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생태주의 이론과 CEMP 모형에 바탕을 둔 다문화교실의 교수방법

        박휴용,노석준 한국교육방법학회 2012 교육방법연구 Vol.24 No.2

        본 연구는 다문화교실을 위한 교수학습의 원리와 그 방법론에 관한 하나의 시론으로써, 다문화교실의 성격을 논의하고, 생태주의 관점에서 다문화 교실환경을 이해함으로써 다문화교실의 핵심적 교수학습 원리로 ‘협력-배태-매개-참여’(CEMP) 모형을 제시하고자 한다. 아울러 이러한 CEMP 모형을 바탕으로 한 구체적인 교수학습 방법론으로써 교사와 학생들의 역동적인 상호작용을 독려하는 상호작용적 피드백의 방법론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본고는 다문화교실의 성공을 위한 요인으로 문화적 다양성에 대한 인식과 참조의 필요성, 학습기회의 형평성을 보장하는 것, 그리고 교사의 태도와 대응전략에 있어서의 근본적인 변화가 필요함을 강조하였다. 또한 다문화교실의 교수방법론으로써 기존의 개별화 교수법과 문화감응 교수법이 생태주의적 관점에서 어떤 관련성이 있는지를 논의하였고, 하나의 실천적인 방법론으로써 주류문화 학생들과 다문화 학생들의 교수형평성을 고려한 ‘상호작용적 피드백’법을 교수방법론으로 제시하고 있다. 마지막으로, 본 논문이 강조하는 다문화교실에 대한 생태주의적 이해가 교수학습이론과 실천에 주는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This study initiates a discussion on the principles and methodologies for implementing successful multicultural classrooms. In doing so, this paper discusses three major characteristics of multicultural classroom, and proposes ecological perspectives to understand the idiosyncratic context and environments of multicultural classroom. Then, this paper suggests a participation model which consists of mediation, collaboration, participation, and embeddedness as four constructing principles. Finally, this paper provides three methodological approaches of practicing an effective instruction for multicultural classrooms; Differentiated Instruction, Culturally Responsive Pedagogy, and Interactional Feedback Approach for securing instructional counterbalance. The significance of the Participation Model for multicultural classrooms lies in the following three points. First, the leadership for learning belongs to students, rather than teachers; second, the interaction between students becomes maximized and contextualized learning of meaning is emphasized; and third, students will perceive that learning is the result of continuous experience, through which they can participate in and cooperate with the communities of inquiry. Discussions on these three methodologies are followed.

      • KCI등재

        이중어 창의성의 이론적 토대와 관련 요인의 분석

        박휴용 이중언어학회 2016 이중언어학 Vol.63 No.-

        This paper aims to build a theoretical basis of the arguable relationships between bilingual ability and creativity by reviewing the research findings on this theme. Having this purpose, this paper first of all critically reviews previous research on the degree of bilingualism and cognitive ability by focusing on the three kernel variables- inhibitory control, selective attention, and working memory utilization skills. Second, to extend the discussion to the area of creativity this paper examines recent studies on the association of bilingualism with creativity. Centering on the term bilingual creativity, this paper discusses the domain(language)-specific and domain-general characteristics of this notion to suggest the future directions of related research. Third, this paper discusses three dominantly referred variables on bilingual creativeness-meta-linguistic awareness, analytic/divergent thinking, and problem solving skills-on how these variables address the effect of bilingualism on creativity. This paper finally notes on some methodological drawbacks and cautionary points for interpretation for the future research on bilingual creativity. (Chonbuk National University)

      • KCI등재

        교육정책이 적용되는 현장의 갈등요인 분석: - 자유학기제를 중심으로 한 질적 연구-

        박휴용,송진웅 인하대학교 교육연구소 2018 교육문화연구 Vol.24 No.2

        This paper investigates how an education policy might stir up conflicts among the stake-holders in school, focusing on the case of Free Semester Policy(henceforth, FSP). The main research question is how the different aspects and features of educational conflict affect the degree of acceptance and expectation of FSP. To address this question, this paper analyzes two main factors of school conflict: recognition conflict and relational conflict. The method and theoretical frameworks of this paper are: discourse analysis (Fairclough, 1989, 1995), three different kinds of identity(project, legislative, & resistance: Castells, 2004), and the dynamic relationship between identities(alignment, conflict, and negotiation: Rogers, 2004). The participants of this study consist of: school manager(1 EA), teachers in charge(2 EA), students(3 EA), and parents(2~3 EA) for six middle schools in a provincial area. The result of analysis is, among many detailed results, the stronger schools show project identity, the higher the schools retain positive and energetic attitudes toward FSP. Additional discussions of this paper will shed lights on how educational policy should reflect on the dynamic relationships among different identities of stake-holders in school. 본고는 2016년부터 전면 확대된 중학교 자유학기제 정책의 실천과정에 나타나는 학교구성원들의 정체성 갈등양상을 분석하였다. 본고의 연구문제는 자유학기제에 대한 학교구성원들의 갈등의 수준과 양상에 따라 각 학교별로자유학기제의 참여도와 기대가 어떻게 달라지는가를 파악하고자 하는데, 이를 자유학기제에 대한 다양한 인식갈등(관점, 반응, 혹은 태도)과 관계적 갈등(교사업무분장, 각종 협의회 운영, 전면 확대 및 추천에 대한 찬반)을 통해 분석하였다. 분석의 이론적 틀은 Fairclough의 담론 분석의 방법을 바탕으로 학교구성원들의 정체성 유형 세 가지(지향적, 적응적, 저항적)와 정체성의 역동성(동조, 갈등, 타협)을 중심으로 하였다. 연구대상은 모 지역의 자유학기제 희망학교로 참여한6개 중학교의 학교관리자(각 1명), 교사(각 2명), 학생(각 3명), 그리고 학부모(각 2~3명)들과의 면담을 통한 응답을분석하였다. 인식갈등과 관계적 갈등의 하위 요인별로 나타난 구성원들의 갈등양상을 종합하여 분석한 결과, 각학교마다 상이한 지향적, 적응적, 저항적 정체성의 수준을 보였지만 전반적으로 지향적 정체성을 많이 드러낸 학교일수록자유학기제에 대한 기대 수준이나 운영의 활력도가 보다 긍정적임을 알 수 있었다. 본고의 논의는 열린 교육행정을위해 교육정책이 학교현장의 다양한 정체성들과 그 사이의 역동성을 어떻게 반영해야하는지에 대한 시사점을 제공해줄것이다.

      • KCI등재

        영어학습 플랫폼으로서의 ChatGPT 활용 방안

        박휴용 영상영어교육학회 2023 영상영어교육 (STEM journal) Vol.24 No.3

        This paper aims to explore the potential of ChatGPT to serve as a comprehensive English learning platform for public school context by analyzing previous literature and current AI-based chatbots. To this end, the study investigated the potential of ChatGPT through four research questions: First, what are the educational possibilities of English learning chatbots?; Second, what are the possibilities and limitations of English learning chatbots when applied in classroom lessons?; Third, how can ChatGPT be utilized in classroom lessons?; Fourth, how can ChatGPT be utilized when applied to an intelligent adaptive learning model? The main conclusions of this discussion are as follows: First, the capabilities of AI-based English learning chatbots rely on natural language processing abilities, conversation modeling, providing dynamic feedback to learners, and offering personalized learning experiences which are lack in existing AI chatbots. Second, conventional English learning chatbots have been utilized in school education as free conversation apps, debate-specific bots, and integrated learning platforms. Third, ChatGPT has the potential to be integrated into a language learning platform and applied in formal learning environments. Finally, this paper proposes a plan to utilize ChatGPT in the context of an intelligent adaptive learning model.

      • KCI등재

        고등학교에서도 혁신이 지속가능한가?: J지역 혁신학교 참여자들의 회고적 인식 분석

        박휴용,김미정 충남대학교 교육연구소 2022 교육연구논총 Vol.43 No.4

        For the last 10 years, the Hyukshin school movement has been driven for transforming public schools by the progressive superintendents. This paper investigated the recognition of the participants(the teachers in charge and the graduates) on how they appreciated the Hyukshin school policies and analyzed it through the methodology of reflective interview analysis. The kernel points of analysis of this paper consist of how the participants perceived: i) the necessity and sustainability of the Hyukshin schools, ii) the validity and effectiveness of the serial innovation of lesson-curriculum-evaluation, and iii) the two proactive strategies of professional learning community and democratic autonomy community. To explore these issues, this paper adopted in-depth interviews with the participants as a means of qualitative research methodology. The core findings of the analysis are tri-fold: The Hyukshin High School policies i) needs to be implemented and continued with a bottom-up movement collaborative with core participants, ii) have some uncontextualized practices and goals that can hardly be realized for securing the sustainability in some specific school cases, and, nonetheless, iii) have significant accomplishment in the innovation of lesson-curriculum-evaluation by organizing the teachers’ collaboration and students’ participation. This paper’s discussion may enlarge the spectrum of assessment of the accomplishment of the Hyukshin school movement. 우리나라 혁신학교 운동은 지난 10여 년간 우리나라 대부분 지역의 진보적 성향의 교육감들에 의해 공교육 개혁의 측면에서 추진되어왔던 학교개혁 운동으로 인식되고 있다. 이에 본고는 J지역에서 추진되어왔던 혁신고등학교 정책이 현장참여자들의 입장에서 구체적으로 어떻게 평가(인식과 소회)되고 있는지를 회고적 심층인터뷰를 통해 분석한 후, 그 정책적 의미를 논의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본고는 크게 세 가지 논점―즉, 혁신학교의 필요성과 지속가능성에 대한 인식, 혁신학교의 핵심 정책인 수업-교육과정-평가의 혁신에 대한 인식, 그리고 혁신학교의 주된 추진 전략인 전문적 학습공동체와 민주적 자치공동체에 대한 인식―에 대한 연구참여자들의 소회를 분석하였다. 연구방법은 회고적 인식에 대한 질적 분석을 기반으로 혁신학교 사업을 주도적으로 담당하고 경험했던 학교들과 그 구성원(교사 및 졸업생)들을 대상으로 현장 방문과 심층인터뷰를 수행하였다. 연구결과는 첫째, 관료적 혁신학교 정책은 현장 기반적 운동성으로 보완되지 않고서는 지속성을 갖기 어렵다는 것이다. 둘째, 일부 혁신학교 정책들(예, ‘100교 100색’, 교사전문성 신장, 민주적 학교문화 만들기 등)은 지역 학교 현장의 상황(초중등, 도심-농촌, 대규모-소규모 등)에 따라 현실화되기 어려운 점이 있어서, 다분히 선언적 수준에 그치고 있었다는 것이다. 셋째, 가장 중요한 혁신정책이었던 수업과 평가의 혁신은 도심-농촌 학교의 구별 없이 상당히 체계적으로 이루어졌고, 이는 고등학교의 혁신 차원에서 상당히 의미있는 도전이었다는 것이다. 본고의 논의는 혁신학교 운동의 의의와 한계성에 대한 교육계의 논의를 확장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교육과정 이념으로서의 세계시민주의 (Cosmopolitanism)에 대한 비판적담론분석

        박휴용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10 교육과정평가연구 Vol.13 No.2

        This paper analyzes the discourses of cosmopolitanism, which is currently in vogue in the field of education, by the perspectives of Critical Theory. This paper especially pays attention to the fact that most of the national curricula have adopted the ideology of cosmopolitanism in their curricula. By analyzing the national curriculum statements of the western developed countries as written discourses, this paper finds that the cosmopolitan ideology is confined by the Euro-centric paradigm, which consists of the characteristics of modernism,rationalism, and individualism; furthermore, it also finds significant that the cosmopolitanism is expedited by the vicious tide of neoliberal globalization. To provide an alternative perspective for cosmopolitan ideology, this paper suggests Critical Cosmopolitanism and Ecological Curriculum as a practical solution. By adapting these Critical Cosmopolitanism and Ecological Curriculum as a new approach for the planning of curricula objectives, we may have more insights to conceive national curricula that could overcome the Euro-centric paradigm and the negative influence of neoliberal globalization. 본고는 학교현장에서 회자되는 세계시민주의의 담론에 대한 비판적 분석을 시도하고 있다. 본고는 우리나라를 비롯하여 세계 각국의 국가적 교육과정에서 중요한 교육목표들 중의 하나로 세계시민주의가 포함되어 있음을 주목하고, 이 세계시민주의가 서구유럽 중심적 패러다임-모더니즘, 이성주의, 개인주의-에 갇혀있어서 바람직한 교육목표로서 근본적인 한계를 지니고 있음을 지적하고자한다. 이를 위해 본고는 세계시민주의의 기원과 성격, 그리고 세계시민주의에 내재된 모더니즘, 이성주의, 개인주의적 성격에 대해 논의하고, 아울러 신자유주의적 세계화가 이러한 세계시민주의에대한 잘못된 환상을 부추기고 있음을 지적하였다. 이어서 세계 주요국가의 교육과정 진술들을 민주시민양성, 인권, 문해/평생학습이라는 세 가지 핵심어를 통해 분석해봄으로써, 세계시민주의 이념이 가진 교육과정 목표로서 근본적인 한계에 대해 논의하였으며, 그 대안으로서 비판적 세계시민주의의 관점을 소개하였다. 마지막으로 비판적 세계시민주의 이념의 실천적 방법론으로서 생태주의교육과정의 교육목표의 성격과 그 적용방안을 논의하였다. 본고의 논의를 통해서 세계시민주의 교육이념에 대해 신중하면서도 건설적인 담론의 장을 열고자 한다.

      • KCI등재

        포스트휴머니즘에 기반한 인공지능 협력 미술:이론적 기반, 성격, 그리고 미술교육의 방향

        박휴용 한국미술교육학회 2023 美術敎育論叢 Vol.37 No.2

        This paper seeks to examine the changing characteristics and approaches of art activities and education within current trends, employing the theoretical lens of posthumanism and the practical element of AI-assisted art. The specific research questions are as follows: First, what is post-human art and what principles and practical examples does it have? Second, what characteristics and differences exist between post-human art and technology-based art? Third, what is the theoretical basis of AI-assisted art and the educational direction for its practice? The core claims of this paper are: First, posthuman art creates works embodying a monistic blend of nature and materiality without distinguishing between human and non-human, leveraging the fusion of technology and art. Second, technology-based art is interactive, dynamic, and interconnected, with AI-assisted art unveiling AI's potential in art ontology, analysis, appreciation, and education, and the aesthetic valuation of art. Third, posthuman art education aims to comprehend the interdependencies among humans, non-humans, technology, and nature through creative, sustainable activities underpinned by posthumanism. This paper’s discussion will be able to refresh the academic discourse on the direction of practice and education in the field of art. 본고는 디지털 기술과 인공지능의 급격한 발달 속에서 미술 활동 및 미술 교육의 성격과 방법론이 어떻게 변하고 있는지를 포스트휴머니즘이라는 이론적 틀과 인공지능 협력 미술이라는 실천적 양상을 통해 논의하고자 하였다. 본고의 구체적인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포스트휴먼 미술이란 무엇이고, 어떤 원리와 실천적 사례를 가지고 있는가?, 둘째, 포스트휴먼 미술과 기술기반 미술은 어떤 특징과 차이점을 가지고 있는가?, 셋째, 인공지능 협력 미술의 이론적 기반과 그 실천을 위한 교육적 방향은 무엇인가? 이 연구문제를 중심으로 논의한 본고는 핵심주장은 다음과 같다. 첫째, 포스트휴먼 미술은 기술과 예술의 융합을 바탕으로 예술적 행위의 주체로서 인간과 비인간의 구분 없이 자연성과 물질성(기계성)의 일원론적 통합이라는 아이디어를 구체화하는 미술적 작품들을 생성하는 활동이다. 둘째, 포스트휴먼 미술의 실천으로서 기술기반 미술은 상호작용성, 역동성, 상호연결성을 특징으로 하고 있고, 그 일례인 인공지능 협력 미술은 인공지능의 예술적 주체로서의 가능성과 인공지능 기술과 인간 예술가와의 상호의존성(존재론), 미술 분석, 작품 감상, 그리고 미술 교육의 측면(인식론), 그리고 창작물의 가치나 미학적 기준(가치론)을 새롭게 제시해주고 있다. 셋째, 포스트휴먼적 가치지향성을 바탕으로 창조적이고 지속 가능한 미술 활동을 통해 인간과 비인간, 기술과 자연 사이의 상호의존적인 관계성을 이해하고 공생을 실천하려는 것이 포스트휴먼 미술교육의 목표이다. 본고의 논의는 최근의 급격한 기술적 변화 속에서 미술 영역의 실천과 교육의 방향성에 대한 학계의 논의를 환기시킬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포스트휴먼적 존재인식론과 학습주체성의 변화

        박휴용 한국교육철학회 2019 교육철학 Vol.73 No.-

        This paper intends to discuss how learner subjectivity tends to be shifting from human agency to technology-driven media, propelled by the sheer developments of informatics, neuroscience and artificial intelligence(AI). This issue is discussed by means of the following questions: first, is an artificial learning machine capable of thinking? Second, who get the ownership of learner subjectivity under the conditions of posthuman learning? Third, what could be the theoretical basis of posthuman learner subjectivity? The major arguments of the author on these questions are as follow. First, newly emerging technologies of cybernetics and computer neuroscience developed AI algorithms that exceed the capability of human brain and signalled the era of human-AI collaboration. Second, sinc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human and the machine is not separable and AIs have the potentials of thinking, the human learner will share the learning subjectivity with those thinking machines. Third, this transition of learner subjectivity can be explicated by four onto-epistemological theories of posthumanism: neo-materialism, post-phenomenology, actor-network theory, and object-oriented ontology. This paper’s discussion may provide a room for philosophical deliberation, regarding the issue of subjectivity under the conditions of posthuman learning.

      • KCI등재

        The Nature of AI Ethics Education in the Posthuman Era

        박휴용 한국열린교육학회 2024 열린교육연구 Vol.32 No.1

        In light of the development and widespread adoption of artificial intelligence (AI), ethical issues surrounding AI have garnered significant attention in both academia and society. Consequently, this paper explores the theoretical foundations of AI ethics based on posthumanism and seeks to outline directions for AI ethics education. The core research questions of this study are twofold: first, what are the theoretical foundations of posthuman ethics, and second, what are the practical considerations and educational directions for posthuman AI ethics? The key conclusions of this paper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ly, ethical challenges are increasingly important for AI developers, emphasizing the need to establish supervisory systems that highlight ethical elements and incorporate ethical considerations into algorithm design. Secondly, AI ethics education should encompass not only the ethical attitudes of human users but also the ethical roles of AI itself. Thirdly, fundamental ethical considerations related to societal changes in the posthuman era are essential now and in the future. This paper aims to stimulate discussions in academia and educational settings by providing essential directions for AI ethics and education in anticipation of a future posthuman socie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