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SCOPUSKCI등재

        과학기술과 사회 연구의 현황과 과제

        박희제,Bak, Hee-Je 기술경영경제학회 2017 Journal of Technology Innovation Vol.25 No.3

        최근 혁신연구의 발전과정에서 두드러진 변화의 하나는 사회의 발견이다. 이에 본 논문은 혁신연구의 관점에서 과학기술자사회와 과학기술과 시민참여에 대한 국내 연구동향을 정리하여 한국의 기술혁신 연구가 과학기술사회학 나아가 과학기술학과 접점을 넓히는데 기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그동안 한국의 과학자사회에 관한 다양한 경험적 연구들은 대학의 연구자들에게 집중되어 있었고 출연연 연구자들은 훨씬 적은 관심을 받고 있었으며, 기업의 연구자들에 대한 연구는 거의 찾아보기 어려웠다. 또한 연구의 관심이 서구의 연구를 한국에 이식하는 형태가 대다수를 차지하였다. 반면 업적 평가 제도의 변화, 대학 랭킹, PBS 제도 등의 영향이나 학벌 네트워크의 영향에 대한 경험적 연구가 오히려 한국 과학자사회의 독특한 특징을 보여주며 관련 연구에 기여할 여지가 큼에도 아직 이러한 연구는 크게 부족한 상황이다. 다만 과학자사회에 대한 경험적 연구들은 한국사회에서 혁신을 담당하는 연구기관과 연구자들이 오랜 국가주도의 연구개발 경험과 국가주의적 시각으로 인해 정부의 지도에 순응하는 성향이 강하다는 한국적 특징을 보고하고 있다. 한편 시민의 과학기술 참여에 관한 연구는 주로 시민의 과학기술참여를 과학기술 민주주의라는 차원에서 접근하고 있었고, 강한 실천지향적인 모습을 보여준다. 그러나 아쉬운 점은 아직 이러한 시민참여가 어떻게 기술혁신의 방향과 내용에 영향을 미쳤는지 또 미치도록 할 것인지에 대한 연구가 상대적으로 적다는 점이다. 또한 기술혁신의 관점에서 볼 때 시민의 과학기술 참여가 지식생산과 기술혁신에 어떻게 기여하는지가 중요함에도 불구하고 이에 관한 연구가 상대적으로 적었다. 따라서 그동안 과학기술의 민주주의를 강조하던 학자들이 실제로 다양한 방식의 시민참여를 실험해 온 것처럼, 시민들의 지식이 기술혁신에 기여할 수 있는 다양한 방식의 시민참여를 고안하고 구현하는데 혁신연구자들의 실천적인 노력이 요구된다. The goal of the present study is reviewing the literature on the scientific community and also on science, technology & society to increase interactions between innovation studies and social studies of science and technology. Up until now, various empirical studies on Korean scientists and engineers have been concentrated on researchers at universities, while they have paid inadequate attention to researchers at state-funded research institutes and private companies. In addition, these studies have tended to use concepts in Western academia to elucidate Korean cases. On the other hand, recent empirical researches on the effects of the evaluation systems in universities, PBS system, and the network of school ties suggest that these topics may reveal the unique characteristics of Korean scientific community. Empirical studies on the scientific community have also shown that Korean research institutes and researchers who are in charge of innovation in Korea have demonstrated a tendency to conform to the government's guidance due to long experiences of state-led R&D and nationalism. Research on science, technology and society has viewed the participation of citizens in science and technology as a way toward science and technology democracy, and tended to have a strong practical orientation. However, there has been a relatively small amount of research on how citizen participation influences the direction and content of technological innovation. Also, although, from the viewpoint of technological innovation, how participation of citizens in science and technology can contribute to knowledge production and innovation is a critical issue, relatively small numbers of case studies on this subject have been conducted. Therefore, as the scholars who have emphasized the democracy of science and technology have actually experimented with various ways of citizen participation, innovation researchers may have to design and implement citizen participation through which citizens' local knowledge can contribute to technological innovation.

      • SCOPUSKCI등재

        과학기술에 대한 일반시민의 지지도와 정치의식: 사회문제 해결형 연구를 중심으로

        박희제,김명심,Bak, Hee-Je,Kim, Myungsim 기술경영경제학회 2016 Journal of Technology Innovation Vol.24 No.3

        이 논문은 전국적인 설문조사자료를 분석하여 과학연구에 대한 한국인의 지지도가 어떠하며, 어떤 집단이 이러한 지지를 견인하고 있는지를 순수 기초 연구, 산업발전을 목표로 하는 응용연구, 일반시민의 삶의 질 향상을 목표로 하는 사회문제 해결형 연구로 나누어 살펴본다. 분석결과 사회적 정치적 가치 지향에 따라 사회문제 해결형 연구를 포함한 연구 유형별 지지도에 차이가 나타났다. 주관적 정치성향이 진보적일수록 사회문제 해결형 연구를 다른 유형의 연구들에 비해 지지하는 경향을 보인 반면, 보수적일수록 기초연구에 대한 지지도가 높아졌고 신자유주의적 가치지향에 가까울수록 응용연구에 대한 지지도가 높아졌다. 한편 한국사회에서 사회문제 해결형 연구가 지나친 응용연구에 대한 비판으로 대두된 반면, 일반시민들은 이를 응용연구보다 기초연구와 대비되는 것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또한 사회문제 해결형 연구가 전문가주의의 폐해를 극복하기 위해 시민참여를 강조하는 반면, 과학자의 권위와 전문성에 대한 신뢰도 수준이 높을수록 오히려 사회문제 해결형 연구에 대한 지지도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소득 수준이 낮을수록 사회문제 해결형 연구에 대한 지지도가 다른 두 유형의 연구에 대한 지지도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By analyzing a nationwide survey on Korean publics, this study examines the social determinants of public support for three types of scientific research-basic research aimed at pure knowledge, applied research toward industrial application, and research for social problem-solving which aims to enhance ordinary citizens' quality of life. The present study finds the differential effects of social- and political value orientations on the level of public support for respective types of research. As ones have more progressive in their subjective political orientations, they are more likely to support research for social problem-solving than other types of research, while conservatives tend to support basic research and those with neo-liberal ideology tend to support applied research. The Korean public also tends to perceive research for social problem-solving as a counter to basic research while it has been developed against the conventional emphasis on applied research in Korea. Also, the level of support for research for social problem-solving increases with the higher level of trust in scientific authority and expertise, while it has been developed against expertism and included public engagement in science as an important element. Finally, those who have lower income tend to support for research for social problem-solving than other types of research. The implications of these findings are discussed.

      • KCI등재
      • KCI등재

        일반시민들의 과학기술자 직업 선호도 결정요인을 통해 본 이공계 기피현상의 재조명

        박희제(Bak Hee-Je) 한국사회학회 2007 韓國社會學 Vol.41 No.6

        지난 몇 년간 청소년의 이공계 기피현상은 우리나라 과학기술정책의 가장 중요한 현안이었다. 그런데 과학기술자들이 이공계 기피현상의 원인에 대한 진단과 해결방안에 대한 논의들을 주도하면서 이공계 기피현상에 대한 논의는 이들이 처한 현실과 직업적 이해관계를 반영해 과학기술자에 대한 처우개선과 사회적 보상 확대에 대한 요구로 집중되는 결과를 가져오게 되었다. 이 연구는 전국적인 설문조사 자료를 기초로 과학기술자라는 직업에 대한 일반시민들의 선호를 결정하는 요인들을 탐구해 이공계 기피현상 담론의 타당성을 비판적으로 검토했다. 분석결과 한편으로 일반시민들은 이공계 인력에 대한 사회적 경제적 처우가 낮다는 인식을 공유하고 있었다. 그러나 다른 한편으로 이공계 인력의 사회경제적 지위에 관한 인식은 과학자라는 직업에 대한 선호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반면 과학기술자라는 직업의 이미지가 과학기술자라는 직업에 대한 선호도에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과학기술자라는 직업이 갖는 매력이 아직까지 금전적 보상이나 사회적 지위 못지않게 사회와 인류의 복리에 공헌하는 직업이라는 직업 이미지에 의해 영향을 받고 있음을 시사하며, “누가, 왜 과학기술자라는 직업을 높게 평가하고 이를 직업으로 추구하는가?”라는 질문에 대해 지금처럼 경제적ㆍ사회적 보상수준에만 초점을 맞추어 설명하는 것은 오히려 현실에 대한 객관적인 이해를 방해할 수 있음을 보여준다. 마지막으로 이 논문은 과학기술자에 대한 대중적 인식이 직업선호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함의를 논의한다. As the number of applicants for the science and engineering fields in college has decreased, it has become regarded as one of the most serious problems the science and engineering policy should address in Korea. Scientists and engineers have played a key role in the discourse of why it happened and how to solve the problem. In so doing, scientists and engineers’ interests became involved so that the discourse has been centered on the postulated low levels of socal and economic rewards to scientists and engineers in Korea. By analyzing the result of a nation-wide survey, this paper examined determinants of public preference for science related occupations in order to evaluate the validity of popular assertions about why high school students became less interested in applying for science and engineering fields in college in these years. On the one hand, the public tended to accept the assertion that scientists and engineers have received smaller reward than what they deserve. On the other hand, however, public perceptions of the social and economic status of scientists and engineers did not have effects on their preference for science and engineering as an occupation. By contrast, the occupational images of scientists and the public perceptions of science turned out to have significant effects on the job preference. These findings suggest that public preference for science related occupations might be determined by the image of scientists as dedicated men who work for the truth and the benefits of mankind, instead of money or self-glory, rather than by the amount of social and financial rewards to scientists and engineers.

      • KCI등재

        [연구논문] 위험인식의 다면성과 위험갈등 - 위험인식에 대한 사회과학적 이해가 위험정보소통체계에 주는 함의

        박희제(Hee-Je Bak) 한국환경사회학회 2004 환경사회학연구 ECO Vol.6 No.-

        부안사태가 예시하듯 현대사회는 환경·기술위험을 둘러싼 수많은 갈등에 직면하고 있다. 이러한 갈등을 악화시키는 중요한 요소 중 하나는 전문가들의 위험평가와 일반시민들의 위험인식 사이에 놓인 커다란 간극이다. 이러한 간극에 대한 전통적인 시각은 전문가들은 과학적 기술적인 기준에 의해 위험을 객관적으로 평가하는 데 비해 일반시민들은 전문지식의 부족이나 집단이기주의에 의해 위험을 과대평가하는 경향이 있다고 설명해왔다. 그러나 이러한 전통적인 시각에 근거한 전문가중심주의적이고 기술중심적인 위험정보소통체계는 위험갈등의 해소에 기대한 만큼의 성과를 보여주지 못하고 있다. 이에 이 논문은 위험인식에 대한 전통적 시각과 대비되는 위험인식에 대한 사회과학적 연구들-심리학적, 인류학적, 사회학적 연구들-을 살펴보고 이들 사회과학적 시각들이 위험정보소통체계에 주는 함의들을 논의한다. 이들 사회과학적 연구들은 서로 접근하는 방향은 다르지만 일반시민들의 위험에 대한 인식이 단순히 위험에 대한 정보의 양이나 객관적인 위험의 크기에 의해 결정되지 않는다는 점을 보여주고 있다는 점에서 공통적이다. 이들은 특히 위험정보소통체계가 위험평가의 다면성을 인정하고, 전문가들과 다른 일반시민들의 평가기준을 이해해야 하며, 위험평가자와 관리자의 중립성과 객관성을 향상시켜 신뢰를 증진시키고, 이를 위해 전문가와 일반시민들이 위험평가와 위험정보전달과정에 함께 참여하는 쌍방향의 소통체계를 구축해야 위험갈등의 완화 및 해소에 기여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As the Buan incident illustrates vividly. contemporary society faces increasing numbers of conflicts over environmental and technological risks. An important factor exacerbating such conflicts is a gulf between experts》risk assessment and the public》s perceptions of risk. A conventional explanation of the gap has asserted that the public has tended to exaggerate the fisk due to the lack of scientific knowledge or NIMBY while experts have made scientific and thus objective assessments of the risk. Yet the risk communication based upon such a conventional view of risk perception has been much less successful than expectation in reducing conflicts over risks. This paper, therefore, examines psychological, anthropological, and sociological understandings of risk perceptions which provide a contradictory view against the conventional explanation of the risk perceptions. The social scientific studies of the risk perceptions suggest that, in order to establish an effective risk communication, experts should acknowledged the multi-dimensionality of the public》s risk perceptions, make efforts to increase public trust in risk information providers and managers, and build up the interactive risk communication where experts and the public work together in assessing and managing risks.

      • KCI등재

        미국산 쇠고기 파동과 대중의 위험인식의 합리성

        박희제(Hee-Je Bak) 한국인문사회과학회 2009 현상과 인식 Vol.33 No.4

        이 논문은 대중의 과학이해라는 시각에서 2008년 미국산 쇠고기 수입을 둘러싼 논란에서 왜 대중이 미국산 쇠고기의 안전성을 강조하는 정부의 거듭된 설명을 신뢰하지 못하고 저항하게 되었는지를 살펴본다. 먼저 신종 질병인 광우병에 대한 과학적 지식은 불확실성이 크고 지금도 전문가들의 상이한 주장이 충돌하고 있다. 게다가 한미 쇠고기수입 협상은 양국의 자유무역협정과 연계되어 이루어졌기 때문에 정부의 미국산 쇠고기의 안전성에 대한 거듭된 주장은 정치적ㆍ경제적 이해관계를 반영하는 것으로 인식되기 쉬운 정황을 제공했다. 또한 한미 쇠고기수입 협정과 영미에서 이루어진 과학적 위험평가는 한국인의 식습관이라는 특수한 사회적 맥락을 충분히 고려하지 못했다. 마지막으로 정부의 전문가주의는 대중의 과학지식 학습능력을 무시하고 대중의 우려를 선동과 무지에서 비롯된 비합리적인 반응으로 격하했다. 따라서 이번 미국산 쇠고기 수입을 둘러싼 논쟁에서 나타났던 대중의 우려와 정부가 제시하는 과학지식에 대한 불신은 거짓 과학이나 대중의 과학지식 부족 때문이 아니라 과학지식의 한계와 위험통제를 담당하는 사회제도의 문제에서 기인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In 2008, Korea has witnessed a social turmoil over regulating the conditions for importing American beef. This study aims to explain why Korean public did not trust Korean government’s claim that the beef imported from the U.S. was safe from BSE. Since BSE and vCJD were new diseases, scientific knowledge of them has suffered from uncertainty and, thus, even experts have conflicted with each other. In addition, as the agreement for importing American beef has been linked to Korean-American Free Trade Agreement, the public perceived that Korean government had political and economic interests that might compromise food safety. The scientific risk evaluation of American beef has also failed to consider Korean’s unique habit of cooking and eating bones and internal organs of cows. Finally, Korean government tended to ignore public’s ability to grasp scientific knowledge and shrug off public concerns as irrational. Public concerns over vCJD and distrust of scientific knowledge presented by Korean government should be, therefore, understood as the results of the uncertainty of scientific knowledge and the failure of institutions being responsible for risk control rather than the results of public ignorance of science and public irrationality.

      • KCI등재

        국가주도 과학의 상업화와 그 문화적 영향

        박희제 ( Hee Je Bak ) 한국사회역사학회 2013 담론 201 Vol.16 No.4

        이 논문은 한국정부가 과학을 경제개발의 도구로 동원해 온 과정에서 정부의 도구주의적 과학관이 공공부문 과학자의 연구규범과 관행에 미친 영향을 분석한다. 한국정부는 1960년대부터 과학을 산업화를 위한 도구이자 자원으로 인식하고 경제성장이라는 목표를 위해 동원해왔다. 정부의 이러한 시각은 경제개발계획에 연동된 과학기술종합계획 수립과정에서, 산업에 직접적인 도움이 되는 지식 창출을 목적으로 하는 정부출연연구소의 설립과정에서, 또 정부의 대학연구지원에 대한 미지근한 태도와 1980년대 이후 응용 및 개발에 집중된 대학연구 지원정책에서 잘 드러난다. 이러한 한국정부의 과학에 대한 도구주의적 시각과 경제발전이라는 목적을 위한 과학 동원의 역사는 연구비 배분과 과학자에 대한 호명을 통해 독특한 연구환경을 만들었고 대학과 공공연구기관에서 연구하는 과학자들의 연구 규범과 관행에 커다란 영향을 미치고 있다. 즉 1960년대부터 이어진 국가의 도구 주의적 과학관과 이에 기초한 과학정책은 한국의 공공부문 과학자들로 하여금 연구주제를 선택할 때 산업적 응용가능성을 중시하고, 지적재산권을 강조하며, 이를 위해 비밀주의조차 정당한 것으로 수용하도록 유도하고 있는 것이다. 나아가 이처럼 국가에 의해 추동된 과학의 상업화는 과학자들이 지적재산권 추구와 같은 포스트 아카데믹 규범을 개인의 이해가 아니라 국가의 이익을 추구하는 것으로 정당화 하도록 돕고 있다. This paper discusses the ways in which the Korean government has mobilized science for Korea`s economic development and, in so doing, how its utilitarian view of science has affected the norms and practices of Korean scientists. In early 1960s, the Korean government set its first national plan for science and technology promotion, brought a number of Korean scientists back from abroad, and set up state-funded research institutes to assist local firms, which were struggling to enter knowledge based industries. Since the 1980s, it has also pushed university research toward applied and developmental research by distributing government fund in the direction. This paper argues that the Korean government`s efforts to mobilize science and technology for economic development not only had a distinctive impact on the institutional development of Korean science but also encouraged Korean scientists to embrace the utilitarian values of science that view scientific research as a tool for industrialization and nationalism in science that equates scientific advance with national progress. Well before analysts in the US worried about how UIRs were shaping the norms of science, Korean government policies were shaping the norms of science and doing so in a way that deviate from the Mertonian ideal and in a way analysts see as more consistent with the values associated with the incursion of industry into academic science.

      • KCI등재

        누가 기후변화회의론자인가?

        박희제(Hee-Je Bak),허주영(Ju-Young Huh) 한국환경사회학회 2012 환경사회학연구 ECO Vol.16 No.1

        이 연구는 기후변화에 대한 한국인의 인식과 그 결정요인을 분석한다. 단일문항에 의존한 기존의 연구들은 한국인의 기후변화에 대한 관심과 우려정도가 세계에서 가장 높은 수준이라고 보고해왔다. 그러나 이 연구에서 보다 신뢰도가 높은 척도를 이용해 측정했을 때, 응답자의 약 25%만이 기후변화의 옹호론자였고, 약 13%는 회의론자였으며, 절대다수는 중도적인 입장으로 분류되었다. 전체적으로 한국인의 대다수는 기후변화에 대한 내용 자체를 부정하지는 않지만 기후변화 문제 해결에 낙관적이고 따라서 지나친 산업규제는 불필요하다고 생각하는 경향이 강했다. 기후변화에 대한 정보획득노력은 회의론을 감소시켰는데, 일반적으로 옹호론자들이 회의론자나 중도적 입장의 응답자에 비해 적극적으로 정보를 찾는 경향을 보여주었다. 일반적인 추측과 반대로 과학일반에 대한 신뢰정도는 회의론을 증가시키고 있었는데, 이는 과학에 대한 높은 신뢰가 과학기술을 통해 기후문제를 극복할 수 있을 것이라는 기후변화에 대한 낙관적인 태도를 낳기 때문으로 보인다. 보수적인 정치성향 역시 회의론을 증가시켰다. 이는 기후변화정책에서 논의되어 온 정부의 산업규제나 경제적 희생이 시장자유주의를 강조하는 보수적 정치성향에 반하기 때문으로 보이며, 앞으로 기후변화극복 정책이 본격화될 때 한국사회 역시 기후변화문제가 정치적 쟁점으로 확대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This study examines public perceptions of climate change and determinants of the perceptions in Korea. Relying on a single question to measure public perceptions of climate change, previous studies reported that Korean showed the highest level of concern about climate change. However, utilizing a more reliable scale, this study reveals that only about 25% of respondents are categorized as proponents of climate change while about 13% as skeptics. The majority of Korean public is in the middle. In general, Korean do not deny the scientific claims on climate change but tend to be optimistic of and prefer modest steps for overcoming the problem. Efforts to seek information decrease the skeptical view of climate change, so proponents tend to actively seek information of climate change compared to the others, including skeptics. Unlike our initial expectation, the level of confidence in science-in general tends to increase the skeptical view. This finding may reflect that the higher level of confidence in science leads people to a belief that climate change can be overcome by advance of science and technology. Conservative political orientation also tends to increase a skeptical view of climate change, because policy efforts for climate change are often perceived as the state regulation over industry and the sacrifice of economy for environment, which are against the conservative political ideology.

      • KCI등재
      • KCI등재

        과학의 상업화와 과학자사회 규범구조의 변화

        박희제(Bak Hee-Je) 한국사회학회 2006 韓國社會學 Vol.40 No.4

        20세기 말부터 현대과학은 연구결과의 즉각적인 상용화라는 압력에 직면하고 있고 이에 따라 특히 상아탑이라는 우산 아래 교육과 연구를 수행해오던 과학자들의 규범구조와 조직체계가 커다란 변화를 맞고 있다. 이에 이 논문은 생물학과 물리학 전공 교수 24인에 대한 심층인터뷰를 바탕으로 과학의 상업화 경향이 우리나라 대학의 과학자사회가 갖고 있는 규범구조에 어떤 영향을 미치고 있는지를 ‘공유성’과 ‘이해관계의 초월’이라는 두 규범을 중심으로 살펴본다. 분석결과 우리나라의 대학의 일부분야에서는 지적재산권의 추구가 논문발표 이상으로 중요하게 간주되고 있었으며 연구주제의 선택에 있어서 실용성에 대한 강조도 널리 수용되고 있었다. 이러한 결과들을 바탕으로 이 논문은 우리나라의 대학에서 공유성과 이해관계의 초월이라는 전통적인 과학자사회의 규범의 통제력이 확립되지 못한 상태에서 지적재산권의 추구나 상업적 응용성의 강조와 같은 새로운 규범이 큰 저항 없이 확산되고 있음을 주장한다. 특히 국가주의적 과학관과 정부주도의 과학의 상업화라는 우리나라의 독특한 특징은 지적재산권의 추구나 실용성에 대한 강조를 개인의 이해관계 차원이 아니라 국가의 이해관계 차원에서 인식하도록 함으로써 새로운 규범을 정당화하는 데 기여하고 있었다. 그러나 동시에 국가주의적 과학관과 정부주도의 과학의 상업화는 우리나라 대학연구의 공적인 성격을 강화시킴으로써 과학의 상업화와 공공부문연구의 공적인 성격 사이의 갈등을 강화하는 측면 역시 갖고 있다. It is said that, since the late 20th century, modern science has been under the pressure to commercialize scientific outcomes as quickly as possible, which has caused significant changes in the normative structure and institutional systems of the academic scientific community. In this context, analyzing the results of in-depth interviews of 25 university faculties in physics and biology areas, this article examines the effects of commercialization of science on the normative structure of the scientific community in Korea. A particular attention is given to communality and disinterestedness. The results show that scientists in some areas weigh intellectual property over a research paper. It is also revealed that most scientists tend to consider the utilitarian treatment of science legitimate when they look for research topics. From these findings, this paper argues that new norms such as the pursuit of intellectual property and the emphasis on the applications of science have became widely spread in Korean universities where the conventional norms of the scientific community such as communality and disinterestedness were not deeply rooted yet. The distinctive features of Korean science such as the nationalist view of science and the state-guided commercialization of science have helped legitimatize the new norms by presenting them in terms of national interests rather than in terms of personal interests. At the same time, however, because they tend to strengthen the publicness of academic science in Korea, the nationalist view of science and the state-guided commercialization of science may foster the conflict between commercialization of science and the publicness of academic scienc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