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열유도 상분리에 의한 폴리디페닐아세틸렌 유도체의 급격한 형광증대

        박효상(Hyosang Park),김희상(Heesang Kim),곽기섭(Giseop Kwak) 한국고분자학회 2021 폴리머 Vol.45 No.4

        열유도 상분리에 따른 폴리디페닐아세틸렌 유도체인 poly[1-phenyl-2-(p-trimethysilyl)phenylacetylene](PTMSDPA)의 상변화와 형광특성을 조사하였다. 폴리머와 비슷한 용해도상수를 가지는 용매들로부터 1,4-다이옥산이 theta solvent로 선정되었고, cloud-point법을 통해 PTMSDPA/1,4-다이옥산(1,4-dioxane) 용액의 phase diagram이 도출되었다. Theta condition으로 농도 0.88×10<SUP>-2</SUP> M, 온도 51.6 ℃에서 임계점이 나타났다. 냉각과정에서 임계점 부근에서 급격한 형광증대현상이 나타났으며, 이는 비방사성 형광 감쇠를 초래하는 폴리머 사슬 내의 충돌소광 및 진동완화가 폴리머와 용매사이의 급작스러운 상분리에 의해 억제되었기 때문이다. 본 연구는 형광공액고분자에 열유도 상분리법을 적용하여 초고형광성 나노입자 및 다공막을 제조할 수 있는 잠정적인 방법을 제시하고 있다. Phase change and fluorescence properties of the polydiphenylacetylene derivative, poly[1-phenyl-2-(p-trimethysilyl) phenylacetylene] (PTMSDPA), were investigated according to the thermally induced phase separation (TIPS) method. 1,4-dioxane was selected as the theta solvent from solvents having solubility parameters similar to that of the polymer, and the phase diagram of the solution of PTMSDPA/1,4-dioxane was derived using the cloud-point method. A critical point appeared at a concentration of 0.88×10<SUP>-2</SUP> M and a temperature of 51.6 ℃ as the theta condition. During the cooling process, a significant fluorescence enhancement occurred near the critical point, because collision quenching and vibration relaxation in the polymer chain, which causes non-radiative emission decay, are restrained by the abrupt phase separation between the polymer and the solvent. This study provides a tentative method for producing highly fluorescent nanoparticles and microporous membranes by applying TIPS to fluorescent conjugated polymers.

      • SIR 모형과 LSTM 기반의 COVID-19 확진자 예측 비교 및 분석

        김진오(Jino Kim),김지수(Jisu Kim),김희원(Heewon Kim),박효상(Hyosang Park),김지혜(Jihye Kim),옥혜원(Hyewon Ok),문혜원(Hyewon Moon),정명훈,고석주(Seokju Ko) 한국지능정보시스템학회 2020 한국지능정보시스템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20 No.6

        2019년 12일 중국 후베이성 우한 시에서 시작된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이하 COVID-19)은 2020년 1월부터 전 세계로 퍼져, 일부 국가 및 지역을 따라 제외한 대부분의 나라와 모든 대륙으로 확산되었다. 이에 따라 WHO는 2020년 1월 30일 국제적 공중보건 비상사태(PHEIC)를 선포한 후, 2020년 3월 11일 범 유행 전염병(Pandemic)을 선언하였다. COVID-19의 영향은 생명 손실에 국한되지 않고, 사회경제적 영역으로 불안 등을 감소시키기 위해 전염병 확산에 대한 예측은 필수 불가결 하다. 본 논문은 이처럼 최근 유행하고 있는 전염병인 COVID-19에 대해 전염병 모형과 순환 신경망(Recurrent Neural Network) 두 기법을 통해 확산을 예측하고 결과를 비교한다. 전 세계의 국가별 확진자와 사망자 통계를 활용하여 예측 결과를 도출하였다. 전염병 모형을 통한 예측에는 SIR(Susceptible-Infected-Recovered) 모형을 사용하며, 기계 학습의 최적화 알고리즘 중 L-BFGS를 사용하여 SIR 모형의 곡선 적합을 진행하였다. RNN 기반 예측 모델로는 LSTM 모델을 사용하였다. 예측을 실시하여 각 기법의 결론을 도출하고 실제 확진자 통계와의 정확도를 비교하였다. 본 논문은 특정한 나라들에 대하여 전염병 초기의 SIR 모형을 사용한 예측과, 현재(2020.5.29)까지 진행된 상태에서의 예측을 비교한다. 두 예측의 오차를 통하여 방역 수준에 대한 추론을 제시한다. 추가 확진자와 누적 확진자의 관계 그래프를 제공, 기울기와 두 예측 그래프 사이의 오차와 관계성을 확인하고 대략적 방역 수준을 정의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