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공공공사의 PQ 심사 시 안전평가체계 비교분석 - 한국과 미국 캘리포니아 주 LA지역의 PQ 제도를 중심으로 -

        박희택,오치돈,박찬식,최진우,Park, Heetaek,Oh, ChiDon,Park, Chansik,Choi, Jinwoo 한국건설관리학회 2013 한국건설관리학회 논문집 Vol.14 No.6

        입찰참가자격 사전심사(Pre-Qualification: PQ)에 포함된 여러 평가항목 중, 신인도 항목에 포함된 환산재해율의 평가는 재해발생에 대한 결과에만 치중하고 있어 산재은폐, 공상처리 등의 부작용이 발생하고 있다. 따라서 기업의 적극적인 안전관리활동 및 재해예방에 대한 노력을 평가할 수 있는 사전평가지표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사전평가지표 수립을 위한 기초자료의 제공을 목적으로 미국 LA 지역의 공공기관에서 적용하고 있는 PQ 심사 자료를 수집 분석하여 다양한 안전관련 평가내용을 파악하였다. 그 결과, LA 지역은 과거 프로젝트에서 발생한 재해뿐만 아니라 산재보험 및 재해발생 당시의 규정위반 여부 등 다양한 사후안전관련 평가를 실시하고 있으며, 기업의 안전교육 및 재해예방 프로그램, 안전관리 계획 등 사전안전관련 내용도 평가에 반영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국내에서도 PQ심사에 환산재해율을 포함한 다양한 사후안전관련 평가와 함께 사전안전관련 평가지표를 수립하여 반영한다면, 기존 환산재해율의 기능을 강화함과 동시에 기업의 적극적인 안전관리활동을 유도하고, 나아가 건설산업의 재해율 감소를 기대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The converted accident rates that included in Pre-Qualification (PQ) are to evaluate the results of accidents which have occurred. Therefore, it is demanded the development of proactive evaluation contents to evaluate the safety management activities and efforts on construction compani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basic data for the establishment of proactive evaluation contents at public construction project in Korea through the collected and analyzed the PQ documentation applied by public agencies in Los Angeles, USA. The results indicated that diverse reactive safety evaluations are implemented to examine accidents which occurred in past projects such as occupational health insurance, regulation violation. And also, when the accidents occurred, it is evaluated the proactive safety management actions such as safety education, accident prevention programs, and safety management plans are reflected on the evaluation. Thus, if proactive safety related evaluation contents are established and reflected in PQ examinations together with diverse existing reactive safety evaluations considering converted accident rates, not only the existing function of converted accident rates can be reinforced but also businesses' active safety management activities can be induced and decreases in the construction industry's accident rate can be expected.

      • KCI등재

        공공공사의 입찰과정에서 안전평가체계와 요건의 비교분석 - 싱가포르, 일본 사례를 중심으로 -

        박희택,오치돈,박찬식,최진우,Park, Hee-Taek,Oh, Chi-Don,Park, Chan-Sik,Choi, Jin-Woo 한국건설관리학회 2013 한국건설관리학회 논문집 Vol.14 No.4

        재해율은 건설산업의 재해를 예방하고 기업의 안전관리 활동을 촉진하기 위해 공공부문 건설공사의 PQ심사에 반영되고 있다. 그러나 건설산업의 재해율은 최근 다시 증가하고 있는 추세를 보이고 있으며, 이는 현재 재해율에 대한 평가가 재해예방에 큰 영향을 미치지 못했거나 한계에 달했음을 의미한다. 이에 본 연구는 입찰과정에서 안전관련 평가에 대한 강화의 필요성을 인식하고 싱가포르와 일본을 대상으로 낙찰자 선정 시 안전관련 평가항목 및 기준, 평가방법 등의 현황을 조사 분석하여 국내 공공부문 건설공사의 낙찰자 선정평가에 벤치마킹 할 수 있는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싱가포르와 일본은 법 제도적 측면의 평가, 안전성과 및 실적에 대한 평가, 해당 공사의 안전관리계획에 대한 평가 등 낙찰자 선정 시 다양한 측면에서 안전관련 내용을 평가하고 있다. 따라서, 국내 공공부문 건설공사에서도 낙찰자 선정 시 기업의 안전성과 및 실적, 당해 사업의 안전관리계획 등 종합적인 안전관련 내용을 평가함으로써 기업의 안전관리 활동을 촉진시킬 필요가 있다. 이를 통해 건설산업의 재해율을 감소시키고 안전의식수준을 향상시키며 나아가 건설산업 전체의 안전관리수준에 대한 발전을 유도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Construction accident rates are reflected in the pre-qualification of public construction projects in order to prevent accidents and facilitate the safety management of construction companies. However, the construction industry is still experiencing an increase in accident rates. Hence, there is a need to strengthen existing safety evaluation systems and requirements in public construction tendering.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acquire and provide basic data for benchmarking to select tenderers in domestic public construction projects. In Singapore and Japan, safety evaluation systems and requirements are applied based on various aspects in order to screen tenderers. These evaluation systems include safety regulations and institutional requirements, as well as safety performance and safety management plans of respective construction projects. This study recommends that korean public construction projects also apply similar safety evaluation systems which include comprehensive safety criteria in order to decrease accident rates in the industry.

      • KCI등재

        설계 VE 프로세스 개선을 위한 VE Idea-DataBank System 구축에 관한 연구 - 한국도로공사 고속도로 건축공사를 대상으로 -

        박희택,박찬식,정우섭,Park, Heetaek,Park, Chansik,Jung, Wooseob 한국건설관리학회 2014 한국건설관리학회 논문집 Vol.15 No.1

        건설 VE는 표준화된 작업계획에 의한 정규 워크샵이 아닌 단기간 설계검토 형식으로 업무가 수행되고 있으며, 활용되는 기법 또한 제한적이다. 이로 인해, VE 결과에 따라 기법의 내용을 역으로 맞추는 형태로 과업이 수행되고 있으며, VE의 핵심기법인 기능분석은 생략되거나 형식적으로 진행되는 경우가 많다. 또한, VE 수행시간 및 예산부족, VE 절차 및 기법의 이해부족 등으로 인해 VE 결과에 대한 큰 성과를 기대하기 어려우며, 특히, VE 수행과정상 창출되는 수많은 아이디어 정보를 축적 및 활용하는 방법이 체계적이지 못한 실정이다. 타 기관에 비해 비교적 체계적인 VE 수행으로 많은 성과를 내고 있는 한국도로공사에서도 상기 언급한 문제들이 발견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설계 VE 생산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일환으로 국내 건설 VE 실무의 한계와 고속도로 시설 VE가 갖는 특성을 파악하여 기존 VE 프로세스를 개선하고, 다양한 VE 정보를 효율적으로 축적 및 활용할 수 있는 방안을 제안하였다. Construction value engineering(VE) is often performed in the form of a short term review of designs, rather than during a regular workshop with a standardized work plan, and its application method is limited. Thus, tasks are performed by applying the method in reverse depending on the VE results, and function analysis, a key VE method, is omitted or only applied for the sake of formality. In addition, it is hard to expect great results from VE because of insufficient time and budget allowed to perform VE and a lack of understanding of VE procedures and methods. In particular, the methods used to store and reuse the tremendous amount of ideas and information created during the process of VE implementation is not systematic. Even the Korea Expressway Corporation, which has produced relatively systematic VE performance compared to other institutions, has had the above-mentioned problems.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improve existing VE processes and suggest a method to efficiently store and retrieve VE information by analyzing the limitations of construction VE practice and the characteristics of VE for highway facilities as part of improving design VE performance.

      • KCI등재

        공공건설사업의 최적 발주방식 선정을 위한 의사결정지원모델

        박희택,박찬식,Park, Heetaek,Park, Chansik 한국건설관리학회 2016 건설관리 : 한국건설관리학회 학회지 Vol.17 No.5

        현재 국내 공공건설사업의 발주제도는 입 낙찰제도와 뚜렷한 구분이 없이 혼용되고 있으며, 선정할 수 있는 기준 자체도 단순히 사업예산이나 추정금액에 의해 정해지고 있다. 발주방식은 본래 사업의 특성이나 유형, 목적 등 다양한 요인들의 특성을 적절히 반영하여 결정해야 함에도 불구하고, 주어진 예산이나 기간, 획일적인 법 규정으로 인해 탄력적으로 운영되지 못하고 있어, 이에 대한 근본적인 해결방안을 마련해야 할 필요성이 지속적으로 제기되고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최적 발주방식을 선정할 수 있는 의사결정지원모델을 제안하였다. 이를 위해 문헌고찰과 설문 및 면담조사, 통계적 분석기법을 활용하여 영향요인을 발굴하고, 최종 발주방식 유형별 의사결정지원모델을 제안하여, 실무 적용타당성을 검증하였다. 그 결과 의사결정지원모델은 향후 발주방식을 선정하는데 기초자료로 유용하게 활용함으로써 기존 업무관행을 개선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The Project Delivery System (PDS) is used in mixed way without clear classification from tendering system and the standard itself that can be selected is set with project budget or estimated cost only. Essentially, the PDS should consider and reflect project characteristics and types, internal and external factors for the purpose of improving the lives of citizens and their welfare. However, the current status is not operated flexibly due to the given budget, period and uniform laws and regulations.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this study suggests a Decision Support Model to select the optimal PDS for public construction projects. The current problem of the PDS for public construction projects were identified and the application of a decision support model was proposed. Subsequently a decision-making model was suggested for each PDS using the identified factors and linear discriminant function of discriminant analysis. An additional questionnaire survey and actual practical case analysis were carried out to verify the effectiveness and applicability of the model to actual work. It can be used by adjusting the decision support model and detailed factors according to the specific characteristics of public organization, ability of person in charge and project type.

      • KCI등재후보
      • KCI등재후보
      • 기획논문 : 여성선비의 덕성과 맥락

        박희택 ( Park Hee Taek ) 경북대학교 퇴계연구소 2015 퇴계학과 유교문화 Vol.56 No.-

        선비를 남성에 국한시키지 않고 여성으로 확대하여 볼 때, 여성선비 곧 女士의 성립을 상정할 수 있다. 역사적으로 여성선비의 성립은 女學士들에 의한 여성선비서의 편찬과 더불어 이루어졌다. 女士의 준거개념으로 선비[士].君子.大人.大丈夫 등이 있는데, 『논어』와 『맹자』를 중심으로 엄밀독해하여 보면 이들은 용어상의 차이에도 불구하고 크게 상이한 것이 아니라고 하겠다. 여성을 주체화하는 여성선비와 관련해서는 더욱 그러한 양상을 보인다. 女士와 女中君子와 女中學者가 두루 사용되어 왔다. 여중군자로 불린 張桂香(1598~1680)에게서는 세 가지 용례를 다 발견할 수 있다. 여성선비는 현모양처의 측면이 분명히 있으면서, 학식이 풍부하고, 시문에 능 하며, 단정하고 의연한 덕성을 품고 있었다. 조선 중기의 장계향의 경우 四德으로 표현되고 있는데, 仁愛懇惻과 樂善好義와 終始如一과 導人爲善이다. 장계향은 사람들을 사랑하고 측은하게 여겼고, 착한 일을 즐거워하고 옳은 일을 하기를 좋아하였으며, 이렇게 하기를 젊을 때부터 늙을 때까지 처음과 끝이 여일하게 하였고, 자신에 머물지 않고 사람들을 인도하여 함께 착한 일을 하도록 하였다. 조선에서 여성선비의 맥락은 ‘신사임당 - 장계향 - 임윤지당 - 김만덕’으로 계보학을 형성한다. 신사임당은 현모양처로서, 장계향은 여중군자로서, 임윤지당은 여성성리학자로서, 김만덕은 醫女班首로서 그 위상을 확보하고 있다. 현대에 이르러서는 2008년 이래 경북 여성리더들이 전개하고 있는 女中君子運動이 그 맥락을 이어가고 있다. When it is viewed by expanding women without confining to men, the establishment of woman scholars(yeosa, 女士) may soon assumed. Historically, the establishment of woman scholars have been made with the compilation of the books for woman scholars by the woman educational scholars(女學士). There are 4 concepts, that is, scholars(士), man of virtues(君子), man of generosity(大人), man of great spirit(大丈夫) as the criteria concepts of woman scholars. I realize that these are not different from each other in spite of differences in terminology through reading closely the Analects of Confucius(論語) and Mencius(孟子). In connection with woman scholars subjecting women, such aspects are more likely not to be different from each other. Yeosa(女士) and woman of virtues(女中君子) and woman of scholars(女中學者) have been used throughout. For Jang Gye-hyang(張桂香, 1598~1680) referred to as the woman of virtues, all three applications can be finded. The virtues of woman scholars are clearly having aspects of good wife and wise mother, highly literating, able to writing poetry, fulfilling with well-conducting and resolute virtues. In the case of Jang Gye-hyang in the middle years of the Joseon Dynasty, there were have been represented four virtues(四德), namely inaeganchuk(仁愛懇惻) and nakseonhoeoi(樂善好義) and jongsiyeoil(終始如一) and doinwiseon(導人爲善). Jang Gye-hyang loves and feels sorry for people(inaeganchuk), enjoys good works and is fond of doing the right thing(nakseonhoeoi), does consistently from young age to old(jongsiyeoil), brings people to go together good works beyond her own(doinwiseon). The genealogy of woman scholars in the Joseon Dynasty is ‘Shin Sa-im Dang, continuing Jang Gye-hyang, continuing Lim Yoon-ji Dang, continuing Kim Man-deok.’ Shin Sa-im Dang is a symbol of good wife and wise mother, Jang Gye-hyang is a representative woman of virtues, Lim Yoon-ji Dang is a woman Confucian scholar, Kim Man-deok is a byword of social worker. In the modern times movement for woman of virtues by woman leaders in Gyeongbuk province since 2008 continues its genealogy.

      • KCI등재

        신라 하대의 불교와 정치

        박희택(Park Hee-Taek) 한국동양정치사상사학회 2008 한국동양정치사상사연구 Vol.7 No.2

        이 논문은 신라 하대의 불교와 정치의 관계를 다룬 것이다. 이를 위하여 신라 중대의 불교와 정치의 관계를 영향사적 맥락에서 먼저 검토하였다. 신라 중대의 전제 왕권을 뒷받침한 정치이데올로기는 화엄사상과 법상종 및 정토사상 등을 들 수 있다. 정토사상 가운데 미륵상생사상과 미타사상은 신라 중대의 귀족과 일반민중의 의지처로 기능하였다. 신라 하대의 불교와 정치의 관계는 이러한 영향사 아래 전개되었다. 진골귀족의 반대운동으로 전제왕권이 해체되고 귀족연합정치가 전개된 정치변동은, 화엄사상이나 법상종같은 복잡한 교리가 아닌 개인주의적 성격을 지니는 선종과 현세지향적인 미륵하생사상을 선호하게 하였다. 미륵하생사상은 법상종과 연결된 것이므로 법상종 또한 신라 하대의 정치이데올로기로 여전히 작용한 것으로 보인다. 신라 하대의 불교와 정치의 관계에서 반드시 하나 더 주목해야 할 사상은 밀교(비로자나불사상)이라 할 것이다. 통일신라 9세기 이후 신라 전역에 조성된 비로자나 불상이 그 반증이 된다. 이것은, 1) 신라 하대의 무상한 정치현실을 넘어서 영원광명을 지향하는 측면에서 빛의 부처님인 비로자나불을 모셨다는 점, 2) 신라불교사상사의 전개상 신라 하대는 화염불교에서 밀교로 나아가고 있었다는 점, 3) 신라 하대의 사상계가 화염불교보다는 밀교에 친근성을 보였다는 점 등과 결부된다. 신라 하대의 신라인들은 스스로 빛의 부처님이 되어 한계를 넘어서고자 하였다. 분절된 정치를 사상적으로 통합한 변증은 선종이나 미륵하생사상, 법상종이 아닌 밀교의 비로자나불사상에 의해 이루어졌다. This paper treats of the relationship of Buddhism and politics of Silla Hadae(下代). In order to study this subject, I examine in advance that of Buddhism and politics of Silla Jungdae(中代). Political ideology that supporting despotic regime of Silla Jungdae is Hwaeomsasang(華嚴思想) and Beobsangjong(法相宗) and Jeongtosasang(淨土思想) and so on. Political change of Silla Hadae, that is, dissolution of despotic regime and development of aristocracy brought on the preference for Seonjong(禪宗) and Mireukhasaengsasang(彌勒下生思想). For all that, we should take notice of Esoteric Buddhism(Vairocana Buddha thought). Because, Vairocana Buddha of Esoteric Buddhism is Buddha of light who console people exhausted due to politics with rays, Main stream of Silla Hadae is not Hwaeomsasang but Esoteric Buddhism, Seonjong runs through Esoteric Buddhism. People of Silla Haedae had intention to get over the limit through being Buddha of light themselves. The dialectic of segment and integration of Silla Haedae could be realized by Vairocana Buddha thought of Esoteric Buddhism.

      • KCI등재

        BIM 기반 VE 워크샵 단계의 업무 향상을 위한 프로토타입 개발에 관한 기초연구

        김호준,박희택,박찬식,Kim, Hojun,Park, Heetaek,Park, Chansik 한국건설관리학회 2015 건설관리 : 한국건설관리학회 학회지 Vol.16 No.3

        국내 VE 워크샵은 과거의 정보를 배제하고 단순히 전문가의 지식에 의존하여 수행하거나 업무자체의 일부를 생략 혹은 획일적으로 진행하는 경우가 대다수이다. 이와 같은 문제점은 국내에 VE가 도입된 이래로 끊임없이 나타나고 있으며, 시간적 공간적 제약, 한정된 예산, VE 대상의 이해부족 등이 주요 문제점으로 지적되고 있다. 이를 개선하기 위한 선행연구는 대부분 과거 VE 정보를 수집 및 검색하기 위한 데이터베이스 구축이 주를 이루고 있어 VE를 통해 프로젝트의 가치 및 이익 창출에는 다소 한계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상기 언급한 VE 업무의 비생산적인 업무 형태를 개선하기 위해 Building Information Modeling(BIM), Mobile Computing(MC), Network Service System(NSS), Database Management System(DBMS) 등 ICTs 기술을 융합한 VE 워크샵을 향상시키기 위한 초기 프로토타입을 제안하고자 한다. 결과적으로 본 연구의 최종 프로토타입은 시각적인 이해도 향상, 효율적인 정보 공유, 시간 및 공간의 절감 등 많은 이점을 바탕으로 VE 워크샵 업무의 생산성을 크게 증진시킬 수 있다. 따라서 VE 참여주체는 규정된 절차에 따른 업무수행이 가능하게 되며, 오직 전문가의 경험에만 의존하던 기존 방식을 개선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한다. VE workshop is performed based on VE expert' experiences without retrieving VE data of similar previous projects. Moreover, it usually omitted or applied for the sake of formality due to insufficiently understanding VE function, limited time, space and budget. Even though many studies have established VE databases for retrieving and reusing VE data, VE workshop is still inefficient and ineffective to improve projects' values. With this regard, this study proposes a preliminary prototype for improving VE workshop, which utilizes the state-of-the-art information communication technologies(ICTs) including Building Information Modeling(BIM), Mobile Computing(MC), Network Service System(NSS), and Database Management System(DBMS) for better managing, storing and reusing VE data. The prototype was developed to evaluate advantages and limitations. The results show that the proposed prototype can support visual VE data retrieval from similar previous projects, enhance communication among VE team and save much time and cost comparing to traditional VE. Through this, the productivity of VE workshop can improve efficiently and effectivel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