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알코올사용장애자의 우울, 스트레스가 회복에 미치는 영향: 사회적 지지와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

        박향진 한국콘텐츠학회 2023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23 No.3

        본 연구는 알코올사용장애자의 우울, 스트레스와 회복과의 관계에서 사회적 지지와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를 살펴보았다. 알코올사용장애자 212명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였다. 본 연구는 구조방정식 모형분석과 부트스트래핑(bootstrapping)을 활용하여 매개효과를 검증였다. 본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알코올사용장애자의 회복은 우울, 스트레스와 유의한 부적 상관이 있었고, 사회적 지지와 자아존중감은 유의한 정적 상관이 있었다. 구조모형 검증결과 우울과 회복 관계에서 사회적 지지와 자아존중감은 완전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스트레스와 회복 관계에서도 사회적 지지와 자아존중감은 완전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회적 지지와 자아존중감은 우울과 회복 관계 및 스트레스와 회복 관계에서 이중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바탕으로 알코올사용장애자의 회복 증진을 위한 중재방안 및 제한점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대학생의 문제도박 예방에 대한 설명모형 구축 및 검증

        박향진,김석선 한국지역사회간호학회 2018 지역사회간호학회지 Vol.29 No.1

        Purpose: A mediated model of Korean college students' problem gambling based on Blaszczynski and Nower’s pathway model is developed and tested to explore mediating roles of self-control and irrational gambling beliefs in the association between emotionally vulnerable variables and problem gambling. Methods: 273 student participants recruited from 4 universities in Seoul and Gyeonggi, Korea responded. Data were collected with a structured self-report questionnaire comprising measures of problem gambling, depression, anxiety, coping styles, irrational gambling belief, and self-control. Results: The modified research model provides a reasonable fit to the data. Depression, anxiety, reflective coping, irrational beliefs, and self-control turned out to have direct effects on problem gambling, while indirect effects were reported in some suppressive and reactive styles. These predictors account for 38% of the college students' problem gambling. Conclusion: The findings suggest that developing intervention programs for reducing depression, anxiety, irrational gambling beliefs, and increasing reflective coping and self-control are needed to prevent Korean college students’problem gambling.

      • KCI등재

        보완대체요법을 활용한 긍정심리프로그램이 간호대학생의 부정적 정서,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자기자비, 플로리시에 미치는 효과

        박향진,장현정 국제문화기술진흥원 2023 The Journal of the Convergence on Culture Technolo Vol.9 No.6

        This study was attempted to improve the mental and psychological health of nursing students through the intervention of positive psychological programs using complementary alternative therapy. This study applied a Non-equivalent control group pre-test and post-test design to verify the effects of negative emotions, career decision making self-efficacy, self-compassion, and flourish in nursing students. The experimental group is the students who received the positive psychology program using complementary and alternative therapy, and the control group is the students who did not receive the program.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the SPSS Version 21.0 program.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higher career decision making self-efficacy, self-compassion, and flourish scores and lower negative emotion scores than the control group that did not participate in the education. After applying the positive psychology program using complementary and alternative therapy, it contributed to the expansion of the nursing intervention area using complementary and alternative therapy by reporting positive research effects on career decision making self-efficacy, self-compassion, and flourish.

      • KCI등재

        중독예방에 대한 중학교 교과서 내용 분석

        박향진,조해련 한국아동간호학회 2017 Child Health Nursing Research Vol.23 No.1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addiction prevention related content shown in middle school text books. Methods: Using a combination of the terms “addiction”, “drug”, “medicine”, “personal preference”, “smoking”, “drinking”, “sex”, “misuse” or “abuse” as key words, the researchers screened the table of contents of 23 randomly selected middle school textbooks from the 2009 curriculum. Finally 13 textbooks (physical education=10, health=3) were selected for this study, and analyzed using Krippendorff’s contents analysis. Results: Through indepth discussion and investigation of the relevant textbooks, content related to addiction prevention included material addiction (77.8%) and behavioral addiction (22.2%). The construction of addiction prevention in middle school textbooks included understanding addiction, rejection of peer temptation, and empowerment of self-control. Conclusion: When developing an intervention for addiction prevention that targets middle school students, education with accurate addiction information must be considered so that the students have the correct knowledge about addiction and addiction prevention. Additionally, the ability to reject peer temptation when invited to act upon related addiction behaviors should be treated seriously. The empowerment of self-control is also important, and can be promoted through strengthening self-regulation competence.

      • 대학생의 우울, 소외에 대한 두려움이 알코올 사용문제에 미치는 영향

        박향진,홍유선,지예선,성현정,남주영 가톨릭꽃동네대학교 카리타스복지연구소 2022 복지논총 Vol.17 No.2

        본 연구에서는 대학생의 우울, 소외에 대한 두려움, 알코올 사용문제 정도를 파악하고, 이러한 변수들 간의 관계와 알코올 사용문제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에 우울, 소외에 대한 두려움, 알코올 사용문제와 관련된 온라인 설문지를 배포하고 연구목적을 이해하고 참여에 동의한 대학생 221명을 대상으로 자료 수집하였다. 자료는 IBM SPSS Statistics 23.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t-test, ANOVA, Scheffe test, Dunnett T3 test,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Multiple regression을 실시하여 분석하였다. 그 결과 알코올 사용문제는 우울, 소외에 대한 두려움과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알코올사용문제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학업성적, 학교생활 만족도, 우울, 소외에 대한 두려움이었으며, 설명력은 65.8%였다. 본 연구는 학생의 알코올 사용문제 향상에 학교생활 만족도, 우울, 소외에 대한 두려움이 주요한 요인임을 확인하고 보여주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더불어 본 연구결과는 대학생의 알코올 사용문제 예방을 위해 우울을 낮추고, 소외에 대한두려움을 낮출 수 있는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college students’ depression, fear of missing out, and alcohol use problems in order to underst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se variables, and to identify factors influencing alcohol use problems. Data were collected from a sample 221 college students in Cheongju. The data collection period was from July 21, 2022 to September 6, 2022. Data were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one-way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 and multiple regression with the SPSS Statistics version 23 Program. As a result of the analysis, alcohol use problems were found to be correlated with depression and fear of alienation. Factors significantly influencing the college students’ alcohol use problems were depression, fear of missing out, academic achievement, and school life satisfaction, with a total explanatory power of 65.8%.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it is necessary to develop and apply a program that can reduce the fear of depression and alienation in order to prevent alcohol use problems in college students.

      • KCI등재

        탄소계 복합담지체에 담지된 고내구성 고분자전해질 연료전지용 백금촉매

        박향진,허승현,Park, Hyang Jin,Hur, Seung Hyun 한국전기화학회 2014 한국전기화학회지 Vol.17 No.3

        본 연구에서는 산화그래핀과 카본블랙의 혼합담체를 이용하여 내구성이 향상된 백금촉매를 폴리올법으로 제조하였다. 삼전극 순환전압전류법을 이용한 전기화학성능 측정결과 적절한 비율로 조절된 혼합담지체에 백금을 담지시켰을 경우 초기 성능 감소없이 장기내구성이 향상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회전원판전극을 이용하여 산소환원반응을 수행한 결과 혼합담체에 담지된 백금촉매가 카본블랙 단일담체에 담지된 백금촉매보다 우수한 고유활성값을 나타내었다. A Pt catalyst ($Pt/G_xC_y$) supported on the hybrid supporting materials composed of graphene oxide (GO) and carbon black (C) was fabricated using polyol method to improve the durability of electrocatalysts. The electrochemical performances measured by cyclic voltammograms using three-electrode system revealed that the properly designed $Pt/G_xC_y$ catalyst exhibited higher durability than that of Pt/C catalyst without sacrificing an electrocatalytic acivity. In the oxygen reduction reaction (ORR) performed in acid solution with the rotating disk electrode, the $Pt/G_xC_y$ catalyst showed greater mass and area-specific activity than those of Pt/C catalyst.

      • KCI등재

        알코올사용장애자의 우울, 스트레스가 회복에 미치는 영향: 사회적 지지와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

        박향진(Hyangjin Park) 한국콘텐츠학회 2023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23 No.3

        본 연구는 알코올사용장애자의 우울, 스트레스와 회복과의 관계에서 사회적 지지와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를 살펴보았다. 알코올사용장애자 212명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였다. 본 연구는 구조방정식 모형분석과 부트스트래핑(bootstrapping)을 활용하여 매개효과를 검증였다. 본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알코올사용장애자의 회복은 우울, 스트레스와 유의한 부적 상관이 있었고, 사회적 지지와 자아존중감은 유의한 정적 상관이 있었다. 구조모형 검증결과 우울과 회복 관계에서 사회적 지지와 자아존중감은 완전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스트레스와 회복 관계에서도 사회적 지지와 자아존중감은 완전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회적 지지와 자아존중감은 우울과 회복 관계 및 스트레스와 회복 관계에서 이중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바탕으로 알코올사용장애자의 회복 증진을 위한 중재방안 및 제한점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investigated the role of social support and self-esteem as mediator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depression, stress, and recovery among individuals with alcohol use disorder. The data was collected from 212 participants with alcohol use disorder, and a structural equation model analysis with bootstrapping was used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s. The results showed that there was a significant negative association between recovery from alcohol use disorder and depression and stress. In contrast, there was a significant positive association between social support and self-esteem. The structural model analysis revealed that social support and self-esteem had a complete medi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depression and recovery, as well as the relationship between stress and recovery. Moreover, social support and self-esteem were found to have a dual medi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depression and recovery and between stress and recovery. Based on these findings, intervention plans were suggested to promote recovery in individuals with alcohol use disorder. Additionally, the limitations of the study were also identified.

      • KCI등재
      • KCI등재

        환청 시뮬레이션 개발과 간호 대학생의 환청 시뮬레이션 교육 경험

        박향진(Park Hyang Jin),김석선(Kim Suk Sun),박규희(Park Gyu Hee)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6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6 No.12

        본 연구는 간호 대학생을 대상으로 환청 시뮬레이션 교육 경험을 통한 학습내용을 파악하기 위해 시행하였다. 연구방법은 환청 시뮬레이션 교육에 참여한 간호 대학생 11명을 대상으로 포커스 그룹 인터뷰를 적용한 질적연구이다. 수집된 자료를 내용 분석방법(content analysis)으로 분석한 결과, 간호 대학생의 환청 시뮬레이션 교육의 학습내용에서 ‘증상 경험하기’, ‘공감하기’, ‘간호 인지하기’ 3개의 주제와 함께 ‘집중력 저하’, ‘불쾌감과 두려움 경험’, ‘환자의 이상행동 이해’, ‘환자의 고통 이해’, ‘안정적 환경제공’, ‘지지적 간호제공’ 6개의 범주가 도출되었다. 간호학생들은 환청시뮬레이션 교육경험을 통해 정신질환자에 대한 증상이해와 공감능력이 증진되고, 정신질환자에게 제공해야 하는 간호활동에 대한 인식이 높아져 간호역량 강화에 도움이 되었다고 보고하였다. 본 연구 결과를 기반으로 다양한 환청 시뮬레이션 사례를 개발하고 적용하여 간호대학생의 간호역량강화 효과에 대한 지속적인 연구가 필요함을 제언한다. Purpose: This qualitative study aims to explore the educational experience of nursing students with the clinical simulation of hallucination. Method: Eleven nursing students participants in focus group interviews regrading their educational experiences with the clinical simulation of hallucination. Their interview data were interpreted by qualitative content analysis. A qualitative-content analysis method was conducted to derive themes from subthemes. Results: Three themes emerged from six subthemes related to students’ educational experiences of the clinical hallucination simulation were Symptoms experience , Improving empathy , and Care awareness . Conclusion: Findings support the value of this simulation as a means to promote nursing student s psychological nursing competency by developing intellectual empathy and therapeutic communication skills, and enhancing therapeutic relationships. This study provides recommendations for nursing educators to develop various simulation scenario in psychiatric-mental health nursing.

      • SSCISCIESCOPUS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