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러시아어 집(ДОМ)의 개념 연구

        박현지 한국슬라브어학회 2017 슬라브어연구 Vol.22 No.2

        This study investigates the concept of ‘Home’ in Russian idioms from a cognitive linguistic perspective (conceptual components and shaped components). Through the analysis of the data, we found that in the consciousness of the Russians the greatest feature of ‘Home’ is the binary opposition ‘own – others’. At home, people can feel comfortable and free. The house protects people from the attacks of the outside world. In conceptual components, the concept of ‘Home’ was used in a metonymical sense. 'House' is replaced with the separate spaces of the house (the roof, wall, door, threshold, courtyard, stove, etc.) and family members such as a husband and a wife. In the components, the concept of ‘Home’ was used in a metaphorical sense of own space, society (social organization, homeland, etc.), and man (appearance, cognitive ability, etc.). Understanding the concept of the ‘Home’ as an integral part of man, which is endowed with physical, social, and cultural meanings, is through metonymy and metaphor. 본 연구에서는 인지언어학적 측면에서 러시아 관용어에 나타난 ‘집’의 개념을 인식적 구성요소와 형상적구성요소(은유)로 분석하였다. 자료 분석을 통해 러시아인들의 인식 속에서 내재되어 있는 ‘집’의 가장 두드러진 특징은 ‘자신의 – 타인의’라는 이항적 대립구조를 이루고 있었다는 점이다. 이것은 더 세부적으로 ‘집 – 집이 아닌 외부세계’라는 공간적 대립을 의미하였다. ‘자신의’ 공간인 ‘집’에서는 인간이 물질적이고 정신적인 ‘안락함’, 어떤 것에도 구애받지 않는 ‘자유’를느낄 수 있으며, ‘집’은 외부 세계의 공격으로부터 자신을 안전하게 ‘보호’하고 ‘방어’할 수 있는 안전한 자기만의 장소였다. 인식적 구성요소에서 나타난 ‘집’의 개념은 환유적인 의미로 전환되어 사용되는 특징을 지니고 있었다. ‘집’은 집에 속한 개별 공간 (지붕, 벽, 문, 문지방, 마당, 페치카)으로 대체되기도 하고, 가족 구성원 (남편, 아내)으로 대체되어 사용되었다. 이런 환유적 표현들이 형상적 구성요소에서는 외부세계로부터 격리되고 구분되는 ‘자신만의 공간’, 가족의 개념이 확대된 ‘사회’(사회 단체, 조국)의 형태, 그리고 집과 ‘사람’을 동일하게 생각하여, 집의 개별 공간이 사람의 신체(외형)와 인지기능이라는 은유적 의미로 확대되는 현상을 볼 수 있었다. 은유적 기제의 바탕에는 세계에 대한 러시아인들의 전통적 사상이 깃들어 있었다. 예를 들어, ‘문’의 경우는 타인을 받아들이기도 하고 배척하기도 하는 ‘인간‘관계’로 의미가 전이되었으며, ‘문지방’은 자신의 영역과 외부와의 ‘경계’를 나타내었다. ‘집’에 자신의 영혼이 깃든 것으로 여긴 러시아인들의 인식을 바탕으로 ‘집’의 내부 공간이 사람의 모습으로 의인화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렇듯 물질적, 사회적, 문화적 의미가 부여되어 있으며, 인간의 생존에 꼭 필요한 ‘집’에 대한 이해는 환유적 표현들과 다양한 은유적 형상들을 통해 실현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에서는 러시아 관용어가 분석 자료로 사용되었기 때문에, 러시아인들이 인식하는 전통적인 ‘집’ 에 대한 개념들이 제시되고 있다.

      • KCI등재

        Automatic Sagittal Plane Detection for the Identification of the Mandibular Canal

        박현지,김동준,신영길 (사)한국컴퓨터그래픽스학회 2020 컴퓨터그래픽스학회논문지 Vol.26 No.3

        Identification of the mandibular canal path in Computed Tomography (CT) scans is important in dental implantology. Typically, prior to the implant planning, dentists find a sagittal plane where the mandibular canal path is maximally observed, to manually identify the mandibular canal. However, this is time-consuming and requires extensive experience. In this paper, we propose a deep-learning-based framework to detect the desired sagittal plane automatically. This is accomplished by utilizing two main techniques: 1) a modified version of the iterative transformation network (ITN) method for obtaining initial planes, and 2) a fine searching method based on a convolutional neural network (CNN) classifier for detecting the desirable sagittal plane. This combination of techniques facilitates accurate plane detection, which is a limitation of the stand-alone ITN method. We have tested on a number of CT datasets to demonstrate that the proposed method can achieve more satisfactory results compared to the ITN method. This allows dentists to identify the mandibular canal path efficiently, providing a foundation for future research into more efficient, automatic mandibular canal detection methods.

      • 컨벤션 및 관광객 유치 기구(CVB)의 웹사이트 분석 : focused on the Internet Marketing Strategy

        박현지 문화관광연구학회 1999 문화관광연구 Vol.1 No.1

        ABSTRACTThe appearance of Internet brought about enormous effects and changes in the tourism industry. The settlement of municipalism also means economically tremendous impact of tourism.CVB(Convention and Visitors Bureau) websites simultaneously reflect these changes. Therefore, CVB is a tool for tourism marketing in municipalism and CVB websites are utilized for Internet marketing tool.In this paper, Internet marketing, Internet marketing mix and the concepts of CVB are studied.As empirical analyses, the analysis of components in CVB homepage, the analysis of contents in CVB website based on Internet marketing mix and the analysis of users' responses on CVB websites are investigated.

      • 실란화 반응을 통한 소수화 셀룰로오스 나노피브릴의 필름 제조 및 특성 연구

        박현지,박희태,육심엽,김태영,윤혜정 한국공업화학회 2018 한국공업화학회 연구논문 초록집 Vol.2018 No.0

        셀룰로오스 나노피브릴(CNF)은 친환경성 소재로 종횡비가 크고 표면적이 넓어 복합재의 첨가제로 많이 활용되고 있으며 CNF의 표면에 수산기가 많기 때문에 표면의 개질이 용이한 장점이 있다. 반면, 친수성인 CNF는 소수성을 띠는 고분자와의 상용성이 저하되어 복합재로의 활용에 한계를 지니고 있다. 따라서 이를 극복하기 위해 CNF의 표면 개질을 통해 소수화를 진행할 수 있으며 대표적인 방법으로는 CNF 표면에 분자를 흡착시키거나 그라프팅을 통해 화학 물질을 수산기와 공유 결합시키는 방법 등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CNF에 소수성을 부여하기 위해 수계에서 반응이 가능한 실란화를 적용하였다. CNF 전건량 대비 실란화 약품 투입량을 조절하여 개질된 CNF를 캐스팅을 통해 필름을 제조하였으며 필름의 접촉각을 통해 소수성을 제시하였다. 최적의 실란화 반응 시간, 온도 및 투입량을 제시함에 따라 소수화 CNF 필름 제조 가능성을 살펴보았다.

      • KCI등재

        관광옴니채널상의 관광정보탐색 동기가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관계 분석 -관광경험과 위험지각의 조절효과를 고려하여-

        박현지,박중환,오암석,김영하,박봉규,Park, Hyun-Jee,Park, Jung-Hwan,Oh, Am-Suk,Kim, Young-Ha,Park, Bong-Kyu 한국디지털정책학회 2016 디지털융복합연구 Vol.14 No.10

        본 연구는 옴니채널에서의 관광정보탐색과 만족도간의 관계와 관광경험과 위험지각간의 조절 영향관계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첫째, 관광정보탐색동기의 편리성과 신뢰성은 모두 만족도에 유의한 영향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관광정보탐색동기인 편리성과 신뢰성이 만족도와의 관계에서 관광경험의 조절효과는 유의적이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관광정보탐색동기인 편리성과 신뢰성이 만족도와의 관계에서 위험지각의 조절효과는 재무위험의 경우 유의적인 것으로 나타났고, 심리위험은 유의적이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재무적인 위험의 지각은 만족을 저해한다는 점에서 재무위험을 줄이기 위해 이용하기전 보다 많은 탐색을 통해 정보를 얻으려는 경향이 강하므로, 좀 더 실용적이고 정확한 형태로 정보가 제공되어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fine determinants of tourists' behavior focused on tourism omni-channel and to verify the relationship between tourism information search motivation, tourism omni-channel satisfaction, tourism experience and perceived risk. We presented the hypotheses including ease of use, trust and satisfaction and also analyzed the moderator effects of tourism experience and perceived risk(financial risk, psychological risk) variables. For an accuracy of expected results, we focused on survey with 298 respondents. Based upon prior studies, it is meaningful that this study verified 1) the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tourism information search motivation and tourism omni-channel satisfaction and 2) the significant moderating effect of financial risk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ourism information search motivation and tourism omni-channel satisfac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