by members' joint investment and aimed to support Korean communities by profits earned by the company. The two Korean women's associations, the Jahye Buinhoe and the Daehan Yeojadan cooperated in a campaign for raising funds to build classrooms for girl students at the Hanmin Hakgyo (Korean People's School).In addition to the activities of the two women's associations, Korean women in the Russian Maritime Province donated money for supporting Korean schools, the Kweoneophoe (Work Promotion Association), the Kweoneop Sinmun (Work Promotion Gazette), the publication of the biography of Yi Jun, King Kojong's emissary to the Hague, Yi Jun's family and a sick Korean patriot Yi Gap. We can say that after the Russian Revolution, the role of Korean women in the Korean communities increased, but the status of Korean women among Korean communities was not enhanced. For example, there were no Korean women among the key members of the Koryeojok Jungang Chonghoe (Central Executive Committe of Koreans) organized in June, 1917 and Jeonro Hanjok Chungang Chonghoe (the Central Executive Committee of All Koreans in Russia) organized in June, 1918. Before the Russian Revolution in 1917 the Korean women's movement aimed to provide more educational opportunities and to promote mutual assistance among Korean women. After the March First Movement in 1919, more young Korean women took part in anti-Japanese activities, including educational activities and supporting the military activities of Koreans in Manchuria and Russia. Daehan Buinhoe was renamed the Buin Doknipdan (Women's Union for the Independence) and established its branches in the Russian Maritime Province. Young Korean women such as Yi Eui-sun, Chae Gye-bok, Yi Hye-geun, U Bong-un, who came from North Chientao, took the leadership of the Korean women's anti-Japanese movement in the Russian Maritime Province. In order to prepare for future anti-Japanese military activities, they started a short-term course for training nurses with the help of the U.S. Red Cross. Japanese military forces attacked Russian revolutionaries and Korean anti-Japanese patriots in the Russian Maritime Province on the night of April 4-5, 1920 and Korean women leaders including Yi Eui-sun, Chae Gye-bok and U Bong-un ran away to a Korean village near Iman, After several months, they continued their anti-Japanese activities in Shanghai and Korea.

      • KCI등재

        1919년 상해 임시정부 수립 과정에 대한 재검토 -임정수립 기념일 논란을 중심으로

        반병률(Ban, Byung Yool) 한국외국어대학교 역사문화연구소 2019 역사문화연구 Vol.69 No.-

        이 글에에서 필자는 최근 10여 년간 임시정부수립기념일로 해오던 4월 13일을 4월 11일로 바꾸자는 의견에 대한 비판적 견해를 제시하였다. 4월 11일에 임시의정원이 새롭게 임시정부를 창립한 것이 아니라, 4월 8일 국내의 경성독립단 본부로부터 강대현이 가져온 임시정부안을 개편하였다. 4월 11일이 갖는 역사적 의의는 임시의정원에서 임시정부를 새롭게 수립하였 다는 사실이 아니라, 대한민국 국호를 정하고 임시정부의 위치를 상해로 정한 사실, 특히 임시헌장 10조를 선포한 점에서 찾아야 한다는 점을 강조했다. 특히 임정당국자들 역시 4월 11일에 임시헌장 10조를 제정 선포한 역사적 사실을 중시 하였다. 굳이 임시정부수립기념일을 새롭게 정하려고 한다면, 현행의 4월 13일을 실증적 근거와 기념일로서의 의미가 약한 4월 11일로 바꾸기보다는 1919년 당시 국내외의 광범한 지지를 바탕으로 출범한 통합임시정부의 성립과 출범에 맞춰서 정해야 한다. 그리하여 한성정부가 국민대회를 통하여 선포된 4월 23일, 각원선 출(9월 6일)과 임시헌법개정안의 임시의정원 통과를 대외적으로 선포한 9월 11 일 또는 주요 각원들이 취임식을 거행한 11월 3일 등을 임시정부수립기념일의 대안으로 검토할 수 있을 것이다. Here we present a view on the idea of changing the anniversary of the establishment of the Korean Provisional Government from April 13th to the 11th. The Provisional Assembly did not form a new provisional government on April 11, but rather reorganized the Provisional Government plan first brought forward by Gang Dae-hyeon - a representative from the headquarters of the Independence Movement Corps in Seoul on April 8, 1919. The historic significance of April 11 stems not from the Provisional Government being established by the Provisional Assembly as it was already organized, but rather as a date when the Assembly determined the name and location (Shanghai) of the Government as well as drafting the Ten Articles of the Provisional Charter. When considering possibly changing the date from the anniversary from the 13th to the 11th, one must discount the importance of the official declaration of the Unified Provisional Government. Official declarations have wide global precedence such as Independence Day (U.S.A.). Close attention should be paid to the exact date of the establishment of the Unified Provisional Government. In this regard, there are better alternatives for the anniversary such as the time when cabinet members were selected (September 6th), the Provisional Constitution was passed (September 11th), and also when key cabinet members were inauguration into the government (November 3rd).

      • KCI등재

        세브란스와 한국독립운동 -3.1운동 시기를 중심으로

        반병률 ( Byung Yool Ban )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의사학과 의학사연구소 2015 연세의사학 Vol.18 No.2

        In this paper, the author attempts to review the activities of the Severance people in the independence of Korea during the March First Movement in 1919. When we refer to the Severance people, the term includes medical doctors and nurses of the Severance Hospital as well as the students of the Severance Union Medical School, the Severance Union Medical College and the Severance Union Nurses` Training School. The Severance Hospital was a place where wounded Korean soldiers were transported and treated when the Korean army revolted against the Japanese army in defiance of the government order of disbandment in August, 1907. During the March First Movement, the Severance people played many active roles. They organized demonstrations, treated wounded victims, protected fugitives, took care of the families of arrested people, and produced and distributed pamphlets and underground newspapers. While evading the Japanese police, some movement members were not able to stay in Korea, electing to take refuge in regions such as China and Russia, where some medical doctors would eventually establish clinics and hospitals. Some were engaged in institutions such as the Red Cross or nurses` training schools. They were constantly exposed to danger while in exile. Severance people were trained and educated in an intellectual environment of the Severance Movement, where they learned about Western Christian civilizations and medical science. In accordance with this, they considered their responsibility and dedication to the community as well to as the nation.

      • KCI등재

        ‘전면적 집단화’시기 러시아 연해주 수청(水淸)지방 한인농촌사회의 제문제

        반병률(Ban, Byung-Yool) 한국외국어대학교 역사문화연구소 2008 역사문화연구 Vol.30 No.-

        이 글의 목적은 1922년말 시베리아내전의 종결이후, 특히 1929년이후 전면적인 집단화가 단행된 이후에 러시아연해주지역 고려인사회가 부딪혔던 제반 문제들을 살펴보는데 있다. 이 문제를 심도있게 살펴보기 위하여 연해주 지역 고려인사회의 전반적인 상황과 함께, 특히 빈농과 고용농민이 대부분이었던 수청지방을 초점을 맞추었다. 수청지역은 러시아연해주 지역에서도 산악지역에 해당하여 산골짜기마다에 한인마을들이 자리를 잡고 있었다. 이곳의 한인거주자들의 대부분은 러시아국적이 없어 토지를 분배받지 못하여 러시아인 지주나 원호인들의 토지를 임대, 소작하거나 머슴살이하던 여호농민이나 고용농민들이었다. 이 점에서 수청지역은 오래전에 이주해 정착한 원호인(촌)들이 많았던 추풍지역이나 연추지역과도 크게 대비되었다. 이러한 지리적 위치와 여호농촌마을들의 형성으로 국내나 다른 지역으로부터 이동해오는 정치적 망명객이나 사회활동가들이 많았다. 그 결과 수청지역에는 한말의병의 책원지로 인식되었고, 한말 미국에 본부를 둔 공립협회와 국민회의 지회가 조직되었고, 이후 러시아당국의 공식인가를 받아 활동했던 권업회와 비밀항일결사 철혈단(철혈광복단)의 지방조직들이 다수 조직되었다. 이러한 전통과 지리적 특성으로 인하여 수청지역은 러시아혁명이후에는 항일빨찌산 활동이 활발했던 지역이었다. 시베리아내전의 종결이후 고려인사회에서는 소비예트화문제, 토지배당 문제, 농업집단화와 교육문화의 확대가 점진적으로 추진되었다. 1929년에 시작된 전면적인 농업집단화(꼴호즈화) 과정에서는 농촌계급분열에서의 ‘좌경’과 ‘우경’으로 상징되는 편향의 문제, 경쟁적인 꼴호즈화의 문제, 농민들의 자발적 참여의 결여, 지나치게 성급한 꼼무나화의 문제, ‘억지’로 꼴호즈에 가입시키려는 ‘억제적 꼴호즈’의 문제, 무계획, 졸속적인 조직으로 인해 단명으로 그치고 만 아르쩰리들의 속출과 그로 인한 악영향 등 여러 가지 시행착오들이 나타났다. 수청지역은 “원동의 유명한 빨찌산 기초초지대요, 혁명적 구역”으로 알려져 왔다. 그리하여 전면적 집단화이후 수청지역의 고려농촌사회가 다른 지역에 비하여 매우 선진적으로 나아갔을 것으로 인식되었다. 그러나 수청지역의 상황은 다른 지역에 비하여 여러 가지 면에서 매우 열악한 상태에 처해 있었다. 그것은 구역집행위원회 간부들이 갖고 있던 대러시아민족주의와 고려인에 대한 민족적 차별에서 비롯된 것이었다. 수청지방의 농촌소비예트는 ‘지리적 표준’이 아닌 ‘민족적 표준’에 따라 조직되어 지나치게 넓은 지역을 포괄하고 있었고, 그에 따라 행정과 사회공공사업 진행에서의 불편과 지체가 일반화되고 있었다. 농촌계급 분렬이 제대로 되지 않은 결과, 꼴호즈 임원진에까지 여전히 토호, 부농, 투기업자, 협잡꾼들이 들어와 있어 꼴호즈의 사업의 장애물이 되고 있었다. 고려농촌소비예트의 경우 러시아말로 사무를 집행하여 러시아어 구사능력이 소비예트 임원선출의 기준이 될 수밖에 없었고, 소비예트 서기의 월급을 고려농민들이 추가 조달해야만 하는 상황이었다. 이러한 언어문제는 ‘고려화(高麗化)에 대한 공산당의 결정과 지시를 실행하지 않은 결과였다. 또한 러시아어를 구사하면 ‘문명인’이고 고려말을 사용하면 ‘야만’이라는 고려인들의 사대주의적 태도와 고려민족을 깔보던 러시아인들의 대러시아민족주의의 결과였다. 대러시아민족주의에 물들은 구역집행위원회 러시아인 간부들이 무토지 고려농민들을 위한 토지정리와 배당, 곡물수매 배정에서 차별적으로 사업을 집행하여왔고, 아동교육이나 사회정치교육에서 의식적인 무관심과 왜곡이 일반화되고 있었다. 심지어 구역집행위원회의 간부당원들이 고려인빈농이나 고용농민에게 토지를 임대, 소작하거나 고려농민들에게 각종 잡세를 부과하는 나쁜 관행을 계속하고 있었던 것이다. The Suchan region is a mountianous area in the Russian Maritime Province where Korean villages were located at almost every valley. Most of the Korean residents were landless foreign peasants(餘戶, yeoho) or farmhands who had recently immigrated to Russia. This is sharply contrasted with the Sufen region or the Ianchikhe region where there were large villages of Korean-Russian(原戶, wonho) population . Considering such a geographical and demographic situation induced a lot of anti-Japansese Korean activists from the border areas of Korea and Manchuria. Accordingly, Suchan was considered as a strategic base for anti-Japanese partisan activities. Branches of the anti-Japanese organizations such as the Kongnip Hyeophoe(United Koreans Association), the Kungminhoe(Korean National Association), Kwoneophoe (Work Promotion Association) and Cheolhyeol-dan(the Union of Iron and Blood) were organized in the Suchan region. Together with these historical tradition and geographical characteristics, the Suchan region became the center of anti-Japanese and red-guard partisan activities. Following the conclusion of the Siberian Civil War, the sovietization, land-allotting, agricultural collectivization and expansion of educational opportunities were gradually carried out in the Korean communities in the Russian Far East. The drastic full-scale collectivization in 1929 brought about several problems such as a tendency of ‘extreme right’ or ‘extreme left,’ competitive collctivization, the lack of voluntary participation of farmers, impatient communization, and forced membership of kolkhozes, the successive appearance of short-lived artel's caused by unplanned and hasty organization. The Suchan region was well-known to have been “a center for partisan activities and revolutionary area.” Accordingly, Suchan was expected to have advnanced further in economic, social, economic, educational and cultural improvement than any other regions in the Russian Far East. However, the Suchan region was in a worse condition compared to other regions. It was basically caused by the Great Russian nationalism and national discrimination held by the Russian executive members of local Russian Communist Party, soviet and other administrations. Village soviets in the Suchan region included too distant areas, for they were organized on the basis of the ‘ethnic standard’ rather than of ‘geographical standard.’ Inconveniences and delays in the administrative process of carrying out public projects were frequently repeated in the Suchan region. Kulaks holding responsible posts in the kolkhozes were still obstacles in the way of carrying out kolkhoz projects. The official use of the Russian language in official conferences, administrative documents and directives also deteriorated the situation. Korean village soviets had to elect a Russian-speaking person for the executive committee regardless of his capability and personality. Korean village people also had to recruit sectretaries for their soviets from other regions. They had to prepare additional fund for the salary of the soviet secretary. Those language problems facing Korean farmers were caused by the local Russian Communist cadres who did not observe the party policy of the ‘Koreanization(Koryeohwa) which the Russian Communist Party and local government had adopted earlier. Deeply-rooted cultural and political belief of the Great Russian nationalism was the major cause for all problems facing Korean peasants in the Suchan region.

      • KCI우수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