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위암으로 인한 위출구 폐쇄에서 막미부착형 자가팽창형 금속제 스텐트의 유용성

        박형열,강대환,엄재섭,하태인,박찬호,김경엽,최철웅,김도훈,김지영,이혜정,김광하,송근암 대한소화기내시경학회 2008 Clinical Endoscopy Vol.36 No.2

        목적: 수술이 불가능한 악성 위출구 폐쇄 환자에서 내시경적 자가팽창형 금속제 스텐트(self-expandable metal stents) 삽입은 안전하고 효과적인 치료법이다. 그러나 수술이 불가능한 위암 환자만을 대상으로 한 위출구 폐쇄에서의 보고는 드문 편이다. 저자들은 위암으로 인한 위출구 폐쇄에서 내시경적 막미부착형 자가팽창형 금속제 스텐트의 유용성을 알아보았다. 대상 및 방법: 2000년 8월부터 2007년 3월까지 부산대학교병원 소화기내과에서 오심, 구토, 위장 팽만 등의 위출구 폐쇄증상으로 내시경적 자가팽창형 금속제 스텐트를 삽입한 총 116명의 환자 중 수술 불가능한 위암 환자에서 막미부착형 스텐트를 시술한 62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결과: 스텐트 삽입은 61명(98.4%)에서 성공적이었고 평균 시술시간은 11.5±5.9분이었다. 시술 후 49명(80.3%)에서 임상적으로 호전되었고 위출구 폐쇄 평가점수가 의미 있게 향상되었으며, 시술과 관련한 중대한 초기 합병증은 없었다. 평균 재원기간은 14.2±11.5일이었고, 22명(36.1%)에서 스텐트 삽입 후 치료를 요하는 위출구 폐쇄증상의 재발이 있었으며, 그 원인은 종양 내발육 18명(29.5%), 종양 과발육 1명(1.6%), 스텐트 일탈 3명(4.9%)이었다. 평균 생존기간은 143.0±142.8일, 평균 스텐트 개방기간은 103.5±102.3일이었다. 결론: 내시경적 막미부착형 자가팽창형 금속제 스텐트는 위출구 폐쇄가 동반된 위암 환자에서 안전한 치료법으로서 성공률이 높고 폐쇄증상을 빠르게 호전시킬 수 있는 유용한 치료 방법이지만 종양 내성장의 예방에 대한 개선이 필요하다.

      • KCI등재

        경주 월성북고분군 출토 대부완의 분류와 편년

        박형열,성학경 영남고고학회 2019 嶺南考古學 Vol.- No.83

        This writing is on the subject of “Pedestal bowl” and mainly focused on categorizing objects regarding shape-related differences, changes of those objects in timeline and the locations of Silla pottery in different historical periods. Pedestal bowl is Bowl with Pedestal attached to it, and it is recognized in two different sorts: Handle pedestal bowl, if it has Handle and Pedestal bowl, if it doesn't have Handle. In detailed categorization, Pedestal bowl can be called differently: Notched band with Pedestal bowl, if its body has Notched band and Patternless- bowl of heels if its body doesn't have Notched band. In other Silla pottery researches previously done, the term of Pedestal bowl is mixedly used with words such as Handle- cup and Pedestal dish, which contributes more difficulties to a recognition of changes of Silla pottery in a time frame. Sometimes, errors were encountered by researchers from Chronology of Pedestal dish because Silla pottery was mistakenly put in the same category with Pedestal dish. In those reasons, each specific sorts of Pedestal bowl need to be correctly recognized and examined along with Pedestal bowl, Long-neck jar, Short-neck jar as a sub-class sort of Silla pottery. In this review, the subjects are discussed as the following order. First, Pedestal bowl and Pedestal dish are put in different groups through the exact definition of terms, and Pedestal bowl is sub-categorized through comparisons of its shapes. Moreover, changes which can be observed from objects are reviewed in regards of time and marked in period terms, chronically. Finally, Pedestal bowl is studied in terms of its changes in a time frame, the specifics of which are based on chronical records of each sort, and tried to be located in the specific time slot in a larger category of Silla pottery. In the process of this study, I recognized that Notched band with Pedestal bowl and Patternless-bowl of heels are normally not discovered together in many cases. Moreover, Handle Pedestal bowl was considered to have gone through some periods of its changes in shapes which were similar to Notched band with Pedestal bowl, and those changes were accompanied by its decrease in size. Also, it was also seen that Pedestal dish and Long-neck jar were not normally buried together, and uncategorized middle or small sized tombs can be recognized chronically through studies of its Pedestal bowl. 본 글은 대부완을 대상으로 형태적 차이에 의한 기종분류와 각 세부 기종별 변화양상을 확인하고 신라토기에서의 시간적 위치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대부완은 대각이 붙은 완으로 파수의 유무에 따라 파수가 있는 것은 파수대부완, 파수가 없는 것은 대부완으로 분류할 수 있으며, 대부완은 완신부에 돌대의 유무에 따라 있는 것은 돌대문 대부완, 없 는 것은 소문 대부완으로 구분할 수 있다. 기존 신라토기 연구에서는 대부완을 파배나 고배 등과 혼동하여 용어를 사용하므로 그 변화양상을 이해하기 힘들 거나 고배와 함께 분류되어 고배 편년에서 오류를 나타내는 경향도 관찰되었다. 이런 점에서 대부완의 각 세부 기종 을 구분할 필요가 있으며 신라토기의 한 기종으로 고배, 장경호, 단경호 등과 함께 연구되어야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글에서는 다음의 순서로 글을 작성하였다. 먼저 용어 정리를 통해 대부완과 고배를 분리하고 대부완의 형태 비교를 통해 세부 기종을 나누었다. 다음 세부 기종별로 변화양상을 정리하고 각 기종별 편년을 하였다. 그리고 각 기종별 편년을 종합하여 대부완의 변화양상을 정리하고 신라토기 안에서의 시간적 위치를 검토하였다. 여기에서 알 수 있었던 점은 돌대문대부완과 소문대부완은 서로 공반되지 않는 경우가 많고 파수대부완은 크기가 작아지며 돌대문대부완과 비슷한 형태변화를 거치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고배와 장경호가 부장되지 않거나 확인불 가인 중소형 고분에서 대부완을 통한 시기구분이 가능할 수 있다는 점을 알 수 있었다.

      • KCI등재

        초고령화 사회와 노인성 척추 질환의 수술적 치료

        박형열,김영훈,박예수 대한척추외과학회 2023 대한척추외과학회지 Vol.30 No.4

        Study Design: Review article. Objective: To identify factors affecting the outcomes of spinal surgery and suggest treatment options to reduce complications and improve recovery in geriatric patients. Summary of Literature Review: Postoperative complications of spinal surgery in geriatric patients have been reported to be relatively frequent, and their clinical outcomes are also poor compared to young healthy patients. Recently, positive results have been reported with the advancement of surgical techniques and increasing consideration of geriatric patients. Materials and Methods: Review of the relevant articles Results: Although spinal surgery in geriatric patients has become increasingly common with the coming super-aged society, postoperative complications due to aging have also been increasingly reported. For geriatric patients undergoing spine surgery, careful consideration for osteoporosis, osteopenia, nutritional status, and co-morbidities is warranted, and perioperative management should aim to prevent postoperative complications and provide better clinical outcomes. Regarding the surgical treatments for geriatric spine diseases, computer-assisted orthopedic surgery helps to decide preoperative planning and perform safe and accurate spinal surgery. Minimally invasive spine surgery can be considered to minimize postoperative complications and promote fast recovery for elderly patients. Applications of enhanced recovery after surgery and prevention of postoperative delirium also should be made to enable these patients to perform independent daily activities and return home. Conclusions: Consideration of multiple factors through a multidisciplinary approach is warranted for spinal surgery in elderly patients. Computer-assisted orthopedic surgery and minimally invasive spine surgery could prevent postoperative complications for geriatric patients. Enhanced recovery and rehabilitation after surgery should also be areas of focus.

      • KCI등재
      • KCI등재

        격자 결합기를 이용한 금속 팁에서의 광 에너지 집속 최적화

        박형열,구석모,유선규,박남규 한국물리학회 2010 새물리 Vol.60 No.1

        The strong field enhancement at the end of a nanoscale metal tip, can be used to overcome the resolution limit of conventional near-field optical microscopy, and is thus believed to find future applications in high-resolution lithography or/and nanosensing area. In this paper, using a 3D finite-difference time domain (FDTD) analysis, we study the field enhancement factors at the metal tip, and optimize its structure with respect to the SPP excitation and tip-coupling efficiencies. The results show that it is possible to get factors higher field enhancement, by several orders of magnitude from the optimal structure, compared to the non-optimal cases, by adjusting the metal tip angle and employing blazed SPP grating couplers. 나노 스케일 크기의 금속 팁 구조에서의 강한 필드의 집속은 근접장 광학 현미경의 분해능 한계를 극복하는 방법으로 사용되며, 고해상도 전사법, 나노 센싱 등, 다양한 응용에서의 한계점을 극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3차원 유한차분법 전산모사를 통해서 금속 팁에서 필드를 강하게 하기 위한 요소들을 분석하고, 금속 팁 끝에 모이는 표면 플라즈몬과 표면 플라즈몬을 발생시키는 결합기의 효율 증가를 위한 최적화 구조를 찾아보았다. 그 결과, 금속 팁의 각도의 최적화 값과 더불어 기울어진 격자 결합기의 도입을 통해 얻은 구조는 최적화되지 않은 구조에 비해 강한 필드가 집속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 KCI등재

        호남지역 분주토기의 제작방법 변화로 본 편년과 계통성

        박형열 영남고고학회 2014 嶺南考古學 Vol.- No.69

        This paper Bunju-pottery(墳周土器-Pottery at Decorate around the mound) production methods and technological changes on the methods assume a change in the Bunju-pottery examined in changes gender aspect was investigated in the system are identified. As a result, by the presence of bottom forming, Bunju-pottery can be divided into 1 and 2 type. each 1 and 2 type are estimated it had aspect of morphological changes. 1 type pottery is confirmed with colum forming, number, change of doldae(突帶-Embossed belt), changes in the size of the bottom of perforations. and 2 type show the change aspect of the production technology(stand upright technique(正立技法), partition technique(分割技法), upside-down technique(倒立技法)), form change of doldae. In previous studies, it was possible Bunju-pottery is strongly influenced by haniwa(埴輪) in Japan. but 2 and 3step form in Kyushu appear later than Honam. and in Honam, Upside-down technique(倒立技法) is checked at first. There is no reverse triangle hole in Kyushu From the appearance of matters, Haniwa(埴輪) in Japan is not direct influence to Honam. Therefore, this study has estimated that the change is occurred by Honam itself. by the exchange of culture between baekje(百濟) and japan, Haniwa(埴輪) authoring group exchanged their skills. So some attributes appear in the Honam region is estimated. and Bunju-pottery(墳周土器) attributes in Honam region suggest that spread to Japan. As mentioned above, Bunju-pottery in Honam is taken over Bunju-pottery in Chungcheong. so I think that it has Mahan(馬韓) characteristics. and the direction of the change can talk with the production simplify, hole, doldae, patterns and the change of each property size and the dadition of decorative. As a result, the change of Bunju-pottery in Honam is extrovert as decorate with around of the mound and tend to maximize the decorative. 본고는 분주토기의 제작방법과 그 방법상의 기술변화를 상정하여 분주토기의 변화상을 살피고 변화양상에서 확인되는계통성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그 결과, 분주토기는 저부의 형성유무로 Ⅰ형식과 Ⅱ형식으로 구분되고 Ⅰ형식과 Ⅱ형식은 각각 형태적 변화양상을 가지는 것으로 파악된다. Ⅰ형식 분주토기는 단의 형성과 단의 수 및 돌대의 변화, 투창의 변화로 변화양상이 확인되며 Ⅱ형식은 제작기술의 변화인 정립, 분할, 도립기법의 변화와 돌대, 투창의 형태변화 등으로 변화양상을 보인다. 기존연구에서 분주토기가 일본 埴輪의 영향을 강하게 받았을 가능성이 있었지만 일본 구주지역에서는 2조 3단 형식이호남보다 늦게 출현하는 점과 호남지역에서 도립기법이 먼저 확인되는 점, 역삼각형 투창이 없는 점 등으로 미루어 일본埴輪의 직접적인 영향성은 희박한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이러한 연구결과 자체적으로 발생하여 변화하였을 것으로 추정되며 변화과정에서 호남지역과 왜의 교류관계에 의해 일본의 埴輪을 제작하는 집단과의 교류가 이루어지고 이를 통해서 埴輪의 일부 속성이 호남지역에 나타나는 것으로 추정된다. 그리고 호남지역 분주토기의 속성도 일본으로 전파된 것으로 사료된다. 종합해 보면 호남지역 분주토기 변화의 방향은 제작방법의 단순화와 투창, 돌대, 문양(타날) 등 각 속성의 크기변화 및장식성의 첨가로 이야기할 수 있으며, 결론적으로 호남지역 분주토기의 변화는 분구의 주변을 장식하는 것으로 외향적이고 장식성을 극대화하는 경향으로 변화한다.

      • KCI등재

        호남지역 장고분의 상대순서와 공간적 의미

        박형열 호남고고학회 2022 湖南考古學報 Vol.70 No.-

        본 글에서는 호남지역 장고분에 대한 공간분포 양상에 대해 거시적인 관점에서 어떠한 시간성과 공간적인 변화를 띠고 있는지 살피고자 하였다. 그동안의 연구에서는 고분의 시간성이 배제된 채 영산강 유역권이라는 넓은 범위에서 검토되었으며, 장고분이 단독으로 분수계마다 분산적으로 분포하는 특징으로 요약되곤 하였다. 이와 같이 장고분이 분산되어 분포하는 현상은 동시에 여러 지역을 인위적으로 구분하여 배치된 형태로 인식되기도 하여 동시적으로 사용된묘제라는 오해의 소지가 있었다. 이처럼 장고분이 분산되어 분포한다는 동시성이 강조되고 있지만 장고분에 사용된석실의 변화상을 살핀 연구들에서는 시간적인 차이가 나타날 수 있다고 생각된다. 그렇기 때문에 장고분의 변화에 따른 공간적인 분포변화를 다시 살펴볼 필요가 있다고 생각하였다. 그래서 장고분의 출토유물에 대해 살펴본 결과 장고분은 분수계별로 단독 입지의 양상이 진하지만 이와 달리 여러기의 고분이 축조되는 경향도 관찰되었다. 그리고 장고분들 간에 시간적인 차이가 있을 가능성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보면 호남지역 장고분은 네 시기의 변화양상을 거치는데, Ⅰ기에 횡구식 석곽과 함께 영산강상하류역에 도입된 후 Ⅱ기에 영산강의 주요 수계를 따라 점차 상류에서 중류까지 분포한다. Ⅲ기에는 영산강의 지류를 따라 내륙에서 확인되고 서북해안 지역에서도 확인되고 있다. 그리고 Ⅳ기에는 해남지역을 비롯한 호남지역의 서남해안에서 확인되는 양상을 보인다. 이러한 시기적 분포양상에서 주목되는 점은 옹관고분이 만들어지지 않는 지역에서 장고분이 축조된다는 점이다. 특히 원형이나 방형의 석실분과 동일시기이거나 좀 더 이른 시기에 축조되는 양상이 확인된다. 이것은 이 지역에서 석실분이 등장하는 시점에 나타나는 현상으로 석실분이라는 공통된 요소가 확인되는 것을 특징이라고 볼 수 있다. 따라서 장고분의 등장이 이 지역에 장고분의 수용이나 도입에 의한 현상이라기보다는 다장과 추가장의 기능을 할수 있는 석실의 도입과정에서 나타나는 현상으로 이해해야 할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