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인공지능과 심리학 융합교과목이 인문학적 소양 및 융합적 사고력에 미치는 효과

        박혜영,이경희 한국컴퓨터교육학회 2023 컴퓨터교육학회 논문지 Vol.26 No.4

        본 연구의 목적은 인공지능과 심리학 융합교과목 개발과 교과목 운영을 통해 본 융합교과목이 인문학적 소양과 융합적 사고력에 미치는 효과를 살펴보는 것이다. 본 연구를 위한 연구 대상은 4년제 대학의 예비대학생 203명으로 구성되었다. 인공지능과 심리학 융합교과목은 ADDIE 모형에 따라 1회 2시간 15회차로 개발하였고 동일한 주제로 격주 팀티칭으로 운영하였다. 이를 연구 대상에게 3주간 적용하였다. 사전검사와 사후검사 분석 결과 연구 대상의 교과목 인식변화 및 인문학적 소양과 융합적 사고력이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다. 융합교과목 개발과 적용은 학습자의 융합적 학습 목표를 달성시키는데 긍정적인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학문 분야의 출발점은 달라도 학습 내용을 횡적으로 연계하여 체득할 수 있는 학습활동을 제공하는 경우, 융합적 학습 목표를 달성하는 효과가 나타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 of this convergence course on humanities knowledge and convergent thinking skills through developing the convergence course of artificial intelligence and psychology and teaching the courses. The study subjects for this study consisted of 203 prospective college students from university. Artificial intelligence and psychology convergence course was developed 2 hours in one session, 15 sessions according to the ADDIE model, and operated as a biweekly team teaching on the same theme. The course was applied to the research subjects for 3 weeks. As a result of pre-examination and post-examination analysis, it was found that the subject's perception of the subjects was changed positively and humanities literacy, and convergent thinking skills were improved. The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convergence courses is effective on achieving learners' convergent learning goals. This shows that even if the starting points of the academic fields are different, providing learning activities by linking learning contents horizontally has the effect of achieving the convergent learning goals.

      • KCI등재

        LPS에 의해 활성화된 BV2 Microglia로부터 유도되는 염증매개물질의 생성에 미치는 사리장의 효과

        박혜영,최영현,최은아 대한암예방학회 2011 Journal of cancer prevention Vol.16 No.4

        Because of chronic microglial activation endangers neuronal survival through the release of various toxic pro-inflammatory molecules, negative regulators of microglial activation have been identified as potential therapeutic candidates in many neurological diseases.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inhibitory effects of the sarijang, an aged bamboosalt sauce containing extracts of Rhynchosia nulubilis, sulfur fed duck, Ulmus davidiana roots, and Allium sativum on the production of lipopolysaccharide (LPS)-induced pro- inflammatory mediators in BV2 microglia, such as nitric oxide (NO), prostaglandin E2 (PGE2) and pro-inflammatory cytokines. Sarijang significantly inhibited the excessive production of NO and PGE2in LPS-stimulated BV2 microglia. It also attenuated expression of inducible nitric oxide synthase (iNOS),cyclooxygenase (COX-2), and pro-inflammatory cytokines such as interleukin-1β(IL-1β) and tumor necrosis factor (TNF)-α. Moreover, sarijang exhibited anti-inflammatory properties by suppressing nuclear factor-kappaB (NF-κB) activation, and downregulating the p38 mitogen-activated protein kinase (MAPK)and extracellular-signal-regulated kinase (ERK) pathways. Our results indicate that sarijang has a potent suppressive effect on the pro-inflammatory responses of activated BV2 microglia. This finding suggests that sarijang may offer substantial therapeutic potential for the treatment of neurodegenerative diseases that are accompanied by microglial activation. (Cancer Prev Res 16, 348-357, 2011)

      • KCI등재

        도시 비전과 전략으로서 도시브랜드 활용방안 연구 - 경기도 포천시 사례를 중심으로 -

        박혜영,김상수 한국브랜드디자인학회 2015 브랜드디자인학연구 Vol.13 No.2

        도시브랜드는 1995년 지방자치법이 개정된 이래로 지방자치단체에서 도시의 개성과 특성, 미래의 비전을 나타내는 도시마케팅 수단으로 부각되었다. 그러나 초기의 도시브랜드는 단순히 상표와 시각 디자인 요소로 개발되었다. 이로 인해 도시 거버넌스와 상호연관성을 구축하지 못하고 민선단체장 의지에 의해 갑자기 사라지거나 관리부서가 바뀌는 현상이 나타났다. 이것은 도시브랜드에 대한 전반적인 이해와 인식의 한계에서 발생한 일이다. 도시브랜드는 과거와 현재, 미래의 기억과 이미지가 포함되어 있는 도시의 유․무형 자산으로 그 도시만이 갖고 있는 존재의 이유이며 다양한 이해관계자들에게 제공하는 창의적인 가치이다. 본 연구는 도시브랜드가 한시적인 도시마케팅의 수단으로서의 한계를 넘어 도시의 비전이자 미래 전략으로서 도시브랜딩이라는 인식적 전환을 모색하였다. 이를 위해 도시브랜드 선행연구를 하고, 도시브랜드 체계구축 사례 연구를 통해 창의적인 도시브랜딩 과정을 제시하였다. 이번 연구에서 제시한 도시브랜드 개념은 향후 도시브랜드에 대한 공감대 형성에 도움이 될 것이다. 또한 포천시 도시브랜드 체계 구축의 과정은 국내 도시들의 전략적 브랜드 관리 방안으로서 활용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이제 도시브랜드는 마케팅 수단이 아닌 전략으로 도시의 정체성과 미래비전을 실현하는 창조적 혁신 과정의 도시 브랜딩이라는 인식적 전환이 필요하다. 이는 도시브랜드 체계구축을 통해 총체적인 도시브랜드 포트폴리오전략을 수립하고 창의적인 브랜딩 조직의 환경을 도모하여 도시의 창조성을 개발해야 할 것이다. City brand in 1995, the Local Government Act amended since the personality and character of the city in the municipality, the city has emerged as a marketing tool that represents the future vision. However, the initial development of the city brand was simply a trademark and visual design element. This does not build a city governance and interconnectedness elected suddenly appeared or disappeared by the heads of administrative departments rely on the phenomenon change. This is what happened in the absence of an overall understanding and awareness of the city brand. City brand is a past, present and future tangible and intangible assets with memories and images of the city which includes the city and the only reason for existence is to have creative value provided to the various stakeholders. This study is beyond the limits of the city as a means of brand marketing was seeking temporary city cognitive transition of city branding as a strategic vision and future of the city. To this end, the City brand leading research and proposed a creative city branding process through the city brand building system case studies. City brand concept presented in this study will help to form a consensus about the future city brand. In addition, the process of building Pocheon city brand system is expected to be utilized as a strategic brand management plan for domestic cities. Now the city brand is necessary cognitive transition that city branding, creative innovation process to achieve the future vision and identity of the city as a strategy rather than a marketing tool. This will establish the overall city brand portfolio strategy through the city Brand building systems and promote an environment of creative branding the organization to develop the creativity of the city.

      • KCI등재

        스마트폰 과의존에 따른 신입생의 대학생활 만족도 차이 분석

        박혜영,이경희 중소기업융합학회 2021 융합정보논문지 Vol.11 No.2

        본 연구의 목적은 신입생의 스마트폰 과의존에 따른 대학생활 만족도의 차이를 분석함으로써 스마트폰 과의존 문제를 예방하고 개선할 수 있는 다양한 방안을 모색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한국아동·청소년패널조사 중 대학신입생 의 자료를 추출하여 활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비계층적 군집화(K-means)분석, 평균비교분석(T-test), 일원변량분 석(One-way ANOVA)과 사후검사(Scheffé test)를 실시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스마트폰 과의존 신입생은 일상생활의 불편, 금단 및 불안, 내성을 경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성별에 따른 신입생의 대학 생활 만족도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t=-.015, p<.05)으로 나타났다. 셋째, 스마트폰 과의존 신입생은 중의존 신입 생 및 하의존 신입생과 비교해 대학생활 만족도가 유의하게 낮은 것(F=4.37, p<.05)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연구결 과를 바탕으로 스마트폰 과의존 신입생을 위해서는 정서적 지원과 더불어 학습전략 지원 같은 대학 차원의 노력이 필요함을 제언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methods to prevent and improve the problem of overdependence on smartphones by analyzing the differences in satisfaction with college life satisfaction of freshmen. For this, data on freshmen of KCYPS were extracted and used.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non-hierarchical cluster(K-means) analysis, T-test, one-way ANOVA, and Scheffé test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t has been shown that freshmen who are overdependent on smartphones experience inconvenience in their daily life, withdrawal and anxiety, and resistance. Second, there i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level of satisfaction with college life according to gender(t=-.015, p<.05). Third, it is shown that the level of satisfaction with college life of overdependent freshmen on smartphone is significantly lower compared to that of average and moderate dependent freshmen. Based on the results, it was suggested that university-level efforts such as emotional support and learning strategy support are needed for freshmen who are overdependent on smartphones.

      • KCI등재

        차세대 읽기 평가의 방향 탐색: GISA 평가틀과 읽기 수행 중재요인 분석을 중심으로

        박혜영 한국독서학회 2019 독서연구 Vol.0 No.52

        This study aims at providing implications for innovative reading assessments by delving into characteristics of Global, Integrated and Scenario-based Assessment(GISA). GISA is recognized as an alternative model to traditional reading assessment because it pursues not only for summative assessment but also formative assessment with utilizing computer system. One feature of GISA is to enlarge constructs in reading assessment to assess socially required reading abilities in Digital era. In addition, from the views of “assessment for learning”, GISA seeks to attain more informations from assessment results so to help students and teachers improve in classroom. Implications we discovered are as allows: 1) constructs enlarged reflects reading abilities which this society is request of. So, we review our reading curriculum that are able to cover those constructs. If not so, we need to add and edit in our reading curriculum. 2) we try to improve reading assessment which gives us more informations for students’ development so that we provide effective feedback to students. 3) new flat-form such as scenario-based assessment should be designed and operated to draw out students’ motivation and engagement as well as validity in reading assessment. 본 연구에서는 차세대 읽기 평가의 특징을 보이고 있는 GISA를 분석하여 새로운 읽기 평가의 방향을 탐색하고, 향후 우리나라 읽기 평가 개선 및 차세대 읽기 평가의 방향에 대한 시사점을 얻고자 하였다. 광역(Global), 통합형(Integrated), 시나리오 기반 평가(Scenario-based Assessment)로 개발된 GISA는 디지털 시대가 요구하는 읽기 능력을 측정하기 위해 기존의 읽기 능력 구인을 확장했다는 특징이 있다. 또한 ‘학습을 위한’ 읽기 평가를 지향하면서 평가의 결과를 통해 학생의 발달과 교수학습 개선에 필요한 정보를 얻을 수 있도록 읽기 수행의 중재요인을 설정, 평가도구를 설계했다는 점도 특징적이다. 이러한 GISA 평가의 특징은 앞으로 우리나라 읽기 교육 및 평가를 개선하는 데, 그리고 앞으로 진일보한 읽기 평가도구 개발에 다음과 같은 시사점을 줄 수 있다. 첫째, 확장된 읽기 구인은 시대적 필요성과 요구를 반영한 것으로, 우리나라에서도 국가교육과정에서 해당 요인이 반영되어 있는지 검토하고 학습 요소를 확장, 보완하는 작업이 이루어져야 한다. 둘째, 학습 결과에 대한 평가와 함께 학습 과정에 대한 진단적이고 형성적인 평가를 통해 학생의 발달과 교수학습에 도움을 줄 수 있는 평가를 구안해야 할 것이다. 셋째, 텍스트 중심의 읽기 평가에서 확장하여 학생의 동기와 몰입도를 높일 수 있도록 시나리오 기반 평가와 같은 새로운 형태의 평가 방식이 연구되어야 한다.

      • KCI등재

        콜라보레이션을 적용한 패키지디자인의 브랜드 개성에 관한 연구 - 프리미엄 생수 브랜드 에비앙을 중심으로 -

        박혜영,최인영,김민정 한국브랜드디자인학회 2016 브랜드디자인학연구 Vol.14 No.2

        오늘날 개인을 중심으로 하는 라이프스타일의 변화는 소비자들로 하여금 감성적인 가치가 더해진 상품의 소비 경향을 높아지게 하였다. 이런 경향은 타 브랜드와 차별성으로 충족되고 프리미엄 시장에서 고급스러움과 특별함 등의 감성을 고려한 콜라보레이션은 브랜드 이미지 상승과 브랜드 인지도 상승에 기여하고 있다. 본 연구는 콜라보레이션을 적용한 패키지디자인이 브랜드 아이덴티티의 중요 요소인 브랜드 개성과 소비자 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세계 최초 물을 상품화한 프리미엄 생수 브랜드 에비앙의 사례 분석과 소비자 조사를 통해 실행되었다. 조사결과 프리미엄 생수 구입 시에는 가격, 브랜드, 패키지디자인과 같은 외적인 요소들을 통해 상품을 선택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희소성과 특별함이라는 요소를 패키지에 부여함으로써 차별적인 브랜드 개성을 구축할 수 있었다. 또한, 소비자들에게는 상품을 구입하는 것을 넘어 소장가치를 높일 수 있었던 것이다. 이렇듯 에비앙의 콜라보레이션 디자인은 브랜드 아이덴티티를 형성하여 브랜드 인지도 향상과 나만이 가질 수 있는 특별한 제품의 구입을 원하는 소비자의 욕구를 충족시켰다. 소비자는 제품 구매 시 패키지디자인을 통한 경험으로 브랜드 이미지를 얻을 수 있는데 잘 구축된 브랜드 이미지는 소비자의 브랜드 충성도를 이끌어 내게 된다. 그렇기에 콜라보레이션을 적용한 패키지디자인은 차별화된 브랜드 아이덴티티를 확립시킬 수 있고 이는 소비자 자신만을 위한 디자인 상품이라는 특별성으로 인식되어 브랜드의 가치를 상승시킬 수 있다. Today, changes in individuals’ lifestyle have increased the tendency to consume products added with emotional value. As this tendency is satisfied by differentiation from other brands, the collaboration considering emotion like exclusivity and specialness in the premium market is contributing to the increase of brand image and brand awareness. This study examined the influence of package design applying collaboration on important elements of brand identity such as brand personality and consumer attitude through the consumer research and case analysis on Evian, a premium water brand which is the first-commercialized water in the world. In the results of the analysis, when purchasing premium water, products were selected through external elements such as price, brand, and package design. By adding elements as scarcity and specialness to the package, a differentiated brand personality could be established. Also, exceeding the purchase of products, the value of possession could be improved. Like this, Evian’s collaboration design improved the brand awareness and also met consumers’ desires for special products by forming the brand identity. When consumers purchase products, the brand image could be obtained through the package design, so that the well-established brand image can induce consumers’ brand loyalty.

      • KCI등재후보

        대인관계 증진 집단모래놀이치료가 중학생의 우울, 불안에 미치는 영향

        박혜영(Hye-Yeong Park),강귀임(Gwi-Im Kang),김미향(Mi-Hyang Kim) (사)한국학교공공모래놀이학회 2020 학교상담 및 모래놀이 Vol.2 No.2

        본 연구에서는 대인관계 증진 집단모래놀이치료가 중학생의 우울과 불안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천안시에 위치한 A, B, C 중학교에 재학 중인 학생 48명을 대상으로 박혜영과 조성근(2020)이 개발한 대인관계 증진 집단모래놀이치료를 회기당 45분씩 주 2회, 총 8회기 실시했다. 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Beck이 개발한 우울척도(BDI)와 불안척도(BAI)를 측정도구로 사용했고, 수집한 자료는 SPSS 18.0을 이용하여 paired t-test를 실시했다. 연구결과, 대인관계 증진 집단모래놀이치료는 중학생의 우울, 불안 감소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대인관계 증진 집단모래놀이치료가 중학생의 우울, 불안 감소에 효과적인 치료기법이 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group sandplay therapy programs on depression and anxiety in middle school students. For 48 students attending middle schools A, B, and C located in Cheonan, a group sandplay therapy program developed by Park (2020) was conducted twice a week, 45 minutes per session, eight times a week, and its effects were verified. The program effectiveness verification used the depression scale (BDI) and anxiety scale (BAI) developed by Beck as measurement tools, and the collected data was conducted using SPSS 18.0. These results suggest that group sand play therapy that promotes interpersonal relations can be an effective treatment technique to reduce depression and anxiety in middle school students.

      • KCI등재

        기술변동에 따른 미역 인공양식의 확산과 어민들의 생업전략-부산 ‘기장미역’을 중심으로

        박혜영 실천민속학회 2016 실천민속학연구 Vol.28 No.-

        기술은 효율성을 지닌 전통적 활동으로서 사회적 영향관계 속에 형성된다. 동해안에서 생산되는 미역은 뚜렷한 전통을 지니고 있으며, 어민들의 소득원이자 지역의 역사와 문화적 정체성을 구성하는 요소라고 할 수 있다. 기장미역은 곽전에서 채취된 진공품으로서 전통을 지니고 있다. 해방 이후 자연산 건미역의 일본 수출을 효시로 삼아, 국가차원에서 미역 증산에 총력을 기울였다. 수산진흥원을 주축으로 한 신기술 도입과 어촌의 미역 인공양식 성공을 기반으로 양식미역은 대량생산과 납품이 가능해졌다. 미역가공공장의 신설로 미역가공법의 다양화되었으며, 교통과 통신의 발달로 유통망이 확대되었다. 특히 기장미역은 대중매체와 언론홍보를 통한 양식미역의 명품 이미지를 형성하면서 부산을 대표하는 지역특산물로 자리매김 했다. 왕실에 진공하던 전통을 활용하여 ‘궁중미역’으로 브랜드화하고, 지역 축제를 통해 기장미역의 맛과 특질을 소비자에게 각인시키는 과정들은 일종의 문화상품화 전략에 해당한다. 자연산 돌미역에서 인공양식미역으로 생산 방식과 기술 변동을 거듭하는 동안, 자연산 돌미역의 전통성과 상품가치는 양식미역의 명성확보를 촉진시켰다. 미역양식의 태동은 일제강점기부터 시작되었다. 총독부수산과에서 식량증산을 목적으로 동해안의 천해어업을 진흥시키고자 했으며, 미역양식 설비를 계획하기도 했다. 해방이후 국가차원에서 일제의 식민정책으로 독점당한 수산권을 되찾고자 어장을 재정비하였으며, 수산자원의 생산확충과 식량증산을 위해 어민들을 독려하였다. 1962년 수산업협동조합법이 제정되고 시행되면서, 부산 기장에도 지역 마을단위로 어촌계가 신설되었다. 그러면서 기존의 행정구역인 理 단위가 아닌 마을 단위로 미역채취구역이 재분배되었다. 이동마을의 경우 미역양식기술이 보급되면서 어촌계 총유로 관리하던 곽암과 달리 양식어장의 개인사유가 급진적으로 이루어졌다. 1960년대 말 정부는 시장성과 수익성 등을 고려하여 수협에서 양식장건설을 지원했다. 이동어촌계에 신설한 양식장에서 종묘배양에 성공하였다. 수산진흥원의 실험이 성공하자 수산청에서는 ‘대한민국 어업 시찰단’을 일본에 파견하는가 하면, 1971년 어민소득증대 사업의 하나로 강원, 경북, 경남 등 동해안과 제주도 해안에 10여개의 미역 및 다시마 양식단지 신설에 박차를 가했으며, 그 결과 미역양식의 사회적 확산이 이루어졌다. 1970년대 미역생산 과잉과 일본의 미역수입 규제는 미역 가격의 폭락을 야기했지만, 부산 기장에서는 염장미역을 일본으로 꾸준히 수출했다. 기장에서는 2011년부터 바위에 붙는 자연산 포자를 그대로 이식하여, 자연산 돌미역과 유사한 품질을 확보하는 방안을 모색 중이다. 이처럼 미역의 생산 방식이 다양해지면서, 작업방식도 분업화되었다. 양식미역은 주로 남성들이 채취하고, 자연산 돌미역은 여성들이 도맡아서 채취하며, 해녀들은 磯洗作業을 전업으로 삼게되는 경우가 많다. 자연산 돌미역 채취와 달리 미역양식은 나잠어업을 하는 해녀의 채곽기술에 의존하지 않고, 어민들 자력으로 얼마든지 채취가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자연산미역 생산의 불확실성을 해소하고자, 위험부담이 있더라도 미역양식업으로 전환하는 어민들이 늘어났다. 본고에서 기장 어민들이 자연산 미역생산에서 해조류 양식생산으로 전환하게 ... Technologies are traditional activities with efficiency, formed in the relationships of social influences. Sea mustard produced on the East Coast has a distinct tradition, is the fishermen's source of income and an element that constitutes local history and cultural identity. Sea mustard in Gijang has a tradition as offering to the king gathered from Gwakjeon (Sea mustard field). Since Korea’s Liberation, beginning with the exportation of natural dried sea mustard to Japan, it has devoted itself to the promotion of the production of sea mustard at the state level. Based on the introduction of new technologies with the National Fisheries Research & Development Institute as the axis and the success in the artificial cultivation of sea mustard in fishing villages, cultured sea mustard could become mass produced and delivered. With the establishment of sea mustard processing plants, the methods of processing sea mustard became diversified, and with the development of transportation and communications, the distribution channel expanded. Especially, as a luxury image of the cultured sea mustard was formed through the mass media and press publicity, sea mustard in Gijang was settled as a regional specialty representing Busan. Using the tradition in which it had been offered to the royal family, it branded itself as ‘Court sea mustard’ and the processes of impressing the taste and characteristics of sea mustard in Gijang in the consumers through local festivals fall under a kind of the strategy for the commercialization of a culture. With repeated changes in the production methods and techniques, from natural rock brown sea mustard to artificially cultured sea mustard, the tradition and commercial value of natural rock brown sea mustard expedited the security of the reputation of cultured sea mustard. The waking of sea mustard culturing began in the Japanese colonial era. The Fisheries Department of the Japanese Government General would promote the shallow-sea fishery in the East Sea for the purpose of the expansion of food production and planned facilities for sea mustard farming, as well. After the liberation, Korea reorganized fishing areas to regain the right for fisheries, which had been monopolized by the Japanese colonial rule, at the state level, and for the expansion of the productivity of fishery resources and the increase of food production, it encouraged fishermen. In 1962, as the Fisheries Cooperative Act was enacted and took effect, Gijang, Busan, too, established a fishing village society in local village unit. Accordingly, the areas of collecting sea mustard were redistributed from the administrative district, (Ri) unit to village unit. In the case of I-dong Village, as technologies of farming sea mustard was popularized, private ownership of fishing farms increased rapidly, breaking from Gwakam that was managed by the collective ownership of the fishing village society. In the late 1960s, the Government supported for the construction of farms through the National Federation of Fisheries Cooperatives (Suhyeop), considering marketability and profitability. The farms newly established in the I-dong Fishing Village Society succeeded in seedling cultivation. As National Fisheries Research & Development Institute’s experiment succeeded, the Regional Office of Maritime Affairs and Fisheries dispatched a ‘Korea Fishery Industry Inspection Team’ to Japan, and in 1971, as one of the projects to increase fishermen’s incomes, it accelerated the new construction of about 10 sea mustard and kelp culturing complexes in the East Coast in Gangwon, Gyeongbuk and Gyeongnam and the Coast of Jeju-do, and as a result, the social spread of sea mustard culturing was achieved. In the 1970s, the excessive production of sea mustard and Japan’s import restrictions of sea mustard caused a steep decline in sea mustard price, but Gijang, Busan exported salted sea mustard to Japan steadily. Gijang has been seeking for a measure...

      • KCI등재

        선천성 시각장애성인의 인생 각본(life script)에 대한 분석

        박혜영,박순희 한국시각장애교육&재활학회 2016 시각장애연구 Vol.32 No.1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investigate the process of completion of life scripts that affects directly in the visually impaired adults' lives. For this, interviews for 20 visually impaired adults living in Seoul and Gyeong-gi area were recruited and as a result, the organic roles of attitude variables for life goal, parenting environment and attitude, ego state and attitude to visual impairment that affected in the 3 periods, formation, modification, and completion of life script, were revealed. Firstly, in the life goal category, it appeared that all 3 types (winner, loser, non-winner) changed their unrealistic goals of childhood to realistic goals in adolescence and it was revealed that the grounds for the change were self conviction (winner), negative awareness of reality (loser), and realistic assessment of one's ability (non-winner). Secondly, in the parenting environment and attitude there were no differences in the 3 types, and thirdly, in the ego state, it appeared as active(winner), negative(loser), positive and compromising(non-winner). Fourthly, for the attitude towards the visual impairment, characteristics were prominent for each life cycle, as during childhood there was generally no awareness or judgement towards disability. During adolescence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the 3 types, and it appeared this was extended and reinforced during adult period. The winner extended their active and positive acception of disability in adolescence to infinite possibilities in adult period. The loser continued to retain their negative and critical acception in adolescence until adult period, and the non-winner changed their positive and compromising acception in adolescence passively to a form of adaptation to reality in adult period. This research is meaningful in that it analyzes for each life cycle, the main causes that affect the visually impaired adults' completion of life scripts, and presents the roles and relations. 본 연구는 성인기 시각장애인의 삶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끼치고 있는 인생 각본의 완성 과정을 탐색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서울 및 경기지역에 거주하는 선천성 성인 시각장애인 20명을 대상으로 심층 면담을 실시하여 인생 각본 형성, 인생 각본 수정, 인생 각본 완성의 3단계에 작용한 인생 목표, 양육 환경 및 태도, 자아상태, 시각장애에 대한 태도를 내용 분석하였다. 첫째, 인생 목표에서는 각본 형성기에 설정한 비현실적 목표를 인생 각본 수정기에 현실적 목표로 전환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그 전환의 근거가 긍정적 자기 확신(승자), 부정적 현실 자각(패자), 자기 능력에 대한 현실적 평가(비승자)로 밝혀졌다. 둘째, 양육 환경 및 태도에서는 3단계에서 모두 긍정적이고 지지적인 것으로 나타나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셋째, 자아상태는 인생 각본 수정기에서 주도적이고 적극적인 태도(승자), 소극적, 부정적 태도(패자), 긍정적, 타협적 태도(비승자)로 분명한 차이를 보였다. 넷째, 시각장애에 대한 태도에서 인생 각본 형성기에는 장애에 대한 인식이 거의 없다가 각본 수정기에서 승자 유형은 적극적이고 긍정적인 장애 수용을 이후 인생 각본 완성기에 미래에 대한 가능성으로 확장하였다. 반면, 패자 유형은 인생 각본 수정기의 부정적이고 비판적인 장애 수용 태도를 인생 각본 완성기에도 지속하였으며, 비승자 유형은 긍정적이지만, 타협적인 인생 각본 수정기의 장애 수용 태도를 인생 각본 완성기에 현실 적응 혹은 안주의 형태로 소극적으로 전환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시각장애 성인들의 인생 각본 완성에 영향을 미친 핵심 요인들을 생애 주기별로 심층 분석하여 그 역할과 관련성을 제시했다는 데에 의의가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