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자궁경부암 치료에서 p53 종양억제유전자의 플라스미드와 아데노바이러스를 이용한 유전자 치료법의 개발

        이준모(Jun Mo Lee),김승조(Seung Jo Kim),남궁성은(Sung Eun NamKoong),조성대(Sung Dae Cho),황성진(Seong Jin Hwang),박현라(Hyun Ra Park),한유진(You Jin Han),김상태(Sang Tae Kim),이헌영(Hun Young Lee),김동재(Dong Jae Kim),박용석(Yong Serk 대한산부인과학회 1999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42 No.9

        연구배경: 악성종양의 치료법에서 근간을 이루고 있는 방법은 수술, 방사선과 항암요법이다. 이와같은 치료에도 불구하고 종양세포의 파괴를 주 목표로 하고 있는 현재의 치료법은 그 한계에 도달하고 있다. 따라서 앞으로 종양치료의 방향은 이미 언급한 고식적인 방법과 아울러 종양에 대한 인체의 면역 반응을 항진시켜 종양세포 손상을 유도하는 유전자 치료쪽으로 연구가 진행되어야 할 것으로 사료되어 연구를 시작하였다. 연구목적: 자궁경부암의 유전자 치료를 위하여 자궁경부암 세포주들에 리포솜을 이용한 종양억제 유전자의 직접 이입법 (pRcCMVp53/ lipofectin)과 아데노 바이러스 (AdCMVp53)를 이용한 간접이입법에 의한 종양세포의 성장억제효과를 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이 연구에 사용한 자궁경부암 세포주들은 억제 유전자인 야생형 p53유전자를 가지고 있고 인유두종 바이러스 (human papilloma virus : HPV) 16 양성을 나타내는 CaSki, SiHa 세포주, HPV 18 양성을 나타내는 HeLa, HeLaS3 세포주와 HPV 음성을 나타내는 C33A, HT3 세포주이었다. LacZ를 표지유전자로 사용하여 그 이입효율을 확인 하였으며 인체 자궁경부암세포주로의 유전자의 직접 이입법으로는 lipofectin을 매개로 한 방법(pRcCMVp53/lipofectin)을 사용하였고 간접이입법으로는 바이러스를 사용한 AdCMVp53를 사용하였다. 암세포 성장억제 효과는 세포수 측정을 통해 확인하였다. 결과: p53 유전자의 이입에의한 자궁경부암 세포주의 성장억제는 직접이입법에의한 (pRcCMVp53/lipofectin) 경우 CaSki에서는 88.5%, SiHa는 59.1%, HeLa는86.0%, HeLaS3는 78.0%, C33A는 91.3%, 그리고 HT3에서는 74.0%의 성장억제를 나타냈다. 간접이입법 (AdCMVp53)에 의한 세포수 측정에서 CaSki인 경우에는 97.4%, SiHa는 91.6%, HeLa는 95.8%, HeLaS3는 99.7%, C33A는 97.3%, 그리고 HT3에서는 87.4%의 성장억제를 나타냈다. 결론: 자궁경부암 세포주에 직, 간접 이입법을 통한 억제유전자 전달 후 세포성장 억제는 HPV 양, 음성 모든세포주에서 매우 유의하게 감소되었으며 CaSki, HeLa세포주인 경우 직·간접 이입법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나 SiHa, HeLaS3, C33A세포주에서는 간접법 HT3세포주에서는 직접법이 좋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같은 결과는 향후 자궁경부암 환자에 있어서 억제유전자의 직·간접이입법에 의한 유전자 치료를 실시할 수 있는 새로운 장으로 그 의의가 클것으로 생각 되어진다. Background: The basic treatment of malignant tumors is surgery, radiotherapy, chemotherapy. Even though, the object of these treatments is to kill cancer cells, they have limitations. So, in future studies of treatment of cancer, we should look into increasing human immune response using gene therapy in order to induce damage to tumor cells. Objective: The cell growth inhibitory effect of cervical cancer cells was investigated by direct transfection using liposome(pRcCMVp53/lipofectin). and by indirect transfection using Adenovirus(AdCMVp53). Methods: The cervical cancer cell lines we used in this study were HPV16 positive, having inhibitory gene, wild p53 gene, CaSki, SiHa, HPV18 positive HeLa, HeLaS3 and HPV negative C33A, HT3, LacZ gene was used as the marker gene for the transfection efficacy. Direct transfection was done by using lipofectin (pRcCMVp53/lipofectin) and indirect transfection was done by using virus, AdCMVp53. The effect of tumor cell growth inhibition was measured by cell counting assay. Result: Inhibition of growth of cervical cancer cells in cell counts of direct transfection was CaSki(88.5%), SiHa(59.1%), HeLa(86.0%), HeLaS3(78.0%), C33A(91.3%) and HT3(74.0%). Inhibition of growth of cervical cancer cells in cell counts of indirect transfection was CaSki(97.4%), SiHa(91.6%), HeLa(95.8%), HeLaS3(99.7%), C33A(97.3%) and HT3(87.4%). Conclusion : The inhibition of cell growth of cervical cancer cells by direct and indirect transfection was significantly reduced, and showed little differences depending on the type of cells. These results will have a great meaning in treating cervical cancer patients using gene therapy by direct or indirect transfection

      • SCOPUSKCI등재

        여호와 증인 환아에서 간이식의 마취경험 : 증례 보고 A case report

        박현라,곽미숙,김갑수,정익수 대한마취과학회 2002 Korean Journal of Anesthesiology Vol.43 No.6

        We repot the case of an 11-month-old Jehovah's Witness girl with end-stage liver disease secondary to biliary atresia who underwent a successful living-related liver transplantation. The donor was her mother who is a member of Jehovah's Witness. The ise of recombunant human erythropoietin increased hemoglobin concentrations during the perioperative period. Intraoperatively, meticulous surgical hemostasis, avoidance of hypothermia, minimal blood sampling, administration of tranexamic acid, and return of the blood scavenged from the operative field by intraoperative blood salvage enabled the completion of the operation without the use of blood products. (Korean J Anesthesiol 2002; 43: 800~503)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