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학교급식에서 제공되는 숙주나물의 Staphylococcus aureus 성장예측모델 개발 및 섭취유효기간 설정

        박형수(Hyoung-Su Park),김민영(Min-Young Kim),정현숙(Hyun-Suk Jeong),박기환(Ki-Hwan Park),류경(Kyung Ryu)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09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38 No.11

        본 연구는 학교급식에서 제공되는 숙주나물의 안전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표준레시피를 이용하여 조리한 숙주나물에 대하여 예측 미생물학을 이용하여 숙주나물의 성장예측 모델을 개발한 후 보관기간을 설정하였고, 식초를 첨가하여 조리한 숙주나물의 S. aureus 성장과 비교하였다. 표준레시피를 이용하여 조리한 S. aureus는 성장하기에 적절한 pH(6.32)로 측정되었고, 온도 변화(5, 15, 25, 35℃)에 따라 빠르게 증식하였다. 성장예측모델을 개발하기 위하여 Gompertz model을 적용하여 생육 지표(LT, SGR)를 구한 결과 5℃를 제외하고 0.90 이상의 높은 R²값을 나타내어 이차 모델의 변수 값으로 사용하기에 적합성이 높았다. Response surface model을 이용한 2차 모델에서는 LT, SGR의 R²값이 모두 0.94 이상으로 나타나 관측값과 예측값의 상관관계가 밀접하였다. MSE는 각각 0.020, 0.002로 나타났고, Bf와 Af의 경우에도 이상적인 값인 1에 가까운 값으로 나타나 관측 값과 예측값 간의 높은 정확성을 나타내었다. 따라서 본 연구의 S. aureus 성장예측모델은 통계적으로 적합성이 높다고 할 수 있으며, 사용 가능한 모델로 판단된다. 숙주나물의 보관기간은 S. aureus의 성장조건과 독소가 생성되는 6.0 log CFU/g을 근거로 설정하였다. 그 결과 10℃ 이하의 낮은 온도에서 보관할 것을 권장한다. 25℃ 이상에서 보관할 경우에는 12시간 이전, 35℃ 이상에서는 6시간 이전에 섭취하여야 할 것이다. 숙주나물에 식초를 첨가한 결과 pH는 4.78로 나타나 S. aureus의 증식에 불리한 조건이었고, 균의 증식도 온도 변화와 상관없이 일정한 수준을 유지하거나 감소하였다. 따라서 기온이 높은 계절에는 식초를 이용하면 S. aureus에 대한 증식억제 효과를 나타내 숙주나물의 안전성을 높일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stimate the shelf-life of cooked mung bean sprouts contaminated with Staphylococcus aureus according to storage temperatures after cooking in school foodservice operations. A predictive growth model of S. aureus in cooked mung bean sprouts prepared using a standard recipe was developed at 4 storage temperatures (5, 15, 25, and 35℃). To determine the effect of vinegar on the shelf-life of cooked mung bean sprouts, the growth of S. aureus in sprouts prepared using vinegar and the standard recipe were compared. The R² values of the specific growth rate (SGR) and lag time (LT) determined using the Gompertz model were greater than 0.90 at all temperatures except 5℃, which confirmed that it would be appropriate to use these parameters for a secondary model. The secondary model, which indicates changes in LT and SGR values according to storage temperatures, was calculated using response surface models. The compatibility of the developed model was confirmed by calculating R², Bf, Af and MSE values as statistic parameters. The R² values of LT and SGR were 0.94 or higher, and the MSE, Bf and Af values were 0.02 and 0.002, 0.97 and 1.03, and 1.31 and 1.10, respectively, with high statistical compatibility. The growth rate of S. aureus was higher when the standard recipe was used than when vinegar was used at all temperatures. Indeed, no growth of S. aureus was observed in mung bean sprouts prepared using vinegar. Based on the model developed, cooked mung bean sprouts prepared using the standard recipe for school foodservice should be stored at 10℃or less. Additionally, sprouts stored at 25 or 35℃ should be consumed within 6 or 12 hours after cooking. Finally, the addition of vinegar will prevent the growth of S. aureus in cooked mung bean sprouts.

      • KCI등재

        차광정도가 임간초지 혼파초지의 식생 및 목초생산성에 미치는 영향

        김원호,김현섭,박형수,정종성,최기춘,Kim, Won Ho,Kim, Hyun Seup,Park, Hyung-Su,Jung, Jeong Sung,Choi, Ki-Choon 한국초지조사료학회 2017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Vol.37 No.4

        본 연구는 임간초지에서 차광정도에 따른 목초의 식생변화 및 생산성을 조사하기 위해서 수행되었다. 본 시험구는 충남 천안 소재 국립축산과학원 축산자원개량부 천연 임간초지 시험포에서 2014년 4월부터 2016년 8월까지 3개년에 걸쳐 수행하였다. 시험구는 차광정도를 달리하여 관행구(10%이하), 25% 이하, 35% 이하 및 50% 이하로 하였으며 공시작물로써 톨페스큐(Furumi), 오차드그라스(Kodiwin), 페레니얼라이그라스(Linn), 켄터키블루그라스(Kenblue), 화이트클로버(Ladino)를 이용하였다. 본 시험의 임간초지 식생구성은 오차드그라스가 가장 높았고 페레니얼라이그라스, 켄터키블루그라스, 톨페스큐 순으로 높았다. 혼파초지에서 차광정도가 높을수록 목초의 건물수량은 감소되었으며 차광정도가 높은 상태에서 예취횟수가 많아지면 목초생산성은 현저하게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차광 정도가 높을수록 목초의 조단백질 함량이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나 통계적인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그리고 ADF 및 NDF 함량, 가소화영양소 총량 그리고 소화율에서도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또한 상대적 사료가치도 차광정도에 따라 큰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따라서 오차드그라스는 임간초지에서 매우 중요한 목초이며 특히 차광정도가 심할수록 오차드그라스의 효과는 높을 것이라 생각한다. The present study was carried out to explore the potential effect of shading degrees on yields and nutritive values of forage in forest-grassland. This experiment was conducted this study under different natural shading at National Institute of Animal Science, Cheonan province in Korea, for 2 years (from 2015 to 2016). This experiment was consisted of four different shading degrees, such as full sunlight (control, 10% below), 25% of shading, 35% of shading, 50% of shading. Pasture species used in this study were orchardgrass 'Kodiwin', perenial ryegrass 'Linn', tall fescue 'Purumi', kentuky bluegrass 'Kenblue', and white clover 'Ladino'. Botanical composition of orchardgrass was higher than that of perenial ryegrass, tall fescue and kentuky bluegrass. Dry matter (DM) yields of forage decreased as increasing shading degrees. DM yields of forage significantly decreased as increasing shading degrees and lots of cutting times under increasing shading degrees decreased DM yields of forage. The content of crude protein increased as increasing shading degrees and the contents of acid detergent fiber (ADF), neutral detergent fiber (NDF), the activity of total digestible nutrient (TDN) and in-vitro digestibility (IVD), and relative feed value (RFV) were similar in control and different shading. This study suggests that orchardgrass is major component for forest-grassland and establishment of orchardgrass can be improved by increasing shading degrees.

      • KCI등재후보
      • KCI등재

        사일리지용 옥수수 'Cap 444NG'의 생육특성 및 수량성

        지희정(Hee Chung Ji),김맹중(Meing Jooung Kim),이상훈(Sang Hyun Lee),최기준(Gi Jun Choi),김기용(Ki Yong Kim),박형수(Hyung Su Park),김원호(Won Ho Kim) 한국초지조사료학회 2012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Vol.32 No.1

        본 시험은 2007년부터 2008년까지 2년간에 걸쳐 충남 천안, 경북 영주, 전북 김제에서 여름 사료작물인 사일리지용 옥수수를 파종하여 국내 육성품종인 광평옥과 도입품종간의 생육특성 및 수량성에 대한 기초자료를 얻고자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도입품종 사일리지용 옥수수 중에서 Cap444NG 품종이 녹색도가 우수하고 생초수량이 61,111 ㎏/ha이고 건물수량이 20,635㎏/ha로 최고의 수량을 보였다. 또한 사료가치에 있어서도 조단백질 함량이 7.9%로 양호한 생육특성을 보였다. This experiment was carried out to know adaptability, forage production and quality of corn hybrid for silage at three regions during 2007 to 2008. Among agronomic characteristics, 'CAP444NG' hybrid was somewhat strong for good stay green and higher stem height as 294㎝. The fresh and dry matter yield of 'CAP444NG' hybrid were the highest 61,111 ㎏/ha and 20,635 ㎏/ha, respectively. The crude protein of 'CAP444NG' hybrid was somewhat higher than other hybrids as 7.9%. The result of this study indicated that 'CAP444NG' hybrid could be recommended as having good characters according to forage production and stay green and for silage in Korea.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