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노인법원 도입 및 운영방안 연구

        박형관 대검찰청 2020 형사법의 신동향 Vol.0 No.68

        Korea is rapidly entering the ranks of a super-aged society. This does not merely signify an increase in the number of elderly people, it is bringing about qualitative changes to all areas of society, culture and the economy. Because of the consistent increase in the sheer number of the elderly and life expectancy, our society is experiencing unprecedented numbers in criminal and civil cases involving the elderly, hence it has become imperative for the judicial system to change accordingly. Welfare administration for the elderly has always been an important issue in any society; however, due to the rise of criminal cases involving the elderly, criminal procedure must be dramatically revised. Further, disputes regarding the guardianship or trusts of the elderly will demand prompt and appropriate solutions. It is necessary to introduce an independent elderly court that will deal with various legal issues related to the elderly, including elderly criminals. The structure and form of elderly courts can vary. Although the elderly court could be established dedicated solely to cases involving elderly criminals; in light of the growing number of civil disputes, it may be expedient for the court to deal with civil matters within an appropriate boundary as well. The elderly courts would also be ideal in deciding on minor criminal cases against elderly offenders and as to whether protective orders for the elderly would be necessary. Further, the subject of guardianship or trusts of the elderly will become an increasingly important issue due to the sensitivity of the matter and intergenerational paradigm shifts unique to the Korean culture. Protective measures for the abused elderly must also be strengthened and better defined. It is strongly advised that the elderly court judges be appointed among long-standing legal professionals with established and potential for expertise in this area to serve as local judges for extended periods of service. The field of elderly justice though novel in our country, is one that in light of changing demographics will demand much interest and require comprehensive research beyond the fields of civil and criminal law. It is hoped that many related studies will be conducted in earnest to quickly establish a desirable elderly justice system. 한국은 빠르게 초고령 사회로 접어들고 있다. 이는 단지 고령자 수의 증가를 의미하지 않고 사회, 문화, 경제 모든 영역에서 질적인 변화가 시작된다는 점을 의미한다. 고령자 수와 평균 수명의 증가로 우리 사회는 종래 겪어보지 않은 고령자 관련 사건의 증가를 겪으리라 예상되므로 사법제도도 이에 맞추어 대응할 필요가 있다. 고령자에 대한 복지행정도 중요한 쟁점이지만 고령범죄가 급증하는 추세이므로 고령범죄자에 대한 형사사법절차의 획기적 개선이 필요하다. 후견이나 신탁 등을 활용하여 고령자와 관련된 분쟁을 종합적으로 해결하는 방안도 모색할 필요도 있다. 고령범죄자를 포함하여 고령자에 관한 여러 법률문제를 다룰 독립적인 노인법원 도입이 필요하다. 노인법원의 운영 모습은 다양할 수 있다. 고령범죄자 사건만을 전담하는 법원일 수도 있고 형사사건뿐만 아니라 관련된 민사사안도 담당하는 모습일 수도 있다. 단지 민사사안이나 형사사안만을 다루기보다 고령범죄자에 관한 사안과 합리적인 범위 내에서 일정한 민사사안까지 담당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노인법원이 고령범죄자에 대한 경미한 형사사건을 처리하고 향후 도입이 예상되는 노인보호처분의 부과 여부도 결정하도록 할 필요가 있다. 한국 사회가 고유한 전통에서 벗어나 각 세대 사이의 역할이 새롭게 전환되고 있는 시기에 있는 점에 비추어 고령자 후견이나 신탁은 매우 중요한 쟁점이 될 것이다. 학대받는 고령자에 관한 적절한 보호조치도 더욱 강화되고 보완될 필요가 있다. 노인법원 판사는 위와 같은 분야에 전문성을 갖춘 오랜 경륜의 법조인들이 지역 법관으로 임명되어 장기간 근무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노인사법 분야는 아직까지 새로운 분야이지만 인구구성의 변화에 비추어 민사, 형사법의 영역을 넘어선 종합적 연구가 필요한 분야이다. 공정하고 바람직한 노인사법시스템이 빠르게 구축되기를 기대한다.

      • KCI등재
      • SCOPUSKCI등재

        선천성 Antithrombin III 결핍증에서 발생한 폐색전증 1 예

        박형관,박창민,고경행,임명수,김유일,황준화,임성철,김영철,박경옥,Park, Hyeong-Kwan,Park, Chang-Min,Ko, Kyoung-Haeng,Rim, Myung-Soo,Kim, Yu-Il,Hwang, Jun-Hwa,Lim, Sung-Chul,Kim, Young-Chul,Park, Kyung-Ok 대한결핵및호흡기학회 1999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Vol.47 No.3

        저자들은 갑작스런 흉통을 주소로 내원한 젊은 남자에서 AT III 결핍증에 의한 폐색전증을 진단하고 세 자녀 모두에서도 AT III 결핍이 확인됨으로써 폐색전증을 동반한 선천성, 가족성 AT III 결핍증을 경험하였기에 문헌고찰과 함께 보고한다. We report a case of congenital and familial antithrombin III deficiency developing massive pulmonary thromboembolism. A 44-year-old man was admitted to our hospital because of sudden chest pain and severe dyspnea. Five years ago, he was operated due to a mesenteric vein thrombosis of unknown cause. On admission, radioisotopic venogram showed deep vein thrombosis and lung scintigram showed multiple segmental perfusion defects. His plasma antithrombin III level was 10.5 mg/dL which was less than 50% of normal and those of a son and two daughters were also decreased. After treatment with tissue plasminogen activator, heparin and coumadin, his symptom and lung scintigram were significantly improved. As far as we reviewed, there were very rare reports with congenital antithrombin III deficiency presenting as pulmonary thromboembolism in Korea.

      • KCI등재

        우리나라 양형기준 설정방식과 양형위원회 운용방식에 관한 점검 및 개선방안

        박형관 한국형사정책학회 2014 刑事政策 Vol.26 No.2

        It has been almost 5 years since the advisory sentencing guidelines system was introduced and the first guidelines implemented in our nation. Thus far, sentencing guidelines for 26 crime categories including murder are in force. The demand by the people to abolish such sentencing problems such as unduly lenient sentencing, unwarranted disparities, untransparent sentencing, and perhaps most serious "Jeon-Kwan-ye-Woo" or favor shown to counsel who are former prosecutors or judges, was the impetus for the introduction of the sentencing guidelines system. Since its implementation, there have been some improvement in the judges' compliance rate as well as in consistency and predictability in sentencing; however, the people's deep rooted distrust toward the criminal justice system has yet to be significantly alleviated. The basic characteristics of the current sentencing guidelines and Commission activities are still skewed in favor of judges’ sentencing practice, that is the Commission has been slow to set forth new guidelines and the guidelines still allow for much judicial discretion. Furthermore, the guidelines lack objectivity in the evaluation of the major sentencing factors thereby failing to fully gain the public’s trust. With the end of the trial period, the problems that arose demand immediate attention and resolution. Nonetheless the Commission has yet to initiate the reform process, seemingly content with the current gradual approach in promulgating sentencing guidelines. To achieve the sentencing reform goals in accordance with the intent of the introduction, the current sentencing guidelines need substantial revisions. This should begin with a thorough discussion and evaluation of the goals and principles in framing guidelines. Other pressing issues include grading the seriousness of the major offenses and setting the base level of each offense, raising objectivity when evaluating the major sentencing factors, establishing guidelines on deciding appropriate punishment, and enhancing objectivity in the criteria for the in-out decision. Other suggestions include mandating judges to explain the guidelines application process in the sentencing report and the development of a sentencing data base by the Commission to improve predictability in sentencing. These proposals for revision aim to create a new guidelines system which corresponds with the common sense of the public. As it is highly unlikely that the incumbent judiciary dominating Commission will accept or implement these suggestions, the composition of the Commission must first be rebalanced with members from outside the judiciary. Neutrality, independence, and specialization of the operating style of the Commission must be improved and the role of the public and the National Assembly should be reenforced and expanded. Only through these efforts will the new guidelines become more objective to the public with a view to a greater and genuine trust by the public of our nation's criminal justice system. 참고적 양형기준제가 도입되고 양형기준이 시행된 지 약 5년이 되었다. 현재 살인을 포함하여 26개 범죄들에 관한 양형기준이 시행되고 있다. 양형기준제 도입은 소위‘전관예우’의 폐해, 관대한 양형, 불합리한 양형편차, 불투명한 양형 등 양형 문제점들을 극복하려는 정책적 결단이었다. 양형기준의 시행으로 양형의 일관성이나 예측 가능성이 다소 높아졌으나 뿌리 깊은 국민의 사법 불신이 해소되었는지 의문이다. 현 양형기준 및 양형위원회 운용 방식은 법관의 업무 수행을 도와주기 위한 참고용 성격이 짙다. 양형기준은 더디게 설정되고 있고 법관의 재량이 여전히 넓게 보장된다. 주요 양형인자들의 평가에 있어 객관성도 부족하다. 이로 인하여 국민의 신뢰를 확보하기에 미흡하다. 시험적인 운용을 통해 나타난 설정방식의 여러 문제점들을 신속히 해결하여야 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양형위원회는 종래 설정방식에 따라 기준을 추가로 설정하는 것에 머무르고 있다. 양형 개혁 목표를 달성하기 위하여 대폭적인 개선이 필요하다. 양형기준 설정에 관한 목표나 원리 등을 뚜렷이 정할 필요가 있다. 주요 범죄들 사이의 범죄의 심각성에 따른 서열화를 진행하고 기본 범죄수준을 정하며 주요 양형인자들에 관하여 더 객관적 평가를 해야 한다. 형종 기준이 마련되고 집행유예 기준도 더 객관화되어야 한다. 법관은 판결문에 기준 적용과정을 상세히 기재하고 양형위원회는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여 양형의 예측가능성을 높여야 한다. 이러한 개선은 보다 국민의 상식에 맞는 양형기준을 만들기 위한 것이다. 사법부가 주도하는 양형위원회는 위 요청을 충실히 수행하기 어렵다. 따라서 양형위원회 구성이나 운용에 중립성, 독립성, 전문성이 더 보장되도록 개선되어야 한다. 국민과 국회의 역할이 강화되어야 한다. 이를 통하여 국민이 바라는 객관적 양형기준이 마련될 때 형사사법에 관한 국민의 신뢰가 높아질 것이다.

      • KCI등재

        집행유예 취소와 적법절차

        박형관 한국형사소송법학회 2022 형사소송 이론과 실무 Vol.14 No.4

        Under the revision of the Penal Code in 1995, it became possible to attach probation as a condition to the suspension of execution of sentence. Before the revision, a suspension could be revoked only at the time of sentencing if it was discovered that due to legal restraints, the suspension would otherwise have been disqualified. If a person who was sentenced the suspension of execution of sentence with the condition of probation (hereinafter referred to as ‘the sentenced person’) is found to have seriously breeched the probation obligation, revocation procedure can be initiated. After reviewing whether or not the breech had actually occurred and assessing the gravity of the breech, the courts will render a decision as to revocation of the suspension. If the suspension is revoked, the sentenced person will be imprisoned for the original sentence. Because the revocation deprives the sentenced person of liberty, special care must be taken to adhere to the due process of law principle during the revocation procedure. Although securing the level of due process protection in revocation procedure would be difficult to attain to the level for the accused in criminal procedure, reasonable protections must be provided unless they conflict with the status of the sentenced person. The sentenced person must be given the opportunity to present evidence in his or her favor and to speak against any adverse evidence in open hearing. In special situations such as the sentenced person is in custody or is indigent, legal assistance must be provided according to the due process of law principle. These would provide the minimum level of protection. Especially in the revocation procedure of probation attached cases there must exist a more prudent and effectual hearing process in ascertaining the existence and gravity of the breaches. The Korean Criminal Procedure Act only requires that the court hear the sentenced person’s opinion regarding revocation with or without an open hearing thereby failing to offer minimum procedural protection. Strict evidence rules of typical criminal trials are not directly applied to the revocation hearing due to the basic differences of both procedures but could be used within a reasonable scope. In addition, through developing fair and objective revocation guidelines, unwarranted disparities in revocation decisions can be avoided or at the very least minimized. 1995년 형법 일부 개정으로 집행유예의 조건으로 보호관찰 등을 부과하는 것이 가능해졌다. 위 개정 이전에는 선고 당시 집행유예 결격사유를 간과한 경우에만 집행유예 취소가 가능했다. 이제 보호관찰 등을 조건으로 하는 집행유예 선고를 받은 사람이 그 조건을 중대하게 위반하는 경우도 집행유예 취소 절차가 개시된다. 법원은 위반 여부 및 위반 정도에 관하여 검토 후 취소 여부에 관한 결정을 한다. 집행 유예가 취소되는 경우 유예된 형이 집행되는데 통상 취소대상자는 구금된다. 취소 결정이 내려지면 유예 선고를 받은 사람의 신체의 자유가 박탈되므로 취소 절차에서 적법절차 원칙이 보장될 필요가 있다. 형사재판을 받는 피고인과 같은 수준의 보장은 어렵지만 취소대상자의 지위와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적절한 보장이 필요하다. 구두변론을 통하여 취소대상자가 자신에게 유리한 자료를 제출하고 불리한 증거 들에 대한 의견을 진술할 기회가 부여될 필요가 있다. 또한 취소대상자가 유치되어 있거나 빈곤한 경우 등 일정한 경우에는 변호인의 조력을 받을 수 있도록 하여야 한다. 이는 적법절차 원칙에 따른 최소한의 요청이라 하겠다. 특히 보호관찰 등 조건부 집행유예 취소 절차에서는 위반사실의 존부와 위반의 중대성에 관하여 충실한 심리가 이루어져야 한다. 현행 법령은 구두변론을 거치지 않고도 법원이 단지 취소 대상자의 의견을 듣고 결정을 할 수 있도록 규정하고 있어 위와 같은 최소한 보장에도 미치지 못한다. 취소 재판에서 형사재판과 같은 엄격한 증거법 원칙들이 그대로 적용될 수는 없지만 합리적인 범위 내에서 준용될 수 있을 것이다. 아울러 집행유예 취소에 관한 공정하고 객관적인 기준이 마련되어 취소 여부에 관한 결정 에서 부당한 편차가 발생하지 않도록 하여야 할 것이다.

      • KCI등재

        영국과 미국의 수사와 기소에 관한 절차적 통제구조와 시사점

        박형관 한국형사소송법학회 2020 형사소송 이론과 실무 Vol.12 No.1

        범죄에 상응하는 처벌을 함으로써 사법정의를 실현하는 국가작용은 매우 중요하다. 다만 수사와 기소에 관한 국가기관의 결정은 피의자를 포함하여 많은 사람들의 기본권 행사에 큰 제약을 준다. 따라서 객관적이고 공정한 결정이 내려져야 한다. 한국은 제정 형사소송법에서 설계한 기소 절차의 틀을 그대로 유지하고 있다. 기존 틀도 장점이 있지만 이제 국민의 참여가 더욱 보장되고 적법절차 원칙이 실질적으로 구현되는 틀이 요구되고 있다. 영국과 미국의 수사와 기소 절차의 특징은 다양한 절차와 적절한 권한 분산을 통하여 인권보장에 충실한 체제를 추구한다는 점이다. 절차적 통제구조가 잘 짜여져 있다고 볼 수 있다. 양국 모두 경죄와 중죄를 구분하여 경죄의 경우에는 1단계 절차에서 기소와 재판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중죄의 경우에는 2단계를 거쳐 공식적인 기소 결정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체포가 행해진 경우 피체포자가 신속히 법관 앞에 인치되고 법관이 관여하는 사법절차가 신속히 개시된다. 아울러 치안판사나 대배심 제도 등 실질적인 기소 결정에 국민이 적극 참여하는 틀을 갖추고 있다. 다만 절차적 보장을 강화되는데 따른 업무부담을 완화하기 위하여 유죄협상제도 등을 채택하였다 법체계가 다른 영미의 방식을 한국에 그대로 받아들일 수 없지만 좋은 점은 수용할 수 있을 것이다. 경죄처리절차를 구분하고, 체포와 구속의 적정성이나 기소 결정의 적정성 여부를 판단하는 절차를 도입할 필요가 있다. 구속적부심은 모든 사건으로 전면 확대할 필요가 있다. 일부 중죄에 대하여 검사 기소 결정의 적정성을 심사하는 절차를 새로 마련할 수도 있다. 여러 요건을 고려할 때 대배심 제도를 도입하기보다 시민들이 영미의 치안판사와 같은 일종의 부판사로 수사와 기소과정에 참여하도록 하는 방안이 고려될 필요가 있다. 형사사법제도의 개혁은 국가의 기본 틀을 바꾸는 것이므로 신중을 기할 필요가 있다. 하지만 국민 참여를 높이고 인권보장에 더욱 충실한 수사와 기소 절차를 본격적으로 모색할 시점이다. Meting out punishment that rightly fits the crime is essential to the criminal justice system and must be a mandate for any state to follow. However, decision making on the part of state agencies as regarding the investigation and prosecution can unwittingly place restrictions on the exercise of the basic rights of many including the suspect. Hence the crucial nature of rendering objective and fair decisions. South Korea maintains the framework of the prosecution process designed by the original Criminal Procedure Act which is not without its advantages; however it has now become imperative to establish a new framework that encourages active citizen participation and where the principles of due process are actually implemented. A distinctive feature of the investigation and prosecution process in the United Kingdom and the United States is that it places great importance on the protection of human rights through various procedures and decentralization of appropriate powers. Procedural control structures are well organized and both countries distinguish between felonies and misdemeanors whereby the prosecution and trial of misdemeanors are conducted in the first step, and in the case of felonies, the formal prosecution decision is made through the second step. If an arrest is made, the arrestee is promptly brought before a judge and the judicial proceedings are initiated in a timely manner. Furthermore, the involvement of a magistrate or grand jury allows for active public participation in the prosecution decision. And in order to alleviate what could be an inordinate burden of work due to the strengthening of procedural guarantees, the two countries have maintained the plea bargaining system. Due to the very distinct basic legal systems, it would be difficult to seamlessly implement the British and American framework into Korea. However, adopting favorable aspects of both could be advantageous. To begin with, a new criminal procedure dealing exclusively with misdemeanors would be efficacious as would be procedures to review the appropriateness of the charging decision and whether an arrest or detention should be executed. Other points that need to be addressed is the expansion of detention hearings to all cases and introducing procedures to re-examine the prosecutors' charging decisions for certain felony charges. In light of the current circumstances, instead of introducing a grand jury system, it may be more appropriate to introduce a new procedure in which citizens can participate in the investigation and prosecution process in the capacity of a deputy judge along the lines of a British or American magistrate. The reform of the criminal justice system needs to be effected with great caution and deliberation as it changes the very basic framework of the state. However, it is high time to increase public participation and to fully pursue investigation and prosecution procedures that are in line with the protection of human rights.

      • KCI등재

        양형인자의 증명 - 양형기준상 인자를 중심으로 -

        박형관 가천대학교 법학연구소 2015 가천법학 Vol.8 No.4

        공정하고 객관적인 양형을 바라는 국민의 열망을 담은 양형기준제가 시행된 지 6년이 지났다. 양형기준은 법관에게 참고적인 효력이지만 법 관이 이를 이탈하는 경우 판결문에 양형이유를 기재하여야 한다. 따라서 양형기준 대상 사건을 심리하는 경우에는 양형인자의 조사를 통한 양형 기준의 적용은 필수적이다. 양형위원회는 다양한 양형인자 중 양형에 많 은 영향을 미치는 인자들을 추출하고 그 평가를 통하여 형량범위를 권고 하고 있다. 그동안 양형인자들의 증명이나 심리방식에 관하여 깊은 논의가 이루어 지지 못하였다. 전통적으로 양형인자는 범죄사실에 관한 것이 아니므로 조사방법은 판사의 재량에 따르는 것이 타당하다는 입장이 있었다. 하지 만 이제 헌법이나 형사소송법의 취지에 따라 형벌권의 존부에 관한 인자 뿐만 아니라 형벌권의 범위에 관한 인자도 엄격한 증명이 필요하다는 입 장이 주류를 이룬다. 양형기준에 제시된 양형인자들의 입증 방법이나 심리방식에 관한 본격 적인 논의가 필요하다. 양형기준상 양형인자들은 종류가 다양하므로 세 부 유형에 따라 살펴볼 필요가 있다. 양형기준상 양형인자들은 대부분 엄격한 증명의 대상이 되고 그 이외의 인자들도 적어도 당사자들에게 의 견을 제시할 수 있는 기회를 준다는 의미에서 적법절차에 따른 증명의 대상이 된다고 본다. 성공적인 양형기준제 시행을 위하여 양형심리를 내실화할 필요가 있 다. 효율성도 고려하여야 하지만 무엇보다 양형과정의 객관성과 투명성 도 보장되어야 한다. 심리절차는 기본적으로 당사자주의 구조의 틀에 따 라 진행할 필요가 있다. 양형인자의 다양성을 고려하여 필요한 경우 보 호관찰관에 의한 양형조사도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법원직원이 위 업무 를 담당하도록 하는 방안은 공정성, 투명성, 전문성을 해칠 우려가 있고 당사자주의 구조에 반한다. 또한 위와 같은 양형심리에 관한 국민의 권 리와 의무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사항이므로 입법을 통한 정비가 필요 하다. In response to public demand for objective and just sentencing, the sentencing guidelines system was introduced 6 years ago. These guidelines are advisory in that judges are not bound to follow them but in the case of any departures or deviations from the recommended sentence, a written explanation is required. It would follow that a thorough investigation of any related sentencing factors be conducted before applying the most appropriate guidelines in any given case. Hence, before recommending an appropriate sentence, the Sentencing Commission would undertake the task of discerning which sentencing factors out of a myriad would be applicable. Discussions concerning the proof process and investigative procedure of sentencing factors have been less than exhaustive. It has been traditionally held that the entire sentencing factor investigation procedure falls under the realm of judicial discretion because sentencing factors are distinct from the actual criminal act in and of itself. However, it is now widely accepted that factors that affect the scope and severity of punishment should be treated under the same strict proof rules and procedure as the factors that determine guilt. It is imperative to begin discussion about the framing of evidentiary procedure regarding sentencing factors that are described in the sentencing guidelines. Because of the wide variety of sentencing factors, they should be separated into categories and studied severally. While the majority of these sentencing factors should be examined under strict proof rules and procedures, the balance must at the least be examined in procedures where the basic principles of due process are guaranteed. The successful implementation of the sentencing guidelines system is dependent on a thorough and complete sentencing hearing procedure where all necessary considerations have been obliged. The sentencing hearing procedure should be reframed within the adversarial framework and although efficiency is emphasized, it should be secondary to objectivity and transparency. Henceforth, while probation officers may be involved in the investigation of sentencing factors, these officers should not be employed within and by the judiciary because they may not be qualified for the task and more importantly, because the conflict of interest would negatively affect the transparency of the process as well as the adversarial structure. Finally, because of its subsequent impact on the rights and duties of citizens, the main features of the new sentencing hearing procedure must be clearly defined by statute.

      • KCI등재

        공판중심주의 틀에서 수사와 입증

        박형관 한국형사소송법학회 2017 형사소송 이론과 실무 Vol.9 No.2

        The premise of the Trial Base Principle(the principle of emphasizing the value of open court trial procedure) is that the decision making process in which a case is rendered a guilty or not guilty verdict should be formulated in open court examinations. This is in contrast to ‘the written protocol base trial’ practice wherein the role of the court was limited to examining and confirming the validity of the contents of the written protocols submitted by investigation agencies. The new principle would in effect reinforce transparency in the investigation stages and the pretrial preparation procedure, introduce discovery, and emphasize the defendant’s rights in cross examination. A movement to transition from a written protocol base trial to one that emphasized the trial base principle resulted in the revision of the Korean Criminal Procedure Act(KCPA). The move towards the trial base principle resulted in many changes in investigations and proof of evidence activities. To start, the investigation organization must begin to regard the suspects not merely as objects of criminal procedure but those who maintain a quasi defendant’s legal position In cases where the suspects have been arrested and accused of serious crimes, the interrogation must be recorded in order to enhance transparency in investigation stage. And the courts set stricter standards in evaluating the admissibility and probative value of statements made during the investigation period in addition to reinforcing adversarial examination procedures. Realistically speaking, it would be unreasonable to insist on the trial base principle in all cases. It would be far more practical to introduce summary trial procedure whereby trivial cases can be promptly dissolved. Further, it would be worthwhile to consider the introduction of a more flexible evidence examining procedure in cases where one party consents to the use of evidence presented by the other party. The appointment of deputy judges and deputy prosecutors system would also serve to alleviate the crushing load of cases of which a substantial portion may not require a lengthy trial base procedure resulting in a far more efficient turnaround. The realization of the trail base principle is an on-going process demanding continuous improvement. To that end, cooperation, collaboration is imperative to the betterment of our justice system by both the courts and investigation agencies. 공판중심주의는 유, 무죄의 심증형성이 공개된 법정에서의 심리에 의하여 이루어져야 한다는 원칙이다. 과거 형사재판실무를 돌이켜보면 법원이 수사기관이 작성한 조서의 내용을 확인하고 추인하는 이른바 조서재판의 관행이 있었다. 이를 극복하고자 공판중심주의를 강조하는 흐름이 대두되어 2007년에 형사소송법 일부 개정이 이루어졌다. 위 개정을 통하여 수사과정의 투명성이 강화되고 공판 전 준비절차, 증거개시제도 등이 도입되었으며 증거법 분야에서 피고인의 반대신문권 보장이 강조되었다공판중심주의의 강화는 수사와 입증활동에 많은 변화를 가져오게 되었다. 그 흐름에 맞추어 수사기관도 피의자를 단지 수사의 객체가 아니라 당사자에 준하는 지위를 누리는 주체로 적극적으로 인식하여야 한다. 체포, 구속된 피의자나 중요 사건의 피의자를 조사하는 경우 영상녹화를 통하여 수사과정의 투명성을 더욱 높일 필요도 있다. 입증에 있어서도 수사단계 진술의 증거능력이나 증명력 판단에 있어 법원이 종래보다 엄격한 기준을 제시하고 있고 당사자주의적인 심리절차도 강화되었다. 사실 모든 사건에서 완전한 공판중심주의적 심리절차를 구현하기 어렵다. 따라서 경미한 사건을 신속하게 처리하는 간이재판절차를 도입할 필요가 있다. 당사자가 증거에 동의하는 경우 증거조사를 간이화하는 방안이나 부판사나 부검사 제도의 도입을 적극 고려할 필요도 있다. 바람직한 공판중심주의의 구현은 지속적인 개선이 필요한 동적인 과정이다. 이러한 형사사법 절차의 개선에 관한 목표를 달성하기 위하여 형사사법의 여러 주체들이 협력하고 지혜를 모으려는 공동 노력이 필요하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